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년생 김지영(영화)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82년생 김지영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정유미가 이 영화 출연으로 인해 비판받는 근거를 설명하는 부분을 존치하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82년생 김지영 (2019)
Kim Ji Young: Born 1982

파일:82년생 김지영 포스터.jpg

장르
드라마
감독
김도영
각본
유영아
원작
조남주82년생 김지영
제작
박지영, 곽희진
출연
정유미, 공유
촬영
이성재
음악
김태성
촬영 기간
2019년 1월 28일 ~ 2019년 4월 21일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봄바람영화사[1]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롯데엔터테인먼트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년 10월 23일
상영 시간
118분
대한민국 총 관객 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679,019명
월드 박스오피스
$27,696,393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1. 개요
2. 개봉 전 정보
3. 마케팅
3.1. 예고편
3.2. 포스터
4. 시놉시스
5. 출연진
6. 줄거리
7. 평가
7.1. 호평
7.2. 비판
8. 흥행
9. 원작과의 차이점
10. 반응 및 사회적 여파
10.1. 네이버 영화 성별 평점 전쟁
10.2. 김나정 리뷰 논란
10.3. 더불어민주당 논평 철회 논란
11. 기타
12.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베스트셀러 소설 82년생 김지영을 영화화한 작품.

2. 개봉 전 정보[편집]


2019년 8월에 나온 한 기사에 따르면 2019년 10월에 개봉 예정이라고 한다. 씨네21 영화사 대표 인터뷰

2017년 6월, 여성 대표로 이루어진 봄바람 영화사에서 소설 82년생 김지영의 영화화 계약을 맺었다.# 봄바람 영화사는 영화 제작 이력이 전혀 없는 신생 영화사로 82년생 김지영이 첫 번째 제작 작품(창립작)이다. 판권은 2018년 5월경, 원작이 사회적인 주목을 받을 때 계약했다고 한다.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남성 제작자와 차별을 둔다는 등, 남성과 여성의 대립구도를 조장하여 영화계에서 안 좋은 소리를 듣고 있다. 그 조장을 통해 이슈화와 투자를 이끌어 내겠다는 모습이 보여서라고. 심지어 이익보다는 사회적으로 좋은 의미가 있는 소설을 영화화하고 싶었다면서도, 수많은 소설 가운데 굳이 82년생 김지영을 영화화하게 된 이유는 이 소설이 가장 수요가 많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해서 논란이 있었다.

참고로 감독을 맡은 김도영 역시 신인 여성 감독이다. 원래는 단역을 주로 연기한 배우였으며 이전 연출 경력으로는 <가정방문>, <낫씽>, <자유연기> 등 10분~30분 내외의 단편 영화들 뿐이다. 가정방문의 경우 네이버 영화 평점을 확인해보면 2012년 당시 달렸던 평점들도 혹평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자유연기의 경우 2018년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아시아 단편 경쟁부문 작품상, 2018년 미장센 단편 영화제 관객상, '비정성시'부문 최우수상, 연기상 등 올해 각종 영화제에서 수상을 해 그 경력으로 감독에 발탁된 것으로 보인다.


3. 마케팅[편집]



3.1. 예고편[편집]


메인 예고편

캐릭터 예고편

제작기 영상 1

제작기 영상 2

3.2. 포스터[편집]


파일:82년생 김지영 포스터.jpg
파일:82년생정유미.jpg
메인 포스터
티저 포스터


4. 시놉시스[편집]


1982년 봄에 태어나
누군가의 딸이자 아내, 동료이자 엄마로
2019년 오늘을 살아가는 '지영'.
때론 어딘가 갇힌 듯 답답하기도 하지만
남편 '대현'과 사랑스러운 딸,
그리고 자주 만나지 못해도
항상 든든한 가족들이 '지영'에겐 큰 힘이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마치 다른 사람이 된 것처럼 말하는 '지영'.
'대현'은 아내가 상처 입을까 두려워
그 사실을 털어놓지 못하고
'지영'은 이런 '대현'에게 언제나 "괜찮다"라며
웃어 보이기만 하는데...
모두가 알지만 아무도 몰랐던
당신과 나의 이야기

5. 출연진[편집]


  • 김지영 역 - 정유미[A]
  • 정대현 역 - 공유[A]
  • 미숙 역 - 김미경
  • 김은영 역 - 공민정
  • 김은실 역 - 박성연
  • 혜수 역 - 이봉련
  • 김지석 역 - 김성철
  • 김영수 역 - 이얼
  • 대현 모 역 - 김미경[2]
  • 대현 부 역 - 손성찬
  • 지영 친할머니 역 - 강애심
  • 정아영 역 - 류아영
  • 의사 역 - 김정영
  • 이 대리 역 - 김지수
  • 수빈 엄마 역 - 김국희
  • 지영 외할머니 역 - 예수정[특별출연]
  • 과거 스카프 여자 역 - 염혜란[특별출연]


6. 줄거리[편집]


지영(정유미 분)은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광고기획사를 다니던 회사원이었다. 대현(공유 분)과 만나 결혼한 후, 딸 아영을 임신한 뒤로 가슴 한 켠이 '쿵' 내려앉는 것 같고 심적으로 답답한 증세를 겪는 산후 우울증에 시달리게 된다.

지영의 집은 공무원인 아버지와 식당 체인점을 운영하는 어머니, 초등교사인 언니, 그리고 어머니의 식당을 돕는 남동생이 같이 살고 있다. 아버지는 항상 지영보다는 남동생 '지석'을 챙겨왔고, 모두가 남아선호사상의 모습을 보여왔다. 이에 어머니는 소외받는 딸에게 항상 미안해하면서도 가부장제의 폐해에 피로를 느꼈는데…


7. 평가[편집]


[[IMDb|

파일:IMDb 로고.svg
]]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기자·평론가
display:inline-block"
9.13 / 10

display:inline-block"
6.68 / 10

]]
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기자·평론가
display:inline-block"
9.13 / 10

display:inline-block"
6.68 / 10

]]



















매우 온건하고 보편적인 한국 여자 이야기

김혜리 (★★★)


만듦새는 구식 계몽영화

이용철 (씨네21) (★★)


영화의 안과 밖을 폭넓은 공감으로 연결하는 전형적 사례모음집

이동진 (★★★)


누군가의 딸, 아내, 동료, 엄마가 아닌, 오롯한 여성으로 홀로 서기

장영엽 (씨네21) (★★★☆)


출발‘선’으로 구분하지 않고 출발‘점’ 안에서 하나되는 세상으로 향하기

허남웅 (씨네21) (★★★☆)


현재를 살아가는 OO년생 우리들의 이야기

딸이자 아내, 그리고 엄마인 모든 여성들의 이야기이자 함께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이야기다. 각자의 처지에 따라 지영에게, 때로는 대현에게 그리고 그 주변 누군가의 감정에 이입될 수밖에 없다. 한 여성이 현재를 살아가면서 겪는 수많은 일들은 어쩔 수 없이 모든 이의 삶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김지영의 고단함이 지영의 남편 대현의 아픔이고, 지영의 엄마 미숙의 후회다. 분출되지 못하고 응집된 각성의 힘이 세상을 한 단계 진보하게 만든다면, 이 영화가 가진 힘도 그 변화를 거들만 하다. 여성 대 남성의 문제가 아니라 여전히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사회 시스템이 문제임을 극장 밖으로 꺼내 놓은 올해의 작품.

심규한 (씨네플레이) | ★★★★


우리 모두의 김지영

누군가를 폄하하지 않고, 손쉬운 공분을 일으키지도 않으며, 차근히 공감을 이끄는 이 영화의 화법이 반갑고 귀하다. <82년생 김지영>을 중심으로 현재와 윗세대 그리고 다음 세대 여성과 그 가족까지 아우르는 너른 품을 보여준다. 평범한 일상 안에서 무심코 발생하는 혐오와 상처의 순간들을 향한 영화의 섬세한 시선은, 동시대의 어떤 풍경들을 생생하게 체험하는 장치가 된다. 일상적인 순간을 호흡하듯 연기해낸 정유미를 비롯, 모든 배우들의 한 컷 한 컷이 사려 깊다.

