2020 도쿄 패럴림픽

최근 편집일시 : (♥ 0)

||


||
[ 펼치기 · 접기 ]

주요 정보유치과정 · 경기 종목 · 대회 진행 (개막식 · 픽토그램 판토마임 공연 · 폐막식) · 대한민국 대표팀 · 논란 및 사건 사고 · 평가
개별 종목파일:2020 도쿄 올림픽 농구 픽토그램_원형.svg 농구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사격 픽토그램_원형.svg 사격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스케이트보딩 픽토그램_원형.svg 스케이트보딩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야구 픽토그램_원형.svg 야구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양궁 픽토그램_원형.svg 양궁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축구 픽토그램_원형.svg 축구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태권도 픽토그램_원형.svg 태권도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펜싱 픽토그램_원형.svg 펜싱
대한민국 대표팀
개설 종목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농구 픽토그램_원형.svg 농구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배구 픽토그램_원형.svg 배구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양궁 픽토그램_원형.svg 양궁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유도 픽토그램_원형.svg 유도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태권도 픽토그램_원형.svg 태권도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펜싱 픽토그램_원형.svg 펜싱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핸드볼 픽토그램_원형.svg 핸드볼
대회 관련 기타 문서
마스코트
미라이토와 ·
주경기장
도쿄 국립경기장 ·
패럴림픽
2020 도쿄 패럴림픽 ·
개회 선언자
나루히토 ·
성화 점화자
오사카 나오미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_White.svg感動で、私たちはひとつになる
United by Emotion
감동으로 우리들은 하나가 된다
||

파일:2020 도쿄 패럴림픽 로고.svg2020
도쿄 패럴림픽
||
[ 펼치기 · 접기 ]

주요 정보유치과정 · 경기 종목 · 대회 진행 · 대한민국 대표팀
개별 종목파일:2020 도쿄 패럴림픽 골볼 픽토그램_원형.svg 골볼
대회 관련 기타 문서
마스코트
소메이티 ·
주경기장
도쿄 국립경기장 ·
올림픽
2020 도쿄 올림픽 ·
개회 선언자
나루히토 ·
성화 점화자
가미지 유이, 우치다 슌스케, 모리사키 카린
파일:2020 도쿄 패럴림픽 로고_White.svg感動で、私たちはひとつになる
United by Emotion
감동으로 우리들은 하나가 된다
||



2020 도쿄 패럴림픽
第十六回パラリンピック競技大会
제16회 패럴림픽 경기대회
2020 東京パラリンピック競技大会
2020 도쿄 패럴림픽 경기대회

XVI Paralympic
Games
파일:2020 도쿄 패럴림픽 로고.svg
대회 기간2021년 8월 24일 ~ 9월 5일
개최지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도쿄도
슬로건感動で、私たちはひとつになる
United by Emotion

(감동으로 우리들은 하나가 된다)[1]
마스코트파일:2020 도쿄 패럴림픽 마스코트 소메이티.svg | 소메이티
경기 종목22경기 537세부종목
참가국162개국
참가선수4,403명
개막선언나루히토
일본 천황
선수 선서우라타 리에
골볼
구니에다 신고
휠체어 테니스
심판 선서아즈마 노부유키
훨체어 펜싱
지도자 선서다니구치 유미코
수영
성화점화가미지 유이
우치다 슌스케
모리사키 카린
개·폐막식장도쿄 국립경기장
파일:패럴림픽 엠블럼.svg 공식 온라인 스토어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1. 개요
2. 대회 상징
2.1. 엠블럼
2.2. 마스코트
2.3. 픽토그램
2.4. 메달 및 시상식
3. 경기 종목
4. 경기장
5.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단
6. 중계진 일정 및 슬로건
7. 대회 진행
7.1. 메달 집계
8. 사건 사고
9. 도쿄 패럴림픽 이모저모
10.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올림픽 방송 서비스 공식 인트로[2]

2021년 8월 24일부터 2021년 9월 5일까지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하계 패럴림픽. 당초 2020년 여름에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의 세계적인 확산으로 인해 개최가 2021년 여름으로 연기되었다. 다만 대회 명칭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전 세계적인 팬데믹 중 열렸던 첫 패럴림픽이자 근대 패럴림픽 역사상 최초로 홀수 연도에 개최된 하계 패럴림픽이다.

도쿄는 이 대회를 개최하여 역사상 처음으로 하계 패럴림픽을 두 번 개최하는 도시가 되었다.[3]

코로나19의 재확산으로 인해 사이클 경기가 열리는 이즈 벨로드롬과 후지 스피드웨이를 제외하면 모든 경기장에서 무관중으로 치러진다.


