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 0)

2024 Six Nations Championship
파일:기네스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png
기간2024.2.2 ~ 3.16 (44일)[1]
참가국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대회 결과
우승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그랜드 슬램-
트리플 크라운-
우든 스푼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최우수 선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톰마소 메논첼로
20232025

1. 개요
2. 참가국
3. 선수단
4. 대회 진행
4.1. 1라운드
4.1.1. 전망
4.1.2. 결과
4.2. 2라운드
4.2.1. 전망
4.2.2. 결과
4.3. 3라운드
4.3.1. 전망
4.3.2. 결과
4.4. 4라운드
4.4.1. 전망
4.4.2. 결과
4.5. 5라운드
4.5.1. 전망
4.5.2. 결과
5. 대회 결과
5.1. 상훈
5.2. 통계
6. U-20
7. 여자부
8. U-18
8.1. 남자부
8.2. 여자부



1. 개요[편집]


2024년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에 대해 서술한 문서. 아직 별도 문서가 없는 여자부와 U-20 대회에 대해선 문서 마지막에 서술하며, 그전까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성인 남자부 대회를 설명한다. 경기 일정은 한국 시간(UTC+09)를 기준으로 한다.

2024 파리 올림픽에 도전하는 선수들 일부는 이번 대회에 결장한다. 대표적으로 프랑스의 슈퍼스타 앙투안 뒤퐁. 많은 선수들이 올림픽을 준비하기 위해 잠시 15인제 대표팀을 떠나고, 잉글랜드의 주장 오웬 패럴도 정신적으로 휴식을 취하기 위해 이번 대회에 참가하지 않는 등 스타 선수들이 대거 이탈하여 후보 내지는 신인 선수들에게 기회가 조금 더 주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대회 역사상 처음으로 여성 심판이 부심을 맡는다. 그 주인공은 스코틀랜드의 홀리 데이비슨으로, 2023년 럭비 유럽 챔피언십 주심을 맡은 바 있다. 여성 심판이 1티어급 테스트의 심판진으로 참가한 사례는 2023 럭비 월드컵이 처음이지만, 당시엔 TMO심이었다.

이번 대회에선 2023 여름 투어, 2023 럭비 월드컵와 마찬가지로 벙커 리뷰가 시행될 예정이다. 주심은 빠른 경기 진행을 위해 반칙이 발생하면 일단 옐로카드를 주고, 10분이 지나기 전 TMO실의 판정에 따라 퇴장으로 상향할 지 판단하게 된다.
또한 모든 팀의 셔츠에 선수 이름이 새겨지고,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측정할 수 있는 치아 보호대가 시범 적용된다.

아일랜드가 대회 2연패에 성공했고, 웨일스는 21년만에 최하위를 기록했다. 심지어 전패. 예상을 깬 경기 결과가 자주 나와 그랜드 슬램과 트리플 크라운은 나오지 않았다. 2017년 이후 7년만에 트리플 크라운이 나오지 않은 대회.


2. 참가국[편집]


프랑스는 2024 파리 올림픽을 위해 스타드 드 프랑스 경기장을 준비하고 있기 때문에, 프랑스 럭비 연맹은 이번 대회에서 스타드 드 프랑스를 떠나, 다른 세개의 경기장에서 홈 경기를 치르기로 했다.

잉글랜드의 오웬 패럴은 국가대표 잠정 은퇴, 프랑스의 앙투안 뒤퐁2024 파리 올림픽에 도전하기 위해 7인제 대표팀으로 임시 전향, 아일랜드의 조니 섹스턴 은퇴, 웨일스의 잭 모건 부상으로 2023년의 주장 4명이 불참했고, 스코틀랜드의 제이미 리치는 주전으로 참가하나 주장을 넘겨줬다. 오직 이탈리아의 미켈레 라마로만이 계속 주장을 맡고 있다. 참고로 웨일스 주장 다피드 젠킨스는 2002년 12월 5일생으로 1라운드 기준, 만 21세 1개월이다.


3. 선수단[편집]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2024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 잉글랜드 선수단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소속팀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후커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사라센스 FC 로고.png테오 댄Theo Da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사라센스 FC 로고.png제이미 조지Jamie George주장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뉴캐슬 팰컨스 로고.png제이미 블래마이어Jamie Blamire
프롭
(6)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레스터 타이거즈 로고.png댄 콜Dan Col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브리스톨 베어스 로고.png엘리스 겐지Ellis Geng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레스터 타이거즈 로고.png조 헤이예스Joe Heye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할리퀸 FC 로고.png조 말러Joe Marler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바스 럭비 로고.png베노 오바노Beno Obano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바스 럭비 로고.png윌 스튜어트Will Stuart

(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레스터 타이거즈 로고.png올리 체섬Ollie Chessum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노샘프턴 세인츠 로고.png알렉스 콜스Alex Cole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바스 럭비 로고.png찰리 이웰스Charlie Ewel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사라센스 FC 로고.png마로 이토제Maro Itoj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레스터 타이거즈 로고.png조지 마틴George Martin
백 로우
(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할리퀸 FC 로고.png챈들러 커닝엄사우스Chandler Cunningham-South첫 선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세일 샤크스 로고.png벤 커리Ben Curry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할리퀸 FC 로고.png알렉스 돔브란트Alex Dombrandt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사라센스 FC 로고.png벤 얼Ben Earl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노샘프턴 세인츠 로고.png톰 피어슨Tom Pears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엑서터 치프스 로고.png에단 루츠Ethan Roots첫 선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바스 럭비 로고.png샘 언더힐Sam Underhill미국인[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뉴캐슬 팰컨스 로고.png가이 페퍼Guy Pepper첫 선발
챈들러 커닝엄사우스 대체
스크럼하프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할리퀸 FC 로고.png대니 케어Danny Car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노샘프턴 세인츠 로고.png알렉스 미첼Alex Mitchell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바스 럭비 로고.png벤 스펜서Ben Spencer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브리스톨 베어스 로고.png해리 랜덜Harry Randall알렉스 미첼 대체
플라이하프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세일 샤크스 로고.png조지 포드George Ford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노샘프턴 세인츠 로고.png핀 스미스Fin Smith첫 선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할리퀸 FC 로고.png마커스 스미스Marcus Smith필리핀 출신
센터
(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사라센스 FC 로고.png엘리엇 데일리Elliot Daly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노샘프턴 세인츠 로고.png프레이저 딩월Fraser Dingwall첫 선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바스 럭비 로고.png맥스 오조모Max Ojomoh첫 선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엑서터 치프스 로고.png헨리 슬레이드Henry Slad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세일 샤크스 로고.png마누 투일라기Manu Tuilagi

(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엑서터 치프스 로고.png임마누엘 페이와보소Immanuel Feyi-Waboso웨일스인[2]
첫 선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노샘프턴 세인츠 로고.png토미 프리먼Tommy Freema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세일 샤크스 로고.png톰 로벅Tom Roebuck스코틀랜드인[3]
첫 선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바스 럭비 로고.png윌 뮈어Will Muir첫 선발
풀백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노샘프턴 세인츠 로고.png조지 퍼뱅크George Furban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레스터 타이거즈 로고.png프레디 스튜어드Freddie Steward
감독: 스티브 보스윅 (Steve Borthwick)
[1] 출전 자격 : 잉글랜드 거주[2]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3]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잉글랜드는 개막일 기준 글로스터 럭비를 제외한 9개 구단의 선수들로 이루어져 있다. 헨리 아룬델이 프랑스로 이적하며 대표팀에서 제외되었으며, 루크 코완디키, 올리 로렌스, 닉 이시크웨, 오스카 비어드, 그리고 핵심 선수인 마커스 스미스가 부상으로 개막 이전 하차했다. 대신 제이미 블레마이어, 찰리 이웰스, 맥스 오조모, 윌 뮈어가 선발되었다.
파일: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png
2024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 프랑스 선수단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소속팀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후커
(3)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카스트레 올랭피크 로고.png가에탕 바를로Gaëtan Barlot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쥘리앙 마르샹Julien Marchand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페아토 모바카Peato Mauvaka누벨칼레도니 출신
프롭
(6)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도리앙 알드게리Dorian Aldegheri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스타드 로셸레 로고.png위니 아토니오Uini Atonio뉴질랜드인[1]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시릴 바유Cyril Baille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라싱 92 로고.png토마 라클라야Thomas Laclayat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리옹 OU 로고.png세바스티앙 타오피페누아Sébastien Taofifénua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스타드 로셸레 로고.png르다 와르디Reda Wardi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RC 툴로네 로고.png다니 프리소Dany Priso카메룬인[2]
르다 와르디 대체

(5)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스타드 프랑세 파리 로고.png폴 가브리야그Paul Gabrillagues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USA 페르피냥 로고.png포솔로 투일라기Posolo Tuilagi사모아인[3]
첫 선발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몽펠리에 에로 럭비 로고.png폴 빌렘서Paul Willemse남아공 출신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리옹 OU 로고.png로맹 타오피페누아Romain Taofifénua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라싱 92 로고.png카메롱 워키Cameron Woki
백 로우
(8)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RC 툴로네 로고.png에스테반 아바디Esteban Abadie첫 선발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스타드 로셸레 로고.png그레고리 알드리트Grégory Alldritt주장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스타드 로셸레 로고.png폴 부드앙Paul Boudehent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프랑수아 크로스François Cros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몽펠리에 에로 럭비 로고.png레니 누시Lenni Nouchi첫 선발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RC 툴로네 로고.png샤를 올리봉Charles Ollivon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알렉상드르 루마Alexandre Roumat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위니옹 보르도 배글 로고.png마르코 가조티Marko Gazzotti첫 선발
스크럼하프
(2)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라싱 92 로고.png놀랑 르가렉Nolann Le Garrec첫 선발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위니옹 보르도 배글 로고.png막심 뤼퀴Maxime Lucu
플라이하프
(2)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라싱 92 로고.png앙투안 지베르Antoine Gibert첫 선발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위니옹 보르도 배글 로고.png마티유 잘리베르Matthieu Jalibert
센터
(5)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스타드 로셸레 로고.png조나탕 당티Jonathan Danty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위니옹 보르도 배글 로고.png니콜라 드포르테르Nicolas Depoortère첫 선발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라싱 92 로고.png가엘 피쿠Gaël Fickou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석시옹 팔루아즈 2021.png에밀리앙 가에통Émilien Gailleton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위니옹 보르도 배글 로고.png요랑 모에파나Yoram Moefana누벨칼레도니 출신
파일:IRFU 로고.png파일:먼스터 럭비 로고.png앙투안 프리시Antoine Frisch첫 선발
조나탕 당티 대체

(3)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위니옹 보르도 배글 로고.png루이 비엘비아레Louis Bielle-Biarrey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마티 르벨Matthis Lebel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위니옹 보르도 배글 로고.png다미앙 프노Damian Penaud
풀백
(2)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스타드 프랑세 파리 로고.png레오 바레Léo Barré첫 선발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토마 라모스Thomas Ramos
감독: 파비앙 갈티에 (Fabien Galthié)
[1] 출전 자격 : 프랑스 거주[2] 출전 자격 : 프랑스 거주[3] 출전 자격 : 프랑스 거주



