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

덤프버전 :


}}} ||

[ 펼치기 · 접기 ]
파일:LoL Champions logo1.png
2012
Spring | Summer
2013
Winter | Spring | Summer
2014
Winter | Spring | Summer
파일:LCK Old logo.png
2015
Spring | Summer
2016
Spring | Summer
2017
Spring | Summer
파일:LCK_Logo_2018.png
2018
Spring | Summer
2019
Spring | Summer
2020
Spring | Summer
파일:2021 LCK Logo.png
2021
Spring | Summer
2022
Spring | Summer
2023
Spring | Summer





파일:52318673224_4c2e40b49b_6k.jpg

파일:2022 LCK 서머.png
파일:''''.png
2022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Summer
대회 기간
2022년 6월 15일 ~ 2022년 8월 28일
주최
파일:LCK 심볼.svg[[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주관
경기장
LCK Arena
스폰서

파일:우리은행 CI.svg


파일:BBQ치킨 로고.svg


파일:HP OMEN 로고.svg



파일:OP.GG 로고.svg


파일:JW중외제약 로고.svg


파일:logitechg blue logo.png

파일:Secretlab 로고.svg파일:Secretlab 로고 화이트.svg
파일:CGV 로고.svg

중계

[ 펼치기 · 접기 ]
중계 플랫폼
TV
파일:아프리카TV 로고.svg
상영관
파일:CGV 로고.svg
온라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네이버 e스포츠 아이콘.ico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미국 영국 국기.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후야 아이콘.pn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중계진
캐스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용준, 성승헌
파일:미국 영국 국기.svg
맥스 앤더슨, 브랜든 발데스
해설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현우, 강승현, 강범현, 남태유
파일:미국 영국 국기.svg
울프 슈뢰더, 모리츠 뮈센
분석 데스크
윤수빈, 이정현
분석 호스트
강범현, 남태유, 신동진, 정민성, 하광석
해외중계 통역
박지선

일정

[ 펼치기 · 접기 ]
정규시즌
1라운드
6월 15일 ~ 7월 15일
2라운드
7월 15일 ~ 8월 14일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1라운드
8월 17일 ~ 8월 18일
플레이오프 2라운드
8월 20일 ~ 8월 21일
결승전
대진
8월 28일
경기장
강릉 아이스 아레나

결과

[ 펼치기 · 접기 ]
우승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G
준우승
파일:T1 LoL 로고.svg T1
Player of the Split
박재혁 (GEN Ruler)
이채환 (LSB Prince)
MVP
정규시즌
박재혁 (GEN Ruler)
파이널
한왕호 (GEN Peanut)
All-LCK
1st Team

TOP
최우제 (T1 Zeus)
JGL
한왕호 (GEN Peanut)
MID
정지훈 (GEN Chovy)
BOT
박재혁 (GEN Ruler)
SPT
손시우 (GEN Lehends)
Rookie of
The Year

이대광 (KT VicLa)
Best Coach
고동빈 (GEN Score)


1. 개요
2. 참가팀
3. 대회 진행
4. 여담
4.1. 스프링 대비 로스터 변경
5. 논란 및 사건사고
5.1. 1주차 LoLLy night 논란
5.5. LCK 공식 모니터 논란
5.6. 연출 효과 재탕 논란
7. 주요 기록
7.1. Player of the Split
7.3. LCK Awards
7.3.1. 정규시즌 MVP
7.3.2. Rookie of The Year
7.3.3. Best Coach
7.4. 펜타킬
7.5. 퍼펙트 게임
8. 대회 상금
9. 총평 및 결산
9.1. 정규시즌
9.2. 플레이오프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1. 개요[편집]


Through the Origin
Towards the Future

2022년 6월 15일에 개최되는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의 서머 시즌.