2. 대회 상징[편집]



2.1. 엠블럼[편집]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파일:2020 도쿄 패럴림픽 로고.svg
2020 도쿄 올림픽 엠블럼2020 도쿄 패럴림픽 엠블럼


2.2. 마스코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미라이토와와 소메이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픽토그램[편집]


파일:2020 도쿄올림픽 패럴림픽 픽토그램 .jpg


2.4. 메달 및 시상식[편집]


도쿄 2020 올림픽 메달도쿄 2020 패럴림픽 메달
파일:2020_Tokyo_Olympic_Medal.webp
파일:190808_S001_1168.jpg
구성
약 556g약 526g
약 550g약 520g
약 450g약 430g
디자인
'영광을 달성하기 위해 선수들이 매일 승리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라는 콘셉트와 '빛'과 '광채'로 빛나는 운동선수와 에너지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에너지를 상징하면서, 다양성을 상징하고 스포츠에서 경쟁하고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 존경받는 세상을 나타내며, 메달의 반사의 광채는 전 세계 사람들이 손을 잡고 묘사한 따뜻한 우정의 빛을 나타낸다고 한다.'새로운 바람이 사람들에게 열기를 주고, 또 다른 새로운 바람을 만드는 원동력이 된다.'라는 콘셉트와 사람들의 마음과 마음을 묶어 전 세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게 하는 부채를 모티브로 부채의 밑부분 묶는 부분은 인종과 국경을 넘으며 사람들의 마음을 하나로 묶어주는 선수를 의미하며, 선면은 사람들의 마음의 생명력과 일본 자연의 꽃, 나무, 잎, 물을 표현하였다고 한다.








3. 경기 종목[편집]



파일:패럴림픽 엠블럼.svg 하계패럴림픽 종목


2020 도쿄 패럴림픽 종목





4. 경기장[편집]


2020 도쿄 패럴림픽 경기장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에 따르면 경기장은 크게 두 구역으로 나뉜다. 먼저, '헤리티지 존(Heritage Zone)'은 1964 도쿄 올림픽 당시의 경기장을 1964년 대회의 유산(heritage)으로서 사용하는 곳이다. 두번째는 '도쿄 만 존(Tokyo Bay Zone)'으로 도쿄 만 인근, 주로 오다이바 지역에 신설되는 경기장들을 사용하는 곳이다. 양궁, 태권도 등의 종목이 여기서 개최될 예정이다.

신축 경기장이 많지 않고 대부분의 경기장을 개축만으로 그대로 사용한다. 관련 인프라가 충실한 도쿄라서 가능한 부분이다. 물론 신축 경기장 및 기존 경기장 개축 비용도 만만히 볼 수 없지만 전부 신축하는 것이 비할 수준이 아니고 특히 올림픽 이후의 활용에 있어 대책이 서는 점이 가장 큰 장점. 일례로 '무사시노노모리 종합 스포츠 플라자'는 위치가 좋지 않음에도 완공된 지 반 년도 되지 않아 수 차례의 이벤트를 개최하면서 올림픽 이후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는 걸 증명했다.



5.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0 도쿄 패럴림픽/대한민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중계진 일정 및 슬로건[편집]


KBS에서 1560분으로 역대 하계 패럴림픽 최장 시간 중계를 한다고 발표했다.# KBS는 방송사 중 유일하게 중계 제작팀을 도쿄 현지로 파견했다. 방송 시간은 KBS 1560분(26시간), MBC 950분(15시간 50분) 이다.[6]##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에서 KBS 44시간, MBC 35시간 중계했던 것과 비교하면 짧은 편인데, 1일 평균 2시간 남짓 방송 중계를 하는 셈이다. 30일, KBS는 편성 시간을 1560분에서 2045분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SBS는 타 방송사의 본방송 시간대에는 도쿄 패럴림픽 중계방송을 하지 않고 정상편성을 유지하며, 당일 심야에 하이라이트 프로그램으로 몰아서 방송한다. ###[7]

방송사별 뉴스 내 2020 도쿄 패럴림픽 슬로건은 KBS 뉴스에서는 '다시, 우리', SBS 뉴스에서는 '다시 뜨겁게'로 표기된다. MBC 뉴스에서는 슬로건을 걸지 않고 대신 '2020 도쿄패럴림픽'으로 표기하였다. 메인 프로그램은 KBS 1TV, 2TV - 2020 도쿄 패럴림픽, MBC - 2020 도쿄패럴림픽이 있다. 하이라이트 프로그램은 KBS 1TV에서는 2020 도쿄 패럴림픽 하이라이트가 있다.

일본 NHK는 자국에서 열리는 대회답게 올림픽과 거의 같은 비중으로 방송을 중계한다. 단, 일본은 우리 선수단의 약 3배 규모인 254명이 참가하기 때문에 비중이 클 수 밖에 없다.

패럴림픽 유튜브 채널에서는 다양한 경기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시청할 수 있으며, 대한장애인체육회TV에서는 해설 중계로 볼 수 있다.

