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홍콩 입법회 선거

덤프버전 :

홍콩의 주요선거
<bgcolor=#ffffff,#1F202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 펼치기 · 접기 ]
행정장관 선거
2022년
2022년 5월 8일
2027년
2027년 5월 8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입법회 선거
2021년
2021년 12월 19일
2025년
2025년 12월 19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구의회 선거
2023년
2023년 12월 10일
2027년
2027년 월 일
<-2><:>{{{-2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end1999년 · 2003년 · 2007년 · 2011년 · 2015년 · 2019년 · 2023년}}}}}}||}}}}}}}}}||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펼치기 · 접기 ]

2019년 6월 · 2019년 7월 · 2019년 8월 · 2019년 9월 · 2019년 10월 · 2019년 11월 · 2019년 12월
2020년 1월 · 2020년 2월 · 2020년 3월 · 2020년 4월 · 2020년 5월 · 2020년 6월 · 2020년 7월
관련 법률

홍콩 범죄인 인도법안 · 반분열국가법 ·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

홍콩 내부 대응 · 대한민국 반응 · 인터넷 반응
주요 정치인

중국 공산당: 시진핑(주석) · 왕치산(부주석) · 리커창(총리) · 한정(홍콩마카오담당상무위원)
왕이(외교장관) · 겅솽(외교부 대변인) · 웨이핑허(국방장관)
홍콩 행정부: 캐리 람(행정장관) · 매튜 청(정무장관) · 폴 찬(재무장관) · 테레사 쳉(법무장관)
존 리(보안장관) · 스티븐 로(전 경찰청장) · 크리스 탕(경찰청장)
친중파: 스태리 리(민건련 - 집권 여당) · 펠릭스 청(자유당) · 레기나 입(신민당) · 로와이궉(경민련) · 스탠리 응(공회련) · 주니어스 호(무소속)
민주파: 우치와이(민주당 - 제1야당) · 앨빈 양(공민당) · 폴 치머만(공단련) · 리키 오르(구정연맹) · 앤드루 치우(민주동력)
조슈아 웡 · 아그네스 초우(데모시스토)
본토파: 클라우디아 모(홍콩본토) · 개리 판(신민주동맹+홍콩본토) · 쳉충타이(열혈공민) · 에드워드 렁(본토민주전선)
주요 언론 · 단체

언론: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 · 빈과일보
단체: 민간인권전선 · 사회민주연선 · 데모시스토 · 홍콩의 진실을 알리는 학생모임 · 노동자연대 · 모멘텀
관련 웹사이트 · SNS · 집결지

웹사이트: LIHKG · Band in China
사용 SNS: 텔레그램 · 트위터 · 페이스북 · Signal Private Messenger
집결지: 빅토리아 공원 · 타마르 공원 · 차터 가든
주요 사건지점

홍콩 입법회(시위대 점거) · 홍콩 국제공항(공항 점거시위) · 윈롱역(친중파의 백색테러)
정관오역(홍콩과기대학 학생 사망) · 프린스에드워드역(경찰 과잉진압) · 경마장역(친중파 의원 경마사건)
사이완호역(홍콩 경찰의 시위대 가슴 조준 실탄 발포)
홍콩중문대학 · 홍콩이공대학(경찰과 시위대 대치)
시위 상징

구호: 광복홍콩 시대혁명 / 상징물: 레논 벽
곡: Do You Hear the People Sing · Speechless · 영광이 다시 오길 · 불굴진행곡 · Welcome To The Black Parade
연관 선거

홍콩 입법회 선거: 2020년 홍콩 입법회 선거
홍콩 구의회 선거: 2019년 홍콩 구의회 선거
연관 사건 · 정보

정보: 홍콩/정치 · 홍콩-본토 관계 · 일국양제 · 홍콩 민주화 운동 · 홍콩 독립운동
연관 사건: 하스스톤 홍콩 시위 지지 프로게이머 징계 사건 · 중국과 NBA 간 갈등 사태 ·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



2021年香港立法會選舉 / 2021 Hong Kong Legislative Council Election
  • 일정: 2021년 12월 19일[1]

1. 개요
2. 배경
3. 선거진행
3.1. 야권의 예비선거
3.1.1. 예비선거 결과
4. 선거결과
4.1. 직선구 20석
4.1.1. 홍콩 섬 동부
4.1.2. 홍콩 섬 서부
4.1.3. 까우룽 동부
4.1.4. 까우룽 서부
4.1.5. 까우룽 중앙
4.1.6. 신계 남동부
4.1.7. 신계 북부
4.2. 직능구 30석
4.3. 선거위원회 선출 40석
5. 기타


1. 개요[편집]


2021년 12월 19일에 시행된 홍콩 입법회 선거.