이은선 (영화 저널리스트) | ★★★☆


어떻게 지영이 우리가 아니라고 할 수 있을까

<82년생 김지영>은 보고서의 형태를 취하고 있어 영화화하기 쉽지 않은 원작을 누구나 몰입할 수 있는 드라마로 완성시켰다. 영화는 나를 대입하는 동시에 함께 살아가는 수많은 다른 여성들을 불러낸다. 독박 육아에도 멀쩡해 보이던 지영(정유미)이 문득문득 멍해질 때, 지영이 떠난 직장에서 동료들이 불법 촬영의 피해자가 될 때 어떻게 그들이 내가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을까. 지금의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여성이라면 그가 누구든 어디에 있든 무엇을 하든 <82년생 김지영>에 등장하는 여성들에게서 스스로를 발견할 수밖에 없다. 제때에 제대로 된 모습으로 찾아온 영화.

이지혜 (영화 저널리스트) | ★★★☆


82년생 김지영이 있는 그곳, 상담과 치유의 자리에 나를, 내 언니를, 내 엄마를 대입하게 한다

상담과 치유의 자리에 우리를 데려다 놓는 영화. 김지영의 자리에 어느 여성을 대입해도 하나하나 설명이 되는 이야기. 촬영과 편집이 적재적소로 활용되어 원작을 스크린으로 옮길 때의 난점을 현명하게 해결한다. 지영을 통해 나와, 내 엄마와 할머니, 친구들 하나하나의 사회에서의 고군분투가 상기된다. 누구나 아는 이야기지만, 그간 누구도 대놓고 토닥여 주거나 말해주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 영화가 보다 많은 관객과 만날 수 있는 톱배우가 캐스팅되고, 대중 상업영화로 메이드 되고, 완성되어 가는 과정 자체가 의미를 더한다. 그런 지점에서 이후 한국 영화계에 불러올 환기의 지점까지 기대해 보게 만드는 작품이다. 특히 깊어진 배우 정유미를 알아가는 기쁨이 매 장면 흥미진진하게 포진되어 있다.

이화정 (씨네21) | ★★★☆


너, 나, 우리 ‘안/곁’의 김지영

소설 <82년생 김지영>은 기승전결이나 극적인 사건이 딱히 없는, 심지어 르포 느낌까지 취하고 있는 작품이다. 영화로 각색하는데 공력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결과는 기대 이상이다. 원작의 큰 틀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영화만의 리듬과 의미를 획득해낸다. 건조했던 문체와 통계들이 철수한 자리에 다양한 인물 감정선과 배우들의 호연이 더해지면서 공감의 폭이 넓어졌다. 하나의 사회 현상이 돼버린 원작 소설에서 출발한 작품인 탓에 스크린 밖에서도 다양한 이야기를 생성되고 있는데, 이 또한 이 영화의 운명일 것이다. 그런 점에서 질퍽한 감정 호소 없이 그려낸 게 반갑다. 영화가 함량 미달이면, 유의미한 ‘갑론을박’들마저도 평가절하될 되니까.

정시우 (영화 저널리스트) | ★★★☆


여성의 이야기에서 우리 모두의 이야기로

원작 소설이 1982년에 태어난 여성 김지영의 일대기를 보고서 형식으로 들려줬다면, 영화는 서른네 살 경력 단절 여성 김지영이 살아온 인생을 직접 보여준다. 서사적 구성을 취하면서 원작의 에피소드는 이야기에 맞춰 효과적으로 재배치되고, 김지영의 가족과 동료를 넘어 주변 인물들까지 목소리를 얻으면서 공감의 폭을 넓힌다. 원작의 작품성을 유지하면서 대중성을 확장한 각색의 힘이다. 김도영 감독의 포용력 있는 연출과 보편적 감정을 이끌어내는 배우들의 연기, 원작과 다른 결말의 의미가 응원과 위로 그 이상의 결과를 만들어냈다. 올해의 값진 한국 영화이자 앞으로 우리의 삶에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영화다.

정유미 (더 스크린) | ★★★☆



7.1. 호평[편집]


페미니즘성서로 통하는 원작에 비해 노골적인 성향은 조금 줄어들었다. 그 때문에 페미니즘 계열에선 필수적인 요소가 빠진 애매한 영화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온라인상 페미니스트들의 반응은 대다수가 매우 호의적이다. 전체적으로 20~30대보다 50~60대 전후의 여성 관객들이 주로 즐길만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니 실제 소설의 팬층과 영화가 노리는 연령대 간의 괴리가 일어나기도 했다.[3]

상술한 대로 페미니즘적 성향이 소설보다 줄어들다보니 '생각보다 혹은 원작보다는 덜 편향적이다'는 의견도 있다. 실제로 영화 작중에선 원작에 비해 페미니즘적 담론이 다소 줄어들었고, 거의 모든 남성을 쓰레기처럼 일반화시키는 원작에 비해 대현(공유)의 육아 휴직 내용을 나름 진지하게 보여주면서 단순히 성별간의 대립과 핍박이 아니라 사회구조적인 문제라는 해석으로 풀어내려는 부분도 보이긴 했다.

그 때문인지 주인공인 김지영보다 오히려 친정어머니나 대현 쪽이 더 공감된다는 사람들도 많다. 공유는 이상적인 남편상으로 영화의 개연성을 어떻게든 끌어올렸고, 성차별에 대한 묘사도 현 세대보단 어머니 세대의 묘사에 더욱 공들였는지 어머니 세대에 비중이 좀 더 몰려있다.[4]

배우들의 연기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는 호평. 과잉된 연기가 없고 그러다 보니 연기 자체엔 감정이입하기가 쉽다는 평. 비슷하게 페미니즘 논란으로 불탔던 영화 걸캅스에 비하면 배우들의 연기면에서 보면 훨씬 낫다는 게 주류다. 영화 내용에 대해 비판하는 이들도 연기에 대해서만큼은 대부분 다 인정하는 편.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주제의식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비판측 의견에 대해서도 반론이 존재한다. 우선 김지영이 정신과 치료를 받는 장면에서 자신 스스로의 한계와 문제를 인식하며, 고치려고 하면서 다른 극단적이고 공격적인 피해망상적 페미니즘의 인물들에서 벗어나려 한다는 의미가 있다. 또한 본인의 이야기를 소설로 쓴다는 부분은 일종의 영화가 소설과의 경계선을 긋는 부분이다. 소설을 원작으로 만들어진 영화이지만, 소설을 따라가는 영화가 아니라 '영화에서 묘사된 현실을 겪은 김지영이 소설을 쓴 게 원작 82년생 김지영이다' 식으로 자연스럽게 잇는 결말이다.


7.2. 비판[편집]


페미니스트가 아닌 사람들 기준으로도 극도로 편향적인 원작 소설보다는 낫다는 평을 듣지만 영화 역시 원작 특유의 성별 편향적인 모습들은 대부분 남아있다. 오히려 원작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미묘하게 원작을 수정해 이를 피해가려는 모습을 보이면서, 원작에 호평을 보내던 사람들조차 실망시킨 이도 저도 아닌 박쥐처럼 취급받기도 한다.

영화는 화장실 불법촬영 영상을 돌려보는 남자 직원들이나 실수로 커피를 쏟은 것만으로 김지영에게 맘충이라며 대놓고 비난하는 남성들을 보여준다. 그에 상반되게 잘생기고 자신이 가능한 한 모든 걸 해가며 아내를 잘 챙겨주는 헌신적인 남성도 보여줌으로서 대부분의 남성에 대한 잘못된 일반화래디컬 페미니스트들이 보여주는 모순된 행동[5]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는 부분까지 나왔다. 몰카범이나, 피해 이상으로 지나치게 화내는 사람이 현실에 없진 않겠지만 실존 여부를 떠나서 작중에서 평범한 남성들이 일방적으로 좋지 못한 모습만 보여주는 것은 영화적으로 좋은 방식이라고 볼 수 없다. 심지어 영화의 맥락 자체를 어색하게 만드는 무리수를 두며 페미 영화 특유의 일방적 성대결 구도를 포기하지 못한 부분을 아쉬운 점이라 말하는 사람도 있다.

