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폭동

덤프버전 :

1. 개요
2. 배경
3. 진행
4. 결과
5. 더보기


1. 개요[편집]


67폭동은 1967년 3월부터 10월까지 영국령 홍콩에서 일어난 반영 폭동으로, 반영폭동, 6.7 폭동이라고도 불린다.


2. 배경[편집]


당시 영국령 홍콩은 겉으로는 동아시아에서 일본과 더불어 경제적 번영을 이룬 선진국이었지만 빈부격차가 심했고[1], 영국인들이 주로 거주하던 홍콩 섬국공내전을 거치며 중국 대륙에서 피난 온 중국계 홍콩인이 주로 거주하던 구룡반도 간의 왕래도 불편했으며 두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수단은 스타페리뿐이었다.[2]

부정부패 역시 심해, '차값'이라는 은어뇌물이 성행하며 소방서에 뇌물을 줘야 화재 진압을 한다든지 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이런 와중에 1966년 스타페리 요금이 인상됐고, 구룡반도 주민들의 불만이 폭발한다. 구룡반도 주민들은 비폭력 시위를 벌였고, 홍콩 총독부는 이를 탄압했다.

이에 일부 홍콩인들과 시위대는 사회 문제를 영국 식민지 체제의 폐단으로 보고 그 해결책을 중국 본토문화대혁명에서 찾고자 했다. 1960년대 중국 본토에서 문화대혁명이 발생하자, 이에 자극받은 홍콩 공회연합회가 중심이 되어, 문화대혁명에 매료된 청년들과 빅토리아항 부두노동자들을 중심으로 1967년에 67 구룡폭동이 발생했다.

홍콩 총독부가 시위를 탄압하자 시위는 곧 폭동으로 격화됐고, 조던 로드나 침사추이 일대에서 폭동이 벌어졌으며 홍콩 버스도 폭리를 취하다 걸려 구룡반도버스회사 KMB도 공격당했다.


3. 진행[편집]


파일:archive_scmp_22may67_riot95-3itd3_3157889.jpg
한편 몇몇 홍콩인들은 이 같은 사회문제를 영국 식민지 체제에서 찾으려 했고, 해결책을 중국 본토의 문화대혁명[3]에서 찾으려고 했다.

중국 공산당은 이를 이용하여 홍콩 공회연합회를 중심으로 문혁에 호응하던 젊은 층과 빅토리아항[4]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1967년 폭동이 발생한다.
파일:lZRN7l.jpg
파일:h5NQzl.jpg

영국령 홍콩 총독부는 이 때 긴급조치법을 만들었고, 홍콩 당국은 이 폭동을 긴급조치법을 통해 무력으로 진압했다. 이에 중국이 크게 반발하여 홍콩 홍위병들에 대한 배상과 사죄를 요구하자 홍콩 당국은 이를 가차없이 거절했고 이에 자극받은 중국 본토의 홍위병들이 주중 영국 대표부 점령 사건을 일으키기도 했다.

홍콩의 친중화민국 세력들과 중국국민당 홍콩-마카오 지부도 영국 편에 서서 폭동 세력에 맞서 양안 간의 대리전이 되기도 했다. 비록 대만의 중화민국도 명목상 홍콩을 자국 영토로 여기지만 의외로 영국과의 사이는 나쁘지 않으며 홍콩이 중공에게 넘어가느니 차라리 영국이 지배하는 게 낫다고 생각해 영국 편을 들어준 것이다.

4. 결과[편집]


이 같은 사건사고는 영국령 홍콩 당국이 더 이상 사회문제를 방치할 수 없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1971년 홍콩의 발전에 가장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받는 25대 총독 크리포드 머레이 맥클레호스[5]가 부임하고, 1973년 피터 고드버라는 영국계 홍콩 경찰이 430만 홍콩 달러를 전횡하고 출국금지도 어긴 채 영국 본국으로 도망치는 사건이 발생하자 이를 계기로 염정공서가 창설되었다.

한편 경찰훈련학교, 소방훈련학교가 설립되고 전문적인 폭동진압 기동경찰 PTU대, SDU 대테러 경찰특공대가 설립되고 부패 경찰관 전원 해고, 젊은 신임 경찰관 대거 채용 등 홍콩 경찰과 홍콩 소방처의 문제점이 해소된 것도 이 때다.

그리고 1976년 크로스하버 터널이, 1979년 MTR 쿤통선[6]이 개통하며 홍콩 섬과 구룡반도간 교통이 개선되고, 영국 본토에서 반부패 전문가 초빙, 공중위생을 높이는 클린 홍콩 운동 등을 벌이며 1980년대 이후 홍콩은 지금과 같은 선진도시로 자리잡게 된다.

다만 1985년 중영공동선언 발표 후 1997년 홍콩 반환 후 중국 본토인들이 대거 유입되며 다시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비리가 벌어지고 있다.

그 후 이 사건과 완전히 반대의 성격을 가진 2014년 홍콩 우산혁명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이 일어나면서 이 사건이 재조명 받고 있다.


5. 더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8 18:30:27에 나무위키 67폭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빈부격차는 일본도 마찬가지이긴 했다. 버블시절 이전만해도 일본도 상류, 중산, 하류층 간의 갭이 매우 컸다.[2] 당시에는 크로스하버 터널과 MTR도 없었다. 크로스하버 터널은 1976년에야 개통하고, MTR은 1980년에야 쿤통선(1982년 췬완선으로 이관됐다.) 해저터널 구간이 개통했다.[3] 당시에는 문혁의 실상이 알려지기 전이었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본토에서 밀려든 피난민들에 의해 문혁의 실상이 알려지게 된다.[4] 당시에는 빅토리아항이 홍콩의 대표 항구였다. 1991년 콰이청구에 신항이 생기며 점차 위상을 잃어가다 2009년 화물선 입항이 금지되고 현재는 일부 여객 기능만 남아있다.[5] 1982년까지 재임했다.[6] 지금과는 달리 쿤통역 ~ 섹깁메이역 ~ 몽콕역(당시 명칭 아가일역) ~ 침사추이역 ~ 센트럴역(당시 명칭 차터역)을 잇는 노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