2. 배경[편집]



2.1.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편집]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2020년에도 지속되고 있다. 이번 홍콩 입법회 선거는 어느때보다 중요한데, 2019년 홍콩 구의회 선거로 세를 불린 민주파본토파가 어느정도 성장할 수 있는지 제대로 보여주는 선거이기 때문이다.

2.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편집]


2020년 3월 3일 빈과일보이번 코로나19 사태가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건제파 내각 지지율에 큰 도움이 된다는 내용의 홍콩 정부 내부 보고서를 폭로했다. 홍콩은 지금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2019년 홍콩 구의회 선거캐리 람 내각이 위기를 겪는 상황에서 이번 입법회 선거를 앞두고 이런 보고서가 등장하자 홍콩 야당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기사

7월 들어 다시 확진자가 늘어나자 친중파들이 선거를 연기하는 것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결국 홍콩 정부는 코로나19 재확산을 이유로 선거를 연기하였고#, 당연히 민주파는 이에 반발하고 있다.# 미국 역시 선거 연기에 대해 비판하였다.#

선거 연기에 따라 1년의 의회 공백기가 생기자 홍콩 정부는 중국 중앙정부와 어떻게 의회 공백기로 생길 문제에 대처할지 논의하였고#, 결국 현 의회의 임기를 1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총선 연기에 대해 항의 시위가 일어나자 홍콩 경찰은 최소 30여명의 시위대를 체포하였다.#

2.3. 홍콩 국가보안법과 선거법 개정[편집]


2020년 7월 1일부터 홍콩 국가보안법이 시행되기 때문에 민주파, 본토파들은 각자도생을 위해 흩어질 것이고, 특히 구의회를 장악한 민주파를 없애기 위해 홍콩 정부가 구의회를 해산시킬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민주파, 본토파 단체와 정당들이 7개나 해체되었다.

게다가 중국 정부가 충성 맹세를 강요하면서 민주파 내에서 이를 거부할지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선관위는 민주파 후보들에게 충성질의서를 보냈는데, 이것에 대해 민주파 후보의 자격을 박탈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이후 중국 전인대에서 직접 홍콩 선거제도를 변경함에 따라 선거일도 12월로 다시 연기되었다.# 이렇게 새로 변경된 선거 제도는 후보자 자격을 심사하는 등 민주파 후보 출마 자체를 차단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선거법 개정으로 인해 다음과 같이 선거제도가 변화하였다.
  • 직접 선출되는 직선구 의석은 35석에서 20석으로 축소되었으며, 비례대표제가 폐지되고 한 선거구에서 2명을 선출하는 중선거구제가 도입되었다. 역대 홍콩 선거에서 민주파의 득표율이 친중파를 항상 앞섰긴 했으나, 민주파와 친중파의 득표율이 6:4 정도를 유지했던 점을 감안하면 선거구당 2명을 선출할 시 민주파와 친중파 의원이 1명씩 당선되어 의석 수는 1:1이 될 가능성이 높다.[2]
  • 홍콩 전역에서 대선거구제로 선출하는 구의회 제2구 5석은 폐지되었다.
  • 전체 의석의 약 45%에 달하는 40석은 홍콩 행정장관을 선출하는 선거위원회에서 선출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사실상 친중파에게 할당된 의석이나 다름없는 직능대표와 선거위원회 선출 의원이 전체 의석 90석 중 무려 70석을 차지하게 됨에 따라 민주파가 얼마를 득표하더라도 입법회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3. 선거진행[편집]


홍콩의 선거는 대한민국과 다르게 유권자 등록 기간이 있다. 6월 25일부로 유권자 등록 기간이 끝났다.