프랑스의 로맹 은타막&앙투안 뒤퐁 듀오를 포함해 앙토니 젤롱[2], 에마뉘엘 메아포, 멜빈 자미네도 부상으로 참가하지 못한다. 이들은 알렉상드르 루마, 폴 빌렘서, 레오 바레로 대체되었다. 헨리 투일라기의 아들이자 마누 투일라기의 조카인 포솔로 투일라기도 19살의 나이로 대표팀에 뒤늦게 선발됐다. 늦은 이유는 출전 자격 여부에 대해 판단하느라. 아쉽게도 마누 투일라기는 올해 선발 명단에 없다. 삼촌과 조카의 대결이라는 진귀한 장면을 놓친 셈.[3]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2024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 아일랜드 선수단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소속팀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후커
(3)
파일:IRFU 로고.png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로넌 켈레허Rónan Kelleher
파일:IRFU 로고.png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댄 쉬헌Dan Sheehan
파일:IRFU 로고.png파일:얼스터 럭비 로고.png톰 스튜어트Tom Stewart
프롭
(7)
파일:IRFU 로고.png파일:코나트 럭비 로고.png핀리 빌럼Finlay Bealham호주인[1]
파일:IRFU 로고.png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타이그 펄롱Tadhg Furlong
파일:IRFU 로고.png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키언 힐리Cian Healy
파일:IRFU 로고.png파일:먼스터 럭비 로고.png제레미 러프만Jeremy Loughman미국인[2]
파일:IRFU 로고.png파일:얼스터 럭비 로고.png톰 오툴Tom O'Toole
파일:IRFU 로고.png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앤드루 포터Andrew Porter
파일:IRFU 로고.png파일:먼스터 럭비 로고.png올리 재거Oli Jager잉글랜드 출신[3]
첫 선발

(6)
파일:IRFU 로고.png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라이언 베어드Ryan Baird
파일:IRFU 로고.png파일:먼스터 럭비 로고.png타이그 번Tadhg Beirne
파일:IRFU 로고.png파일:얼스터 럭비 로고.png이언 헨더슨Iain Henderson
파일:IRFU 로고.png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조 맥카티Joe McCarthy미국 출신[4]
파일:IRFU 로고.png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제임스 라이언James Ryan
파일:IRFU 로고.png파일:먼스터 럭비 로고.png토마스 아헌Thomas Ahern첫 선발
백 로우
(5)
파일:IRFU 로고.png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잭 코난Jack Conan
파일:IRFU 로고.png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케일런 도리스Caelan Doris
파일:IRFU 로고.png파일:먼스터 럭비 로고.png피터 오마호니Peter O'Mahony주장
파일:IRFU 로고.png파일:얼스터 럭비 로고.png닉 티머니Nick Timoney
파일:IRFU 로고.png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조시 반더플리어Josh van der Flier
스크럼하프
(3)
파일:IRFU 로고.png파일:먼스터 럭비 로고.png크레이그 케이시Craig Casey
파일:IRFU 로고.png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제이미슨 깁슨파크Jamison Gibson-Park뉴질랜드인[5]
파일:IRFU 로고.png파일:먼스터 럭비 로고.png코너 머리Conor Murray
플라이하프
(3)
파일:IRFU 로고.png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해리 바이런Harry Byrne
파일:IRFU 로고.png파일:먼스터 럭비 로고.png잭 크라울리Jack Crowley
파일:IRFU 로고.png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키어런 프롤리Ciarán Frawley호주 출신[6]
센터
(4)
파일:IRFU 로고.png파일:코나트 럭비 로고.png번디 아키Bundee Aki뉴질랜드인[7]
파일:IRFU 로고.png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로비 헨쇼Robbie Henshaw
파일:IRFU 로고.png파일:얼스터 럭비 로고.png스튜어트 맥클로스키Stuart McCloskey
파일:IRFU 로고.png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개리 링로즈Garry Ringrose

(4)
파일:IRFU 로고.png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조던 라머Jordan Larmour
파일:IRFU 로고.png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제임스 로우James Lowe뉴질랜드인[8]
파일:IRFU 로고.png파일:먼스터 럭비 로고.png캘빈 내쉬Calvin Nash
파일:IRFU 로고.png파일:얼스터 럭비 로고.png제이콥 스톡데일Jacob Stockdale
풀백파일:IRFU 로고.png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휴고 키넌Hugo Keenan
감독: 앤디 패럴 (Andy Farrell)
[1] 출전 자격 : 조부모 국적[2] 출전 자격 : 아일랜드 거주[3] 어머니가 아일랜드인이라 이중국적이다.[4] 부모님이 아일랜드인이라 이중국적이다.[5] 출전 자격 : 아일랜드 거주[6] 부모님이 아일랜드인이라 이중국적이다.[7] 출전 자격 : 아일랜드 거주[8] 출전 자격 : 아일랜드 거주



파일:Italian_Rugby_Federation_logo.svg.png
2024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 이탈리아 선수단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소속팀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후커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잔마르코 루케시Gianmarco Lucches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제브레 파르마 2023.png마르코 만프레디Marco Manfredi독일인[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자코모 니코테라Giacomo Nicoter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제브레 파르마 2023.png루카 비지Luca Bigi마르코 만프레디 대체
프롭
(7)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USA 페르피냥 로고.png피에트로 체카렐리Pietro Ceccarell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제브레 파르마 2023.png다닐로 피스케티Danilo Fischett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제브레 파르마 2023.png마테오 노체라Matteo Nocera첫 선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제브레 파르마 2023.png루카 리촐리Luca Rizzoli첫 선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미르코 스파뇰로Mirco Spagnolo첫 선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조수에 칠로키Giosuè Zilocch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시모네 페라리Simone Ferrari

(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니콜로 칸노네Niccolò Cannone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리카르도 파브레토Riccardo Favrett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에도아르도 이아키치Edoardo Iachizz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페데리코 루차Federico Ruzz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제브레 파르마 2023.png안드레아 참보닌Andrea Zambonin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제브레 파르마 2023.png마테오 카날리Matteo Canali첫 선발
백 로우
(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로렌초 칸노네Lorenzo Cannone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알레산드로 이제코르Alessandro Izekor첫 선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미켈레 라마로Michele Lamaro주장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세바스티안 네그리Sebastian Negri짐바브웨 출신[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엑서터 치프스 로고.png로스 빈센트Ross Vintcent남아공인[3]
첫 선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마누엘 출리아니Manuel Zuliani
스크럼하프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알레산드로 가르비시Alessandro Garbisi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리옹 OU 로고.png마르탕 파주렐로Martin Page-Relo프랑스인[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글로스터 럭비 로고.png스티븐 바니Stephen Varney웨일스 출신[5]
플라이하프
(2)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USA 페르피냥 로고.png톰마소 알란Tommaso Allan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몽펠리에 에로 럭비 로고.png파올로 가르비시Paolo Garbis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레오나르도 마린Leonardo Marin톰마소 알란 대체
센터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이냐치오 브렉스[6]Ignacio Brex아르헨티나 출신[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톰마소 메논첼로Tommaso Menoncello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아비롱 바요네 로고.png페데리코 모리Federico Mor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마르코 차논Marco Zanon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제브레 파르마 2023.png피에르 브루노Pierre Brun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제브레 파르마 2023.png시모네 제시Simone Gesi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리옹 OU 로고.png몬티 이오아니Monty Ioane호주인[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할리퀸 FC 로고.png루이스 라이나Louis Lynagh첫 선발
풀백
(3)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앙주 카푸오초Ange Capuozzo프랑스인[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제브레 파르마 2023.png로렌초 파니Lorenzo Pani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ASM 클레르몽 로고.png프랑수아 카를로 메이François Carlo Mey첫 선발
감독: 곤살로 케사다 (Gonzalo Quesada)
[1] 출전 자격 : 이탈리아 거주[2] 아버지가 이탈리아인이라 이중국적이다.[3] 출전 자격 : 확인 필요[4] 출전 자격 : 조부모 국적[5] 어머니가 이탈리아인이라 이중국적이다.[6] 원래는 "후안 이그나시오 브렉스"지만 캐스터들은 이탈리아식인 "이냐치오"라고 부른다. 현재 이탈리아 대표팀이기도 해서 상관 없을 듯.[7] 아버지가 이탈리아인이라 이중국적이다.[8] 출전 자격 : 이탈리아 거주[9] 출전 자격 : 조부모 국적



파일: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2024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 스코틀랜드 선수단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소속팀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후커
(3)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에든버러 럭비.png유언 애시먼Ewan Ashman캐나다 출신[1]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조니 매튜스Johnny Matthews잉글랜드 출신[2]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조지 터너George Turner
프롭
(5)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제이미 바티Jamie Bhatti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잰더 페이거슨Zander Fagers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엑서터 치프스 로고.png알렉 헵번Alec Hepburn호주 출신[3]
첫 선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노샘프턴 세인츠 로고.png엘리엇 밀러밀스Elliot Millar-Mills잉글랜드 출신[4]
첫 선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에든버러 럭비.png비피 넬WP Nel남아공인[5]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에든버러 럭비.png피에르 스쿠만Pierre Schoeman남아공인[6]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에든버러 럭비.png제이번 세바스찬Javan Sebastian잉글랜드인[7]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오요나 럭비 로고.png로리 서덜랜드Rory Sutherland비피 넬 대체

(7)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스콧 커밍스Scott Cummings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에든버러 럭비.png그랜트 길크리스트Grant Gilchrist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리치 그레이Richie Gray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에든버러 럭비.png샘 스키너Sam Skinner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에든버러 럭비.png글렌 영Glen Young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스칼렛츠 로고.png알렉스 크레이그Alex Craig로스 맥캔 대체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에든버러 럭비.png마셜 사이크스Marshall Sykes잉글랜드인[8]
알렉스 크레이그 대체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알렉스 새뮤얼Alex Samuel해미시 왓슨 대체
첫 선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맥스 윌리엄슨Max Williamson글렌 영 대체
첫 선발
백 로우
(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바스 럭비 로고.png조시 베일리스Josh Bayliss잉글랜드인[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사라센스 FC 로고.png앤디 크리스티Andy Christie잉글랜드인[1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에든버러 럭비.png루크 크로스비Luke Crosbie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로리 다지Rory Darge공동 주장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잭 뎀프시Jack Dempsey호주인[11]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맷 페이거슨Matt Fagerson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에든버러 럭비.png제이미 리치Jamie Ritchi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브리스톨 베어스 로고.png매그너스 브래드버리Magnus Bradbury조시 베일리스 대체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에든버러 럭비.png해미시 왓슨Hamish Watson잉글랜드인[12]
제이번 세바스찬 대체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앨리 밀러Ally Miller제이미 바티 대체
첫 선발
스크럼하프
(4)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조지 혼George Horne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에든버러 럭비.png앨리 프라이스Ali Price잉글랜드 출신[13]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RC 툴로네 로고.png벤 와이트Ben White잉글랜드인[14]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제이미 도비Jamie Dobie
플라이하프
(3)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에든버러 럭비.png벤 힐리Ben Healy아일랜드인[1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바스 럭비 로고.png핀 러셀Finn Russell공동 주장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로스 톰슨Ross Thompson
센터
(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노샘프턴 세인츠 로고.png로리 허친슨Rory Hutchinson잉글랜드인[16]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휴 존스Huw Jones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스태포드 맥도월Stafford McDowall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바스 럭비 로고.png캐머런 레드패스Cameron Redpath프랑스 출신[17]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시오네 투이풀로투Sione Tuipulotu호주인[18]