2. 참가팀[편집]


}}} ||




3. 대회 진행[편집]



3.1. 정규시즌[편집]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
정규시즌 순위표

순위



세트 득실
득실차
연속
비고
1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
17
1
35-5
+30
11승
우승
2R 전승
2
파일:T1 LoL 로고.svg
T1
15
3
31-13
+18
1승
준우승
3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LSB
13
5
27-14
+13
5승

4
파일:DWG KIA 엠블럼.svg
DK
10
8
24-17
+7
1패

5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파일:kt 롤스터 로고.svg
KT
10
8
25-20
+5
1패

6
파일:DRX 로고(2020~2022).svg
DRX
9
9
22-23
-1
2패

7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KDF
6
12
13-29
-16
4패

8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NS
5
13
14-28
-14
2승

9
파일:브리온 아이콘(2021~2023).svg
BRO
3
15
11-31
-20
2패

10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HLE
2
16
12-34
-22
1승

파란색: PO 2R 진출 | 녹색: PO 1R 진출 | 노란색: PO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1R
1주
(6/15~19)
2주
(6/22~26)
3주
(6/29~7/3)
4주
(7/6~10)
5주
(7/13~15)
결산
2R
5주
(7/15~17)
6주
(7/20~24)
7주
(7/27~31)
8주
(8/3~7)
9주
(8/10~14)
결산
플레이오프 경기 일람
}}} ||



3.2. 플레이오프[편집]


}}} ||
1라운드
2라운드
결승 (8/28)

R1 1경기 (8/17)


R2 1경기 (8/20)

파일:Gen.G 로고 심플.svg
3

LSB
3위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3

GEN
1위

파일:Gen.G 로고 심플.svg
3

DRX
6위

파일:DRX 로고(2020~2022).svg
1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1

R1 2경기 (8/18)


R2 2경기 (8/21)

파일:T1 LoL 로고.svg
0

DK
4위

파일:DWG KIA 엠블럼.svg
3

T1
2위

파일:T1 LoL 로고.svg
3

KT
5위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2

파일:DWG KIA 엠블럼.svg
2

1위팀 (GEN) 대진표 선택: GEN vs LSB - T1 vs DK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
플레이오프 경기 일람
플레이오프
결승전
플레이오프 결산
정규시즌 경기 일람




3.3. 결승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결승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여담[편집]


  • T1이 2022 MSI 결승전에서 RNG에게 패배하고 우승이 좌절되면서 LCK는 최근 2년 간의 국제 대회 성적에 따라 2022 월드 챔피언십 시드권 4장을 배분받을 확률이 높으나, LCL의 불참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3장으로 줄어들 가능성이 있었다. 하지만 라이엇이 LCL 시드를 소멸 시키는 대신에 3순위에 있는 LEC에 추가로 배분하기로 결정하면서 LCK는 4장을 받게 되었다.
  • 2022 월드 챔피언십 시드권을 4장 배분받게 되면서 선발전 방식이 LPL과 동일한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변경되면서 시드권이 작년과는 다르게 배분된다.

  • 작년에 이어 올해도 LPL 팀이 MSI를 우승하게 되면서 팬들 사이에서는 플레이오프를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변경하자고 주장하는 여론이 늘어나고 있다. LPL은 4강부터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제도로 운영하는데, 이러한 수많은 다전제 경기가 LPL 팀의 교전 지향적 스타일을 유도하고 LPL와 LCK의 차이를 만든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1] 2021 스프링 시작 전에도 라이엇 코리아는 다전제를 늘려달라는 팬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포스트시즌 제도를 개편한 바 있고, 올해도 선발전 방식을 LPL와 동일하게 변경한 케이스도 있다. 게다가 현재 LCK는 LPL 상대로 2020년 월드 챔피언십 결승 이후 전패하고 있어서 포스트시즌 제도가 변경될지 주목되고 있다.[2] 다만 현재 예정된 일정으로는 플레이오프는 기존의 규칙대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 방역 수칙이 완화되고 콘서트나 경기장에서 마스크 착용 하의 육성 응원을 허용하게 되었고, LCK도 허용하게 되었다. 그래서, 코로나 이후 하지 못했던 "하나 둘 셋 (팀명) 화이팅!" 선창을 3년 만에 다시 외칠 수 있게 되었다.

  • 방역 수칙이 완화되면서 전 관중석이 개방된다. 당연히 예매도 코로나 이전처럼 완전히 재개됐다. 단, 그간 물가 상승을 고려해 티켓 가격은 주중 10,000원, 주말 12,000원으로 1,000원씩 인상됐다.

