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축구 연맹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AFC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AFC 두문자를 가진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AFC(동음이의어) 문서
AFC(동음이의어)번 문단을
AFC(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FIFA 로고.svg
대륙별 축구 연맹

[ 펼치기 · 접기 ]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10px; background: #3C2818; font-size: 0.9em;"
아프리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10px; background: #1A3374; font-size: 0.9em;"
오세아니아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5px 0;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10px; background: #DF1919; font-size: 0.9em;"
유럽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명칭
국문 | 아시아 축구 연맹
영문 |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중문 | 亚洲足球联盟(亞洲足球聯盟)
일문 | アジアサッカー連盟(れんめい
아랍문 | الاتحاد الآسيوي لكرة القدم
설립
1954년 5월 8일 (69주년)
본부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쿠알라룸푸르
가입
47개 협회, 5개 지역연맹
회장
파일:바레인 국기.svg 살만 알 칼리파
부회장
파일:중국 국기.svg 장지룽
파일:아시아축구연맹 텍스트 로고.svg | 파일:아시아축구연맹 텍스트 로고.svg 통계 포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1. 개요
2. 개최 대회
3. 중계권 현황(2024년까지)
4. 공식 스폰서십
5. 지역 연맹
6. 회원국
6.1. 해체 국가대표팀
6.2. 타 대륙 연맹으로 편입한 국가대표팀
7. 역대 회장
8. 국제 대회 진출 횟수[1]
8.1. 남성 대회
8.1.6. OFC 네이션스컵[A]
8.1.11. 퍼시픽 게임[A]
8.2. 여성 대회
8.2.7. 퍼시픽 게임[A]
9. AFC 올해의 선수
9.1. AFC 올해의 선수
9.2. AFC 올해의 해외파 선수
9.3. AFC 올해의 외국인 선수
9.4. AFC 올해의 여자 선수
9.5. AFC 올해의 유스 선수
10. AFC 올해의 감독
11. 논란
11.1. 중동 편애 논란
11.2. 러시아의 AFC 편입 논란
12. 산하 협회의 축구 리그
13. 아시아 축구 연맹 찬가



1. 개요[편집]


AFC 아시안컵, FIFA 월드컵 아시아 예선, U-19와 U-16 축구 선수권 대회 등의 국가대표급 경기들과 ACLAFC컵 같은 프로축구 클럽대항전을 주관하는 아시아의 축구 연맹이다. 피파의 6개 대륙별 연맹의 하나이며 주요 국가대항전은 AFC 아시안컵이다.

1954년 5월 8일에 필리핀 마닐라에서 설립되었고, 동년 6월 21일에 피파로부터 공식적으로 인가를 받아 아시아 축구를 관리하기 시작했다. 당시 창립 멤버는 12개국[2]에 불과했으나 현재 가입 협회는 47개로, 아시아 대부분의 국가의 협회를 포함하고 있다.

전 회장이던 카타르 출신 무함마드 빈 함맘(محمد بن همّا)은 대표적인 블래터파 인물로, 정치적으로 이와 반대선상에 있는 전 피파 부회장 정몽준이나 조중연 전 대한축구연맹회장과는 서로 대립각을 세우던 바 있지만 FIFA 회장 선거에 나선다고 하다가 제프 블라터에게 찍혀서 축구계에서 퇴출당했다. 2011년부로 당시 부회장이었던 중국 국적의 장지룽이 회장 대행이었다가 2013년 바레인 국적인 셰이크 살만 빈 이브라힘 알 칼리파가 새로운 회장으로 당선되었다.

AFC 본부는 현재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있으며, 조추첨 등 주요 행사를 대부분 이 곳에서 치르고 있다. 중동 국가들은 함맘 시절에 본부를 중동지역으로 옮기려고 여러 번 시도했으나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반대에 부딪혀서 번번이 실패했고 함맘의 실각으로 인해서 사실상 무산됐다.

오세아니아 국가들의 경험을 늘리기 위해 OFC를 아시아 축구연맹에 합쳐서 아시아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으로 통합하자는 의견도 있지만 오세아니아 국가들은 가장 잘하는 팀도 피파 랭킹 100위권 밖일 정도로 약체들이기 때문에 합쳐도 아시아 강호 팀들에게 밀려 본선에 진출 못하는 건 똑같을 것이고 안 그래도 대륙 크기가 커서 원정 거리가 먼 아시아인데 태평양 한가운데 있는 오세아니아까지 합치면 원정 거리도 더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어 실제로 두 연맹이 쉽게 합쳐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3]

2. 개최 대회[편집]


<bgcolor=#ffffff,#191919>
[ 펼치기 · 접기 ]



폐지 대회

#!end
[ 펼치기 · 접기 ]






  • 대회 별로 중계권을 판매하는 FIFA와 달리 AFC는 중계권을 패키지 형태, 다년 계약으로 판매하고 있다. FIFA의 경우 대회별로 판매해도 FIFA라는 브랜드 이미지가 워낙 크기 때문에 따로 팔아도 별 문제가 없지만 AFC는 여건 상 그게 안 되기 때문에 묶어 파는 것이다.
  • AFC 패키지에는 월드컵 최종 예선, AFC 아시안컵, AFC 챔피언스 리그는 물론 각종 연령별 대회에 풋살, 비치사커 대회까지 모두 포함한다.
국가
방송사
대한민국
CJ ENM
동남아시아
폭스 스포츠 아시아, Unifi TV[4]
베트남
베트남 텔레비전, On Sports, FPT
우즈베키스탄
UZREPORT TV
이란
IRIB, beIN SPORTS[5]
인도
STAR SPORTS, JIO TV
인도네시아
MNC Media
일본
DAZN, 테레비 아사히, 일본방송협회[6]
중국
PPTV, iQiyi, Migu, 중국 중앙 텔레비전
중동
beIN SPORTS, 알카스[7]
국대: Tele Liban[8], JRTV[9], KTV[10], GSA Live[11]
UAE
beIN SPORTS, Sharjah Sports[12]
캄보디아
BTV News
태국
TrueVisions, 타이랏 TV[13]
호주
폭스 스포츠 오스트레일리아