18일부터 31일까지 후보 등록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민주파 후보 중 조슈아 웡과 공민당 대표 앨빈 양을 포함한 12명[3]은 후보 자격이 박탈되었다.#

중국 본토에 투표소를 설치했는데, 이에 대해서 친중파 표를 늘리려는 시도라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결국, 중국 본토에 설치못하고 접경지대에만 설치한다.#

2021년 8월에 선거인단 선거 후보 등록에서 선출직 982석을 놓고 1,056명이 등록했으며, 경쟁률은 1.05대 1로 떨어졌다.# 선거를 앞두고 민주파 지지율이 높은 부문들의 의석과 유권자 수를 대거 축소시키면서 이번 선거인단 선거의 유권자 수는 7,971명으로 2016년 선거의 246,440명의 30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2021년 9월 19일 각 계층별 선거위원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무투표 당선이 많아 실제 경쟁 대상이 된 의석은 364석에 그쳤고, 투표에 참여한 유권자 수보다 투표장에 배치된 경찰의 수가 더 많았다. 등록한 야권 후보가 2명밖에 없었기 때문에 결과는 투표 전부터 명백했지만, 예상대로 364석 중 363석은 친중파가 선출되었다.#

선거를 앞두고 홍콩 내에서 각종 시민사회단체에 대한 경찰 조사가 시작되면서 매년 천안문 항쟁을 추모해 온 지련회가 해산되었고#, 홍콩 최대 민주파 노동조합으로 공당을 통해 정치에 참여하기도 한 홍콩직공회연맹 역시 해산되었다.#

홍콩 최대 야당인 민주당이 1994년 창당 이래 처음으로 후보자를 내지 않았다.# 홍콩민주민생협진회는 출마하기로 했다.# 그러나, 후보 등록하지 않았다.

해외로 망명한 민주파, 본토파 정치인들이 백지투표 운동을 독려하고 있다.#

입법회 예비 후보에 총 154명이 등록했으며 이중 친정부 진영이 아닌 인물은 14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과거 민주파 진영에서 입법회 의원을 지낸 인물들이다.

그 중, 1명 제외하고 총 153명으로 통과되었다.#

11월 26일 후보검증위원회의 심사가 완료되면 본격적으로 선거 운동을 가졌다. 그럼에도 무효표, 투표 거부 운동이 점점 커지면서 홍콩 당국이 투표 날에 무료로 교통수단 태워주는 등 포퓰리즘 행태 같은 모습을 동원되고 있다는 것이다.#

3.1. 야권의 예비선거[편집]


범민주파, 본토파는 입법회 과반인 35석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입법회 의원 본선거를 앞두고 민주파 후보군을 좁히기 위해 7월 11~12일 약 250개 투표소에서 일반 유권자들이 참여하는 예비선거를 치렀다.#, 정보 홍콩 현지에서는 초선(初選)라고 부른다.

홍콩 당국의 방해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예상보다 높은 61만 명이 참여했다.# 이는 당초 목표로 삼은 17만 명의 3배를 넘었다.

이후 7월 13일 오후 선거 결과가 발표되었다.# 선거 결과 반중 성향이 강한 젊은 후보들이 약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토파 성향의 무소속들이 선전하였고, 민주당, 공민당은 정당명부에서 각각 6개, 4개 자리를 가져갔다.

홍콩 민주파가 예비선거로 후보 단일화를 통해 의회 다수를 장악하자는 35플러스 운동을 전개하자, 친중파 측은 야권이 의회 다수를 장악해 정부 예산안을 거부해 정부가 마비되면 국가보안법에서 범죄로 규정되는 국가정부 전복에 해당되므로 불법임을 주장했다. 결국 2021년 1월 홍콩 정부는 해당 예비 선거를 불법으로 규정하여 선거를 조직한 인원 6명과 후보 전원까지 55명을 체포했고,# 이 중 52명은 보석으로 풀려났으나 조슈아 웡우치와이, 탐닥찌(譚得志)는 석방이 불허되었다.#

이후 친중파가 장악한 홍콩 의회가 일방적으로 선거제 개편을 진행함에 따라 비례대표제 폐지와 함께 선거구 자체가 새로 짜여지면서 예비선거 결과는 사실상 무효화되었다.