  • 6월 8일, 개막을 1주 앞두고 개최된 미디어데이에서 본인 팀을 제외한 우승 후보를 꼽으라는 질문을 받은 각 팀들의 응답에서 담원 5표, T1 4표, 젠지 1표로 갈렸다.[3] 가장 많이 선택받은 담원의 우승 후보 이유로는 담원과 스크림을 해본 결과, 너구리의 복귀, 캐니언과 쇼메이커의 솔랭 순위를 꼽았다. 다음으로 T1의 우승 후보 이유로는 좋은 스크림 결과, 스프링 시즌의 경기력, MSI 결승 진출이 꼽혔다. 젠지의 우승 후보 이유로는 스프링 결승 진출, 팀합 등이 꼽혔다. #


  • 기존에 분석데스크에서 활동하던 분석가 쿠로가 6월 16일부터 사회복무요원 복무로 공백기를 가지면서 빠른별이 새로이 분석가로 합류하게 되었다.

  • 7월 6일, 코로나19 재유행 조짐이 보이면서 매치 승리 후 진행되던 각 팀의 팬미팅이 1라운드 남은 기간 동안 잠정 중단된다.

  • 5주차, 6주차에 걸쳐서 별 수호자 위크 이벤트의 일환으로 경기 결과를 알리는 이미지가 선수의 모습과 별 수호자를 합성한 이미지를 사용했다.

  • 역대 시즌 중에서도 유난히도 버그가 많았다. 이에 크로노브레이크는 물론이고 재경기가 펼쳐지는 게임까지 나왔으며, 그 과정에서 여러 삐걱거림이 있어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4]

4.1. 스프링 대비 로스터 변경[편집]


파일:2022 LCK 서머 로스터 변경사항.png




5. 논란 및 사건사고[편집]



5.1. 1주차 LoLLy night 논란[편집]


LoLLy night 첫 편부터 부실한 콘텐츠와 매끄럽지 못한 진행으로 많은 비판을 받았다.

1. 프로그램의 진행 방식
이번 롤리 나잇은 김동준 해설과 성승헌 캐스터가 나와 진행하던 기존 방식과는 달리 초대된 선수들이 인터뷰부터 콘텐츠 진행까지 모두 떠맡는 다소 기형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일명 "햄누나"가 진행을 맡았는데, 그저 목소리만으로 지시를 내리면서 선수들의 진행을 보조하기만 했고, 그마저도 어색하고 불완전한 모습이었다. 이에 대해 PD와 진행자의 역량과 자질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다.

2. 부적절한 키워드, 질문 내용
롤리 나잇 내 "키워드 인터뷰" 코너는 특정 키워드를 선택하면 그 키워드에 해당하는 질문을 받아 답변하는 콘텐츠이다. 이 콘텐츠와 관련해서 기본적으로 질문이 키워드와 연관성이 없다는 비판이 있었으며, 몇몇 키워드와 질문은 그 내용이 부적절하다는 논란이 있었다.
너구리와 관련해서 제시된 키워드 중 문제가 된 키워드는 제우스돈미새가 있다. 진행자의 요청으로 선택하게 된 '제우스' 키워드는[5] 그 질문이 "내가 좋아하는 사람은?"이었는데, 사실상 답정너 질문이 아니냐는 비판이 있었다. 실제로 방송에서도 너구리는 최근 제우스 선수가 라인전 단계에서의 압박 및 갱 회피 그리고 한타 단계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그런 느낌에서 이런 키워드가 적혀 있었던 것 같다는 취지로 답변하고 넘어갔다. '돈미새' 키워드는 너구리 선수에게 비하의 의미로 사용된 바 있기에 문제가 되었다. 과거 2021시즌이 시작하기 전 스토브리그 당시 너구리 선수는 담원을 나와 FPX로 이적하게 되었는데, 이를 두고 돈에 눈이 멀어 중국으로 갔다는 식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덕담과 관련해서 제시된 키워드 중 문제가 된 키워드는 기강버스가 있다. '기강' 키워드의 질문은 "요즘 싫어하는 사람은?"이었는데, 애초에 선수를 데려다 놓고 이걸 왜 물어보냐는 비판이 일었다. 앞서 너구리 선수에게도 '룸메이트' 키워드로 "룸메이트 하고 싶은 팀원, 하기 싫은 팀원은?"을 물어봤었기 때문에 팀 내 분란을 조장하고 싶은 것이냐는 것이다. 가장 문제가 된 키워드는 '버스'이다. 아예 대놓고 '어느 팀원의 도움을 많이 받았냐'라는 질문을 넣어 선수를 무시하는 맥락이라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코라이즌의 애슐리 강 기자는 "게스트에 대한 배려가 없었다"라며 롤리 나잇 콘텐츠를 비판했다. #