3. 공식 스폰서십[편집]



3.1. AFC 챔피언스 리그 파트너[편집]


AFC 챔피언스 리그
파트너
}}} ||
글로벌 파트너
글로벌 서포터
NEOM[14]
코나미
몰텐
파일:네옴 로고.svg
파일:코나미 로고.svg
파일:몰텐 로고.svg


3.2. AFC 내셔널 매치 파트너[편집]


AFC 내셔널 매치
파트너
}}}||
글로벌 파트너
콘티넨탈 AG[15]
크레디 세존[16]
NEOM[17]
YILI[18]
파일:콘티넨탈 AG 로고.svg
파일:CREDIT_SAISON.jpg
파일:네옴 로고.svg
파일:yili.png
글로벌 서포터
코나미[19]
몰텐[20]
켈미[21]
파일:코나미 로고.svg
파일:몰텐 로고.svg
파일:켈미 로고.svg


4. 지역 연맹[편집]




아시아 대륙이 원체 넓어서 산하에 지역연맹을 두고 있다. 각 연맹마다 컵대회가 따로 있다.


5. 회원국[편집]


}}} ||
{{{#002395,#6b90ff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8%> [[파일:괌 축구 협회 엠블럼.png|height=50]] 
||<width=17%><:><colbgcolor=#F0F0F0,#191919> [[괌 축구 협회|괌]][br](Guam) 
||<width=8%><:> [[파일:All_Nepal_Football_Association_crest.png|height=50]] 
||<width=17%><:><colbgcolor=#F0F0F0,#191919> [[네팔 축구 협회|네팔]][br](Nepal)  
||<width=8%><:> [[파일:Chinese_Taipei_FA.png|height=50]] 
||<width=17%><:><colbgcolor=#F0F0F0,#191919> [[대만 축구 협회|대만]][br](Chinese Taipei) 
||<width=8%><:> [[파일:대한축구협회 로고.svg|height=50]] 
||<width=17%><:><colbgcolor=#F0F0F0,#191919> [[대한축구협회|대한민국]][br](Korea Republic) ||
||<:> [[파일:동티모르 축구 연맹 엠블럼.png|height=50]] 
||<:> [[동티모르 축구 연맹|동티모르]][br](Timor-Leste)  
||<:> [[파일:Laos_FA.png|height=50]] 
||<:> [[라오스 축구 연맹|라오스]][br](Laos) 
||<:> [[파일:레바논 축구 협회 엠블럼.png|height=50]] 
||<:> [[레바논 축구 협회|레바논]][br](Lebanon)  
||<:> [[파일:attachment/macau.png|height=50]] 
||<:> [[마카오 축구 협회|마카오]][br](Macau) ||
||<:> [[파일: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 
||<:> [[말레이시아 축구 협회|말레이시아]][br](Malaysia) 
||<:> [[파일:몽골 축구 연맹 로고.png|width=50]] 
||<:> [[몽골 축구 연맹|몽골]][br](Mongolia)  
||<:> [[파일:몰디브 축구 협회 엠블럼.png|height=50]] 
||<:> [[몰디브 축구 협회|몰디브]][br](Maldives) 
||<:> [[파일:attachment/Myanmar_Football_Federation.png|height=50]] 
||<:> [[미얀마 축구 연맹|미얀마]][br](Myanmar) ||
||<:> [[파일:바레인 축구 협회 엠블럼.svg|height=50]] 
||<:> [[바레인 축구 협회|바레인]][br](Bahrain)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1px-Bangladesh_Football_Federation.svg.png|height=50]] 
||<:> [[방글라데시 축구 연맹|방글라데시]][br](Bangladesh) 
||<:> [[파일: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 
||<:> [[베트남 축구 연맹|베트남]][br](Vietnam)  
||<:> [[파일:부탄 축구 연맹 로고.png|height=50]] 
||<:> [[부탄 축구 연맹|부탄]][br](Bhutan) ||
||<:>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50]] 
||<:> [[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협회|북마리아나 제도]][br]{{{-2 (Northern Mariana Islands)}}} 
||<:> [[파일: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북한]][br](Korea DPR)  
||<:> [[파일:브루나이 축구 협회 엠블럼.png|height=50]] 
||<:> [[브루나이 축구 협회|브루나이]][br](Brunei)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 
||<:>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연맹|사우디아라비아]][br](Saudi Arabia) ||
||<:> [[파일:Football_Sri_Lanka.png|height=50]] 
||<:> [[풋볼 스리랑카|스리랑카]][br](Sri Lanka)  
||<:> [[파일:시리아 축구 협회 엠블럼.png|height=50]] 
||<:> [[시리아 축구 협회|시리아]][br](Syria) 
||<:> [[파일:싱가포르 축구 협회 엠블럼.png|height=50]] 
||<:> [[싱가포르 축구 협회|싱가포르]][br](Singapore)  
||<:> [[파일: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 
||<:> [[아랍에미리트 축구 협회|아랍에미리트]][br]{{{-2 (United Arab Emirates)}}} ||
||<:> [[파일:아프가니스탄 축구 연맹 엠블럼.png|height=50]] 
||<:> [[아프가니스탄 축구 연맹|아프가니스탄]][br](Afghanistan) 
||<:> [[파일:예멘 대표팀 로고.png|height=50]] 
||<:> [[예멘 축구 협회|예멘]][br](Yemen)  
||<:> [[파일:ofa logo.png|height=50]] 
||<:> [[오만 축구 협회|오만]][br](Oman) 
||<:> [[파일:요르단 대표팀 로고.png|height=50]] 
||<:> [[요르단 축구 협회|요르단]][br](Jordan) ||
||<:> [[파일:UFA emblem.png|height=50]] 
||<:> [[우즈베키스탄 축구 협회|우즈베키스탄]][br](Uzbekistan)  
||<:> [[파일:이라크 축구 협회 엠블럼.png|height=50]] 
||<:> [[이라크 축구 협회|이라크]][br](Iraq) 
||<:> [[파일: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 
||<:> [[이란 축구 연맹|이란]][br](Iran)  
||<:> [[파일:인도 대표팀 로고.png|height=50]] 
||<:> [[인도 축구 연맹|인도]][br](India) ||
||<:> [[파일:인도네시아 축구 협회 엠블럼.png|height=50]] 
||<:> [[인도네시아 축구 협회|인도네시아]][br](Indonesia)  
||<:> [[파일:일본축구협회 로고.svg|width=50]] 
||<:> [[일본축구협회|일본]][br](Japan) 
||<:> [[파일:중국축구협회 로고.svg|height=50]] 
||<:> [[중국축구협회|중국]][br](China PR)  
||<:> [[파일:카타르 축구 협회 로고.svg|height=50]] 
||<:> [[카타르 축구 협회|카타르]][br](Qatar) ||
||<:> [[파일:attachment/Cambodia.png|height=50]] 
||<:> [[캄보디아 축구 연맹|캄보디아]][br](Cambodia)  
||<:> [[파일:쿠웨이트 축구 협회 엠블럼.png|height=50]] 
||<:> [[쿠웨이트 축구 협회|쿠웨이트]][br](Kuwait) 
||<:> [[파일:키르기스스탄 축구 연합 로고.png|height=50]] 
||<:> [[키르기스스탄 축구 연합|키르기스스탄]][br](Kyrgyzstan)  
||<:> [[파일:Tajikistan_FA.png|height=50]] 
||<:> [[타지키스탄 축구 연맹|타지키스탄]][br](Tajikistan) ||
||<:> [[파일:태국 축구 협회 로고.svg|height=50]] 
||<:> [[태국축구협회|태국]][br](Thailand)  
||<:> [[파일:투르크메니스탄 대표팀 로고.png|height=50]] 
||<:> [[투르크메니스탄 축구 연맹|투르크메니스탄]][br](Turkmenistan)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2008_PFFlogo.png|height=50]] 
||<:> [[파키스탄 축구 연맹|파키스탄]][br](Pakistan)  
||<:> [[파일:팔레스타인 대표팀 로고.png|height=50]] 
||<:> [[팔레스타인 축구 협회|팔레스타인]][br](Palestine) ||
||<:> [[파일: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 
||<:> [[필리핀 축구 연맹|필리핀]][br](Philippines) 
||<:> [[파일:호주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50]] 
||<:> [[호주 축구 연맹|호주]][br](Australia) 
||<:> [[파일:홍콩 축구 협회 엠블럼.png|height=50]] 
||<:> [[홍콩 축구 협회|홍콩]][br](Hong Kong)
||<:><bgcolor=#F0F0F0,#1f2023><-2>  ||
||<-8><bgcolor=#F7F7F7,#191919><:> [[유럽 축구 연맹|[[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유럽축구연맹 산하 축구협회|유럽]]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산하 축구협회|북중미카리브]] | [[아프리카 축구 연맹|[[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아프리카축구연맹 산하 축구협회|아프리카]]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산하 축구협회|오세아니아]] | [[남미 축구 연맹|[[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남미축구연맹 산하 축구협회|남미]] ||
}}}