또한 남편(장대현)이 영화 속에서 보여준 모습을 보면 아내(김지영)을 위해 노력을 많이 했다는 모습이 보이는데 영화 중후반에 김지영이 빙의[6]당해 좀 더 노력하라는 말이 나오는 장면이 나오는데 여기에서도 비판이 많이 나왔다.

원작 작가 조남주는 인터뷰에서 "카페에서 아메리카노 한 잔 사들고 아이를 유모차에 태워 공원에 산책 나갔다가 점심 시간 회사원들로부터 '맘충'이라는 비아냥을 들은 적이 있다. 남성에 비하면 여성 팔자가 좋다는 얘기였다."#고 주장하며 그저 아이를 산책시키기만 해도 맘충이라는 소리를 들었다고 고백한 적이 있다. 그러나 이것이 사실이라 하더라도 보편적으로 모든 엄마들이 맘충이라는 소리를 듣고 산다고 일반화할 수는 없다. 전형적인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이러한 장면이 삽입된 이유는 해당 담화와 관련된 공감을 유도하는 장면을 넣기 위해 억지로 삽입된 가능성이 높다. 맘충이라고 욕한 것에 대해 굳이 저렇게 '평가'하냐고 칭한다든가 하는 것도 부자연스럽다. 심지어 저 맘충 장면도 원작에선 남편이 일하는 오후 시간대에 김지영이 밖에서 혼자 저가 커피를 마셨다는 걸로 들은 소리인데 그런 원작보다도 개연성이 처참하게 떨어지는 수준. 설령 이러한 일들이 실제로 있다고 해도 그건 특정 개인의 일탈 이상으로 해석하기엔 무리가 있다. 그 예로 강남역 살인사건 당시 여성혐오 범죄라는 여성계의 해석에 대해 오간 그 많은 찬반 논란들을 생각해보라.

영화 자체가 지루하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이것은 원작처럼 중심적인 악역이나 극적인 전개나 극단적인 갈등이 없이 오직 김지영을 중심으로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따라가는 방식이다. 이것은 영화의 장점이자 한계인데, 관객 입장에서 특정 캐릭터에 이입하기에 좋으나 이야기를 이끌어나갈 중심 악역이 없어졌다.[7] 단순하게 중심 악역이 있는 플롯이 아니라면 최소한 등장인물끼리 갈등과 충돌을 하며 이야기안에서 팽팽하며 서로의 이해관계, 불완전한 인간적인 면들로 얽혀야 한다. 하지만, 이 작품의 인물들 대부분은 전부 자기 생각들은 안 하고 이타적이며 착하다. 충돌과 갈등이 있긴 하지만 먼저 이해하고 양보하려고 한다. 이러다 보니 인물간의 심층적인 이야기를 선호하는 관객에게는 상당한 지루함을 줄 수 있다.[8] 게다가 기본적인 갈등이 '육아와 경력단절'에 있지만,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며 "현대"의 사회문제와 "과거"의 시대문제를 엮는 과정에서 산만해짐과, 맘충, 몰래카메라 등의 흐름이 매끄럽지 못한 장면들과 어우러져 관람을 방해한다.

공유를 이상적인 남편으로 보이게 만든 것도 함정이다. 정확히는 "이렇게 이상적인 남편도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여성들이 받는 차별을 온전히 다 이해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던지기 위해, 그리고 그 부분을 숨기고 중립적으로 보이기 위해 공유를 선역인 것처럼 보이게 한 것이다. 결국 김지영의 입장에서 보면 다 똑같은 남자일 뿐이라, 아무리 배려한들 그 배려가 유의미한 효과를 내리라고 보장할 수는 없다. 그러니 어차피 남자는 다 똑같다는 메시지 쪽으로 돌렸더라면 최소한 박쥐 소리는 안 들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이 영화에서는 출산을 매우 부정적으로 그린다. 아기를 낳자고 말한 것을 대죄 마냥 표현하고, 축복과 사랑을 받아야할 아기가 여성의 걸림돌이자 남편을 욕할 증거로 묘사된다. 그래서 김지영은 작 내에서 아이에게 미소를 제대로 짓지 않고, 그 대신 아이를 키워야 한다는 의무감에 시달리는 모성애가 결여된 모습만 나올 뿐이다.

뿐만 아니라 김지영에게 추석에 여행을 가자고 하는 정대현의 제안에도 지영은 비아냥대기만 하고, 김지영이 주변인물에게 한마디하면 뒷수습은 대현이 다 하는 모습처럼 대현은 지영에게 상처주지 않으려 매우 노력하는 모습이 보이는데 지영은 빙의를 해가며 네가 지은 죄에 비하면 아직 이걸론 부족하다며 정죄한다. 하지만 지영이 한 노력이라곤 엑스트라들에게 한마디 하는게 끝이다.[9]

또한 지영이 직장을 다시 얻는 게 너무 쉽게 이뤄졌다. 현실의 경력단절 부모들은 아이 때문에 늦게까지 일을 못해서 직장을 구하기가 힘든데,[10] 지영은 직장 상사의 도움으로 쉽게 취직했다. 차라리 빵집 아르바이트 같이 낮에만 일하는 일을 하고 정신과 치료도 받다가, 상태가 나아지고 아영이도 어느 정도 자란 상태에서 새로운 직장을 찾는 결말이었다면 좀 더 현실적이고 개연성도 맞았을 것이다.

그리고 빌런이 모호하다. 핵심적인 위기 절정에 다르게 하는 역할이 없는데, 여기서 나오는 빌런들은 전부 잠깐 쓰다 버려지는 엑스트라들이다. 김지영의 아버지, 공유의 어머니, 불법촬영 카메라 설치 회사원, 그 임원들 등 전부 단역으로 등장해 문제 제기만 하고 쏙 빠지는 엑스트라들이다. 이것이 뭐가 문제나면 사회적인 내용을 다룬 영화라면 무엇이 왜 문제고, 어떻게 해결해야하는지가 들어가야 한다. 근데 이 영화에서는 갈등을 이끌어가는 역할은 없고 여러 단역들이 문제만 일으키고 쏙 빠지기만 한다. "모든 남자들이 문제고 해결법은 나오지도 않는다"는 결론에 도달해버린다.

즉 한국 남자들이 모두 문제인 것처럼 보이게 해야하지만 증거를 내놓지 않고 모든 남자가 그런적은 없는데?라는 식으로 모호하게 도주로를 만들어 풀어간다. 분명히 현 사회에서 이런 여성이 받는 차별과 젠더 갈등은 사회제도의 문제라는 분명한 이유가 있음에도 오직 남자들에게만 분노를 쏟게 만드는 기법을 사용했다는 점도 문제이다.