3.1.1. 예비선거 결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1년 홍콩 입법회 선거/예비선거 결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선거결과[편집]


파일:2021_Hong_Kong_legislative_election_result_by_party.svg.png
투표 결과.
투표율이 30.2%에 그쳤다. 투표율 71.23%를 기록하고 민주파가 압승한 2년전 구의회 선거와 여러모로 비교가 되는데 이는 등록 유권자와 영국령 홍콩 시절을 포함해도 굉장히 낮은 수치로 중국의 개입과 홍콩 행정부의 선거법 개악에 대한 보이콧 운동이 발휘했다는 평이 나왔다.

그간 야당 역할을 맡았던 민주파가 사실상 와해된 상태에서 건제파 정당들끼리의 경쟁이었지만 펠릭스 청 홍콩 자유당 대표와 홍콩경제민생연맹의 크리스토퍼 청 의원이 낙선하는 등 일부 이변이 발생하였다.

직선구 10곳에서는 민주건항협진연맹이 모든 지역구에서 1석씩 건져 총 19석으로 원내 1당을 유지하게 됐다.

민주파 성향의 무소속 후보들은 결국 중국과 홍콩 행정부의 방해를 이겨내지 못하고 모두 낙선하고 말았고, 결국 비 건제파 당선인으론 틱치유엔 제3지대 대표가 사회복지업계 직능선거구에서 유일하게 당선되었다.

4.1. 직선구 20석[편집]



4.1.1. 홍콩 섬 동부[편집]


홍콩 섬 동부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비고
1
에드워드 렁(Edward Leung Hei)[4]
26,799
2위



당선
2
리우틴싱(Liu Tin-shing)
23,171
3위



낙선
3
스탠리 응(Stanley Ng)
64,509
1위



당선
4
제이슨 푼 (Jason Poon)
14,435
4위

[[무소속|
무소속
]]

낙선

4.1.2. 홍콩 섬 서부[편집]


홍콩 섬 서부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비고
1
레지나 입(Regina Ip)
65,694
1위



당선
2
챈혹펑(Chan Hok-fung)
36,628
2위



당선
3
퐁렁페이(Fong Lung-fei)
8,058
3위

[[무소속|
무소속
]]
(민주파)
낙선

4.1.3. 까우룽 동부[편집]


까우룽 동부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비고
1
빌 탕(Bill Tang)
65,036
1위



당선
2
응안만유(Ngan Man-yu)
64,275
2위



당선
3
리카얀(Li Ka-yan)
12,049
3위

[[무소속|
무소속
]]

낙선
4
우킨와(Wu Kin-wa)
3,090
4위

[[무소속|
무소속
]]

낙선
5
챈춘홍(Chan Chun-hung)
2,999
5위
민주사로
낙선

4.1.4. 까우룽 서부[편집]


까우룽 서부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비고
1
빈센트 청(Vincent Cheng)
64,353
1위



당선
2
렁만퀑(Leung Man-kwong)
36,840
2위


당선
3
프레드릭 펑(Frederick Fumg)
15,961
3위

[[무소속|
무소속
]]

낙선

4.1.5. 까우룽 중앙[편집]


까우룽 중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비고
1
스태리 리(Starry Lee)
95,976
1위



당선
2
양윙킷(Yang Wing-kit)
35,702
2위

[[무소속|
무소속
]]

당선
3
맨디 탑(Mandy Tam)
8,028
3위

[[무소속|
무소속
]]

낙선

4.1.6. 신계 남동부[편집]


신계 남동부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비고
1
리사이윙(Li Sai-wing)
82,595
1위

당선
2
람소와이(Lam So-wai)
38,214
2위

당선
3
대릴 초이(Daryl Choi)
6,718
3위

낙선

4.1.7. 신계 북부[편집]


신계 북부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비고
1
에드워드 로(Edward Lau)
70,584
1위

당선
2
장신유(Zhang Xinyu)
28,986
2위

당선
3
샴호킷(Shum Ho-kit)
17,839
3위

낙선
4
주디 쳉(Judy Tzeng)
3,498
4위

낙선

신계 북서부
홀든 차우(Holden Chow)
50,000
민건련
(신계사단연회)