}}} ||
{{{#002395,#6b90ff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width=25%> [[파일:괌 기.svg|width=50]] ||<width=25%> [[파일:네팔 국기.svg|width=25]] ||<width=25%>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50]] ||<width=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괌 축구 국가대표팀|괌]] || [[네팔 축구 국가대표팀|네팔]] || [[대만 축구 국가대표팀|대만]]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 [[파일:동티모르 국기.svg|width=50]] || [[파일:라오스 국기.svg|width=50]] || [[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50]]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동티모르 축구 국가대표팀|동티모르]] || [[라오스 축구 국가대표팀|라오스]] || [[레바논 축구 국가대표팀|레바논]] ||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마카오]] ||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50]] || [[파일:몰디브 국기.svg|width=50]] || [[파일:몽골 국기.svg|width=50]] || [[파일:미얀마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말레이시아]] || [[몰디브 축구 국가대표팀|몰디브]] || [[몽골 축구 국가대표팀|몽골]] || [[미얀마 축구 국가대표팀|미얀마]] ||
|| [[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50]]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50]]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50]] || [[파일:부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바레인]] || [[방글라데시 축구 국가대표팀|방글라데시]] ||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베트남]] ||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부탄]] ||
||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width=50]] || [[파일:북한 국기.svg|width=50]] || [[파일:브루나이 국기.svg|width=50]]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북마리아나 제도]] ||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북한]] || [[브루나이 축구 국가대표팀|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사우디아라비아]] ||
|| [[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50]] ||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50]]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50]]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스리랑카 축구 국가대표팀|스리랑카]] || [[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시리아]] ||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에미리트]] ||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예멘 국기.svg|width=50]] || [[파일:오만 국기.svg|width=50]] || [[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아프가니스탄]] || [[예멘 축구 국가대표팀|예멘]] ||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오만]] ||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요르단]] ||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50]] || [[파일:이란 국기.svg|width=50]] || [[파일:인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이라크]]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이란]] || [[인도 축구 국가대표팀|인도]] ||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50]] || [[파일:일본 국기.svg|width=50]] || [[파일:중국 국기.svg|width=50]]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인도네시아]]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중국]] || [[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카타르]] ||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50]]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50]]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캄보디아 축구 국가대표팀|캄보디아]] ||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타지키스탄]]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50]] ||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투르크메니스탄]] || [[파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축구 국가대표팀|팔레스타인]] ||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50]] || [[파일:호주 국기.svg|width=50]]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필리핀]] ||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호주]] ||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홍콩]] ||
||<-4><bgcolor=#f7f7f7,#191919><color=#191919,#FFFFFF> [[아시아 축구 연맹|[[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14]]]]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아프리카 축구 연맹|[[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br][[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남미 축구 연맹|[[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br][[오세아니아 축구 연맹|[[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유럽 축구 연맹|[[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4><bgcolor=#f7f7f7,#191919>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 및 대표팀/둘러보기 틀|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