3. 부실한 콘텐츠 논란
LCK가 프렌차이즈화 된 이후부터 자체 콘텐츠의 질이 매우 떨어졌다는 지적은 계속해서 나오고 있었다. 심지어 LoLLy Night에 관련된 논란은 경우 바로 지난 시즌에도 있었다. # # 이는 LCK의 뷰어십과 관련해서도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데, 양질의 콘텐츠 생산 및 적극적인 리그 홍보를 해야 할 운영 측에서 그러한 모습을 보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스포츠 리그가 지속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뷰어십이 중요한데 지금의 LCK는 안타깝게도 그것과는 거리가 멀어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LCK의 뷰어십은 하락세를 타고 있고, 오랫동안 큰 팬덤을 보유해온 일부 구단과 다른 구단 간에 뷰어십 격차도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6] 다만 현재의 뷰어십 하락은 코로나 종식 상황으로 인한 결과라는 시각도 있다. 실제로 전세계적으로 롤 관련 뷰어십은 반토막이 나고 있는 상황이다. #

LCK 유튜브 채널에는 LoLLy night 1주차 영상에서 문제가 된 돈미새버스 등의 부분은 삭제하고 업로드 되었다. 그러나 언제나 그랬듯 사과문이나 해명같은 행동은 전혀 없는 상황이다.[7] 2주차에서 단군 캐스터가 나와 유감의 의미를 전하긴 했다. 그러나 시청자들은 리그 측에서는 아무런 사과도 하지 않고 1주차에 출연하지도 않았던 단군 캐스터만 짧게 언급하고 넘어가는 것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그리고 LoLLy night에 대한 자체적인 콘텐츠 보강이 이루어졌는데, 2주차부터는 스프링 때와 비슷한 포맷으로 돌아갔고, 단군 캐스터와 빠른별 분석가가 MC를 보는 것으로 바뀌었으며, 콘텐츠도 선수들과 함께 리플레이를 보며 선수의 시점으로 분석하거나, 간단하게 APM 측정을 하거나 간식을 먹으며 토크를 하는 등 훨씬 나아진 콘텐츠를 선보여 평가가 다시 좋아졌다.


5.2. HLE-T1전 크로노브레이크 관련 논란[편집]


Q)"3세트에서 유리한 상황을 끌고 가다가 퍼즈가 걸린 후 킬이 초기화됐는데, 이 때 팀원들과 어떤 이야기를 나눴나?"
A)"초반에 유리했는데 갑자기 퍼즈가 걸려서 당황했다. (결과를) 기다리고 있었는데 심판이 아무 말도 없이 시간을 돌리더라. 저희가 이유를 물어봤는데 제대로 된 설명 없이 (경기를) 시작하려고 해서 당황스럽고 황당했다.”

케리아, 당일 크로노 브레이크에 대한 발언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LCK 서머 HLE-T1전 크로노브레이크 논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3. NS-DK전 재경기 논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LCK 서머 NS-DK전 재경기 사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4. BRO-T1전 경기 속행 논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LCK 서머 BRO-T1전 경기 속행 논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5. LCK 공식 모니터 논란[편집]


지난 스프링 스플릿부터 LG 울트라기어가 스폰서로 들어와서 24GN600, 24GN650의 모니터를 사용 중인데 이 모니터가 일종의 가성비 모니터라 프로게이머들이 쓰기엔 불편한 요소가 많고, 국제전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보다 성능이 한참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왔다. 선수들은 24 ~ 25인치 정도의 화면 크기가 작은 모니터를 선호하고, 심지어 아예 더 작은 화면으로 플레이할 수 있도록, 베릴, 커즈, 페이트 같은 일부 선수들은 창 모드로 플레이를 하기도 한다. 이에 선수들의 요구를 맞추고자 24인치 모델을 채택한 것으로 보이는데, LG 울트라기어 모니터 라인업에 주사율 240hz 이상 24인치 모델이 없다는 것이 문제. 그래서 144hz 모델을 어쩔 수 없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40hz를 지원하는 모델은 27인치 이상부터 있기 때문에, LG전자에서 신제품을 출시하는 것이 아니라면 주사율과 화면 크기 둘 중 하나는 포기해야 하는 상황.

롤드컵, MSI 같은 LoL 국제 대회에서는 공식 스폰서인 델 에일리언웨어의 AW2521H 모델을 사용하고 있는데, 최대 360hz 주사율을 지원하여 선수들 사이에서 불만이 나오는 이유.