8. 흥행[편집]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19년 42주차

2019년 43주차

2019년 44주차
말레피센트 2
82년생 김지영
터미네이터: 다크 페이트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10,371명
10,371명
미집계
92,133,000원
92,133,000원
1주차
2019-10-23. 1일차(수)
138,761명
1,400,856명
1위
1,105,980,170원
11,921,442,570원
2019-10-24. 2일차(목)
142,022명
1위
1,133,884,510원
2019-10-25. 3일차(금)
190,953명
1위
1,676,980,610원
2019-10-26. 4일차(토)
330,880명
1위
2,966,201,180원
2019-10-27. 5일차(일)
307,501명
1위
2,730,734,870원
2019-10-28. 6일차(월)
142,426명
1위
1,139,061,220원
2019-10-29. 7일차(화)
148,313명
1위
1,168,600,010원
2주차
2019-10-30. 8일차(수)
247,335명
1,264,203명
2위
1,467,302,730원
9,985,016,920원
2019-10-31. 9일차(목)
158,313명
1위
1,187,240,770원
2019-11-01. 10일차(금)
169,103명
2위
1,459,402,130원
2019-11-02. 11일차(토)
278,906명
2위
2,447,526,820원
2019-11-03. 12일차(일)
234,381명
2위
2,038,384,690원
2019-11-04. 13일차(월)
89,465명
2위
704,082,830원
2019-11-05. 14일차(화)
86,700명
1위
681,076,950원
3주차
2019-11-06. 15일차(수)
87,153명
589,625명
1위
681,525,850원
4,968,124,830원
2019-11-07. 16일차(목)
69,212명
2위
544,141,720원
2019-11-08. 17일차(금)
83,234명
2위
726,766,190원
2019-11-09. 18일차(토)
144,805명
3위
1,287,100,790원
2019-11-10. 19일차(일)
114,576명
3위
1,011,277,300원
2019-11-11. 20일차(월)
46,802명
2위
371,770,380원
2019-11-12. 21일차(화)
43,843명
2위
345,542,600원
4주차
2019-11-13. 22일차(수)
36,932명
272,069명
3위
289,372,320원
2,247,821,110원
2019-11-14. 23일차(목)
37,769명
3위
290,598,000원
2019-11-15. 24일차(금)
41,070명
3위
344,887,270원
2019-11-16. 25일차(토)
61,013명
3위
534,908,300원
2019-11-17. 26일차(일)
50,430명
3위
438,759,110원
2019-11-18. 27일차(월)
22,463명
3위
175,902,650원
2019-11-19. 28일차(화)
22,392명
3위
173,393,460원
합계
누적 관객수 3,571,534명, 누적 매출액 29,423,268,070원[11]

손익분기점은 160만명으로 추정된다.

같은 주에 개봉하는 영화는 더 킹: 헨리 5세, 람보: 라스트 워, 빅트립: 아기팬더 배달 대모험, 체크 히어로(이상 2019년 10월 23일), 4X4, 경계선, 그 옛날 집, 더 팩토리: 최후의 협상, 메신저, 버스데이 원더랜드, 스노우 화이트, 시크릿 슈퍼스타, 워 이베이젼, 웰컴 투 스웨덴, 퍼펙트 스트레인저(이상 2019년 10월 24일)까지 총 16편이다.

'흥행'에 있어서는 영화의 완성도와 별개로 소위 영혼보내기로 재미를 본 걸캅스처럼[12] 손익분기점은 안정적으로 넘길 수 있다는 평이 있다. 또한 개봉관 밀어주기와 언론의 유례없는 대대적인 홍보 등에 힘입어 개봉 8일차에 160만을 넘기면서 이미 손익분기점을 돌파하고 18일차에 300만을 돌파했다. 워낙에 원작이 페미니즘 대표라는 상징성을 가지면서 이슈를 많이 몰았고, 흥행성 있는 배우와 연기력 그리고 영화의 완성도가 걸캅스보다는 나은 편이라는 점도 어느 정도 작용했다. 개봉 26일차엔 344만명 정도로 흥행세가 주춤해졌다.

  • 개봉 전
개봉 1주일 전부터 예매율 4위에 올랐고, 개봉일 2일 전부터 롯데시네마, CGV에서 예매율 1위를 기록했다. 경쟁작 말레피센트 2는 <82년생 김지영> 개봉일 2일 전인 21일에도 20만 9천여 명이 관람했다. 21일 82년생 김지영의 예매표수는 영화 전산망 자료 기준 5만 9천여 명이다.

  • 1주차
개봉 3일차까지 박스오피스, 예매율 1위를 기록했다. #
  • 2주차
10월 30일에 160만명을 돌파하며 손익분기점을 넘겼다. # 18일차에 300만을 돌파했다.


9. 원작과의 차이점[편집]


  • 원작은 김지영의 유년기부터 결혼 이후까지 시간 순으로 사건의 나열로 전개되지만, 영화에서는 직장을 그만 둔 이후 위주로 진행되고 과거씬은 대부분 회상으로만 전개된다.

  • 학창시절 바바리맨을 경찰에 신고한 사람이 학교 일진이 아니라 김지영의 언니 김은영으로 나온다.

  • 원작에서는 김지영이 다니던 회사 내 화장실 불법촬영 사건을 김은실이 공론화하고 이에 공분해 퇴사 후 새로 회사를 차리지만, 영화에서는 사건 이전부터 새로 회사를 차릴 계획이 있었고 이후 사건 공론화 과정은 생략되었다.


  • 원작에서는 김지영을 상담하는 정신과 의사가 남성이지만, 영화에서는 여성이다. 이와 더불어 원작 말미에 전개되는 김지영의 담당 정신과 의사 이야기가 생략되었다.

  • 원작에서는 김지영이 유년기 시절 함께 살던 할머니가 친할머니이지만, 영화에서는 외할머니이다.

  • 원작에서는 김지영이 맘충이라는 소리를 듣고 아무말도 못한 채 아이가 우는 줄도 모르고 집으로 곧장 돌아오지만, 영화에서는 맘충이라는 비난을 한 당사자에게 당당하게 항변하며 돌아오는 길에 유모차를 멈춰세우고 우는 아이를 달래준다.

  • 퇴직 이후 아르바이트 이외 다른 구직을 완전히 포기한 원작과는 달리, 영화에서는 김은실의 새 회사 입사를 고민하며 남편 정대원의 육아휴직을 고려한다.

  • 원작에서는 김지영의 딸의 이름이 지원이지만, 영화에서는 아역 배우의 몰입을 위해 아기의 본명인 아영으로 변경했다. 지원이라고 부르면 쳐다보지 않아서 바꿨다고.

  • 원작에서는 김지영의 졸업식날 휴업을 할지 저녁 장사만 할지 고민하는 사람이 김지영의 아버지이지만, 영화에서는 김지영의 어머니가 이 고민을 하며 아버지는 타박만 준다.

  • 원작에서는 김지영의 남동생 이름이 나오지 않고, 만년필에 관한 이야기도 없다.

  • 현실과 달리 이 영화 세계관에서는 <82년생 김지영>이라는 소설을 김지영 본인이 집필한 것으로 나온다. 하지만 실제 원작은 수필이나 자서전이 아닌 엄연히 창작 소설이다.


10. 반응 및 사회적 여파[편집]


파일:82년생김지영성비.jpg

페미니즘 영화답게 개봉 첫날 영화를 관람한 관객들의 대부분이 20, 30대 여성이다. 반면 영화를 관람한 남성들의 비율은 20%도 되지 않는다. 2019년 11월 14일 오전 네이버 영화 기준 성별·나이별 관람추이 기준으로는 남성 28% 여성 72%으로 남성 비율이 다소 높아진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여성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남성들의 공감은 얻지 못하고, 여성들의 공감만을 크게 얻는 상황으로 심지어 부부나 커플들간의 갈등과 싸움을 유발했다는 이야기들도 곳곳에 보인다.#, #2 관객 수가 늘수록 공감보다는 사회적 갈등에 더 불이 붙는 모양세이다.#

원작 소설이 많은 논란을 일으킨 소설인 만큼, 영화화 소식에 대해서도 많은 갑론을박이 오갔다. 청와대 국민청원에 '소설 <82년생 김지영>의 영화화를 막아주세요.'라는 청원이 올라오기도 했다. 국민 청원까지 등장한 '82년생 김지영' 영화화…정유미 '곤욕'

특히 여초와 남초의 반응이 당연하게도 극심하게 갈렸는데, 남초 커뮤니티 대부분은 부정적이며 반대로 여초 커뮤니티 대부분 우호적이고 특히 래디컬 페미성향의 쭉빵카페, 여성시대 등의 반응은 남초의 반응과 극과 극이다.[13]

제작 발표 이후 얼마 되지 않아 왓챠, 네이버 영화, 다음 영화 등에 해당 영화 항목이 개설되었다. 이 땐 아직 영화가 나오기까지 꽤 남았음에도 불구 원작 소설이 한국내에서 페미니즘계 주류 서적이기 때문인지 사이트와 사이트 이용자의 성향에 따라 평가가 극단적으로 나뉘어졌다.