}}} ||
{{{#990033,#ff6699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width=25%> [[파일:괌 기.svg|width=50]] ||<width=25%> [[파일:네팔 국기.svg|width=25]] ||<width=25%>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50]] ||<width=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괌]] || [[네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네팔]] || [[대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대만]] ||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 [[파일:동티모르 국기.svg|width=50]] || [[파일:라오스 국기.svg|width=50]] || [[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50]]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동티모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동티모르]] || [[라오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라오스]] || [[레바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레바논]] || [[마카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마카오]] ||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50]] || [[파일:몰디브 국기.svg|width=50]] || [[파일:몽골 국기.svg|width=50]] || [[파일:미얀마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말레이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말레이시아]] || [[몰디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몰디브]] || [[몽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몽골]] || [[미얀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미얀마]] ||
|| [[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50]]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50]]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50]] || [[파일:부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바레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바레인]] || [[방글라데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방글라데시]] || [[베트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베트남]] || [[부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부탄]] ||
||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width=50]] || [[파일:북한 국기.svg|width=50]] || [[파일:브루나이 국기.svg|width=50]]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북마리아나 제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북마리아나 제도]] || [[북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북한]] || [[브루나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사우디아라비아]] ||
|| [[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50]] ||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50]]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50]]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스리랑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스리랑카]] || [[시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시리아]] || [[싱가포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에미리트]] ||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예멘 국기.svg|width=50]] || [[파일:오만 국기.svg|width=50]] || [[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아프가니스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아프가니스탄]] || [[예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예멘]] || [[오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오만]] || [[요르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요르단]] ||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50]] || [[파일:이란 국기.svg|width=50]] || [[파일:인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우즈베키스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라크]] || [[이란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란]] || [[인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인도]] ||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50]] || [[파일:일본 국기.svg|width=50]] || [[파일:중국 국기.svg|width=50]]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인도네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인도네시아]] ||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 [[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중국]] || [[카타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카타르]] ||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50]]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50]]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캄보디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캄보디아]] || [[쿠웨이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타지키스탄]]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50]] ||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투르크메니스탄]] || [[파키스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팔레스타인]] ||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50]] || [[파일:호주 국기.svg|width=50]]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50]] ||
||<rowbgcolor=#fcd,#2d2f34> [[필리핀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필리핀]] || [[호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호주]] || [[홍콩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홍콩]] ||
||<-4><rowbgcolor=#fcd,#2d2f34><color=#191919,#FFFFFF> [[아시아 축구 연맹|[[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14]]]]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아프리카 축구 연맹|[[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br][[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남미 축구 연맹|[[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br][[오세아니아 축구 연맹|[[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유럽 축구 연맹|[[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4><bgcolor=#f7f7f7,#191919>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 및 대표팀/둘러보기 틀|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5.1. 해체 국가대표팀[편집]


  • 남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22]
  • 남예멘 축구 국가대표팀


5.2. 타 대륙 연맹으로 편입한 국가대표팀[편집]



한편 대만 축구 국가대표팀은 중국의 압력으로 1975년 AFC에서 퇴출되어 잠시 OFC로 이적했다가, 1989년에 다시 AFC로 복귀했다.


6. 역대 회장[편집]


대수
이름
국적
임기
초대
로만캄
(Lo Man Kam)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1954
2대
곽찬
(Kwok Chan)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1954~56
3대
윌리엄 수이 탁 루이
(William Sui Tak Louey)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1956~57
4대
찬남청
(Chan Nam Cheong)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1957~58
5대
툰쿠 압둘 라만
(Tunku Abdul Rahman)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58~77
6대
캄비즈 아타바이
(Kambiz Atabay)
파일:이란 국기.svg
1977~78
7대
함자 아부 사마
(Hamzah Abu Samah)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78~94
8대
아흐마드 샤흐
(Ahmad Shah)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94~2002
9대
무함마드 빈 함맘
(Mohammed Bin Hammam)
파일:카타르 국기.svg
2002~11
10대
장지룽
(Zhang Jilong)
파일:중국 국기.svg
2011~13
11대
살만 알 카리파
(Salman Al-Khalifa)
파일:바레인 국기.svg
2013~현직


7. 국제 대회 진출 횟수[23][편집]


  • 굵은 글씨는 우승한 대회
  • 현 UEFA 소속인 이스라엘은 1978년 이전 국제대회에 AFC 소속으로 진출한 경력이 있다.(1978년 축출[24])
  • 호주(2006), 북마리아나 제도(2009), 괌(2011)은 기존까지 OFC 소속으로 국제대회에 진출하였다.
  • 미얀마는 1989년까지는 버마라는 국호로 진출하였다.