T1케리아 선수가 직접 이 문제와 관련해 불편함을 호소한 바 있다. # 다만 해당 모니터는 현재 LEC에서도 사용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8] #

성능과는 별개로 모니터 위치를 옮기지 못해 세팅에 제약을 주었다가, 이후 개선되었다는 사실도 알려졌다.


5.6. 연출 효과 재탕 논란[편집]


중계 도중 주요 화면을 다시 보여줄 때 특유의 화면 전환 연출이 나오는데, 이 연출 효과가 2021년 LCK 서머 시즌 때의 재탕에 불과하고, 수정되지 않은 2021 SUMMER 문구까지 그대로 나온다는 점이 밝혀져 논란이 되었다.


2022년 7월 20일 중계된 농심 레드포스 vs 담원 기아의 중계 영상.[9]
이에 대한 공론화가 서머 시즌 초중반에도 이뤄졌고, 2022년 9월 2일 리그 오브 레전드 갤러리에서 다시 이루어졌는데, 해당 부분이 지적받기 전까지는 아무런 수정없이 계속 방치되었던 것으로 밝혀져서 그 많은 프랜차이즈 비용을 대체 어디에 쓰는 거냐며 비판 받고 있다. 실제로 9월 3일 이전까지의 모든 2022 LCK 서머 정규 시즌의 중계 영상에서 재탕 연출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9월 3일 2022 LCK 서머 선발전 Finals부터는 문제가 되는 부분이 수정되었다.


6. 영상 및 삽입곡[편집]




7. 주요 기록[편집]



7.1. Player of the Split[편집]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
Player of the Split


파일:2022Summer_Player_of_The_Split Ruler.jpg


파일:2022Summer_Player_of_The_Split Prince.jpg

2022 Spring
파일:DWG KIA 엠블럼.svg [[김건부|

Canyon
]]

2022 Summer
파일:Gen.G 로고 심플.svg [[박재혁(1998)|

Ruler
]]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이채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900; font-size: 1.0em"
Prince]]

2023 Spring
파일:T1 LoL 로고.svg [[류민석|{{{#!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002b; font-size: 1.0em"
Keria]]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
Player of the Game 포인트

순위
이름
ID
소속 팀
포지션
누적 점수
파일:crwn.png
박재혁
Ruler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LCK_BOT.png
1200
파일:crwn.png
이채환
Prince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파일:LCK_BOT.png
1200
3
최우제
Zeus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LCK_TOP.png
1100
4
김하람
Aimin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LCK_BOT.png
1000
5
김건우
Zeka
파일:DRX 로고(2020~2022).svg
파일:LCK_MID.png
900

