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덤프버전 :





2022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날짜

2022년 1월 18일1월 23일

시즌

2021–22 시즌

개최지

[[에스토니아|

에스토니아
display: none; display: 에스토니아"
행정구
]]
탈린
Tondiraba Ice Hall
남자 싱글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차준환
여자 싱글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틀:국기|
]]
미하라 마이
페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틀:국기|
]]
오드리 루 / 미샤 미트로파노프
아이스 댄스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틀:국기|
]]
캐럴라인 그린 / 마이클 파슨즈
2021
2023

1. 소개
2. 경기 일정
3. 출전 규정
3.1. 최소 기술점
3.2. 출전권
3.3. 엔트리
4. 포디움
5. 메달 집계
6. 세부 점수
7. 기타
7.1. 남자 싱글
7.2. 여자 싱글
7.3. 페어
7.4. 아이스 댄스


1. 소개[편집]


2022년 1월 17일에서 22일까지 개최된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 본래는 중국 톈진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9월 13일, ISU에서 중국행 국제선의 제한과 엄격한 코로나 팬데믹 규제로 인해 이번 대회를 취소한다고 발표했다. 기존 회원국에게 기존의 날짜에 대회를 개최할 수 있는지를 요청했으나, 신청국이 없는 관계로 10월 4일 에스토니아 탈린에서 개최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1] 이로써 사대륙(아시아,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이 아닌 대륙(유럽)에서 열리는 첫 사대륙선수권 대회가 되었다.


2. 경기 일정[편집]


  • 메달이 결정되는 대회는 굵은 글씨로 표시함.
날짜
종목
시간[UTC+2]
대한민국 시간[UTC+9]
대회
2022년 1월 20일, 목요일





아이스 댄스
12:35 - 13:55
19:35 - 20:55
리듬 댄스

페어
15:00 - 15:52
22:00 - 22:52
쇼트 프로그램

All
16:45
23:45
개회식

여자 싱글
17:30 - 20:22
00:30 - 03:221월 21일
쇼트 프로그램
2022년 1월 21일, 금요일





남자 싱글
12:20 - 14:51
19:20 - 21:51
쇼트 프로그램

아이스 댄스
18:20 - 19:51
01:20 - 02:511월 22일
프리 댄스
2022년 1월 22일, 토요일





여자 싱글
12:30 - 15:53
19:30 - 22:53
프리 스케이팅

페어
18:50 - 19:51
01:50 - 02:511월 23일
프리 스케이팅
2022년 1월 23일, 일요일





남자 싱글
11:47 - 14:45
18:47 - 21:45
프리 스케이팅

All
17:30 - 20:00
00:30 - 03:001월 24일
갈라


3. 출전 규정[편집]



3.1. 최소 기술점[편집]



쇼트 프로그램/리듬 댄스
프리 프로그램/댄스
남자 싱글
28
46
여자 싱글
23
40
페어
25
42
아이스 댄스
28
44
선수들은 2021년 7월 1일 이전에 만 15살이 되었고 최소 기술점을 충족한다면 2022년 사대륙선수권에 출전할 수 있다. ISU는 대회 첫 공식 연습일 최소 21일 전까지 대회에서 획득한 점수를 인정하고 있다. 쇼트와 프리의 최소 기술점은 각각 다른 대회에서 충족시켜도 된다.


3.2. 출전권[편집]


사대륙선수권의 경우 출전가능한 국가들은 전년도 대회의 성적과 관계없이 모두 각 종목 3장씩의 출전권을 받는다.


3.3. 엔트리[편집]


국가

남자 싱글


여자 싱글


페어


아이스 댄스

[[뉴질랜드|

뉴질랜드
display: none; display: 뉴질랜드"
행정구
]]


조슬린 홍

샬럿 라퐁-푸르니에 / 리처드 강인 감
[[중화 타이베이|
파일:중화 타이베이 국기.svg
중화 타이베이
]][[틀:국기|
]][[틀:국기|
]]


팅 추한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차준환
경재석
이시형
김예림
이해인
유영


[[멕시코|
멕시코
display: none; display: 멕시코"
행정구
]]


유지니아 가르자
안드레아 몬테시노스 칸투


[[미국|
미국
display: none; display: 미국"
행정구
]]