7.1. 남성 대회[편집]



7.1.1. FIFA 월드컵[편집]


횟수
국가
진출 연도
11회
대한민국
1954,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7회
일본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사우디아라비아
1994, 1998, 2002, 2006, 2018, 2022, 2034
6회
이란
1978, 1998, 2006, 2014, 2018, 2022
호주[25]
1974, 2006, 2010, 2014, 2018, 2022
2회
북한
1966, 2010
1회
인도네시아[26]
1938
이스라엘[27]
1970
쿠웨이트
1982
이라크
1986
아랍에미리트
1990
중국
2002
카타르
2022

  • 대한민국은 아시아 축구 연맹국 중에서 월드컵 최다 진출(11회) 및 최다 연속 진출(10회 연속) 기록과 최고성적을 가진(2002 월드컵/4위) 팀으로 기록되어 있다.
  • 1938년 인도네시아(1949년 독립)는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로 진출하였다. 아시아 최초의 월드컵 본선 진출.
  • 1950년 인도는 진출권을 획득하였으나 대회가 시작하기 직전에 기권하였다.
  • 1966년 북한은 아시아 최초로 조별 리그를 통과하며 8강(최종 8위)에 진출했다.
  • 대한민국과 일본은 2002년 대회에, 카타르는 2022년 대회에 개최국 자격으로 출전하였다.
  • 사우디아라비아는 2034년 대회에 개최국 자격으로 출전할 예정이다.
  • 일본은 2018, 2022 대회에서 아시아 최초로 연속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7.1.2.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횟수
국가
진출 연도
5회
일본
1995, 2001, 2003, 2005, 2013
4회
사우디아라비아
1992, 1995, 1997, 1999
호주[28]
1997, 2001, 2005, 2017
1회
아랍에미리트
1997
대한민국
2001
이라크
2009


7.1.3. AFC 아시안컵[편집]


횟수
국가
진출 연도
15회
대한민국
1956, 1960, 1964, 1972, 1980, 1984, 1988, 1996, 2000,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이란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13회
중국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11회
아랍에미리트
1980, 1984, 1988, 1992, 1996,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카타르
1980, 1984, 1988, 1992, 2000,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사우디아라비아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10회
쿠웨이트
1972, 1976, 1980, 1984, 1988, 1996, 2000, 2004, 2011, 2015
9회
이라크
1972, 1976, 1996, 2000,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일본
1988, 1992, 1996, 2000,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8회
우즈베키스탄
1996, 2000,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태국
1972, 1992, 1996, 2000, 2004, 2007, 2019, 2023
7회
시리아
1980, 1984, 1988, 1996, 2011, 2019, 2023
바레인
1988,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5회
북한
1980, 1992, 2011, 2015, 2019
베트남
1956, 1960, 2007, 2019, 2023
오만
2004, 2007, 2015, 2019, 2023
호주
2007, 2011, 2015, 2019, 2023
인도
1964, 1984, 2011, 2019, 2023
인도네시아
1996, 2000, 2004, 2007, 2023
4회
요르단
2004, 2011, 2015, 2019
홍콩
1956, 1964, 1968, 2023
말레이시아
1976, 1980, 2007, 2023
3회
레바논
2000, 2019, 2023
팔레스타인
2015, 2019, 2023
2회
대만
1960, 1968
투르크메니스탄
2004, 2019
키르기스스탄
2019, 2023
1회
미얀마
1968
캄보디아
1972
남예멘
1976
방글라데시
1980
싱가포르
1984
필리핀
2019
예멘
2019
타지키스탄
2023


7.1.4. 코파 아메리카[편집]


횟수
국가
진출 연도
2회
일본
1999, 2019
1회
카타르
2019


7.1.5. 골드컵[편집]


횟수
국가
출전 연도
2회
대한민국
2000, 2002
카타르
2021, 2023


7.1.6. OFC 네이션스컵[A][편집]


횟수
국가
진출 연도
6회
호주
1980, 1996, 1998, 2000, 2002, 2004


7.1.7. 올림픽[편집]


횟수
국가
진출 연도
11회
대한민국
1948, 196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P]
일본
1936, 1956, 1964, 1968,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P]
8회
호주[29]
1956,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20[P]
5회
이라크
1980, 1984, 1988, 2004, 2016
4회
인도
1948, 1952, 1956, 1960
3회
대만[30]
1936, 1948, 1960
이란
1964, 1972, 1976
쿠웨이트
1980, 1992, 2000
사우디아라비아
1984, 1996, 2020[P]
2회
태국
1956, 1968
이스라엘[31]
1968, 1976
카타르
1984, 1992
중국
1988, 2008
1회
아프가니스탄
1948
인도네시아
1956
말레이시아
1972
미얀마
1972
북한
1976
시리아
1980
아랍에미리트
2012

  • 1952년까지는 원하는 팀은 그냥 참가했고 1956년 대회부터 지역 예선을 실시하였다.
  • 2020 도쿄 올림픽은 2021년으로 연기되었다.


7.1.8. FIFA U-20 월드컵[편집]


횟수
국가
진출 연도
15회
호주[32]
1981, 1983, 1985, 1987,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9, 2011, 2013
대한민국
1979, 1981, 1983, 1993, 1997, 1999,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2017, 2019, 2023
11회
일본
1979,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17, 2019, 2023
9회
사우디아라비아
1985, 1987, 1989, 1993, 1999, 2003, 2011, 2017, 2019
5회
중국
1983, 1985, 1997, 2001, 2005
우즈베키스탄
2003, 2009, 2013, 2015, 2023
이라크
1977, 1989, 2001, 2013, 2023
4회
카타르
1981, 1995, 2015, 2019
시리아
1989, 1991, 1995, 2005
3회
이란
1977, 2001, 2017
아랍에미리트
1997, 2003, 2009
북한
2007, 2011, 2015
2회
인도네시아
1979
1회
바레인
1987
코리아
1991
말레이시아
1997
요르단
2007
미얀마
2015
베트남
2017