(5)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에든버러 럭비.png로스 맥캔Ross McCann첫 선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에든버러 럭비.png달시 그레이엄Darcy Graham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세일 샤크스 로고.png아론 리드Arron Reed잉글랜드인[19]
첫 선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카일 로우Kyle Rowe잉글랜드인[2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카일 스테인Kyle Steyn남아공 출신[21]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에든버러 럭비.png두한 판데르메르버Duhan van der Merwe남아공인[22]
풀백
(2)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블레어 킹혼Blair Kinghorn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에든버러 럭비.png해리 패터슨Harry Paterson첫 선발
감독: 그리거 타운센드 (Gregor Townsend)
[1] 아버지가 스코틀랜드인이라 이중국적이다.[2] 어머니가 스코틀랜드인이다.[3] 아버지가 스코틀랜드인이라 이중국적이다. 잉글랜드에 거주하며 2018년 잉글랜드 대표팀으로 출전했으나, 1년만 뛴 이후 2024년 스코틀랜드 대표팀으로 전향했다.[4] 어머니가 스코틀랜드인이다.[5] 출전 자격 : 스코틀랜드 거주[6] 출전 자격 : 스코틀랜드 거주[7] 아버지가 스코틀랜드인이다.[8] 출전 자격 : 스코틀랜드 거주[9] 출전 자격 : 조부모 국적[10] 출전 자격 : 조부모 국적[11] 출전 자격 : 조부모 국적. 2017~2019년 월러비스로 뛰었고, 호주 대표팀을 그만 두고 3년 뒤 2022년 스코틀랜드 대표팀 출전 자격을 얻었다.[12] 출전 자격 : 조부모 국적[13] 어머니가 스코틀랜드인이다.[14] 출전 자격 : 조부모 국적[15] 출전 자격 : 조부모 국적. 아일랜드 U-20 대표팀 출신이다.[16]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17] 아버지가 스코틀랜드인이라 이중국적이다.[18] 출전 자격 : 조부모 국적[19]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20] 출전 자격 : 확인 필요[21] 어머니가 스코틀랜드인이라 이중국적이다.[22] 출전 자격 : 스코틀랜드 거주



스코틀랜드는 달시 그레이엄이 2라운드까지 출전할 수 없어 로스 맥캔이 그 자리를 대신한다. 윌 허드와 애덤 해스팅스도 부상으로 하차하고, 엘리엇 밀러밀스가 선발되었다.
파일:Welsh_Rugby_Union_logo.svg.png
2024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 웨일스 선수단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소속팀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후커
(3)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드래곤스 RFC 로고.png엘리엇 디Elliot Dee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스칼렛츠 로고.png라이언 엘리아스Ryan Elias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카디프 럭비 로고.jpg에반 로이드Evan Lloyd첫 선발
프롭
(7)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카디프 럭비 로고.jpg키어론 아시래티Kieron Assiratti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할리퀸 FC 로고.png딜론 루이스Dillon Lewis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드래곤스 RFC 로고.png리온 브라운Leon Brown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카디프 럭비 로고.jpg코리 도마초스키Corey Domachowski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바스 럭비 로고.png아치 그리핀Archie Griffin호주 출신[1]
첫 선발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스칼렛츠 로고.png켐슬리 마티아스Kemsley Mathias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오스프레이스 럭비 로고.png가레스 토마스Gareth Thomas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스칼렛츠 로고.png해리 오코너Harri O'Connor잉글랜드인[2]
아치 그리핀 대체
첫 선발

(5)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오스프레이스 럭비 로고.png애덤 비어드Adam Beard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엑서터 치프스 로고.png다피드 젱킨스Dafydd Jenkins주장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라싱 92 로고.png윌 롤랜즈Will Rowlands잉글랜드 출신[3]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카디프 럭비 로고.jpg테디 윌리엄스Teddy Williams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카디프 럭비 로고.jpg샘 데이비스Seb Davies
백 로우
(5)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드래곤스 RFC 로고.png테인 배셤Taine Basham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카디프 럭비 로고.jpg알렉스 만Alex Mann첫 선발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카디프 럭비 로고.jpg맥켄지 마틴Mackenzie Martin첫 선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레스터 타이거즈 로고.png토미 리펠Tommy Reffell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드래곤스 RFC 로고.png애런 웨인라이트Aaron Wainwright
스크럼하프
(3)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스칼렛츠 로고.png가레스 데이비스Gareth Davies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스칼렛츠 로고.png키어런 하디Kieran Hardy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카디프 럭비 로고.jpg토모스 윌리엄스Tomos Williams
플라이하프
(3)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스칼렛츠 로고.png샘 코스텔로Sam Costelow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드래곤스 RFC 로고.png카이 에반스Cai Evans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스칼렛츠 로고.png아이오언 로이드Ioan Lloyd
센터
(5)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카디프 럭비 로고.jpg메이슨 그레이디Mason Grady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오스프레이스 럭비 로고.png조지 노스George North잉글랜드 출신[4]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스칼렛츠 로고.png조 로버츠Joe Robert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사라센스 FC 로고.svg닉 톰킨스Nick Tompkins잉글랜드인[5]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오스프레이스 럭비 로고.png오웬 왓킨Owen Watkin

(3)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카디프 럭비 로고.jpg조시 애덤스Josh Adams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드래곤스 RFC 로고.png리오 다이어Rio Dyer
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스칼렛츠 로고.png톰 로저스Tom Rogers
풀백파일:웨일스 국기.svg파일:카디프 럭비 로고.jpg캐머런 윈넷Cameron Winnett첫 선발
감독: 워렌 개틀랜드 (Warren Gatland)
[1] 부모님이 웨일스인이라 이중국적이다.[2] 출전 자격 : 웨일스 거주[3] 아버지가 웨일스인이다.[4] 어머니가 웨일스인이다.[5] 출전 자격 : 조부모 국적



웨일스도 루이스 리스자밋의 럭비 은퇴, 잭 모건의 부상 등 악재가 많다.


4. 대회 진행[편집]


<대회 전 세계 랭킹>
랭킹국가점수지난 시즌
2위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90.57그랜드 슬램
4위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87.812위
5위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85.464위
6위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83.433위
8위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80.645위
11위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75.936위
각 대표팀이 2023 럭비 월드컵에서 보여준 모습을 생각하면 올해도 2023년 대회와 비슷한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어찌보면 운 좋게 3위를 차지한 잉글랜드는 스티브 보스윅이 새로운 전략을 들고 오지 않는 한 이번에도 스코틀랜드를 상대로 고전을 면치 못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유일하게 감독이 교체된 이탈리아는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미지수다. 스타드 프랑세 감독이었던 곤살로 케사다키어런 크롤리 이상의 성과를 낼 수 있을까?

경기 시각은 한국 시각(UTC+09)을 기준으로 한다.


4.1. 1라운드[편집]




4.1.1. 전망[편집]


  • 프랑스 vs 아일랜드 : 1라운드부터 만난 가장 유력한 우승 후보들. 작년 아일랜드에서 프랑스는 19:32로 패했다. 많은 주전들이 빠진 가운데 로맹 타오피페누아까지 몸상태가 좋지 않아 급히 교체되었다. 최상급 선수층이 두껍지 않아 한 명 한 명이 귀한 유럽 팀에게 큰 약점으로 작용할 것이나, 홈 이점으로 이를 극복해야 할 것이다. 한편 아일랜드는 2023 럭비 월드컵 통한의 8강 탈락을 2연속 그랜드 슬램으로 씻어내려 한다. 공교롭게도 올해 대회의 결과가 대회의 첫 경기에 달려 있다.
  • 이탈리아 vs 잉글랜드 : 만년 꼴찌 이탈리아가 그나마 가장 쉬운 팀(...)을 처음부터 만났다. 새로운 감독, 홈 이점, 베네통 럭비의 엄청난 강세 등 이탈리아의 전망은 꽤나 긍정적이다. 앙주 카푸오초가 위장병으로, 에도아르도 라키치가 부상으로 선발에서 제외된 것은 아쉽지만, 의외로 이탈리아 선수층이 탄탄해서[4] 큰 문제는 아니다. 잉글랜드의 스티브 보스윅은 올해엔 제발(...) 월드컵 3위가 운이 아니었음을 증명해줬으면 좋겠다. 엘리스 겐지는 발을 다쳐 선발 명단에서 교체되었다.
  • 웨일스 vs 스코틀랜드 : 웨일스는 워렌 개틀랜드가 월드컵 이후로도 팀을 어떻게 만들어 놨을지 관건이다. 스코틀랜드는 공백 없이 건재한 황금함대를 이끌고 프린시팔리티 스타디움으로 향한다. 프랑스가 많은 부상으로 주춤하는 사이 어떻게든 아일랜드를 넘고 우승할 마지막 기회일지도 모른다.


4.1.2. 결과[편집]


파일: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png 프랑스 17 vs 38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킥오프2.3.(토) 05:00경기장/관중스타드 벨로드롬 (65,000명)MOM파일:IRFU 로고.png 조 맥카티
심판진주심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칼 디킨슨 / 부심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매튜 칼리, 파일:호주 국기.svg 조던 웨이 / TMO : 파일:웨일스 국기.svg 벤 와이트하우스

득점6분15분26분29분39분45분52분61분77분
파일: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png3
라모스P
10
프노🏉
라모스C
17
가브리야그🏉
라모스C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3
크라울리P
10
깁슨파크🏉
크라울리C
17
번🏉
크라울리C
24
내시🏉
크라울리C
31
쉬헌🏉
크라울리C
38
켈레허🏉
크라울리C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포워드1 앤드루 포터 + 8'~18'63'
17 키언 힐리8'~18'63'
2 댄 쉬헌63'
16 로넌 켈레허63'
3 타이그 펄롱63'
18 핀리 빌럼63'
4 조 맥카티66'
19 제임스 라이언66'
5 타이그 번
6 피터 오마호니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2'63'
20 라이언 베어드63'
8 케일런 도리스7 조시 반더플리어63'
21 잭 코난63'
백스9 제이미슨 깁슨파크70'
22 코너 머리70'
10 잭 크라울리
12 번디 아키13 로비 헨쇼
11 제임스 로우15 휴고 키넌14 캘빈 내시79'
23 키어런 프롤리79'
너무 높은 벽
제아무리 홈 이점을 얻은 프랑스라도 아일랜드를 넘을 순 없었다. 트라이 개수만 2:5로 작년보다 더 큰 점수차로 졌다. 초반부터 폴 빌렘서가 경고 누적으로 퇴장당한 것도 큰 이유였다. 1라운드부터 프랑스는 우승과 거리가 멀어졌고, 반대로 아일랜드는 2연속 그랜드 슬램에 훌쩍 다가갔다.

38점은 아일랜드에 프랑스에게 거둔 최다 득점이며, 21점차 역시 최다 득점차 승리다.
프랑스는 홈에서 당한 110년만의 최다 점수차 패배다.