[ 5위권 미만 선수 보기 ]
순위
이름
ID
소속 팀
포지션
누적 점수
6
한왕호
Peanut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LCK_JGL.png
800
6
정지훈
Chovy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LCK_MID.png
800
6
허수
ShowMaker
파일:DWG KIA 엠블럼.svg
파일:LCK_MID.png
800
9
이상혁
Faker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LCK_MID.png
700
9
김동범
Croco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파일:LCK_JGL.png
700
9
김건부
Canyon
파일:DWG KIA 엠블럼.svg
파일:LCK_JGL.png
700
12
문현준
Oner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LCK_JGL.png
600
12
이대광
VicLa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LCK_MID.png
600
12
황성훈
Kingen
파일:DRX 로고(2020~2022).svg
파일:LCK_TOP.png
600
12
이동주
DuDu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LCK_TOP.png
600
16
이민형
Gumayusi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LCK_BOT.png
500
16
이주현
Clozer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파일:LCK_MID.png
500
16
박진성
Teddy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파일:LCK_BOT.png
500
16
곽보성
Bdd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LCK_MID.png
500
20
최현준
Doran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LCK_TOP.png
400
20
서대길
deokdam
파일:DWG KIA 엠블럼.svg
파일:LCK_BOT.png
400
20
홍창현
Pyosik
파일:DRX 로고(2020~2022).svg
파일:LCK_JGL.png
400
20
유수혁
FATE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파일:LCK_MID.png
400
20
김창동
Canna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LCK_TOP.png
400
20
엄성현
UmTi
파일:브리온 아이콘(2021~2023).svg
파일:LCK_JGL.png
400
20
김태훈
Lava
파일:브리온 아이콘(2021~2023).svg
파일:LCK_MID.png
400
27
손시우
Lehends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LCK_SUP.png
300
27
김광희
Rascal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LCK_TOP.png
300
27
이가을
Aria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LCK_MID.png
300
27
김기인
Kiin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파일:LCK_TOP.png
300
27
이진혁
Dread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LCK_JGL.png
300
27
김장겸
OnFleek
파일: 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LCK_JGL.png
300
33
류민석
Keria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LCK_SUP.png
200
33
김진홍
Kael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파일:LCK_SUP.png
200
33
장하권
Nuguri
파일:DWG KIA 엠블럼.svg
파일:LCK_TOP.png
200
33
김형규
Kellin
파일:DWG KIA 엠블럼.svg
파일:LCK_SUP.png
200
33
문우찬
Cuzz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LCK_JGL.png
200
33
조건희
BeryL
파일:DRX 로고(2020~2022).svg
파일:LCK_SUP.png
200
33
김홍조
Karis
파일: 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LCK_MID.png
200
40
김재연
Dove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파일:LCK_TOP.png
100
40
윤설
Bible
파일:DWG KIA 엠블럼.svg
파일:LCK_SUP.png
100
40
김정민
Life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LCK_SUP.png
100
40
김혁규
Deft
파일:DRX 로고(2020~2022).svg
파일:LCK_BOT.png
100
40
최엘림
Ellim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파일:LCK_JGL.png
100
40
장용준
Ghost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LCK_BOT.png
100
40
노회종
SnowFlower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LCK_SUP.png
100
40
박루한
Morgan
파일:브리온 아이콘(2021~2023).svg
파일:LCK_TOP.png
100
40
박증환
Hena
파일:브리온 아이콘(2021~2023).svg
파일:LCK_BOT.png
100
40
유환중
Delight
파일:브리온 아이콘(2021~2023).svg
파일:LCK_SUP.png
100
40
오효성
Vsta
파일: 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LCK_SUP.png
100

Player of the Split의 전신인 2019시즌까지의 MVP를 포함해 Ruler와 Prince가 바텀 포지션에서 최초로 수상에 성공했다.

7.2. All-LCK Team[편집]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2 SUMMER ALL-LCK 1st TEAM

파일:2022 SUMMER All-Pro 1st.png

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LCK_SUP_white1.png
SPT
파일:T1 LoL 로고.svg [[최우제|

Zeus
]]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한왕호|

Peanut
]]
파일:Gen.G 로고 심플.svg [[정지훈(2001)|

Chovy
]]
파일:Gen.G 로고 심플.svg [[박재혁(1998)|

Ruler
]]
파일:Gen.G 로고 심플.svg [[손시우|

Lehends
]]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2 SUMMER ALL-LCK 2nd TEAM

파일:2022 SUMMER All-Pro 2nd.png

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LCK_SUP_white1.png
SPT
파일:Gen.G 로고 심플.svg [[최현준(프로게이머)|

Doran
]]
파일:T1 LoL 로고.svg [[문현준|

Oner
]]
파일:T1 LoL 로고.svg [[이상혁|

Faker
]]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이채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900; font-size: 1.0em"
Prince]]
파일:T1 LoL 로고.svg [[류민석|

Keria
]]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2 SUMMER ALL-LCK 3rd TEAM

파일:2022 SUMMER All-Pro 3rd.png

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LCK_SUP_white1.png
SPT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김광희|

Rascal
]]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김동범(프로게이머)|

Croco
]]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이주현(프로게이머)|

Clozer
]]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김하람|

Aiming
]]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김진홍(프로게이머)|

Kael
]]

7.3. LCK Awards[편집]



7.3.1. 정규시즌 MVP[편집]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
Regular Season MVP


파일:2022_summer_mvp.png

2022 Spring
파일:T1 LoL 로고.svg [[류민석|

Keria
]]

2022 Summer
파일:Gen.G 로고 심플.svg [[박재혁(1998)|{{{#!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Ruler]]

2023 Spring
파일:T1 LoL 로고.svg [[류민석|

Keria
]]

[ 정규시즌 MVP 투표 결과 ]
순위
이름
아이디
투표 점수
파일:crwn.png
박재혁
Ruler
141pt
2nd
한왕호
Peanut
126pt
3rd
정지훈
Chovy
90pt