7.1.9. FIFA U-17 월드컵[편집]


횟수
국가
진출 연도
13회
호주[3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9, 2001, 2003, 2005,
2011, 2015, 2019
10회
일본
1993, 1995, 2001, 2007, 2009, 2011, 2013, 2017, 2019, 2023
7회
카타르
1985, 1987, 1991, 1993, 1995, 1999, 2005
대한민국
1987, 2003, 2007, 2009, 2015, 2019, 2023
6회
중국
1985, 1989, 1991, 1993, 2003, 2005
5회
북한
2005, 2007, 2011, 2015, 2017
이란
2001, 2009, 2013, 2017, 2023
3회
사우디아라비아
1985, 1987, 1989
아랍에미리트
1991, 2009, 2013
오만
1995, 1997, 2001
우즈베키스탄
2011, 2013, 2023
2회
바레인
1989, 1997
태국
1997, 1999
시리아
2007, 2015
타지키스탄
2007, 2019
이라크
2013, 2017
1회
예멘
2003
인도
2017
인도네시아
2023


7.1.10. 아시안 게임[편집]


횟수
국가
진출 연도
18회
일본
1951,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대한민국
1954, 1958, 1962, 1966, 1970[B], 1974, 1978[C],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15회
이란
1951, 1958, 1966, 1970, 1974,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인도
1951,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8, 2002, 2006, 2010, 2014
말레이시아
1958,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2002, 2006, 2010, 2014, 2018
태국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13회
중국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3
11회
베트남
1954, 1958, 1962, 1966, 1970,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쿠웨이트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10회
인도네시아
1951, 1954, 1958, 1962, 1966, 1970, 1986, 2006, 2014, 2018
미얀마
1951, 1954, 1958, 1966, 1970[B], 1974, 1978, 1982, 1994, 2018
파키스탄
1954, 1958, 1974, 1986, 1990, 2002, 2006, 2010, 2014, 2018
홍콩
1954, 1958,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북한
1974, 1978[C], 1982, 1990,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9회
방글라데시
1978, 1982, 1986, 1990, 2002, 2006, 2010, 2014, 2018
8회
바레인
1974, 1978, 1986, 1994, 2002, 2006, 2010, 2018
카타르
1978, 1986, 1994, 1998, 2002, 2006, 2010, 2018
아랍에미리트
1986,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7회
싱가포르
1954, 1958, 1966, 1990, 2006, 2010, 2014
사우디아라비아
1978, 1982, 1986, 1990, 1994, 2014, 2018
오만
1986,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우즈베키스탄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6회
이라크
1974, 1978, 1982, 1986, 2006, 2014
네팔
1982, 1986, 1994, 1998, 2014, 2018
5회
팔레스타인
2002, 2006, 2010, 2014, 2018
4회
아프가니스탄
1951, 1954, 2002, 2014
필리핀
1954, 1958, 1962, 1974
대만
1954, 1958, 1966, 2018
투르크메니스탄
1994, 1998, 2002, 2010
몰디브
1998, 2002, 2006, 2014
키르기스스탄
2006, 2010, 2014, 2018
3회
시리아
1982, 2006, 2018
예멘
1990, 1994, 2002
타지키스탄
1998, 2006, 2014
라오스
1998, 2014, 2018
요르단
2006, 2010, 2014
2회
캄보디아
1970, 1998
레바논
1998, 2002
동티모르
2014, 2018
1회
남예멘
1982
몽골
1998
마카오
2006


7.1.11. 퍼시픽 게임[A][편집]


횟수
국가
진출 연도
5회

1975, 1979, 1991, 1995, 2011
1회
북마리아나 제도
1983


7.2. 여성 대회[편집]



7.2.1. FIFA 여자 월드컵[편집]


횟수
국가
진출 연도
9회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991, 1995, 1999, 2003, 2007, 2011★, 2015, 2019, 2023
8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991, 1995, 1999, 2003, 2007, 2015, 2019, 2023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34]
1995, 1999, 2003, 2007, 2011, 2015, 2019, 2023
4회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1999, 2003, 2007, 20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03, 2015, 2019, 2023
2회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2015, 2019
1회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1991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2023


7.2.2. AFC 여자 아시안컵[편집]


횟수
국가
진출 연도
17회
일본
1977, 1981, 1986,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4, 2018, 2022
16회
태국
1975, 1977, 1981, 1983, 1986, 1989, 1995,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4, 2018, 2022
15회
중국
1986,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4, 2018, 2022
13회
대한민국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4, 2018, 2022
14회
홍콩
1975, 1977, 1979, 1981, 1983, 1986,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대만
1977, 1979, 1981,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22
10회
필리핀
1981, 1983,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18, 2022
9회
말레이시아
1975, 1979, 1983, 1986, 1991, 1993, 1995, 1999, 2001
인도
1979[35], 1981, 1983, 1995, 1997, 1999, 2001, 2003, 2022
북한
1989, 1991, 1997,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베트남
1999, 2001, 2003, 2006, 2008, 2010, 2014, 2018, 2022
8회
호주
1975, 1979[36], 2006, 2008, 2010, 2014, 2018, 2022
7회
싱가포르
1975, 1977, 1981, 1983, 1991, 2001, 2003
5회
인도네시아
1977, 1981, 1986, 1989, 2022
우즈베키스탄
1995, 1997, 1999, 2001, 2003
미얀마
2003, 2006, 2010, 2014, 2022
4회

1997, 1999, 2001, 2003
3회
네팔
1986, 1989, 1999
2회
카자흐스탄
1995, 1997
요르단
2014, 2018
1회
뉴질랜드
1975
이란
2022


7.2.3. 올림픽[편집]


횟수
국가
진출 연도
6회
중국
1996, 2000, 2004, 2008, 2016, 2021[P]
5회
일본
1996, 2004, 2008, 2012, 2021[P]
4회
호주[37]
2000, 2004, 2016, 2021[P]
2회
북한
2008, 2012
  • 2020 도쿄 올림픽은 2021년으로 연기되었다.