사전 평가에선 2018년 9월 30일 기준으로 왓챠와 네이버 영화에선 각각 10점기준 3점/4.35점으로 5점에도 미치지 못하는 등 꽤 낮은 편인 것에 반해 다음 영화에선 6.8점으로 7점대에 육박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가 나왔는데 실제로 네이버 주류 이용자 성향이 페미니즘에 대한 관심이 적거나 적대적인 경우가 많고 다음은 여성시대같은 페미니즘 성향으로 유명한 카페가 많은걸 고려하면 사이트별 이용자 성향이 어느 정도 드러난 셈.[14]

정유미가 김지영 역으로 낙점되자 페미니스트들은 팬심을 표하며 환영했고, 반대로 캐스팅에 대해 부정적인 기존 팬층의 일부와 반페미니즘 성향의 사람들은 정유미의 SNS 계정에 들어가 사이버 불링을 했다. 그런데 약 2년 전 유아인 사이버 불링 사건 전개 중에 정유미는 유아인이 출연한 영화 '버닝'을 홍보했다는 것만으로 여초 커뮤니티들의 이용자들로부터 SNS 테러를 당한 적이 있다. 즉, 정유미는 2년도 안 되는 사이 반대의 진영으로부터 옹호와 비난을 번갈아 받았다는 뜻이다. 덧붙여, 일부 여초 커뮤니티로부터 반페미니스트로 몰려 사이버 불링을 당하는 유아인도 페미니즘 자체는 옹호하며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라 말하는데, 개봉 전 이 영화를 사람들이 펼치는 이야기로서 있는 그대로 보자는 내용을 골자로 추천글을 쓴 바 있다.#

영화 개봉전에는 정유미가 이 영화에 출연하는 것에 대하여 비판 의견이 있었다. 원작 소설이 페미니스트들에게 추앙받았던 점 때문에 많은 비판을 받았고, 성대결 구도가 한창 불붙는 시기에 영화화 소식이 발표되었으며, 정유미 본인도 원작을 감명깊게 봤으며 성대결을 부추긴다는 논란을 이해할 수 없다는 인터뷰를 하는 등 원작의 메시지에 적극적으로 동조하였기 때문. 즉, 영화화 소식이 알려지자 원작 소설에 대한 비판 여론이 정유미의 출연 결정에 대한 비판 여론으로 고스란히 이어지게 되었다.


10.1. 네이버 영화 성별 평점 전쟁[편집]


파일:145844741.png

출처

2019년 10월 23일 한국시간 9시부터 평점 등록이 시작되자마자 성별 네티즌 평점이 극단적으로 갈렸다. 2019년 5월에 개봉한 걸캅스와 유사한 평점 흐름을 보였다. 한국경제신문, 오마이뉴스, 세계일보 등 여러 언론사에서 82년생 김지영의 평점 흐름이 걸캅스와 유사하다고 지적했다. 기사1 기사2 기사3 기사4 기사5

2019년 10월 31일 오전 기준으로 남성의 네이버 영화 평점 네티즌 평점 기준으로는 2.55점 여성의 평점은 9.52점이라는 극단적인 차이를 보인다. 그나마 원작보다는 페미니즘적 성대결 양상이 원작보다 약화된 탓으로 개봉 직후 1점대에서 2점대 중반까지 상승한 것. 1주차이기는 하지만 남성들의 평점도 가면 갈수록 상승하는 추세였다. (동일한 성별 전쟁이 발생한 걸캅스의 남성 평점은 10월 29일 기준으로 2.00점이다.) 허나 이 영화를 관람할 정도의 남성 페미니스트이기에 평점이 높다는 반론도 있다. 게다가 이 영화는 영화가 종료되기도 전에 10점 평점을 받은, 소위 영혼 보내기가 적용된 영화다. 때문에 지나치게 많은 낮은 1점과 높은 10점 둘다 영화를 보지 않고 진영 논리에 따라 영화를 판단했을 공산이 있다. 관람객 평점은 남성 8.66점 여성 9.30점으로 차이가 크지 않다.[15] 단, 영화를 보고 간다는 점부터 영화에 대한 관심이 표현되는 것이므로 평균적으로 평점이 높은 것도 감안해야 한다. 네이버 영화의 명대사 항목에는 이 영화와 페미니스트를 조롱하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10.2. 김나정 리뷰 논란[편집]


해당 문단 참고.


10.3. 더불어민주당 논평 철회 논란[편집]


더불어민주당 청년대변인 장종화가 이 영화에 대한 감상평을 더불어민주당 논평 게시판 누리집 갈무리에 올렸다가 논란이 일었다. 그러자 더불어민주당 측에서는 공식적인 입장과는 다르다면서 글을 삭제하였다. # 이하 전문.
【 감상평 전문 펼치기 】
영화 82년생 김지영 개봉 일주일이 지났다. 이 영화는 개봉 전부터 이미 수많은 논란과 비판의 대상이 되어왔다. 주연을 맡은 배우 정유미와 공유는 단지 배역을 맡았다는 이유로 욕을 먹어야 했다. 영화의 존재 자체가 소위 '페미니즘'의 상징이 되고 공격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우리 사회가 들여다보아야 할 문제는 그 지점이 아니다.
김지영이 겪는 일들을 일반화할 수는 없다. 이 사회의 모든 여성이, 특히나 영화의 제목처럼 82년생 여 성이 모두 김지영의 경험을 '전부' 공유한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우리는 알고 있다. 몰카 적발 뉴스는 오늘도 하루가 멀다 하고 터져 나온다. 육아는 여전히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김지영이 겪었던 일 중에 한두가지는 우리 모두 봤거나, 들었거나, 겪었다.
이는 거꾸로 '82년생 장종화'를 영화로 만들어도 똑같을 것이다. 초등학교 시절 단순히 숙제 하나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풀스윙 따귀를 맞고, 스물둘 청춘에 입대하여 갖은 고생 끝에 배치된 자대에서 아무 이유 없이 있는 욕 없는 욕은 다 듣고, 키 180 이하는 루저가 되는 것과 같이 여러 맥락을 알 수 없는 '남자다움'이 요구된 삶을 살았다.
영화는 '이렇게나 우리가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고, 이해하려하지 않는 삶을 살고 있구나.'하는 점을 보여준다. 김지영을 통해 우리가 깨달아야 하는 것은 성별과 상관없이 우리가 얼마나 서로의 입장과 생각을 제대로 마주하지 않으며 살아왔나하는 점이다.
멀쩡히 직장을 다니다 출산과육아로 인해 일을 그만두고 집에서 오로지, 또 오롯이 아이와 24시간을 보내는 삶이 365일 이어질 때. 사람은 혼자서는 살 수 없다고 하지만 혼자만의 시간은 필요한 법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런 육아의 삶을 제대로 마주해주지 않았다.
함께 집안일을 하고, 아이를 키우고 싶지만 대출, 앞으로의 교육비 걱정과 직장에서 육아휴직의 빈 자리에 대한 부담을 온몸으로 받아내야 하는 처지일 때. 아이 함께 키우라고, 육아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일이라고 하지만 돌아갈 책상은 사라져 있다. 우리는 그렇게 과로한 노동을 강요해왔다.
그 불합리함을 뚫고 나온 것이 자랑이 되어 여기저기서 'Latte is horse'를 외치고 있다. 틀렸다. 그 어려움 뚫고 온 당신, 존중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느꼈던 옳지 않은 모습들은 고쳐야 할 것들이지 이어가야 할 것들이 아니다. 김지영 같은 '세상 차별은 혼자 다 겪는' 일이 없도록 우리 주변의 차별을 하나 하나 없애가야 할 일이다. 우리사회 모두가 함께 고민해야 할 일이다. 당신과 나는 서로 죽도록 미워하자고 태어난 것이 아니지 않은가?
2019년 10월 31일 더불어민주당 청년대변인 장종화