파일:Italian Rugby Federation.png 이탈리아 24 vs 27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킥오프2.3.(토) 23:15경기장/관중스타디오 올림피코 (57,000명)MOM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이선 루츠
심판진주심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폴 윌리엄스 / 부심 : 파일:호주 국기.svg 닉 베리, 파일:조지아 국기.svg 니카 아마슈켈리 / TMO : 파일:호주 국기.svg 브렛 크로넌

득점4분10분15분19분25분32분37분44분53분66분80+4분
파일:Italian Rugby Federation.png3
알란P
10
A.가르비시🏉
알란C
17
알란🏉
알란C
24
이오아니🏉
P.가르비시C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3
포드P
8
데일리🏉
11
포드P
14
포드P
21
미첼🏉
포드C
24
포드P
27
포드P

파일:Italian Rugby Federation.png포워드1 다닐로 피스케티66'
17 미르코 스파뇰로66'
2 잔마르코 루케시52'
16 자코모 니코테라66'
3 피에트로 체카렐리45'
18 조수에 칠로키45'
4 니콜로 칸노네5 페데리코 루차72'
19 안드레아 참보닌72'
6 세바스티안 네그리66'
20 알레산드로 이제코르66'
8 로렌초 칸노네 + 12'~22'45'
21 마누엘 출리아니12'~22'45'
7 미켈레 라마로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9'
백스9 알레산드로 가르비시52'
22 스티븐 바니52'
10 파올로 가르비시
12 톰마소 메논첼로13 이냐치오 브렉스
11 몬티 이오아니15 톰마소 알란14 로렌초 파니68'
23 페데리코 모리68'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포워드1 조 말러75'
17 베노 오바노75'
2 제이미 조지73'
16 테오 댄73'
3 윌 스튜어트55'
18 댄 콜55'
4 마로 이토제5 올리 체섬72'
19 알렉스 콜스72'
6 이선 루츠8 벤 얼7 샘 언더힐66'
20 챈들러 커닝엄사우스66'
백스9 알렉스 미첼58'
21 대니 케어58'
10 조지 포드66'
22 핀 스미스66'
12 프레이저 딩월13 헨리 슬레이드
11 엘리엇 데일리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5'15 프레디 스튜어드14 토미 프리먼77'
23 임마누엘 페이와보소77'
조금씩 좁혀지는 격차
이젠 이탈리아에도 간당간당한 잉글랜드(...). 이탈리아가 페널티 킥 하나만 실패하지 않았어도 80분을 넘어 찍은 트라이로 무승부가 되었을 것이다. 이탈리아의 득점 중 톰마소 알란의 트라이는 군더더기 없이 정석적이고 아름다운 패스 플레이였다. 비록 졌지만 트라이에서 3:2로 앞섰기 때문에 스타디오 올림피코에 모인 6만에 가까운 팬들을 고무시키기엔 충분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다만 지금까지 이탈리아의 패턴을 보면 초반에 잔뜩 기대하게 했다가 결국엔 힘없이 지는 모습을 보여서 걱정은 또 된다.

이번 경기는 역대 잉글랜드와의 경기 중 최소 점수차를 기록했다. 또한 이탈리아가 잉글랜드에게 얻은 최다 득점이다.




파일:Welsh_Rugby_Union_logo.svg.png 웨일스 26 vs 27 스코틀랜드 파일: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킥오프2.4.(일) 01:45경기장/관중프린시팔리티 스타디움 (74,500명)MOM파일:웨일스 국기.svg 애런 웨인라이트
심판진주심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벤 오케페 / 부심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제임스 돌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앵거스 메이비 / TMO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브렌든 피커릴

득점6분10분22분29분42분47분52분60분68분
파일:Welsh_Rugby_Union_logo.svg.png5
보텀🏉
12
다이어🏉
로이드C
19
웨인라이트🏉
로이드C
26
만🏉
로이드C
파일: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3
러셀P
10
스쿠만🏉
러셀C
13
러셀P
20
판데르메르버🏉
러셀C
27
판데르메르버🏉🏉
러셀C

파일:Welsh_Rugby_Union_logo.svg.png포워드1 코리 도마초스키2 라이언 엘리아스41'
16 엘리엇 디41'
3 리온 브라운41'
18 카이론 애시래티41'
4 다피드 젠킨스5 애덤 비어드48'
19 테디 윌리엄스48'
6 제임스 보텀48'
20 알렉스 만48'
8 애런 웨인라이트7 토미 리펠
백스9 가레스 데이비스41'
21 토모스 윌리엄스41'
10 샘 코스텔로36'
22 아이오언 로이드36'
12 닉 톰킨스13 오웬 왓킨51'
23 메이슨 그레이디51'
11 조시 애덤스15 캐머런 윈넷14 리오 다이어

파일: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포워드1 피에르 스쿠만60'
17 알렉 헵번60'
2 조지 터너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47'68'
16 유언 애시먼68'
3 잰더 페이거슨68'
18 엘리엇 밀러밀스68'
4 리치 그레이31'
19 샘 스키너31'
5 스콧 커밍스
6 루크 크로스비50'58'
16 유언 애시먼50'58'
8 맷 페이거슨7 제이미 리치60'
20 잭 뎀프시 60'
백스9 벤 화이트68'
21 조지 혼68'
10 핀 러셀
12 시오네 투이풀로투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60'13 휴 존스
11 두한 판데르메르버15 카일 로우14 카일 스테인
한 걸음 전에 멈춘 기적
웨일스는 전반전에 0:20으로 얻어 터지고, 후반전도 2분만에 트라이를 먹히며 0:27이 되었다. 그러나 2018년 스코틀랜드가 잉글랜드에게 0:31로 뒤지다가 38:31로 역전한[5] 사례 이후 그 누구도 포기하지 않는 습관이 생겼는지, 웨일스는 무섭게 상대를 몰아붙이며 47분부터 69분까지 26점을 내리 올렸다. 그러나 이번엔 그때의 기적이 일어나지 않았다. 80분이 지나 두한 판데르메르버가 쐐기 득점을 올리려 했으나 리오 다이어의 다리에 걸려[6] 해트트릭에 실패했고, 경기는 1점 차이로 끝났다. 웨일스는 졌지만 트라이 4개를 성공하며 승점 2점을 가져갔고, 작년 7:35로 털린 것에 비하면 백 번 나은 결과를 얻었다. 컨버전 킥 하나가 실패하지만 않았어도... 한편 스코틀랜드는 트라이 3개에 그쳐 승점 4점만 얻었다.

2002년 이후 스코틀랜드가 프린시팔리티 스타디움에서 거둔 22년만의 승리다.
두한 판데르메르버의 트라이는 작년 잉글랜드를 상대로 보여준 그 장면과 매우 유사하다. 유독 과거 사건이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가는 순간이 많이 나온 경기. 두한은 1라운드에서 첫 멀티 트라이를 기록하기도 했다.
조지 터너는 작년 웨일스전에서 경고를 받았는데, 오늘도 받았다.




눈에 띄는 점 중 하나는 6팀 중 웨일스와 스코틀랜드를 제외하고 교체 명단을 포워드 6, 백스 2로 맞춰 왔다. 이에 관하여 말이 많긴 하지만 어쨌거나 교체 가능 선수는 시대에 따라 늘어 왔으니 전통적인 5:3이건 6:2건 7:1이건 유연하게 받아들이면 된다.

<현재 순위>
국가득실차승점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1승38/17 (+21)5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1승27/24 (+3)4점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1승27/26 (+1)4점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1패26/27 (-1)2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1패24/27 (-3)1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1패17/38 (-21)0점


4.2. 2라운드[편집]




4.2.1. 전망[편집]


  • 스코틀랜드 vs 프랑스 : 작년 가을 머리필드 스타디움에서 프랑스는 접전 끝에 스코틀랜드에 패한 바 있다. 해가 바뀌고 달라진 것은 프랑스가 그때보다 약해져서 거의 비슷한 전력이 되었단 것이다. 스코틀랜드는 이 절호의 기회를 잡아내야 어떻게든 아일랜드와 우승 경쟁을 할 수 있다. 스코틀랜드의 카일 스테인은 개인적인 이유로 경기 전 선발에서 빠졌다.
  • 잉글랜드 vs 웨일스 : 덤앤더머 더비. 여기서 이겨야 꼴찌는 면할 수 있다. 잉글랜드의 전력이 약간 더 우세하고, 게다가 잉글랜드의 홈인데 여기서 지면 작년 프랑스에 당한 트위크넘의 참극에 이어 잉글랜드 럭비의 참극이 된다...
  • 아일랜드 vs 이탈리아 : 우승 후보와 꼴찌 후보의 만남. 아일랜드가 워낙 강력해서 이탈리아는 요행도, 기적도 바라기 힘들다. 무난한 아일랜드의 승리가 점쳐진다.


4.2.2. 결과[편집]


파일: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스코틀랜드 16 vs 20 프랑스 파일: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png

킥오프2.10.(토) 23:15경기장/관중머리필드 스타디움 (67,144명)MOM파일:프랑스 국기.svg 가엘 피쿠
심판진주심 : 파일:호주 국기.svg 닉 베리 / 부심 : 파일:조지아 국기.svg 니카 아마슈켈리, 파일:호주 국기.svg 조던 웨이 / TMO : 파일:IRFU 로고.png 브라이언 맥니스

득점7분11분21분29분30분57분69분76분
파일: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7
화이트🏉
러셀C
10
러셀P
13
러셀P
16
러셀P
파일: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png3
라모스P
10
피쿠🏉
라모스C
17
비엘비아레이🏉
라모스C
20
라모스P

파일: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포워드1 피에르 스쿠만71'
17 알렉 헵번71'
2 조지 터너 + 16'~27'68'
16 유언 애시먼16'~27'68'
3 잰더 페이거슨
4 그랜트 길크리스트74'
19 샘 스키너74'
5 스콧 커밍스
6 맷 페이거슨41'
20 앤디 크리스티41'
8 잭 뎀프시7 로리 다지
백스9 벤 화이트10 핀 러셀
12 시오네 투이풀로투13 휴 존스76'
23 캐머런 레드패스76'
11 두한 판데르메르버15 해리 패터슨14 카일 로우

파일: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png포워드1 시릴 바유57'
17 세바스티앙 타오피페누아57'
2 페아토 모바카48'
16 쥘리앙 마르샹48'
3 위니 아토니오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37'57'
18 도리앙 알드게리57'
4 카메롱 워키48'
19 포솔로 투일라기48'
5 폴 가브리야그48'
20 알렉상드르 루마48'
6 프랑수아 크로스8 그레고리 알드리트49'
21 폴 부드앙49'
7 샤를 올리봉
백스9 막심 뤼퀴49'
22 놀랑 르가렉49'
10 마티유 잘리베르
12 조나탕 당티62'
23 요랑 모에파나62'
13 가엘 피쿠
11 루이 비엘비아레이37'48'
18 도리앙 알드게리37'48'
15 토마 라모스14 다미앙 프노
또 한 걸음 앞에서 멈춘 승리
주요 전력이 빠져나가서 작년에 봐왔던 것보다 시원찮은 모습만 보인 프랑스는 시종일관 스코틀랜드에게 점수로 끌려가다가 루이 비엘비아레이의 트라이와 토마 라모스의 컨버전으로 70분만에 점수를 뒤집는다. 1점차의 긴장감 속에서 80분을 넘어 스코틀랜드가 프랑스의 트라이 라인을 위협했고, 실제로 공을 가져가 찍는데 성공했으나, "공이 바닥과 접촉했는지 알 방법이 없다"는 판정에 따라 트라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 결정에 의해 한순간 스코틀랜드와 팬들의 속을 들끓게 만들었다.[7]

스코틀랜드는 핀 러셀, 로리 다지를 공동 주장으로 임명했다. 그리고 그리거 타운센드는 교체 8명 중 3명을 쓰지 않는 특이한 판단을 했다. 백스는 가끔 교체 투입되지 않는 경우가 있지만, 프롭이 교체 투입되지 않는 것은 좀처럼 보기 힘들다.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잉글랜드 16 vs 14 웨일스 파일:Welsh_Rugby_Union_logo.svg.png

킥오프2.11.(일) 01:45경기장/관중트위크넘 스타디움 (81,596명)MOM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벤 얼
심판진주심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제임스 돌먼 / 부심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벤 오케페,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홀리 데이비슨 / TMO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브렌든 피커릴