7.2.4. FIFA U-20 여자 월드컵[편집]


횟수
국가
진출 연도
8회
북한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2
7회
일본
2002, 2008, 2010, 2012, 2016, 2018, 2022
6회
중국
2004, 2006, 2008, 2012, 2014, 2018
대한민국
2004, 2010, 2012, 2014, 2016, 2022
3회
호주[38]
2002, 2004, 2006
1회
대만
2002
태국
2004
  • 2020년 대회는 코로나19로 인해 연기되어 2022년에 시행된다.


7.2.5. FIFA U-17 여자 월드컵[편집]


횟수
국가
진출 연도
7회
북한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2
일본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2
3회
대한민국
2008, 2010, 2018
2회
중국
2012, 2014
  • 2020년 대회는 코로나19로 인해 연기되어 2022년에 시행된다.


7.2.6. 아시안 게임[편집]


횟수
국가
진출 연도
9회
중국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3
일본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3
대한민국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3
7회
북한
1990,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대만
1990, 1994, 1998, 2002, 2006, 2014, 2018
6회
베트남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5회
태국
1998, 2006, 2010, 2014, 2018
3회
홍콩
1990, 2014, 2018
요르단
2006, 2010, 2014
2회
인도
1998, 2014
몰디브
2014, 2018
1회
인도네시아
2018
타지키스탄
2018


7.2.7. 퍼시픽 게임[A][편집]


횟수
국가
진출 연도
2회

2003, 2011


8. AFC 올해의 선수[편집]


1984년 아시아-오세아니아 사커 핸드북이라는 도서에서 아시아 최고를 뽑는 설문을 시행한 것이 이 상의 기원이며 1988년부터 국제축구역사통계연맹 (IFFHS)에서 시상하기 시작했다. 이후 1992년까지 IFFHS에서 시상을 맡다가 1994년 이후로 AFC가 시상하고 있다. 1994년 이전의 선정은 AFC 입장에서 비공식 기록에 해당되지만 전체적인 아시아 올해의 선수에서는 인정받고 있다.#


8.1. AFC 올해의 선수[편집]


연도
선수
국가
클럽
1994
사에드 알오와이란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샤바브 FC
1995
이하라 마사미
파일:일본 국기.svg
요코하마 F. 마리노스
1996
호다다드 아지지
파일:이란 국기.svg
바흐만 FC
1997
나카타 히데토시
파일:일본 국기.svg
쇼난 벨마레
1998
나카타 히데토시
파일:일본 국기.svg
페루자 칼치오
1999
알리 다에이
파일:이란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헤르타 BSC
2000
나와프 알 테미야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FC
2001
판즈이
파일:중국 국기.svg
던디 유나이티드 FC
2002
오노 신지
파일:일본 국기.sv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03
메흐디 마다비키아
파일:이란 국기.svg
함부르크 SV
2004
알리 카리미
파일:이란 국기.svg
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
2005
하마드 알 몬타샤리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 FC
2006
칼판 이브라힘
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사드 SC
2007
야세르 알 카타니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FC
2008
세르베르 제파로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FC 부뇨드코르
2009
엔도 야스히토
파일:일본 국기.svg
감바 오사카
2010
사샤 오그네노브스키
파일:호주 국기.svg
성남 일화 천마
2011
세르베르 제파로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알 샤바브 FC
2012
이근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현대
2013
정즈
파일:중국 국기.svg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2014
나세르 알 샴라니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FC
2015
아흐메드 칼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
2016
오마르 압둘라흐만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아인 FC
2017
오마르 크르빈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힐랄 FC
2018
압델카림 하산
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사드 SC
2019
아크람 아피프
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사드 SC
2020
시상식 미개최[39]
2021
2022
살렘 알다우사리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FC

횟수
국가
수상 연도
6회
사우디아라비아
1994, 2000, 2005, 2007, 2014, 2022
5회
일본
1995, 1997, 1998, 2002, 2009
4회
이란
1996, 1999, 2003, 2004
3회
카타르
2006, 2018, 2019
2회
우즈베키스탄
2008, 2011
중국
2001, 2013
아랍에미리트
2015, 2016
1회
시리아
2017
대한민국
2012
호주
2010

  • 아시아-오세아니아 사커 핸드북에서 설문한 1984년 아시아 올해의 선수는 마제드 압둘라가 선정되었다. 그러나 신뢰할 만한 축구 기관이 아니라 한 일개 도서가 주관했다는 점, 선정 방식이 불명확했다는 점에서 공식적인 선정이라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실제로 마제드 압둘라는 당대 최고의 중동 공격수였지만 레버쿠젠에서 활약한 차범근이 단 1표에 그친 것을 봤을 때 결과에도 의문이 있으며,# RSSSF에서도 이 설문 결과는 아시아 올해의 선수 본문에서 배제하고 있다.

  • 국제축구역사통계연맹 (IFFHS)이 주관한 선수상은 1988년에 이라크의 아메드 라디, 1989년부터 1991년까지 김주성, 1992년에 미우라 카즈요시가 선정되었다. 김주성은 현재까지도 아시아 선수상의 최다 수상자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미우라의 경우 1993년에 AFC에서 비공식적으로 선정했다는 이야기들도 있으나 정확히는 IFFHS 시절 1992년의 공식 수상자이다.# 그리고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발롱도르와 각 대륙의 시상식이 개최되지 않은 틈을 타서 IFFHS가 이에 대한 시상을 진행했는데, 아시아는 손흥민이 선정되었다.