마이클 티엔(Michael Tien)
40,009
실정원탁
웡춘렁(Wong Chun-long)
4,066
제3지대

신계 남서부
벤 첸(Ben Chan)
83,303
민건련
첸윙얀(Chan Wing-yan)
62,690
홍콩공회연합회
로척유(Lau Cheuk-yu)
12,828
무소속

신계 북동부
개리 챈(Gary Chan)
62,855
민건련
(신계사단연회)

도미닉 리(Dominic Lee)
61,233
신민당
(공민역량)

넬슨 웡(Nelson Wong)
5,789
무소속
앨런 웡(Allan Wong)
5,160
민주사로

4.2. 직능구 30석[편집]


지역구
이름
득표수
소속
향의국
(鄕議局, Heung Yee Kuk)
케네스 로(Kenneth Lau)
119
(77.2%)


목캄콰이(Mok Kam-kwai)
35
(22.7%)

농어업계
(漁農界, Agriculture and Fisheries)
스티븐 호(Steven Ho)
117
(68.8%)


영셩춘(Yeung Sheung-chun)
53
(31.2%)

보험업계
(保險界, Insurance)
챈킨포(Chan Kin-por)
65
(73.0%)


챈자오난(Chan Zhaonan)
24
(23.0%)

항공운송교통업계
(航運交通界, Transport)
프랭키 익(Frankie Yick)
147
(72.4%)


앨런 챈(Alan Chan)
56
(27.6%)

교육업계
(教育界, Education)
추쿽컹(Chu Kwok-keung)
10,641
(46.2%)

홍콩교육공작자연회
제임스 람(James Lam)
4,544
(19.7%)

람윙제(Lam Wing-sze)
3,280
(14.2%)

팅킨와(Ting Kin-wa)
2,533
(11.0%)
HKKGEPE
제시카 만(Jessica Man)
2,054
(9.0%)

법조계
(法律界, Legal)
앰브로스 람(Ambrose Lam)
1,637
(70.8%)


챈샤오펭(Chen Xiaofeng)
674
(29.2%)

회계업계
(會計界, Accountancy)
에드먼드 웡(Edmund Wong)
3,175
(39.9%)


웡왕타이(Wong Wang-tai)
1,981
(24.9%)

플로렌스 만(Florence Man)
1,734
(21.8%)
무소속
융킨(Yung Kin)
1,065
(13.4%)
무소속
의료위생계
(醫學衛生界, Medical and Health Services)
데이비드 람(David Lam)
5,511
(34.7%)

무소속
챈윙퀑(Chan Wing-kwong)
3,446
(21.7%)
민건련
스칼렛 퐁(Scarlett Pong)
2,719
(17.1%)
무소속
챈치청(Chan Chi-chung)
2,585
(16.3%)
무소속
호성혼(Ho Sung-hon)
1,631
(10.3%)
무소속
기술업계
(工程界, Engineering)
로와이궉(Lo Wai-kwok)
3,849
(75.6%)

자유당
웡와이션(Wong Wai-shun)
1,243
(24.4%)
무소속
건축, 측량, 도시계획 및 경관업계
(建築、測量、都市規劃及園境界, Architectural, Surveying, Planning and Landscape)
토니 체(Tony Tse)
2,266
(68.1%)

무소속
챈착분(Chan Chak-bun)
1,063
(31.9%)
무소속
노동계
(勞工界, Labour)
아론 궉(Aron Kwok)
398
(31.6%)

홍콩공회연합회
데니스 렁(Dennis Leung)
373
(29.7%)

홍콩공회연합회
차우시우청(Chau Siu-chung)
371
(29.5%)


리퀑유(Lee Kwong-yu)
116
(9.2%)
무소속
사회복지업계
(社會福利界, Social Welfare)
틱치위안(Tik Chi-yuen)
1,400
(56.7%)


추라이링(Chu Lai-ling)
872
(35.3%)
민건련
입참카이(Yip Cham-kai)
196
(8.0%)
무소속
부동산 및 건설업계
(地產及建造界, Real Estate and Construction)
룽혼비우(Loong Hon-biu)
242
(63.7%)