득점16분19분37분47분62분71분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5
얼🏉
8
포드P
13
딩월🏉
16
포드P
파일:Welsh_Rugby_Union_logo.svg.png7
페널티🏉
14
만🏉
로이드C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포워드1 조 말러51'
17 엘리스 겐지51'
2 제이미 조지71'
16 테오 댄71'
3 윌 스튜어트51'
18 댄 콜51'
4 마로 이토제5 올리 체섬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10'23'34'
19 알렉스 콜스23'34'
6 이선 루츠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16'72'
19 알렉스 콜스72'
8 벤 얼7 샘 언더힐63'
20 챈들러 커닝엄사우스63'
백스9 알렉스 미첼68'
21 대니 케어68'
10 조지 포드
12 프레이저 딩월13 헨리 슬레이드
11 엘리엇 데일리15 프레디 스튜어드14 토미 프리먼

파일:Welsh_Rugby_Union_logo.svg.png포워드1 가레스 토마스58'
17 코리 도마초스키58'
2 엘리엇 디54'
16 라이언 엘리아스54'
3 카이론 애시래티54'80'
18 아치 그리핀54'80'
4 다피드 젠킨스5 애덤 비어드68'
19 윌 롤랜즈68'
6 알렉스 만68'
20 테인 배셤68'
8 애런 웨인라이트7 토미 리펠
백스9 토모스 윌리엄스72'
21 키어런 하디72'
10 아이오언 로이드80'
22 카이 에반스80'
12 닉 톰킨스13 조지 노스
11 리오 다이어15 캐머런 윈넷14 조시 애덤스60'
23 메이슨 그레이디60'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0'
또 잃어버린 40분
웨일스가 전반전까지 트위크넘 스타디움에서 점수로 앞섰던 것은 대회가 식스 네이션스로 확장된 2000년 이래로 처음 있는 일이다. 하지만 1라운드 스코틀랜드전과 반대로 후반전에 아무런 득점도 하지 못했고, 결국 패배했다. 사상 최초 40분 럭비를 하고 있는 웨일스 스코틀랜드vs프랑스 경기처럼 70분 이후 경기가 처음 뒤집히고 그대로 승패가 갈라진 경우. 70분째 메이슨 그레이디가 잉글랜드의 공을 가로채려 했으나 놓치는 바람에 본인은 경고를 받고 잉글랜드는 페널티 킥으로 3점을 얻었으니 역전의 빌미를 자초한 셈이 되었다. 반면 잉글랜드는 2명이 빠진 취약 시간대에 잘 버텼고, 오히려 득점을 성공하면서 위기를 잘 극복했다고 평가한다. 하지만 이런 실력이라면 앞으로 남은 경기가 참으로 걱정되는 것은 변함이 없다(...)

웨일스 출신으로 잉글랜드 대표팀을 선택한 임마누엘 페이와보소는 교체 투입되지 않았다. 출전했으면 웨일스 팬들에게 야유를 좀 받았을 듯.
여성 심판인 홀리 데이비슨이 최초로 남자 1티어급 테스트 매치에 부심으로 참가했다.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아일랜드 36 vs 0 이탈리아 파일:Italian Rugby Federation.png

킥오프2.12.(월) 00:00경기장/관중아비바 스타디움 (51,000명)MOM파일:IRFU 로고.png 제임스 로우
심판진주심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루크 피어스 / 부심 :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티유 레이날, 파일:프랑스 국기.svg 뤽 라모스 / TMO : 파일:프랑스 국기.svg 에릭 고쟁

득점7분23분36분49분61분77분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5
크라울리🏉
12
쉬헌🏉
크라울리C
19
코난🏉
크라울리C
24
쉬헌🏉
29
로우🏉
36
내시🏉
바이런C
파일:Italian Rugby Federation.png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포워드1 앤드루 포터55'
17 제레미 러프만55'
2 댄 쉬헌55'
16 로넌 켈레허55'
3 핀리 빌럼55'
18 톰 오툴55'
4 조 맥카티5 제임스 라이언60'
19 이언 헨더슨60'
6 라이언 베어드65'
20 조시 반더플리어65'
8 잭 코난7 케일런 도리스
백스9 크레이그 케이시72'
21 제이미슨 깁슨파크72'
10 잭 크라울리
12 스튜어트 맥클로스키13 로비 헨쇼63'
23 조던 라머63'
11 제임스 로우15 휴고 키넌55'
22 해리 바이런55'
14 캘빈 내시

파일:Italian Rugby Federation.png포워드1 다닐로 피스케티56'
17 미르코 스파뇰로56'
2 잔마르코 루케시56'
16 자코모 니코테라56'
3 피에트로 체카렐리41'
18 조수에 칠로키41'
4 니콜로 칸노네5 페데리코 루차63'
19 안드레아 참보닌63'
6 알레산드로 이제코르8 미켈레 라마로7 마누엘 출리아니68'
20 로스 빈센트68'
백스9 스티븐 바니57'
21 마르탱 파주렐로57'
10 파올로 가르비시
12 톰마소 메논첼로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7'13 이냐치오 브렉스
11 몬티 이오아니15 앙주 카푸오초14 로렌초 파니57'
23 페데리코 모리57'
힘의 차이
5분째에 파올로 가르비시가 페널티 킥을 놓치며 아무런 득점도 하지 못한 이탈리아는 트라이 6:0으로 두들겨 맞았다. 심지어 마지막 공격에서 아일랜드의 트라이가 인정되지 않았기에 망정이지, 하마터면 43:0으로 끝날 뻔 했다.

이탈리아가 아일랜드에게 무득점으로 패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한 2022년 잉글랜드에게 0:33으로 패한 뒤 2년만에 다시 무득점으로 패했다. 2년 사이에 무득점 패배를 한 다른 팀은 없다.
한편 아일랜드가 이 대회에서 무실점으로 승리한 것은 1987년 파이브 네이션스에서 잉글랜드에 17:0으로 승리한 이후 37년만이며, 테스트 매치 전체로 보면 2019 럭비 월드컵 일본/A조 러시아와의 경기에서 35:0으로 승리한 이후 처음이다.

잭 크라울리는 국가대표 데뷔 후 첫 트라이를 올렸다.




<현재 순위>
국가득실차승점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2승74/17 (+57)10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2승43/38 (+5)8점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1승1패43/46 (-3)5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1승1패37/54 (-17)4점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2패40/43 (-3)3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2패24/63 (-39)1점


4.3. 3라운드[편집]




4.3.1. 전망[편집]


  • 아일랜드 vs 웨일스 : 이탈리아와 별반 다를 것 없는 웨일스인데 이번에도 아일랜드의 홈이다. 무난한 결과가 예측된다. 이번 경기는 양팀이 전통적인 홈 셔츠 색상인 초록색과 빨간색을 착용하는 마지막 경기가 될 지도 모른다. 색맹 중 가장 흔한 적록색맹 팬들을 배려하기 위한 것으로, 앞으로 두 팀이 만날 땐 둘 중 하나는 다른 색상의 유니폼을 입어야 한다. 관례에 따라 홈 팀이 원정 팀에게 셔츠 선택을 양보하게 될 듯.
  • 스코틀랜드 vs 잉글랜드 : 4연패 딱 대 프랑스와의 패배에서 화가 단단히 난 스코틀랜드는 잉글랜드를 두들겨 패고 또다른 연승 기록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1,2라운드에서 가장 쉬운 팀을 만난 잉글랜드와, 반대로 가장 어려운 팀들만 만난 스코틀랜드의 분위기가 완전히 뒤집히는 시점이 될 것이다.
  • 프랑스 vs 이탈리아 : 아무리 프랑스가 예전같지 않다지만, 프랑스의 홈이라면 이탈리아에겐 정말 어려운 승부가 될 것이다. 3경기 모두 홈 팀이 크게 우세하다. 톰마소 알란은 본인의 정신건강 회복을 위해 잠시 국가대표팀에서 이탈하기로 했다.


4.3.2. 결과[편집]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아일랜드 31 vs 7 웨일스 파일:Welsh_Rugby_Union_logo.svg.png

킥오프2.24.(토) 23:15경기장/관중아비바 스타디움 (51,700명)MOM파일:IRFU 로고.png 번디 아키
심판진주심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안드레아 피아르디 / 부심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칼 디킨슨,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잔루카 녜키 / TMO : 파일:프랑스 국기.svg 에릭 고쟁

득점6분20분31분42분66분80분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3
크라울리P
10
쉬헌🏉
크라울리C
17
로우🏉
크라울리C
24
프롤리🏉
크라울리C
31
번🏉
크라울리C
파일:Welsh_Rugby_Union_logo.svg.png7
페널티🏉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포워드1 앤드루 포터72'
17 키언 힐리72'
2 댄 쉬헌54'
16 로넌 켈레허54'
3 타이그 펄롱54'
18 올리 재거54'
4 조 맥카티55'
19 제임스 라이언55'
5 타이그 번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42'
6 피터 오마호니55'
20 라이언 베어드55'
8 케일런 도리스7 조시 반더플리어50'
21 잭 코난50'
백스9 제이미슨 깁슨파크70'
22 코너 머리70'
10 잭 크라울리
12 번디 아키13 로비 헨쇼
11 제임스 로우15 키어런 프롤리14 캘빈 내시66'
23 스튜어트 맥클로스키66'

파일:Welsh_Rugby_Union_logo.svg.png포워드1 가레스 토마스 + 59'~67'
17 코리 도마초스키59'~67'
2 엘리엇 디59'
16 라이언 엘리아스59'
3 카이론 애시래티50'
18 딜론 루이스50'
4 다피드 젠킨스5 애덤 비어드54'
19 윌 롤랜즈54'
6 알렉스 만54'
20 맥켄지 마틴54'
8 애런 웨인라이트7 토미 리펠
백스9 토모스 윌리엄스66'
21 키어런 하디66'
10 샘 코스텔로72'
22 아이오언 로이드72'
12 닉 톰킨스13 조지 노스
11 리오 다이어15 캐머런 윈넷76'
10 샘 코스텔로76'
14 조시 애덤스57'
23 메이슨 그레이디57'
놓칠 뻔한 추가 승점
이탈리아처럼 두들겨 맞을것 같았던 웨일스는 의외로 경기가 끝나기 직전까지 3개의 트라이만을 허용하며 24:7로 끌려가고 있었다. 80분이 지나고도 쉴새없이 수비벽을 두들기는 아일랜드에 지친 웨일스는 타이그 번에게 뚫렸고, 아일랜드는 가까스로 4트라이를 성공해 추가 승점을 얻었다. 이로써 전 경기 추가 승점 획득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에 한 걸음 더 다가갔다. 또한 오늘의 승리를 통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잉글랜드가 기록한 식스 네이션스 11연승과 동률을 이루었다. 반면 웨일스는... 10년 전 아일랜드를 갖고 놀던 웨일스는 정녕 어디로 갔는가?

안드레아 피아르디는 이탈리아인 최초로 식스 네이션스 주심을 맡았다.