결국 이 감상문은 11월 3일 더불어민주당의 "당의 공식적인 입장과 다른 점이 있어 철회한다"는 이유로 내려갔다. 비슷한 과정을 거친 바 있던 대구시의원 홍준연이 결국 더불어민주당에서 제명된 전례가 있기에 장종화 역시 제명당하는 거 아니냐는 의견도 나왔다. 11월 5일 정의당 정치네트워크 진보너머에서 장종화를 지지하고 민주당을 비판했다.# 특히 친문 성향 사이트 중 가장 활성화된 루리웹북유게에서도 반발이 극심했는데, "논평이 남성우월을 주장하는 것도 아니고, 객관적으로 논평을 내보내서 다른 사람들도 '민주당에서 이런 논평도 나오네?'라면서 좋아했는데 왜 니네 멋대로 페미표 때문에 논평을 철회하냐?!"면서 민주당을 비난했다.[16] 대체적으로 청년들의 입장을 대변하라고 뽑아놓은 청년대변인이 제 할 일을 했을 뿐인데 나이 먹은 사람들이 이를 비판하고 있다는 부정적인 의견이 많다.


11. 기타[편집]


  • 주연 정유미 본인은 빠른 1983년생이여서 82년생 김지영과 동시기를 경험해본 인물이다. 사실 이 영화를 찍을 때 정유미를 캐스팅한 것도 여기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 정유미는 82년생 김지영 출연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언급을 하지 않다가 영화 개봉이 다가오자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82년생 김지영은) 내가 해야할 이야기'라고 밝혔다. 또한 젠더 논란이 생긴다는 게 이성적으로 이해되지 않는다고 이야기하며 82년생 김지영 소설도 영화도 젠더 갈등을 이야기하는 작품이 아니라는 의견을 내었다. 기사, 인터뷰 또한 "82년생 김지영의 시나리오에 자연스럽게 이끌렸다."면서 영화를 공유하고 진심을 전달하는 것이 자신이 해야할 일이라고 말하였다. #

  • 정유미는 시나리오를 읽고 한동안 아무 말도 못 하고 가만히 있었을 정도로 큰 감동을 받았다고 한다. # 또한 영화에 출연하게 된 것을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말하였다. #


  • 남편이 공유고 아내가 정유미라는 비주얼이 좋은 배우들에 집도 좋은 집이라서, 지상파의 기획의도만 좋은 주말 드라마들처럼 허황됐다란 날선 반응도 있다. 입으로는 타자화[17] 하지말라면서 떠들지만 결국 예쁘고 잘생긴 배우에 이미지를 의존하는 게 위선적이란 비판도 있다.

  • 영화가 개봉하기 전 톱스타인 공유가 주연인 점, 원작 소설이 파급력이 컸고 책을 1년에 1권도 잘 읽지 않는 한국에서 100만 부가 팔린 베스트셀러인 점, 한국의 영화라는 매체에 대한 접근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18] 영화 개봉 시 원작 소설 이상의 파급력을 가지고 흥행에 성공할 것이라는 의견과 10월에 개봉하는 조커(2019), 말레피센트 2, 터미네이터: 다크 페이트 같은 파급력이 높은 영화들이 많아 어떤 결과가 나올지는 확실치 않다는 의견으로 나뉘었다. 다만 걸캅스도 개봉 전 걸복동이라고 무시받은 평가와 달리 어벤져스 등 경쟁작들이 만만치 않았음에도 여초 사이트 등의 영혼 보내기 같은 압도적인 지지로 인해 손익분기점을 달성했는데 하물며 페미니즘 성서로 여겨지는 82년생 김지영을 영화로 만들었으니 경쟁작이 뭐든 상관없이 흥행할거라는 전망도 나왔고 실제로도 경쟁작과는 무관하게 1위를 차지했다.

  • 2019년 5월에 개봉한 걸캅스는 앞서 젠더 갈등을 유발한 영화로 많은 잡음을 만들었다. 게다가 최고봉이나 마찬가지인 82년생 김지영이 개봉하면 더할 나위도 없이 영혼 보내기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표사재기 같은 주작과 사상대립으로 분위기가 험악해 지지 않겠냐고 걱정하는 의견이 많았고 영화가 개봉한 후 우려는 현실이 되었다. 영화 평점란은 남녀간의 전쟁터로 변하였고, 오프라인에서도 영화를 둘러싼 남녀간의 갈등 사례가 적지않게 들려왔다. #, #, #

  • 정치권에서도 여성가족부 장관 이정옥을 필두로 82년생 김지영을 내세운 언론플레이를 하기 시작해서 영화가 본격적으로 개봉하면 젠더전문관, 총선을 의식하는 정치인들의 관람쇼를 위시한 프로파간다로 정치 쟁점화가 될 거 같단 우려가 많다.[19]

  • 원작 소설은 2016년에 발매되었는데, 2016년 기준 82년생은 35세 여성 즉 비교적 젊은 여성 축에 속하는 나이였지만, 2022년 기준 82년생은 불혹을 넘긴 나이가 된다. 개봉월이 10월이니 이제 정말 불혹에 거의 가까운 나이의 여성이다. 따라서 소설이든 영화든 뭔가 상황이나 줄거리가 어색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 있다.[20]
다만 페미니즘 소설이 원작인 걸 감안하면 영화의 주 타겟층은 주로 20대 여성과 30대 초반 연령대 여성들로 볼 수 있다.[21] 82년생 김지영 소설이 다루는 실제 1980년대 초반 출생 여성들이 많은 맘카페나 82쿡 같은 여초 사이트에서 원작 소설에 대한 반응이 다소 엇갈리는 데 반해 20대, 30대 초반의 여성들은 한 목소리로 열광했던 소설이라 실제 82년생 여성들이 괴리감이 조금 있다 할지라도 흥행엔 영향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

  • 시사회 당시 정유미는 상대 배우 공유에게 무대 올라가게 손잡아 달라는 제스처를 취한 것에 대해 논란이 있었다. 영상 다만 정유미가 갑자기 손을 잡아달라고 한 것은 아니고 그 전에 공유가 정유미가 내려올 때 먼저 손을 잡아줬다. 공유가 카메라와 조명이 있으니까 해주는 거라고 말한 것에 대한 장난스러운 제스처인 것. 물론 까던 쪽도 우리도 한번 불편해 보자 이상의 주장은 아니었다.

  • 위에 언급된 젠더 갈등 사례와 맞물려 영화관 내 포스터를 구겨서 붙인 사례가 몇 차례 적발되었다.

  • 개봉 타이밍을 잘 잡은 편이다. 동시기에 개봉하는 작품들 중 티켓이 몰리는 화제작이 없기 때문.

  • 개봉 이후 페미니즘 진영에선 블로그 등을 중심으로 여론 몰이에 열중하는 모습이다. #[22]

  • 안정환의 아내 이혜원이 관람 소감으로, "남편도 모르는 이야기"라며, 호평을 했는데 개인적으로 논란이 되었다. 안정환은 해당 문서 생애 부분을 보면 알겠지만 이혜원과는 천지차이로 불우하고 가난한 가정에서 힘겹게 자라 자기 힘으로 스포츠 선수로 대성한 인물이다. 소설 속 김지영보다 수십배 더 힘들고 어렵게 살았다.[23] 그걸 충분히 알고 있을 와이프란 사람이 저런 소리를 해버린 것. 그것도 모자라 2002 한일 월드컵 당시에 이탈리아전에서 결승골을 넣었다는 이유로 이탈리아 훌리건들에게 살해 협박을 받은 것도 모자라, 굉장한 차별대우를 받았다. 게다가 이혜원 본인도 면전에서 들은건 아니지만 안정환이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뛸 당시 상대팀 여성팬에게 성적 모욕을 당했다는 것을 생각해본다면...