무소속
하워드 차오(Howard Chao)
138
(36.3%)
무소속
관광업계
(旅遊界, Tourism)
유팍렁(Yiu Pak-leung)
160
(92.5%)

무소속
마얏치우(Ma Yat-chiu)
13
(7.5%)
무소속
상업계 제1구
(商界(第一), Commercial (First))
제프리 람(Jeffrey Lam)
628
(86.1%)

자유당
에드먼드 유(Edmond Yew)
101
(13.9%)
무소속
상업계 제2구
(商界(第二), Commercial (Second))
마틴 랴오(Martin Liao)
176
(71.3%)

무소속
입윙싱(Yip Wing-shing)
71
(28.7%)
무소속
상업계 제3구
(商界(第三), Commercial (Third))
에릭 임(Erik Yim)
174
(61.3%)

무소속
야우와이퀑(Yau Wai-kwong)
110
(38.7%)
무소속
공업계 제1구
(工業界(第一), Industrial (First))
앤드루 렁(Andrew Leung)
235
(77.8%)

홍콩경제민생연맹
렁얏청(Leung Yat-cheong)
67
(22.2%)
자유당
공업계 제2구
(工業界(第二), Industrial (Second))
지미 응(Jimmy Ng)
306
(82.5%)

홍콩경제민생연맹
로칭콩(Lo Ching-kong)
65
(17.5%)
무소속
금융업계
(金融界, Finance)
로닉 챈(Ronick Chan)
51
(75.0%)

무소속
오웬 챈(Owens Chan)
17
(25.0%)
무소속
금융서비스업계
(金融服務界, Financial Services)
로버트 리(Robert Lee)
314
(65.0%)

무소속
크리스토퍼 청(Christopher Cheung)
169
(35.0%)
홍콩경제민생연맹
스포츠, 연예, 문화 및 출판업계
(體育、演藝、文化及出版界, Sports, Performing Arts, Culture and Publication)
케네스 폭(Kenneth Fok)
195
(87.0%)

무소속
윌리엄 소(William So)
29
(13.0%)
무소속
수출 및 수입업계(進出口界, Import and Export)
케네디 웡(Kennedy Wong)
108
(69.2%)

민건련
마이클 리(Michael Li)
29
(13.0%)
무소속
방직 및 의류업계
(紡織及製衣界, Textiles and Garment)
서니 탠(Sunny Tan)
172
(67.7%)

무소속
펠릭스 청(Felix Chung)
82
(32.3%)
자유당
도소매업계
(批發及零售界, Wholesale and Retail)
피터 시우(Peter Shiu)
1,116
(90.9%)

자유당
람치윙(Lam Chi-wing)
112
(9.1%)
무소속
과학기술혁신산업계
(科技創新界, Technology Innovation)
던컨 치우(Duncan Chiu)
59
(83.0%)

무소속
우칠리(Wu Chili)
12
(17.0%)
무소속
요식업계
(飲食界, Catering)
토미 청(Tommy Cheung)
101
(78.9%)

자유당
레이먼 추이(Rayman Chui)
27
(21.1%)
무소속
홍콩특별행정구 전인대 대표·홍콩특별행정구 전국정협위원 및 관련 전국단체 대표계
(香港特別行政區全國人大代表香港特別行政區全國政協委員及有關全國性團體代表界, HKSAR deputies to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HKSAR members of the National Committee of the Chinese People's Political Consultative Conference, and representatives of relevant national organisations)
브레이브 챈(Brave Chan)
432
(70.9%)

민건련
(신계사단연회)

체히우훙(Tse Hiu-hung)
177
(29.1%)
무소속


4.3. 선거위원회 선출 40석[편집]


이름
득표수
소속
프리실라 렁(Priscilla Leung)
1,348


호레이스 청(Horace Cheung)
1,342

탕페이(Tang Fei)
1,339
홍콩교육공작자연회
매기 챈(Maggie Chan)
1,331

앨리스 막(Alice Mak)
1,326

엘리자베스 쾃(Elizabeth Quat)
1,322

유니스 영(Eunice Yung)
1,313

(공민역량)
사이먼 호이(Simon Hoey)
1,308
무소속
스테판 웡(Stephen Wong)
1,305
무소속
록 챈(Rock Chen)
1,297