파일: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스코틀랜드 30 vs 21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킥오프2.25.(일) 01:45경기장/관중머리필드 스타디움 (67,144명)MOM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두한 판데르메르버
심판진주심 : 파일:IRFU 로고.png 앤드루 브레이스 / 부심 : 파일:IRFU 로고.png 크리스 버스비, 파일:IRFU 로고.png 이오건 크로스 / TMO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마리우스 욘커

득점4분14분19분29분34분35분44분49분56분65분66분
파일: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7
판데르메르버🏉
러셀C
14
판데르메르버🏉🏉
러셀C
17
러셀P
24
판데르메르버🏉🏉🏉
러셀C
27
러셀P
30
러셀P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7
퍼뱅크🏉
포드C
10
포드P
13
포드D
16
포드P
21
페이와보소🏉

파일: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포워드1 피에르 스쿠만61'
17 알렉 헵번61'
2 조지 터너52'
16 유언 애시먼52'
3 잰더 페이거슨 + 6'~17'61'
18 엘리엇 밀러밀스6'~17'61'
4 그랜트 길크리스트67'
19 샘 스키너67'
5 스콧 커밍스
6 제이미 리치52'
20 앤디 크리스티52'
8 잭 뎀프시7 로리 다지
백스9 벤 화이트63'
21 조지 혼63'
10 핀 러셀
12 시오네 투이풀로투40'
23 캐머런 레드패스40' + 72'~75'
22 벤 힐리72'~75'
13 휴 존스
11 두한 판데르메르버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8'15 블레어 킹혼14 카일 스테인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포워드1 엘리스 겐지61'
17 조 말러61'
2 제이미 조지67'
16 테오 댄67'
3 댄 콜55'
18 윌 스튜어트55'
4 마로 이토제5 올리 체섬
6 이선 루츠46'
19 조지 마틴46'
8 벤 얼7 샘 언더힐55'
20 챈들러 커닝엄사우스55'
백스9 대니 케어46'
21 벤 스펜서46'
10 조지 포드61'
22 핀 스미스61'
12 올리 로렌스13 헨리 슬레이드61'
23 임마누엘 페이와보소61'
11 엘리엇 데일리15 조지 퍼뱅크14 토미 프리먼
두한 원맨쇼
잉글랜드 킬러 두한이 오늘도 펄펄 날아 올랐다. 프레디 스튜어드 대신 풀백으로 선발된 조지 퍼뱅크가 선제 트라이를 올리고, 조지 포드가 이어서 페널티 킥까지 성공하며 10:0으로 분위기를 끌어올린 잉글랜드였지만, 인간을 초월한 야수 앞에 속수무책으로 무너질 수밖에 없었다. 이로써 두한은 4번의 잉글랜드전에서 모두 이겼으며, 총 6개의 트라이를 기록했다.

스코틀랜드가 잉글랜드에게 해트트릭을 기록한 것은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그리고 두한은 남아공인 식스 네이션스로 대회가 확장된 이후 잉글랜드에게 해트 트릭을 선사한 팀은 오늘의 스코틀랜드가 처음이다. 또한 1896년 이후 128년만에 캘커타 컵 4연승을 성공했다. 그야말로 역사적인 승리. 참고로 두한은 78분째 MOM 선정과 동시에 옐로카드를 받아 오묘하게 퇴장했다.
앞으로 두한은 트라이 1개만 더 찍으면 스튜어트 호그의 기록과 동률을 이룬다. 호그가 100경기동안 27개의 트라이를 올렸는데 반해 두한은 37경기만에 26개의 트라이를 성공하는, 인간이 맞나 싶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 경기가 이탈리아전이라 득점 가능성도 매우 희망적이다. 39경기 24트라이의 달시 그레이엄이 부상으로 아직 출전하지 못하는 동안 무섭도록 치고 나가는 중.

제이미 조지는 지난 주 어머니가 세상을 떠났다. 그럼에도 팀의 주장을 맡아 경기를 소화했다.




파일: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png 프랑스 13 vs 13 이탈리아 파일:Italian Rugby Federation.png

킥오프2.26.(월) 00:00경기장/관중스타드 피에르 모루아 (50,000명)MOM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톰마소 메논첼로
심판진주심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크리스토프 리들리 / 부심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매튜 칼리, 파일:웨일스 국기.svg 크레이그 에반스 / TMO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이언 템페스트

득점6분13분40+3분44분60분69분
파일: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png7
올리봉🏉
라모스C
10
라모스P
13
라모스P
파일:Italian Rugby Federation.png3
가르비시P
6
가르비시P
13
카푸오초🏉
가르비시C

파일: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png포워드1 시릴 바유47'
17 세바스티앙 타오피페누아47'
2 페아토 모바카48'
16 쥘리앙 마르샹48'
3 위니 아토니오48'
18 도리앙 알드게리48'
4 카메롱 워키48'
20 알렉상드르 루마48'
5 포솔로 투일라기47'
19 로맹 타오피페누아47'
6 폴 부드앙8 프랑수아 크로스7 샤를 올리봉65'
21 에스트방 아바디65'
백스9 막심 뤼퀴48'
22 놀랑 르가렉48'
10 마티유 잘리베르36'
23 요랑 모에파나36'
12 조나탕 당티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40'13 가엘 피쿠
11 마티 르벨15 토마 라모스14 다미앙 프노

파일:Italian Rugby Federation.png포워드1 다닐로 피스케티56'
17 미르코 스파뇰로56'
2 자코모 니코테라56'
16 잔마르코 루케시56'
3 조수에 칠로키63'
18 시모네 페라리63'
4 니콜로 칸노네5 페데리코 루차65'
20 안드레아 참보닌65'
6 리카르도 파브레토48'
21 마누엘 출리아니48'
8 로스 빈센트7 미켈레 라마로
백스9 마르탱 파주렐로53'
22 스티븐 바니53'
10 파올로 가르비시
12 페데리코 모리65'
23 레오나르도 마린65'
13 이냐치오 브렉스
11 몬티 이오아니15 앙주 카푸오초14 톰마소 메논첼로
이런 억까가
프랑스는 2019년의 잉글랜드처럼 월드컵 이후 번아웃이라도 왔나보다. 작년과 비슷한 선수들을 데리고 부실한 공격력으로 이탈리아를 상대로 고작 13득점밖에 못했다. 반면 이탈리아는 13:13 상황에서 80분을 넘겨 파올로 가르비시가 38m의 어렵지 않은 위치에서 페널티 킥을 찼는데, 하필이면 공이 티에서 떨어지면서 급하게 다시 세우고 차는 바람에 골대에 맞았다. 이탈리아에겐 뼈가 시리고 피눈물이 날 결과. 어째서 이탈리아에게만 이렇게 가혹한 희망고문이 이어진단 말인가? 마침 U-20 팀은 프랑스를 23:20으로 역사상 처음으로 꺾었는데 겹경사를 눈앞에서 허무하게 빼앗겼다.

사실 규칙에 의하면 프랑스 선수가 페널티 킥임에도 달려가 차징을 시도했기 때문에[8], 주심은 시간을 되돌리고 10미터 앞에서 다시 찰 기회를 줬어야 했다.[9] 스코틀랜드전에 이어 판정에 관한 또다른 논란거리가 생겼다.

양팀의 첫 무승부다. 이탈리아는 프랑스 홈에서 무승부를 거두며 세계랭킹이 10위로 올랐다. 이탈리아가 10위권에 진입한 것은 2013년 이후 11년만이다. 운 좋게 월드컵 3위를 차지하며 스코틀랜드보다 높은 5위에 있는 잉글랜드를 보면, 그동안 얼마나 이탈리아가 숱한 1티어 국가에게 두들겨 맞으며 랭킹 면에서 손해를 보고 있었는지 알 수 있다.




<현재 순위>
국가득실차승점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3승105/24 (+81)15점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2승1패73/67 (+6)9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2승1패64/68 (-4)8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1승1무1패50/67 (-17)6점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3패47/74 (-27)3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1무2패37/76 (-39)3점


4.4. 4라운드[편집]




4.4.1. 전망[편집]


  • 이탈리아 vs 스코틀랜드 : 이탈리아가 생각보다 잘한다. 하지만 상대는 분위기가 한껏 오른 스코틀랜드. 사실상 프랑스보다 어려운 상대다. 적당한 점수 차이로 스코틀랜드의 승리를 예상.
  • 잉글랜드 vs 아일랜드 : 아일랜드의 원정이지만 승부는 불 보듯 뻔한 상황이다. 아일랜드는 종전 잉글랜드가 세운 식스 네이션스 11연승을 갈아치우고 12연승이라는 대회 최고 기록을 세울 것이다. 또 추가 승점을 얻고 승리한다면 올해 우승을 확정짓게 된다.
  • 웨일스 vs 프랑스 : 과거부터 예상치 못하게 프랑스의 발목을 잡아온 웨일스. 프랑스는 상상 이상으로 부진하고, 원정이라는 환경에 의해 승리를 확신할 수 없다. 웨일스도 아주 악평을 할 상태는 아닌지라 가뭄에 단비같은 승리도 점쳐볼 상황. 무난하게 예측한다면 근소한 점수 차이로 프랑스가 승리할 것으로 보인다. 마티유 잘리베르가 가벼운 무릎 부상을 당해 토마 라모스가 10번으로 나선다.


4.4.2. 결과[편집]


파일:Italian Rugby Federation.png 이탈리아 31 vs 29 스코틀랜드 파일: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킥오프3.9.(토) 23:15경기장/관중스타디오 올림피코 (69,800명)MOM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냐치오 브렉스
심판진주심 : 파일:호주 국기.svg 앵거스 가드너 / 부심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칼 디킨슨,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애덤 릴 / TMO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마리우스 반더베스트하이젠

득점2분6분12분15분25분28분35분39분44분58분73분78분
파일:Italian Rugby Federation.png3
가르비시P
10
브렉스🏉
가르비시C
13
가르비시P
16
파주렐로P
21
라이나🏉
28
바니🏉
가르비시C
31
가르비시P
파일: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7
Z.페이거슨🏉
러셀C
14
스테인🏉
러셀C
17
러셀P
22
스쿠만🏉
29
스키너🏉
러셀C

파일:Italian Rugby Federation.png포워드1 다닐로 피스케티59'
17 미르코 스파뇰로59'
2 자코모 니코테라51'
16 잔마르코 루케시51'
3 시모네 페라리51'
18 조수에 칠로키51'
4 니콜로 칸노네73'
19 안드레아 참보닌73'
5 페데리코 루차
6 세바스티안 네그리59'
20 로렌초 칸노네59'
8 로스 빈센트7 미켈레 라마로
백스9 마르탱 파주렐로51'
21 스티븐 바니51'
10 파올로 가르비시
12 톰마소 메논첼로78'
22 레오나르도 마린78'
13 이냐치오 브렉스
11 몬티 이오아니15 앙주 카푸오초14 루이스 라이나70'
23 페데리코 모리70'

파일: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포워드1 피에르 스쿠만59'
17 알렉 헵번59'
2 조지 터너59'
16 유언 애시먼59'
3 잰더 페이거슨70'
18 엘리엇 밀러밀스70'
4 그랜트 길크리스트70'
19 샘 스키너70'
5 스콧 커밍스
6 앤디 크리스티59'
21 맷 페이거슨59'
8 잭 뎀프시7 로리 다지70'
20 제이미 리치70'
백스9 조지 혼59'
22 앨리 프라이스59'
10 핀 러셀
12 캐머런 레드패스13 휴 존스
11 두한 판데르메르버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8'15 블레어 킹혼14 카일 스테인
그토록 고대하던 승리
초반 스코틀랜드의 공격력에 트라이 2개를 허용하여 "역시 오늘도 희망고문인가..." 싶었지만, 곧바로 점수를 만회하고 페널티 킥으로 야금야금 판세를 뒤집었다. 마지막까지 2점차로 추격을 하용한 매우 어려운 싸움이었지만 7만의 관중 앞에서 이탈리아는 받아 마땅한 승리를 거뒀다. 얼마나 승리가 절박했는지, 한 경기를 이겼을 뿐인데 많은 선수들이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 1라운드 잉글랜드전부터 프랑스전, 이번 스코틀랜드전까지 올해 대회에서 보여준 모습만 보면 이탈리아는 확실한 1티어급 실력이 되었다. 아 이러면 이탈리아 응원하는 맛이 없어지는건데제발 이대로 성장해서 다음 월드컵은 8강에 진출하길...