토모키 히와타시
지미 마
캠던 풀키넨
스타 앤드류스
가브리엘라 이쪼
오드리 신
에밀리 챈 / 스펜서 아키라 하우
오드리 루 / 미샤 미트로파노프
케이티 맥베스 / 네이선 바톨로메이
에밀리 브래티 / 이안 소머빌
크리스티나 카레이라 / 앤서니 포노마렌코
캐럴라인 그린 / 마이클 파슨즈
[[인도|
인도
display: none; display: 인도"
행정구
]]


타라 프라사드


[[일본|
일본
display: none; display: 일본"
행정구
]]

미우라 카오
미야케 세나
토모노 카즈키
마츠이케 리노
미하라 마이
요코이 유하나

무라모토 카나 / 다카하시 다이스케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display: none; display: 카자흐스탄"
행정구
]]

디아스 지렌바예프
미하일 샤이도로프



[[캐나다|
캐나다
display: none; display: 캐나다"
행정구
]]

코리 서첼리
조셉 판
가브리엘 데일먼
베로니크 말레
앨리슨 슈마허
로리-앤 마테 / 시어리 펄랜드
디아나 스텔라토 / 막심 데샹
에블린 월시 / 트렌트 미쇼드
마리-제이드 로리올 / 로맹 르 각
헤일리 세일즈 / 니콜라스 왐스티커
캐롤레인 수시스 / 셰인 피러스
[[필리핀|
필리핀
display: none; display: 필리핀"
행정구
]]


소피아 프랭크


[[호주|
호주
display: none; display: 호주"
행정구
]]

조던 도즈
브렌던 케리
제임스 민
빅토리아 알캔타라
카일라니 크래인

홀리 해리스 / 제이슨 챈
인디아 네트 / 에론 웨스트우드
[[홍콩|
홍콩
display: none; display: 홍콩"
행정구
]]

해리슨 존-옌 웡





4. 포디움[편집]



남자 싱글 포디움


2nd
1st
3rd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틀:국기|
]]
토모노 카즈키
268.99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차준환
273.22

미우라 카오
251.07



페어 포디움


2nd
1st
3rd
에밀리 챈 / 스펜서 아키라 하우
180.94
오드리 루 / 미샤 미트로파노프
189.10

에블린 월시 / 트렌트 미쇼드
179.70



5. 메달 집계[편집]



최종 메달리스트

종목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남자 싱글
차준환
토모노 카즈키
미우라 카오
여자 싱글
미하라 마이
이해인
김예림
페어
오드리 루 / 미샤 미트로파노프
에밀리 챈 / 스펜서 아키라 하우
에블린 월시 / 트렌트 미쇼드
아이스 댄스
캐럴라인 그린 / 마이클 파슨즈
무라모토 카나 / 다카하시 다이스케
크리스티나 카레이라 / 앤서니 포노마렌코


쇼트, 리듬 스몰 메달리스트

종목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남자 싱글
차준환
토모노 카즈키
미우라 카오
여자 싱글
미하라 마이
이해인
김예림
페어
오드리 루 / 미샤 미트로파노프
에블린 월시 / 트렌트 미쇼드
에밀리 챈 / 스펜서 아키라 하우
아이스 댄스
캐럴라인 그린 / 마이클 파슨즈
무라모토 카나 / 다카하시 다이스케
크리스티나 카레이라 / 앤서니 포노마렌코


프리 스몰 메달리스트

종목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남자 싱글
차준환
토모노 카즈키
미우라 카오
여자 싱글
미하라 마이
이해인
마츠이케 리노
페어
오드리 루 / 미샤 미트로파노프
에밀리 챈 / 스펜서 아키라 하우
에블린 월시 / 트렌트 미쇼드
아이스 댄스
캐럴라인 그린 / 마이클 파슨즈
무라모토 카나 / 다카하시 다이스케
크리스티나 카레이라 / 앤서니 포노마렌코


6. 세부 점수[편집]