레베카 챈(Rebecca Chen)
1,292
무소속
카멘 칸(Carmen Kan)
1,291
무소속
주디 카푸이 챈(Judy Kapui Chan)
1,284

폴 체(Paul Tse)
1,283
무소속
주니어스 호(Junius Ho)
1,263
무소속
탄위에헹(Tan Yueheng)
1,245
무소속
응킷총(Ng Kit-chong)
1,239
무소속
챈시우훙(Chan Siu-hung)
1,239
무소속
라이퉁궉(Lai Tung-kwok)
1,237

마펑궉(Ma Fung-kwok)
1,234

라우치팡(Lau Chi-pang)
1,214
무소속
챈푸이렁(Chan Pui-leung)
1,205
무소속
킹슬리 웡(Kingsley Wong)
1,192

챈위엣밍(Chan Yuet-ming)
1,187
무소속
닉시 람(Nixie Lam)
1,181

마이클 룩(Michael Luk)
1,178

데니스 람(Dennis Lam)
1,157
무소속
케네스 렁(Kenneth Leung)
1,160
무소속
홍웬(Hong Wen)
1,142
무소속
선동(Sun Dong)
1,124
무소속
릴리안 궉(Lilian Kwok)
1,122

피터 더글라스 쿤(Peter Douglas Koon)
1,102
무소속
차우만콩(Chow Man-kong)
1,060
무소속
리춘컹(Lee Chun-keung)
1,060

룩혼만(Luk Hon-man)
1,059

도린 콩(Doreen Kong)
1,032
무소속
앤드루 람(Andrew Lam)
1,026
무소속
소청윙(So Cheung-wing)
1,013
무소속
람춘싱(Lam Chun-sing)
1,002

넬슨 람(Nelson Lam)
970
무소속
찰스 응(Charles Ng)
958
무소속
웡치힘(Wong Chi-him)
956
무소속
앨런 지만(Allan Zeman)
955
무소속
챈호이윙(Chan Hoi-wing)
941
민건련
쳉친이(Tseng Chin-i)
919
무소속
케빈 선(Kevin Sun)
891
무소속
투하이밍(Tu Hai-ming)
834
무소속
초이윙컹(Choy Wing-keung)
818
홍콩공회연합회
앤드루 펑(Andrew Fung)
708
무소속
마이클 라우스(Michael Rowse)
454
무소속
디우싱훙(Diu Sing-hung)
342
무소속

5. 기타[편집]


  • 이번 선거는 역대 선거 중 최초로 모든 선거구에서 무투표 당선 없이 선거가 치러진다. 홍콩 행정부에서 선거 정당성 확보를 위해 부랴부랴 과거 선거에서 무투표로 당선된 중진들한테 상대 후보를 세우라고 압박한 것이 요인인듯 하다.

  • 선거위원회 선출 의석에 백인 후보 두 명이 출마하였다. 캐나다인 출신 사업가 앨런 지만(Allan Zeman)과 영국인 출신 퇴직 공무원[5]이자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 칼럼니스트인 마이클 라우스(Michael Rowse)다. 두 후보 모두 각각 2008년과 2001년 원래 국적을 포기하고 중국인으로 귀화했다. 개표 결과 둘 다 낙선했다.



[1] 원래는 2020년 9월 6일이었으나 코로나19, 선거제 개편 인해 연기하였다.[2] 비슷한 사례로 한국에서도 10월 유신 이후 여당의 다수 의석 확보를 보장받으려는 목적으로 중선거구제를 도입했다. 이 때문에 1978년 10대 총선과 1985년 12대 총선 등에서 야당의 득표율 우세에도 불구하고 제1당을 차지하기도 했다.[3] 9명은 예비선거에 참여한 후보이고, 이 외에 공민당의 데니스 궉(郭榮鏗)과 열혈공민의 앨빈 쩽(鄭錦滿), 공공전업연맹(公共專業聯盟)의 케네스 렁(梁繼昌)이 후보 자격을 상실했다.#[4] 학생운동가 에드워드 렁과는 다른 사람이다.[5] 영국령 홍콩 시절부터 근무했으며 홍콩 반환홍콩특별행정구 정부에서도 근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