이탈리아가 홈에서 승리한 것은 2013년 대회 이후 11년만이며, 2022년 대회 5라운드 이후 9경기만에 승리했다. 또한 스코틀랜드에게 2015년 대회 이후 9년만에 거둔 승리다.

루이스 라이나는 데뷔전에서 트라이를 찍었다. 참고로 아버지가 호주의 전설 마이클 라이나다.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잉글랜드 23 vs 22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킥오프3.10.(일) 01:45경기장/관중트위크넘 스타디움 (81,686명)MOM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벤 얼
심판진주심 : 파일:조지아 국기.svg 니카 아마슈켈리 / 부심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안드레아 피아르디, 파일:웨일스 국기.svg 그레이그 에반스 / TMO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마리우스 욘커

득점3분4분17분20분35분40+1분44분48분60분73분80+1분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5
로렌스🏉
8
포드P
13
퍼뱅크🏉
20
얼🏉
스미스C
23
스미스D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3
크라울리P
6
크라울리P
9
크라울리P
12
크라울리P
17
로우🏉
22
로우🏉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포워드1 엘리스 겐지54'
17 조 말러54'
2 제이미 조지54'
16 테오 댄54'
3 댄 콜54'
18 윌 스튜어트54'
4 마로 이토제5 조지 마틴
6 올리 체섬66'
20 샘 언더힐66'
8 벤 얼7 샘 언더힐61'
19 챈들러 커닝엄사우스61' + 78'
백스9 알렉스 미첼66'
21 대니 케어66'
10 조지 포드59'
21 마커스 스미스59'
12 올리 로렌스13 헨리 슬레이드66'
23 엘리엇 데일리66'
11 토미 프리먼15 조지 퍼뱅크14 임마누엘 페이와보소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포워드1 앤드루 포터72'
17 키언 힐리72'
2 댄 쉬헌61'
16 로넌 켈레허61'
3 타이그 펄롱61'
18 핀리 빌럼61'
4 조 맥카티61'
19 이언 헨더슨61'
5 타이그 번
6 피터 오마호니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8'69'
20 라이언 베어드69'
8 케일런 도리스7 조시 반더플리어61'
21 잭 코난61'
백스9 제이미슨 깁슨파크10 잭 크라울리
12 번디 아키13 로비 헨쇼
11 제임스 로우15 휴고 키넌14 캘빈 내시6'
23 키어런 프롤리6'51'
22 코너 머리51'
어떻게 이런 일이
도대체 무슨 수로 세계 랭킹 5위를 지키고 있는지 이해할 수 없었던 잉글랜드가 불가능할 것 같았던 아일랜드 저격에 성공했다. 아일랜드는 3개의 컨버트를 모조리 실패한 것이 결국 패인으로 작용했다. 이로써 2연속 그랜드 슬램과 식스 네이션스 최다연승(12연승)의 목표는 실패했다. 잉글랜드는 2020년 이후 처음으로 밀레니엄 트로피를 되찾았다. 그와중에 3승 1패인데 득실차가 -3인것도 참 신기하다.
그나저나 트라이 라인 직전에서 어드밴티지까지 얻었는데 트라이를 시도하지 않은 이유를 알 수가 없다. 트라이를 했다면 추가 승점 1점을 얻었을텐데 이해하기 힘든 결정이다.

78분째 챈들러 커닝엄사우스가 부상당했지만 교체할 선수가 남아있지 않아 잉글랜드는 3분동안 14명으로 시간을 보냈다.

대니 케어는 잉글랜드에서 6번째로 100회 출전을 달성했다.




파일:Welsh_Rugby_Union_logo.svg.png 웨일스 24 vs 45 프랑스 파일: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png

킥오프3.11.(월) 00:00경기장/관중프린시팔리티 스타디움 (71,242명)MOM파일:프랑스 국기.svg 놀랑 르가렉
심판진주심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루크 피어스 / 부심 : 파일:IRFU 로고.png 앤드루 브레이스,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다미안 슈나이더 / TMO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이언 템페스트

득점1분6분8분14분21분24분28분42분60분64분68분73분80분
파일:Welsh_Rugby_Union_logo.svg.png3
코스텔로P
10
다이어🏉
코스텔로C
17
윌리엄스🏉
코스텔로C
24
로버츠🏉
코스텔로C
파일: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png3
라모스P
6
라모스P
13
피쿠🏉
라모스C
20
르가렉🏉
라모스C
23
라모스P
30
콜롱🏉
라모스C
37
R.타오피페누아🏉
라모스C
40
라모스P
45
뤼퀴🏉
라모스C

파일:Welsh_Rugby_Union_logo.svg.png포워드1 가레스 토마스70'
17 코리 도마초스키70'
2 엘리엇 디70'
16 에반 로이드70'
3 카이론 애시래티44'
18 딜론 루이스44'
4 윌 롤랜즈70'
19 맥켄지 마틴70'
5 애덤 비어드
6 다피드 젠킨스8 애런 웨인라이트7 토미 리펠56'
20 알렉스 만56'
백스9 토모스 윌리엄스56'
21 가레스 데이비스56'
10 샘 코스텔로56'
22 아이오언 로이드56'
12 오웬 왓킨13 조 로버츠60'
23 메이슨 그레이디60'
11 리오 다이어15 캐머런 윈넷14 조시 애덤스

파일: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png포워드1 시릴 바유51'
17 세바스티앙 타오피페누아51'
2 쥘리앙 마르샹51'
16 페아토 모바카51'
3 위니 아토니오51'
18 조르주앙리 콜롱51'
4 티보 플라망5 에마뉘엘 메아포51'
19 로맹 타오피페누아51'
6 프랑수아 크로스70'
21 폴 부드앙70'
8 그레고리 알드리트7 샤를 올리봉62'
20 알렉상드르 루마62'
백스9 놀랑 르가렉70'
22 막심 뤼퀴70'
10 토마 라모스
12 니콜라 드포르테르72'
23 요랑 모에파나72'
13 가엘 피쿠
11 루이 비엘비아레이15 레오 바레14 다미앙 프노
전패 위기
경기 후반까지 나름 잘 풀어갔던 웨일스는 마지막 20분에 급격하게 무너지며 20점 넘게 실점했다. 2022년, 2023년 모두 1승 4패를 거둔 웨일스는 올해도 4패를 하고 말았다. 5라운드는 홈에서 이탈리아를 상대해야 하는데, 이기면 우든 스푼과 전패 탈출, 지면 상상하기도 싫은 최악의 결과를 맞게 된다.

놀랑 르가렉은 첫 선발에서 MOM으로 선정되었다.




<현재 순위>
국가득실차승점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3승1패127/47 (+80)16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3승1패87/90 (-3)12점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2승2패102/98 (+4)11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2승1무1패95/91 (+4)11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1승1무2패68/105 (-37)7점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4패71/119 (-48)3점


4.5. 5라운드[편집]




4.5.1. 전망[편집]


  • 웨일스 vs 이탈리아 : 이탈리아의 원정 승리 가능성도 높지만, 웨일스도 호락호락 당하지 않을 것이다. 반반 싸움이 예상된다. 이탈리아가 이긴다면 2승 1무. 승점 11~12점으로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게 되며, 대승을 거둘 경우 세계 랭킹도 역대 최고인 7위에 오르게 된다. 반대로 웨일스에게 대패를 당한다면, 현재 승점 차이가 4점이라 승자승 원칙에 의해 이탈리아는 또 우든 스푼을 받아야 한다.
  • 아일랜드 vs 스코틀랜드 : 스코틀랜드의 트리플 크라운이 걸려있는 경기. 승점 차이가 5점이라 이론적으로 아일랜드를 두들겨 패고 34년만의 우승도 가능은 하지만, 당연히 그럴 가능성은 0에 가깝다. 아일랜드는 우승 경쟁자인 잉글랜드가 프랑스 원정을 떠나야 하는지라 우승이 매우 낙관적이다. 아일랜드의 무난한 승리가 예상.
  • 프랑스 vs 잉글랜드 : 아일랜드를 꺾는 파란을 일으킨 잉글랜드가 작년 트위크넘에서 당했던 수모를 갚아줄 수 있을지 기대된다. 오랜만에 제대로 된 Le Crunch를 볼 수 있을 듯. 그래도 프랑스의 근소한 승리가 예상된다. 마누 투일라기가 돌아왔지만 포솔로 투일라기는 U-20 경기에 출전하기 때문에 삼촌과 조카의 대결은 볼 수 없게 되었다.


4.5.2. 결과[편집]


파일:Welsh_Rugby_Union_logo.svg.png 웨일스 21 vs 24 이탈리아 파일:Italian Rugby Federation.png

킥오프3.16.(토) 23:15경기장/관중프린시팔리티 스타디움 (72,121명)MOM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냐치오 브렉스
심판진주심 :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티유 레이날 / 부심 : 파일:IRFU 로고.png 크리스 버스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모네 페레이라 / TMO : 파일:IRFU 로고.png 조이 네빌

득점6분13분20분46분64분71분74분79분80+2분
파일:Welsh_Rugby_Union_logo.svg.png7
디🏉
코스텔로C
14
롤랜즈🏉
I.로이드C
21
그레이디🏉
I.로이드C
파일:Italian Rugby Federation.png3
가르비시P
6
가르비시P
11
이오아니🏉
18
파니🏉
가르비시C
21
가르비시P
24
파주렐로P

파일:Welsh_Rugby_Union_logo.svg.png포워드1 가레스 토마스74'
17 켐슬리 마티아스74'
2 엘리엇 디74'
16 에반 로이드74'
3 딜론 루이스74'
18 해리 오코너74'
4 다피드 젠킨스5 애덤 비어드52'
19 윌 롤랜즈52'
6 알렉스 만58'
20 맥켄지 마틴58'
8 애런 웨인라이트7 토미 리펠
백스9 토모스 윌리엄스63'
21 키어런 하디63'
10 샘 코스텔로74'
22 아이오언 로이드74'
12 닉 톰킨스49'
23 메이슨 그레이디49'
13 조지 노스
11 리오 다이어15 캐머런 윈넷14 조시 애덤스

파일:Italian Rugby Federation.png포워드1 다닐로 피스케티58'
17 미르코 스파뇰로58'
2 자코모 니코테라 + 30'~41'58'
16 잔마르코 루케시30'~41'58'
3 시모네 페라리51'
18 조수에 칠로키51'
4 니콜로 칸노네76'
19 안드레아 참보닌76'
5 페데리코 루차
6 세바스티안 네그리61'
21 마누엘 출리아니61'
8 로렌초 칸노네51'
20 로스 빈센트51'
7 미켈레 라마로
백스9 스티븐 바니51'
22 마르탱 파주렐로51'
10 파올로 가르비시
12 톰마소 메논첼로13 이냐치오 브렉스
11 몬티 이오아니76'
23 레오나르도 마린76'
15 로렌초 파니14 루이스 라이나
이탈리아는 강하다
파란색 군단이 파란을 일으켰다. 식스 네이션스에서 이탈리아가 80분 내내 점수로 앞서간 경기를 보게 되다니 꿈인지 생시인지 모르겠다. 웨일스는 중요한 순간마다 턴오버로 소유권을 내주며 득점 기회를 날려버리는 등 엉망진창인 모습을 보였다. 전반전엔 하나도 득점하지 못했고, 80분 내내 두들겨 맞다가 마지막 3분 순식간에 트라이 2개를 해치웠지만 추가 승점 1점을 얻은 것 이외에 의미는 없었다. 정말 7:24로 끝났으면 어쩔뻔 했나... 결국 2022년 이후 연속으로 프린시팔리티 스타디움에서 이탈리아에게 지는 참극을 빚었다. 물론 조지아에도 졌었지만. 이러다가 이탈리아 대신 웨일스가 식스 네이션스에서 쫓겨나고 조지아가 들어올 듯.
이탈리아가 식스 네이션스 경기에서 2연승한것은 처음이다. 2013년 이후 11년만에 2승을 달성했으며, 역대 최고 성적이다. 만약 프랑스를 이겼다면 3연승을 달성하고 대회 3위에 올랐을 것이다. 세계 랭킹도 웨일스를 제치고 8위에 올랐다. 2007년 이후 17년만에 되찾은 최고 기록.