KBS
캐스터 : 이재후, 장웅, 최승돈, 이영호, 이광용, 강승화, 김종현, 남현종, 김현태
해설위원 : 김권일(개,폐회식/탁구/유도/보치아), 김병영(탁구), 안태성(양궁), 김일환(사격), 인태준(수영), 박승재(육상), 이석산(휠체어농구)

MBC
캐스터 : 허일후, 김초롱, 박연경, 김정근, 서인, 김나진
해설위원 : 조창옥(개,폐회식), 김성태(탁구), 이종덕(수영), 이재근(휠체어농구), 권제형(조정), 곽영철(육상), 이관춘(사격), 심재열(배드민턴), 홍성봉(보치아)

SBS
캐스터 : 최기환, 손범규, 이윤아
해설위원 : 주영민/한민수(개,폐회식), 임찬규(휠체어농구), 김경숙(탁구)


7. 대회 진행[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0 도쿄 패럴림픽/대회 진행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1. 메달 집계[편집]


2020 도쿄 패럴림픽 메달 집계
최종 집계
순위국가메달합계
1 중국966051207
2 영국413845124
3 미국373631104
4 RPC363349118
5 네덜란드25171759
6 우크라이나24472798
7 브라질22203072
8 호주21293080
9 이탈리아14292669
10 아제르바이잔141419
11 일본13152351
12 독일13121843
13 이란1211124
14 프랑스11152854
15 스페인9151236
16 우즈베키스탄85619
17 폴란드761225
18 헝가리75416
19 스위스74314
20 멕시코721322
21 뉴질랜드63312
22 이스라엘6219
23 캐나다510621
24 인도58619
25 태국55818
26 슬로바키아52411
27 벨라루스5117
28 튀니지45211
29 알제리44412
30 모로코44311
31 벨기에43815
32 아일랜드4217
33 나이지리아41510
34 남아프리카 공화국4127
35 쿠바4116
36 요르단4015
37 콜롬비아371424
38 베네수엘라3227
39 말레이시아3205
40 덴마크3115
41 대한민국2101224
42 터키24915
43 인도네시아2349
44 체코2338
45 칠레2316
45 세르비아2316
47 노르웨이2024
48 싱가포르2002
49 오스트리아1539
50 스웨덴1528
51 그리스13711
52 핀란드1315
52 카자흐스탄1315
54 아랍에미리트1113
55 코스타리카1102
56 에콰도르1023
57 키프로스1012
57 스리랑카1012
59 에티오피아1001
59 몽골1001
59 파키스탄1001
59 페루1001
63 아르헨티나0549
64 이집트0527
65 크로아티아0347
66 라트비아0325
67 조지아0303
68 홍콩0235
69 불가리아0202
70 이라크0123
71 쿠웨이트0112
71 나미비아0112
71 루마니아0112
71 슬로베니아0112
75 베트남0101
76 리투아니아0033
77 포르투갈0022
78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0011
78 엘살바도르0011
78 케냐0011
78 사우디아라비아0011
78 몬테네그로0011
78 오만0011
78 카타르0011
78 중화 타이베이0011
78 우간다0011


8. 사건 사고[편집]













9. 도쿄 패럴림픽 이모저모[편집]

















파일:241087133_419001839592194_3150211417406809005_n.jpg


10.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9-04 19:35:52에 나무위키 2020 도쿄 패럴림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0년 2월 17일 결정. 유치 당시의 슬로건은 未来をつかもう Discover Tomorrow (내일을 발견하자)[2] 올림픽과 똑같이 이 장면은 SBS, KBS, MBC 인트로에도 쓰였다.[3] 동계에서는 1984년과 1988년에 걸쳐 연달아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에서 개최한 바가 있다.[4] 이를 도시 광산이라고 하는데 문서를 참조하면 알겠지만 이 도시 광산의 규모가 생각 이상으로 크다고 한다. 일본 전국 전자기기 내 금 함유량이 남아공의 금 매장량과 맞먹는다는 얘기도 나올 정도.[5] 2020 도쿄 패럴림픽 메인 스타디움[A] A홀[B] A B B홀[C] C홀[6] MBC는 MBC SPORTS+를 통해서도 중계하고 있다.[7] 하지만 제 시간에 편성된 것을 보고싶은 사람들에게, 몰아보기 류 프로그램의 방송 편성은 관심이 약해질 수 밖에 없다.[8] 황연대 여사 측의 건강상 사유로 결국 해당 상 폐지에 영향을 끼쳤다는 내용도 있기는 했다.[9] 이 때문에 이에 대한 반응들 중 "IPC 측이 일본의 정치적인(=우익) 머니파워에 굴복한 거냐"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번역] 26일 열린, 도쿄 패럴림픽 자전거의 시상식에서, 메달을 획득한 선수의 나라등의 기를 게양할 때, 잘못된 곡이 흐른 것에 대해, 대회 조직 위원회의 타카야 마사테츠 스포크스퍼슨은 「운영상의 실수에 다하여 진심으로 사과하고 싶다」라고 말했습니다.[10] 2020 도쿄 올림픽의 포스터 디자인은 우라사와 나오키가 담당한다.[11] 국제패럴림픽위원회의 상징인 아지토스(Agitos) 엠블럼 수정(빨강, 파랑, 초록 3색은 유지) 반영, 패럴림픽 로고에만 붙던 'Paralympic Games' 표기 삭제, 동일한 올림픽과 패럴림픽 로고 등.[12] 경정을 다룬 작품[13] "(다른 장애인들은 모르겠고, 내가)장애인이지만 해냈어" 라는 느낌이 들기 때문.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