[ 4위권 이하 선수 보기 ]
순위
이름
아이디
투표 점수
4th
최우제
Zeus
75pt
5th
이채환
Prince
67pt
6th
김동범
Croco
24pt
7th
김하람
Aiming
15pt
8th
이상혁
Faker
7pt
9th
김건부
Canyon
5pt
10th
손시우
Lehends
4pt
11th
류민석
Keria
3pt
최현준
Doran
3pt
13th
문현준
Oner
2pt
14th
김광희
Rascal
1pt
이주현
Clozer
1pt


이전까지 MVP 수상자가 없었던 바텀 라인이었지만, Ruler가 정규시즌 MVP를 받으며 이제 전 라인이 LCK 정규시즌 MVP를 받아본 적 있게 되었다. 단, 2020시즌 MVP가 투표제로 변경된 뒤로 탑 포지션에서 MVP를 수상한 선수는 없다.

보통의 예상대로 룰러와 피넛의 2강 구도에 젠지의 또 다른 주축인 쵸비까지 3위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페넌트레이스를 보낸 젠지가 TOP 3 자리를 모두 가져갔으며, 이 밖에 메타를 역행한다는 소리까지 들으며 시즌 내내 호평을 받은 T1의 제우스와 샌드박스의 돌풍의 핵이자 또 다른 PoS인 프린스가 그 아래와 큰 차이를 벌려놓은 투표 결과였다.

7.3.2. Rookie of The Year[편집]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2 LoL Champions Korea
Rookie of The Year


파일:2022_rookie_of_the_year.png

2021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김동범(프로게이머)|

Croco
]]

2022
파일:kt 롤스터 심볼.svg [[이대광|

VicLa
]]

2023
파일:Gen.G 로고 심플.svg [[김수환(프로게이머)|

Peyz
]]

[ 상세 투표 결과 ]
순위
이름
아이디
투표 점수
파일:crwn.png
이대광
VicLa
173pt
2nd
김진홍
Kael
165pt
3rd
김홍조
Karis
81pt

[ 4위권 이하 선수 보기 ]
순위
이름
아이디
투표 점수
4th
정윤수
Peter
46pt
5th
정재훈
Moham
42pt
6th
노태윤
Burdol
24pt
7th
조승모
Cheoni
11pt
8th
윤상훈
Ice
6pt


많은 사람들의 예상대로 빅라와 카엘의 2파전 중 빅라가 선정되었다. 이 밖의 투표 순위도 어느 정도 예측이 되는 수준으로 특이점은 딱히 없던 투표였다.

여담으로 T1의 제우스는 이번 시즌이 첫 주전이긴 하나 작년 스프링 일부 경기 출장으로 인해 2021년 Rookie of The Year 후보로 이미 올라갔으므로 이번 후보로는 들어가지 않는다.[10]

7.3.3. Best Coach[편집]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2 LoL Champions Korea
Best Coach


파일:2022_best_coach.png

2021
파일:DWG KIA 엠블럼.svg [[김정균|

kkOma
]]

2022
파일:Gen.G 로고 심플.svg [[고동빈|

Score
]]

2023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강동훈|

Hirai
]]

[ 상세 투표 결과 ]
순위
이름
아이디
투표 점수
파일:crwn.png
고동빈
Score
173pt
2nd
김목경
Micro
88pt
3rd
원상연
Mafa
77pt

[ 4위권 이하 감독/코치 보기 ]
순위
이름
아이디
투표 점수
4th
최성훈
Polt
49pt
5th
강동훈
Hirai
33pt
조재읍
Joker
7th
김무성
Museong
23pt
8th
허원석
PawN
14pt
9th
양대인
Daeny
12pt
10th
최우범
Edgar
11pt
11th
최승민
supreme
10pt
12th
김지환
Moment
8pt
13th
최천주
Acorn
6pt
이재민
Zefa
15th
배성웅
Bengi
5pt
16th
강태수
Travel
4pt
17th
이재하
Mowgli
1pt
김상수
Ssong


젠지 감독 Score 고동빈이 부임 첫 해에 베스트 코치로 선정되었다. 2022년 전체의 감코진을 뽑는 것이라 스프링 전승 우승을 달성한 T1 감코진의 점수가 낮은 것이 의외라는 반응이 일부 있지만, 서머에서의 T1 밴픽 평점과 젠지의 서머 시즌, 그리고 리브 샌드박스의 급성장 등으로 불만의 목소리는 이번 시즌에 진행된 여타 투표들과 비슷하게 거의 없는 편.