조지 노스의 고별전이다. 상당히 속이 쓰린 마지막 무대가 되었을 듯.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아일랜드 17 vs 13 스코틀랜드 파일: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킥오프3.17.(일) 01:45경기장/관중아비바 스타디움 (51,700명)MOM파일:IRFU 로고.png 제이미슨 깁슨파크
심판진주심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매튜 칼리 / 부심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칼 디킨슨,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크리스토프 리들리 / TMO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마리우스 욘커

득점7분13분17분42분65분78분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7
쉬헌🏉
크라울리C
10
크라울리P
17
포터🏉
크라울리C
파일: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3
러셀P
6
러셀P
13
존스🏉
존스C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포워드1 앤드루 포터67'
17 키언 힐리67'
2 댄 쉬헌55'
16 로넌 켈레허55'
3 타이그 펄롱51'
18 핀리 빌럼51'
4 조 맥카티55'
19 라이언 베어드55'
5 타이그 번
6 피터 오마호니64'
20 잭 코난64'
8 케일런 도리스7 조시 반더플리어
백스9 제이미슨 깁슨파크69'
21 코너 머리69'
10 잭 크라울리
12 번디 아키13 로비 헨쇼
11 제임스 로우15 조던 라머67'
22 해리 바이런67'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5'
14 캘빈 내시56'
23 개리 링로즈56'

파일: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포워드1 피에르 스쿠만48'
17 로리 서덜랜드48'
2 조지 터너48'
16 유언 애시먼48'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63'
3 잰더 페이거슨70'
18 제이번 세바스찬70'
4 그랜트 길크리스트5 스콧 커밍스70'
19 샘 스키너70'
6 앤디 크리스티67'75'
2 조지 터너67'75'
8 잭 뎀프시7 로리 다지61'
20 맷 페이거슨61'
백스9 벤 화이트61'
21 조지 혼61'
10 핀 러셀
12 스태포드 맥도월61'
22 캐머런 레드패스61'
13 휴 존스
11 두한 판데르메르버15 블레어 킹혼66'
23 카일 로우66'
14 카일 스테인
실수만 안했어도...
작년 월드컵에서 만났을 때 아무것도 못하고 졌던 스코틀랜드가 아일랜드와 접전을 벌였다. 13분째 치명적인 라인아웃 실수만 하지 않았어도 이길 수 있는 경기였는데, 우승은 하지 못하더라도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할 수 있었던 기회가 날아가 버렸다.




파일: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png 프랑스 33 vs 31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킥오프3.17.(일) 05:00경기장/관중파르크 올랭피크 리오네 (60,000명)MOM파일:프랑스 국기.svg 레오 바레
심판진주심 : 파일:호주 국기.svg 앵거스 가드너 / 부심 : 파일:조지아 국기.svg 니카 아마슈켈리,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다미안 슈나이더 / TMO : 파일:웨일스 국기.svg 벤 와이트하우스

득점11분17분20분31분35분40+1분42분45분56분60분75분78분
파일: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png3
라모스P
10
르가렉🏉
라모스C
13
라모스P
16
라모스P
23
바레🏉
라모스C
30
피쿠🏉
라모스C
33
라모스P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3
포드P
10
로렌스🏉
포드C
17
로렌스🏉🏉
포드C
24
스미스🏉
포드C
31
프리먼🏉
포드C

파일: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png포워드1 시릴 바유47'
17 세바스티앙 타오피페누아47'
2 쥘리앙 마르샹47'
16 페아토 모바카47'
3 위니 아토니오61'
18 조르주앙리 콜롱61'
4 티보 플라망5 에마뉘엘 메아포47'
19 로맹 타오피페누아47'
6 프랑수아 크로스8 그레고리 알드리트69'
21 폴 부드앙69'
7 샤를 올리봉61'
20 알렉상드르 루마61'
백스9 놀랑 르가렉66'
22 막심 뤼퀴66'
10 토마 라모스
12 니콜라 드포르테르59'
23 요랑 모에파나59'
13 가엘 피쿠
11 루이 비엘비아레이15 레오 바레14 다미앙 프노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포워드1 엘리스 겐지49'
17 조 말러49'
2 제이미 조지49'
16 테오 댄49'
3 댄 콜49'
18 윌 스튜어트49'
4 마로 이토제5 조지 마틴
6 올리 체섬54'
19 이선 루츠54'
8 벤 얼7 샘 언더힐66'
20 알렉스 돔브란트66'
백스9 알렉스 미첼69'
21 대니 케어69'
10 조지 포드
12 올리 로렌스13 헨리 슬레이드59'
23 마누 투일라기59'
11 엘리엇 데일리15 조지 퍼뱅크7'
22 마커스 스미스7'
14 토미 프리먼
피날레
드디어 대등해진 두 팀이 펼친 명승부. 하마터면 홈에서 잉글랜드에게 질 뻔했다. 작년 트위크넘에서 잉글랜드를 산산조각낸 프랑스와는 전혀 다른 모습. 확실히 프랑스는 월드컵 이후 김이 많이 빠졌고, 잉글랜드는 보스윅 체제가 이제서야 안정을 찾아가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여전히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고, 대회는 이미 막을 내렸다. 다른 누구도 아닌 프랑스가 상대인데 월드컵 4강에서처럼 마지막 페널티 킥으로 역전당해서 속이 많이 쓰릴 듯.

마누 투일라기의 국가대표 마지막 경기가 될 수도 있다고 한다.




5. 대회 결과[편집]


국가득실차승점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4승1패144/60 (+84)20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3승1무1패128/122 (+6)15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3승2패118/123 (-5)14점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2승3패115/115 (0)12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2승1무2패92/126 (-34)11점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5패92/143 (-51)4점

  • 그랜드 슬램 : 없음
  • 트리플 크라운 : 없음
  • 우든 스푼 :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 캘커타 컵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4연승)
  • 밀레니엄 트로피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 센테너리 퀘익 :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7연승)
  • 주세페 가리발디 트로피 : 무승부
  • 올드 얼라이언스 트로피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3연승)
  • 도디 웨이어 컵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2연승)
  • 쿠티타 컵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첫 승)

<세계 랭킹>
랭킹국가점수
2위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90.69 (+0.12)
4위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87.92 (+0.11)
5위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85.75 (+0.29)
6위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82.82 (-0.61)
8위 ↑3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79.41 (+3.48)
10위 ↓2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77.26 (-3.38)


5.1. 상훈[편집]


4명의 후보 중 4월 5일 이탈리아의 톰마소 메논첼로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이탈리아 선수가 선정된 것은 2011년 안드레아 마시 이후 13년만이다.

  • 드림팀
포지션이름소속
5파일:IRFU 로고.png 조 맥카티파일:IRFU 로고.png 렌스터 럭비 (URC)
올해 드림팀은 아일랜드, 특히 렌스터 럭비의 독차지하다시피 했다. 과연 유사 국가대표팀답다.

4개의 후보 중 4월 3일 이탈리아의 로렌초 파니의 트라이가 올해 최고의 트라이로 선정되었다.


5.2. 통계[편집]


  • 대회 기록
    • 총 관중 : 982,687명 (평균 65,512명)
    • 총 트라이 : 79회 (경기당 5.3회)[10]
    • 최다 득점 : 파일:프랑스 국기.svg 토마 라모스 (63점)
    • 최다 트라이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두한 판데르메르버, 파일:IRFU 로고.png 댄 쉬헌 (5회)
  • 팀 기록
    • 웨일스 : 2003년 전패 이후 21년만에 우든 스푼을 얻었다.
    • 이탈리아 : 2016년부터 이어져 오던 8연속 우든 스푼에서 탈출했다. 대회 참가 이후 최고 성적, 세번째 2승, 첫 2연승을 성공했다.
  • 개인 기록
    • 미켈레 라마로는 103회의 태클을 하여 대회 역사상 최다 기록을 세웠다.


6. U-20[편집]


20세 미만 대회는 UTC 기준 2.2.(금) ~ 3.15.(금) 43일동안 진행된다. 성인 남성 대회 전 날 같은 대진으로 진행된다.
1라운드
이탈리아 11 : 36 잉글랜드
웨일스 37 : 29 스코틀랜드
프랑스 31 : 37 아일랜드
2라운드
잉글랜드 28 : 7 웨일스
아일랜드 23 : 22 이탈리아
스코틀랜드 14 : 29 프랑스
3라운드
아일랜드 43 : 8 웨일스
스코틀랜드 17 : 30 잉글랜드
프랑스 20 : 23 이탈리아
4라운드
웨일스 12 : 45 프랑스
이탈리아 47 : 14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32 : 32 아일랜드
5라운드
아일랜드 36 : 0 스코틀랜드
웨일스 27 : 15 이탈리아
프랑스 31 : 45 잉글랜드

국가득실차승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U-204승1무171/98 (+73)23점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U-204승1무171/93 (+78)22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U-202승3패156/131 (+25)14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U-202승3패118/120 (-2)10점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U-202승3패91/160 (-69)10점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U-205패74/179 (-105)1점
지난 해 전패를 했던 웨일스는 2승을 거뒀고, 스코틀랜드가 전패를 했다.

  • 그랜드 슬램 : 없음
  • 트리플 크라운 : 없음


7. 여자부[편집]


남자 대회가 끝난 다음 주인 3월 23일부터 4월 27일까지 진행된다.


8. U-18[편집]




8.1. 남자부[편집]




8.2. 여자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9-01 01:35:32에 나무위키 2024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UTC 기준[2] 작년엔 왼쪽, 이번엔 오른쪽 십자인대가 파열되었다.[3] 서로 소속도 세일 샤크스USA 페르피냥이라 리그에서도 볼 일이 없다.[4] 최상위 팀이 아니기에 역설적으로 비슷한 수준의 선수들이 많다[5] 결국 마지막에 실점하며 38:38로 비겼다[6] 이렇게 되기도 힘들다. 의도치 않게 다리로 트라이를 막는 건 좀처럼 볼 수 없는 일이다.[7] 오심이라는 여론을 그대로 받아들이기엔 화면상 공이 바닥에 접촉한 것처럼 보이지만, 공 아래 손이 있었는지 없었는지 심판진 말대로 증거가 없기 때문에 트라이로 인정하기도 어렵다. 결국 찝찝하게 승부가 갈려서 선수와 팬들 속만 터지게 됐다.[8] 공이 티에서 떨어진 후 달려가긴 했지만, 페널티 킥은 차는 순간까지 압박 행위를 해선 안 된다.[9] 2016년 아비바 스타디움에서 아일랜드가 뉴질랜드를 맞았을 때, 뉴질랜드의 컨버전 킥 과정에서 아일랜드 선수가 너무 일찍 접근하는 바람에 컨버전 킥을 한 번 더 차게 했다. 첫 시도는 빗나갔으나 두번째 시도에 들어갔다.[10] 작년 91회보다 현저히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