  • 정치인으로는 거의 유일하게 정의당 대표 심상정이 관람 인증을 한 것으로도 모자라 아예 관객과의 대화까지 하였다. 심상정은 눈물을 흘리며 영화를 보았다며 극찬을 하였다.

파일:심상정김지영.jpg

  • 정의당은 '82년생 김지영에 대한 거부 반응은 페미니즘에 대한 공격'이라면서 82년생 김지영 영화에 대한 비판을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과 동일시하였다. 또한 영화의 원작 소설이 한동안 한국 사회 성평등 감수성의 지표 역할을 하였다고 극찬하며 페미니스트란 말이 낙인이 되지 않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 허나 워마드를 필두로 하는 반사회적 성격을 지닌 페미니즘 사이트 유저들의 사건사고들에 대해 여전히 함구한다.

  • 본인이 페미니스트임을 선언한 가수 핫펠트가 82년생 김지영을 보고 본인이 많이 마주친 김지영들이 생각나서 많이 울었다며 관람평을 남겼다. 또한 동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여성들을 응원한다는 말을 덧붙이기도 하였다. #

  • 수지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우리 모두의 이야기 #82년생김지영"이라는 글과 함께 영화의 포스터를 게재하면서 영화를 응원했다.기사

  • 최우식 또한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82년생 김지영 많이 사랑해주세요. 정말 슬프고 재미있고 아프고.." 라는 글과 무대인사 사진을 게재하며 영화를 응원하였다.기사

  • '82년생 박아라'라는 에로 영화로 패러디되었다. 다만 제목만 그렇고 전체적인 내용의 레퍼런스는 바로...[24]


  •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아라키 테츠로는 이 영화를 보고 "자신도 한 사람의 남편으로서 시험을 당하는 기분"이라고 말하면서 깊은 생각을 하게 해주는 좋은 영화라고 호평하였다.

  • 일반인들은 82kg 김지영, 82톤 김지영[25]으로 비아냥 대고, 심지어 586 세대들조차도 이 영화는 선을 넘었다고 주장하기도...[26]



12. 둘러보기[편집]


2019년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펼치기 · 접기 ]
>
주차
제목
국가
관객수
매출액
1주차
(12/31~01/06)
아쿠아맨
미국
4,544,371명
39,845,206,829원
2주차
(01/07~01/13)
말모이
대한민국
1,184,919명
10,067,025,631원
3주차
(01/14~01/20)
2,224,568명
18,817,171,743원
4주차
(01/21~01/27)
극한직업
대한민국
3,139,563명
27,528,787,550원
5주차
(01/28~02/03)
7,294,557명
62,159,629,943원
6주차
(02/04~02/10)
12,838,863명
111,351,109,972원
7주차
(02/11~02/17)
14,536,241명
125,395,819,566원
8주차
(02/18~02/24)
사바하
대한민국
1,176,175명
9,995,969,613원
9주차
(02/25~03/03)
2,148,501명
17,856,009,134원
10주차
(03/04~03/10)
캡틴 마블
미국
3,036,626명
27,208,883,210원
11주차
(03/11~03/17)
4,600,122명
41,156,416,209원
12주차
(03/18~03/24)