7.4. 펜타킬[편집]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 펜타킬
이름(ID)
소속 팀
포지션
챔피언
상대팀
기록일
경기
김하람(Aimin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LCK_BOT.png
BOT
파일:zeri_portrait.png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2022.07.16
47경기 2세트
곽보성(Bdd)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LCK_MID.png
MID
파일:ryze_portrait.pn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2022.07.23
58경기 2세트
이민형(Gumayusi)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LCK_BOT.png
BOT
파일:zeri_portrait.png
2022.07.27
61경기 3세트
박재혁(Ruler)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T1 LoL 로고.svg
2022.07.30
68경기 2세트
이채환(Prince)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파일:Fredit_BRION.png
2022.08.12
86경기 2세트

7.5. 퍼펙트 게임[편집]




8. 대회 상금[편집]


파일:2022 LCK 서머 상금.png

9. 총평 및 결산[편집]



9.1. 정규시즌[편집]


  • 1라운드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1라운드 결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2라운드 및 정규시즌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정규시즌 결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2. 플레이오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플레이오프 결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관련 문서[편집]




11.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18:24:27에 나무위키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LPL은 패배해도 한 번의 기회가 더 있기에 도전적인 시도를 할 수 있지만, LCK는 지면 끝이기 때문에 우틀않이 필연적으로 나온다는 주장이다. 게다가 LPL의 경우 맨 밑바닥에서부터 시작하면 이론상 최대 7번의 다전제를 겪으면서 우승할 수 있는데, 최상위권의 팀들이 여러 번의 다전제로 치고박으면서 축적되는 심리적, 전략적 경험치가 두 리그의 차이를 만드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는 시선이 많다. RNG는 3번의 다전제를 겪은 뒤 우승하였기에 2번의 다전제를 경험한 T1과는 사실상 차이가 없다는 반론이 있긴 하지만 애초에 많은 다전제를 경험하는 상위권 팀이 국제대회에 오기 때문에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다.[2] 사실 작년 MSI에서 담원이 준우승한 이후에도 이러한 주장이 나왔지만, 한국 프로 스포츠 리그의 포스트시즌이 한 번 지면 끝인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혹은 계단식 토너먼트 규칙이 고착화되었고 한 번 졌던 팀이 다시 올라와서 우승할 수 있는 게 맞냐는 국내 정서로 인해 실행이 어려웠다. LEC와 LCS의 경우 정규시즌이 단판제로 진행되는 대신 플레이오프만 변형 더블 엘리미네이션을 도입해 일정이 보름 정도로 제법 길었기에 직접적인 비교가 어려웠던 것도 있다.[3] 농심, KT, 브리온, 광동, 젠지는 담원을, 한화생명, 리브 샌드박스, DRX, 담원은 T1을, T1은 젠지를 선택했다.[4] 다만 버그는 LCK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리그에서 심각할 정도로 발생하고 있고 특히 LJL에선 버그로 인한 재경기 때문에 리그 1위가 바뀌는 상황마저 발생했다.[5] 원래 다음 콘텐츠로 넘어가려고 했으나 진행자가 "제우스 키워드에 대한 질문이 많다"라며 답변을 요구했다. 당시 채팅창에는 콘텐츠에 대한 비판뿐 그러한 질문은 전혀 없었기에 진행자의 이러한 요구 이후 채팅창은 물음표로 도배가 되었다.[6] 최근 젠지와 담원의 경기에서조차 37만의 뷰어십밖에 보이지 않고 있다. 파일:1656001699.png[7] 지난 월즈 결승전 1경기에서 사용했던 "접바둑" 표현 같은 경우에도 아직까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상황이다.[8] LEC도 LG 울트라기어의 스폰을 받는 중이다.[9] 4시간 54분 48초 경, 화면 전환 연출 마지막 부분에 미처 수정되지 않은 2021 SUMMER 문구를 볼 수 있다.[10] 사실상 제우스가 후보에 있었다면 긴 설명 필요 없이 올해 스프링과 서머 전부 퍼스트 팀에 들었다는 점에서도 보이듯 이 상은 따놓은 당상인 수준이라, 그와 관련하여 Rookie of The Year 후보군에 관한 질문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