남자 싱글

순위
국가
이름
총점
쇼트
프리
1

차준환
273.22
1
98.96
1
174.26
2

토모노 카즈키
268.99
2
97.10
2
171.89
3

미우라 카오
251.07
3
88.37
3
162.70
4

미야케 세나
240.02
5
79.67
4
160.35
5

미하일 샤이도로프
234.67
8
75.96
5
158.71
6

브렌던 케리
227.57
4
81.12
8
146.45
7

이시형
223.18
6
79.13
11
144.05
8

토모키 히와타시
222.37
7
77.51
10
144.86
9

조셉 판
220.85
10
69.70
6
151.15
10

지미 마
215.12
9
69.98
9
145.14
11

코리 서첼리
213.02
11
69.57
12
143.45
12

캠던 풀키넨
204.39
14
57.38
7
146.81
13

디아스 지렌바예프
192.92
12
66.92
13
126.00
14

경재석
187.97
13
63.78
14
124.19
15

제임스 민
155.02
15
54.35
15
100.67
16

조던 도즈
139.15
16
47.47
16
91.68
기권

해리슨 존-옌 웡
기권
17
43.95
기권


여자 싱글

순위
국가
이름
총점
쇼트
프리
1

미하라 마이
218.03
1
72.62
1
145.41
2

이해인
213.52
2
69.97
2
143.55
3

김예림
209.91
3
68.93
4
140.98
4

오드리 신
203.86
5
67.20
5
136.66
5

마츠이케 리노
202.21
8
60.16
3
142.05
6

유영
198.56
4
67.86
7
130.70
7

요코이 유하나
185.34
12
53.93
6
131.41
8

가브리엘라 이쪼
180.06
7
63.19
9
116.87
9

스타 앤드류스
173.01
6
66.60
12
106.41
10

가브리엘 데일먼
172.98
9
59.01
9
113.97
11

앨리슨 슈마허
168.42
11
57.36
10
111.06
12

카일라니 크래인
164.02
10
57.46
11
106.56
13

베로니크 말레
151.87
13
53.77
13
98.10
14

조슬린 홍
145.62
18
48.60
14
97.02
15

팅 추한
145.57
17
49.15
15
96.42
16

소피아 프랭크
139.26
14
52.74
17
86.52
17

빅토리아 알캔타라
138.26
16
49.73
16
88.53
18

안드레아 몬테시노스 칸투
133.03
19
47.36
18
85.67
19

유지니아 가르자
128.73
15
51.16
20
77.57
20

타라 프라사드
127.93
20
43.31
19
84.62


페어

순위
국가
이름
총점
쇼트
프리
1

오드리 루 / 미샤 미트로파노프
189.10
1
68.35
1
120.75
2

에밀리 챈 / 스펜서 아키라 하우
180.94
3
64.47
2
116.47
3

에블린 월시 / 트렌트 미쇼드
179.70
2
65.42
3
114.28
4

디아나 스텔라토 / 막심 데샹
172.71
5
59.07
4
113.64
5

케이티 맥베스 / 네이선 바톨로메이
168.18
4
59.54
5
108.64
6

로리-앤 마테 / 시어리 펄랜드
163.60
6
55.40
6
108.20


아이스 댄스

순위
국가
이름
총점
리듬
프리
1

캐럴라인 그린 / 마이클 파슨즈
200.59
1
80.62
1
119.97
2

무라모토 카나 / 다카하시 다이스케
181.91
2
72.43
2
109.48
3

크리스티나 카레이라 / 앤서니 포노마렌코
175.67
3
69.35
3
106.32
4

캐롤레인 수시스 / 셰인 피러스
172.45
4
69.15
4
103.30
5

에밀리 브래티 / 이안 소머빌
169.54
6
67.72
5
101.82
6

마리-제이드 로리올 / 로맹 르 각
166.89
5
68.66
6
98.23
7

헤일리 세일즈 / 니콜라스 왐스티커
160.99
7
62.95
7
98.04
8

홀리 해리스 / 제이슨 챈
157.00
8
59.07
8
97.93
9

샬럿 라퐁-푸르니에 / 리처드 강인 감
141.11
9
57.31
9
83.80
10

인디아 네트 / 에론 웨스트우드
113.15
10
40.89
10
72.26


7. 기타[편집]



7.1. 남자 싱글[편집]


  • 대한민국차준환한국의 남자 싱글 선수 역사상 첫 번째 사대륙선수권 우승을 차지했으며, 한국의 다섯 번째 사대륙선수권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그리고 13년 만에 김연아에 이은 연지곤지 시상식을 만들었다.


7.2. 여자 싱글[편집]




7.3. 페어[편집]


  • 미국의 오드리 루 / 미샤 미트로파노프 조가 첫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7.4. 아이스 댄스[편집]


[1] 사대륙선수권 직전에 열리는 2022 유럽선수권이 탈린 개최 예정이었는데, 에스토니아의 양해를 구하여 사대륙도 함께 열기로 하였다.[UTC+2] [UTC+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