대한민국
1,536,397명
13,578,806,849원
13주차
(03/25~03/31)
2,669,637명
22,794,215,062원
14주차
(04/01~04/07)
샤잠!
미국
500,650명
4,410,091,671원
15주차
(04/08~04/14)
생일
대한민국
761,774명
6,401,312,431원
16주차
(04/15~04/21)
1,066,140명
8,894,947,630원
17주차
(04/22~04/28)
어벤져스: 엔드게임
미국
6,308,048명
54,355,659,450원
18주차
(04/29~05/05)
10,952,315명
95,028,901,150원
19주차
(05/06~05/12)
12,799,532명
111,768,526,730원
20주차
(05/13~05/19)
악인전
대한민국
1,480,292명
13,131,127,780원
21주차
(05/20~05/26)
2,761,916명
24,346,634,130원
22주차
(05/27~06/02)
기생충
대한민국
3,367,064명
29,187,501,218원
23주차
(06/03~06/09)
7,022,118명
60,343,405,745원
24주차
(06/10~06/16)
알라딘
미국
5,325,767명
45,417,350,029원
25주차
(06/17~06/23)
6,799,704명
58,253,286,779원
26주차
(06/24~06/30)
8,271,797명
70,606,442,339원
27주차
(07/01~07/07)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미국
4,522,056명
39,009,505,110원
28주차
(07/08~07/14)
6,685,837명
57,716,573,840원
29주차
(07/15~07/21)
라이온 킹
미국
2,275,556명
20,600,603,360원
30주차
(07/22~07/28)
3,706,693명
33,232,856,780원
31주차
(07/29~08/04)
엑시트
대한민국
2,960,177명
24,716,098,165원
32주차
(08/05~08/11)
5,778,527명
48,603,792,902원
33주차
(08/12~08/18)
분노의 질주: 홉스&쇼
미국
2,030,128명
18,241,543,485원
34주차
(08/19~08/25)
2,965,558명
26,489,229,803원
35주차
(08/26~09/01)
변신
대한민국
1,499,360명
12,846,127,862원
36주차
(09/02~09/08)
유열의 음악앨범
대한민국
1,117,413명
9,159,970,440원
37주차
(09/09~09/15)
나쁜 녀석들: 더 무비
대한민국
2,680,930명
23,849,081,684원
38주차
(09/16~09/22)
3,906,769명
34,253,154,024원
39주차
(09/23~09/29)
장사리: 잊혀진 영웅들
대한민국
689,707명
5,499,840,740원
40주차
(09/30~10/06)
조커
미국
2,199,816명
19,352,854,910원
41주차
(10/07~10/13)
3,847,422명
33,491,311,420원
42주차
(10/14~10/20)
4,548,651명
39,508,226,580원
43주차
(10/21~10/27)
82년생 김지영
대한민국
1,119,908명
9,701,289,220원
44주차
(10/28~11/03)
2,498,957명
20,556,406,590원
45주차
(11/04~11/10)
신의 한 수: 귀수편
대한민국
1,070,965명
9,355,600,720원
46주차
(11/11~11/17)
블랙머니
대한민국
1,050,321명
9,087,260,020원
47주차
(11/18~11/24)
겨울왕국 2
미국
4,437,734명
38,024,959,800원
48주차
(11/25~12/01)
8,583,474명
71,678,431,960원
49주차
(12/02~12/08)
10,698,101명
89,382,447,120원
50주차
(12/09~12/15)
12,078,017명
100,882,962,220원
51주차
(12/16~12/22)
백두산
대한민국
2,459,257명
21,208,507,630원
52주차
(12/23~12/29)
5,742,654명
48,537,650,400원
본 자료는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의 주간 박스오피스 집계 자료를 출처로 하고 있으며, 관객수와 매출액은 주마다 갱신된 총 수를 기준으로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9 08:50:27에 나무위키 82년생 김지영(영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박지영, 곽희진이 공동대표. 각각 싸이더스 마케팅부 직원, 삼화네트웍스 직원이었다가 퇴사 후 영화사를 설립했다.[A] A B 도가니, 부산행에서도 주연으로 출연하였다.[2] 친정어머니 '미숙' 역 배우와 동명이인.[특별출연] A B [3] 원작 소설이 흥했던 건 그들이 그 시대를 겪어본 인물이었다거나 그 책이 진짜 스테디셀러급 명문이라기보다는, 페미니즘을 지지하는 젊은 여성들이 그냥 페미니즘 계열에서 유명한 책이라 접근했거나 실제 경험이나 팩트 여부는 상관없이 소설에서의 여성 주인공에 대한 감정이입에 의한 공감으로 흥행한 책이다.[4] 당연한 것이, 사실 2019년대 기준으로도 20~30대보다는 오히려 50~60대 혹은 그 이상이 과거 저조했던 여권의 피해자였던 입장인 경우가 많다. 2019년 기준 20~30대는 유소년기 시절부터 이미 여권이 향상되어 1960~70년대 여성들에 비해 훨씬 나은 삶을 살았음을 부정할 수 없다. 말인즉 현 세대의 성차별 문제는 과거에 비해서는 훨씬 완화되었다는 것이다. 당장 교육 문제만 봐도 50~60대는 경제적 문제나 남자 형제에게 교육 지원 몰아주기 등으로 인해 고등교육기관 진학률이 낮았다. 그러나 20대는 물론이고 30대도 남녀 할 거 없이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에의 진학률이 높아서 오히려 고학력자가 넘친다는 말이 돌 정도이다. 즉 교육 기회에서부터 성차별이 크게 줄었다. 그외에도 성차별이 교육 환경에서 확실히 줄어들었으며 사회적으로도 여성을 수혜자로 삼는 제도들이 생각보다 훨씬 많다.[5] 여성의 성상품화 관련 내용에 대해 예민하면서도 찌찌파티 등 자기들이 보이는 남성의 성 상품화에 대해선 성 상품화가 아니라고 하는 내로남불적 행동 등.[6] 작 속에서 빙의라는 도구는 감독이 형광펜 긋는듯이 직접적으로 메시지를 전하려는 도구라는 의견도 있다. 허나, 비현실적인 도구이기 때문에 적절한 도구로는 보기 힘들다. 차라리 다른 장치를 통해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호소력 면에선 더 나았을 것이다.[7] 그나마 시어머니가 대부분의 경우 갈등의 시발점이자 악역의 형태로 묘사된다.[8] 헐리우드나 한국 영화의 방식이 아닌 것은 영화적 비판점이 될 수는 없겠지만, 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줘야 하는 대중적인 접근에서는 분명 마이너스다. 드라마라는 장르 특성을 말하며 무조건 찬성하는 의견은 영화 평론의 학술적 접근에서 문제가 있다. 관객들이 드라마를 보려 온다 하더라도 부실하거나 산개한 애피소드, 심심한 인간관계 등이 플롯이 전부 용인되는 것은 아니다. 훌륭하고 탄탄한 플롯을 가진 완성도있는 드라마 영화들도 분명히 많기 때문이다. 게다가 평론가들 또한 이 영화의 문제점은 그런 산개한 플롯과 에피소드 형식에 있다고 지적한다. 그러므로 비판점이 될 수 있다.[9] 이 때문에, "남편 정대현은 김지영 뒤치다꺼리를 다 하는 등으로 헌신적인데 김지영 혼자 정신병 걸려 남편 괴롭히는 영화."라는 부정적 평가도 있다.[10] 현실의 경력단절 여성들은 굉장히 힘들게 살고, 경력단절이 아니더라도 남편이나 친척 간의 갈등, 경제적 부담 등 여러 문제를 겪을 수 있는데 지영의 문제는 너무 비현실적인 방법으로 해결되었다는 것.[11] ~ 2019/11/21 기준[12] <82년생 김지영> 역시 평일 낮처럼 보통 영화관에 사람이 없을 시간인데도 거의 매진이 되었는데 정작 감상하러 찾아가자 텅텅 빈자리가 여기저기 널려있는 경우가 있다.[13] 참고로 2019년 기준 여성시대의 가입 가능 나이 범위는 1980년생~2000년생이다. 김지영 세대(1981~1985년으로 추정)도 당연히 포함되긴 하나 소수로 추정되고, 원래 20대 페미니스트 여성이 주축인 사이트이다.[14] 다만 네이버 역시 여성시대/쭉빵카페와 차이가 없을 정도로 페미니즘 성향이 강한 대형 여초 커뮤니티가 존재한다.[15] 자주 비교되는 걸캅스는 남성과 여성 관람객의 점수차가 1점을 넘는다.[16] 루리웹은 게시판을 불문하고 친문 성향이긴 하지만 문재인에게 불리하게 작용될 수 있는 행위를 저질렀다고 판단되면 민주당도 가차없이 비판한다. 페미니즘에는 적대적인 성향을 보이긴 하지만 안티페미협회를 비롯한 극단적 반페미, 반여성 세력은 보수 지지 성향을 보이는 이유로 배척하고, 문재인 정부의 친페미니즘 정책에 대해서는 꾸준히 지지 성향을 보여준다.[17] 타자화는 특정 대상을 말 그대로 다른 존재로 보이게 만듦으로써 분리된 존재로 부각시키는 말과 행동, 사상, 결정 등의 총집합이다. 요새는 여초 사회나 페미 계열에서 여성을 타자화하지 말라는 주장이 많이 나온다. 참고글[18] 한국은 2017년 기준 연간 1인당 영화 관람 횟수 4.2회로 세계 2위였는데다, 2018년에도 횟수가 줄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4.18회로 한국에서 영화라는 매체의 접근성은 굉장히 높다는 걸 알 수 있다.[19] 비슷한 예로 박근혜 정부 시절, 영화 국제시장을 관람한 것이 있다.[20] 20대와는 다르게 30대는 인생의 사이클에 있어 중반과 후반이 매우 다른 성격을 띤다. 가정이든 직장이든 위치가 많이 달라지며, 35세에 미혼이었다 하더라도 30대 후반에 기혼으로 상황이 변한 사람도 있고 직장에서도 이제 슬슬 중간직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위치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부분 부모가 30대 후반에는 대부분 은퇴하며 부양이 필요하거나 혹은 병에 걸려 본인이 수발하거나 부양해야 할 상황도 오기 때문에 훨씬 인생의 여유가 없어진다. 기혼에 자녀가 있다면 더더욱.[21] 물론 30대 후반 여성이나 40대 여성까지도 페미니즘에 관심이 결코 낮은 건 아니며 10대 여성도 20대 못지 않게 페미니즘에 열광적이다. 애초에 이 영화의 주 소비계층 자체가 연령대에 상관없이 한국 여성 전체에 해당한다.[22] 해당 블로그는 영화 리뷰를 주된 컨텐츠로 삼는 방문자 100만, 이웃 1.2만 이상의 블로거인데 82년생 김지영 관련 포스팅들을 보면 영화를 비평하는 남성들을 죄다 '찐따', '개쭈구리'라는 모욕적인 단어를 사용하여 댓글에 수백개 이상의 갑론을박이 오고갔다. 조금이라도 블로그 주인의 리뷰에 비평하는 댓글을 남겨도, 객관적 자료 등을 제시해도 남성혐오적 답글을 달거나 전부 삭제 및 차단을 하고 여성을 두둔하고 영화에 공감했다는 의견의 댓글만 남겨두는 등 이기적인 모습을 보인다. 네이버 블로그의 고질적 문제점 중 하나.[23] 요약하면 아버지는 어렸을 때 사망하고 어머니는 도박 빚을 지고 잠적해서 안정환은 외할머니와 살면서 무와 배추 서리를 하고 굿판에서 음식을 구걸해 먹어야 했다. 심지어 축구 선수가 된 것도 빵과 우유를 준다는 말을 듣고 한 거고, 축구부에서 빵과 우유가 하나씩 모자란다는 이유로 도둑으로 의심받아 선배한테 다짜고짜 3시간 동안 구타당한 적도 있다. 심지어 국가대표가 되어서도 어머니 도박 빚을 갚을 정도로 경제적으로 어려웠다.[24] 희한하지만 본 작품을 응원한 수지는 82년생 박아라의 토대가 된 양예원 사건 당시 SNS에 글 한번 잘못 건드렸다 무고한 스튜디오를 망하게 할 뻔한 전적이 있다. 악플러들에게 고소를 시전할땐 언제고 스튜디오를 상대로 한푼도 배상 못한다며 변호사를 끼고 당당하게 나섰다 패소해 이미지만 망가진건 덤.[25] 실제 82톤은 보잉 767이랑 비슷한 중량이다.[26] 심지어 수지최우식 등 해당 영화를 홍보한 연예인들도 페미니스트나 메갈이라며 조롱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