  • 2005년도 시상식에서 "시상식에 참석할 수 없는 선수는 올해의 선수 후보에서 배제한다"라고 갑작스럽게 규칙을 바꿔 박지성, 이영표, 나카무라 슌스케 같은 선수들을 배제해서 큰 논란이 있었다. 특히, 박지성은 이 시기에 발롱도르UEFA 시상식 후보에 모두 이름을 올리고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로 이적하며 세계적으로 주목 받았기에 한국뿐만 아니라 외신들도 당연히 아시아 선수상의 강력한 후보라고 예상했다. 사우디의 알 몬타샤리가 이 해에 수상을 했으나 긍정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다. 제프 블라터 FIFA 회장 또한 당시 인터뷰에서 이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하며 직접적으로 제재하려는 모습은 아니었지만 타 대륙에서 활동하는 후보를 제외하지 말 것을 권장하였다. 그러나 이후에는 오히려 AFC 주관 대회에서 활약한 선수만을 후보에 올린다는 기준을 세웠고 유럽파들을 지속적으로 배제했다.[40]

  • 2005년 이후에도 유럽파 배제에 대해 논란이 있었지만 AFC가 규정을 고치려는 모습은 없었다. 2011년에는 오랜만에 유럽파들을 후보 대상으로 인정하여 드디어 제대로 시상을 하나 싶더니 결국 시상식에 참석 못하는 유럽파 3인 카가와 신지, 혼다 케이스케, 구자철을 제외했고[41], 같이 최종 후보에 오른 염기훈까지 소속팀 일정 때문에 불참하자 세르베르 제파로프, 하디 아길리 단 두 선수만이 경쟁을 했고 제파로프가 본인의 두 번째 수상을 차지했다. 그러나 제파로프의 한 해 활약상은 아시안컵에서 우즈벡을 4강에 올린 주역이라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이지 클럽 팀에서는 특출난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고 아시안컵 4강만으로 상의 자격이 있는지에 대해서 언론들의 의문을 받았다. 괜히 유럽파들을 다시 후보에 올렸다가 2005년의 사태를 재발시켰고 그 결과, 세간에서는 강도 높은 비판이 이어졌다. 결국 AFC는 조치를 취하는데 기존의 선수상 기준을 유지하는 대신 타 대륙에서 활동하는 선수들을 위한 올해의 국제 선수상을 만들었다.

  • 올해의 국제 선수상을 만들어서 논란을 줄이고 기존 선수상의 방식을 유지하려는 AFC였지만, 그 외에도 선정 기준이 모호하고 투표 결과를 공개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2013년부터 중국의 스포츠 신문사 '티탄 스포츠'는 발롱도르에서 영감을 받은 아시아판 발롱도르 '베스트 풋볼러 인 아시아'를 만들어 매년 시상하고 있다. 이 상도 후보 30인을 중국 신문사가 주관적으로 선정한다는 문제점이 있기는 하지만[42] 그 이후에는 선정 과정과 결과가 명확하고 다양한 아시아 국가의 기자들이 참여한다는 점에서 객관성은 AFC 선수상보다 낫다고 볼 수 있다. 폭스스포츠의 동남아시아 지부인 '폭스스포츠 아시아'도 이 상을 밀어주고 있다. 그리고 2020년까지 8회의 시상 중 손흥민이 무려 6회나 선정되며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 외의 시상도 2013년에 혼다 케이스케가, 2016년에 오카자키 신지가 선정되며 예상대로 유럽파들이 싹쓸이를 하고 있다.


8.2. AFC 올해의 해외파 선수[편집]


아무래도 기존의 시상식에 참가해야만 올해의 선수상을 수여하는 방식에 대해 형평성이 어긋난다고 욕과 비판을 많이 얻어 먹었는지 2012년부터 기존의 아시아 선수상과는 별개로 해외파 선수상을 만들어서 유럽 리그에서 뛰는 해외파 아시아 선수 중에서 따로 선수 한 명을 뽑아 시상하기 시작했다.

연도
선수
국가
클럽
2013
나가토모 유토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014
밀레 예디낙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크리스탈 팰리스 FC
2015
손흥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2016
오카자키 신지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레스터 시티 FC
2017
손흥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2018
하세베 마코토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2019
손흥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2020
시상식 미개최[43][44]
2021
2022
김민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8.3. AFC 올해의 외국인 선수[편집]


기존의 올해의 선수상과 별개로 해외파 아시아 선수상을 만들때 아시아 리그에서 뛰는 최고의 외국인 선수를 선정하기 위해 2012년에 같이 만들어졌다. 2015년 이후 폐지했다.



8.4. AFC 올해의 여자 선수[편집]


연도
선수
국가
클럽
1999
쑨원
파일:중국 국기.svg
상하이 선화
2000
시상식 미개최
2001
시상식 미개최
2002
시상식 미개최
2003
바이 지에
파일:중국 국기.svg
워싱턴 프리덤
2004
사와 호마레
파일:일본 국기.svg
닛폰 TV 벨레자
2005
하라 나츠코
파일:일본 국기.svg
닛폰 TV 벨레자
2006
마샤오쉬
파일:중국 국기.svg
다롄 스더
2007
리금숙
파일:북한 국기.svg
4.25체육단
2008
사와 호마레
파일:일본 국기.svg
닛폰 TV 벨레자
2009
시상식 미개최
2010
캐스린 길
파일:호주 국기.svg
퍼스 글로리 FC 위민
2011
미야마 아야
파일:일본 국기.svg
오카야마 유노고 벨
2012
미야마 아야
파일:일본 국기.svg
오카야마 유노고 벨
2013
시상식 미개최
2014
카트리나 고리
파일:호주 국기.svg
FC 캔자스시티
2015
미야마 아야
파일:일본 국기.svg
오카야마 유노고 벨
2016
케이틀린 포드
파일:호주 국기.svg
시드니 FC 위민
2017
서맨사 커
파일:호주 국기.svg
퍼스 글로리 FC 위민
2018
왕슈앙
파일:중국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페미닌
2019
쿠마가이 사키
파일:일본 국기.svg
올랭피크 리옹 페미닌
2020
시상식 미개최[45]
2021
2022
서맨사 커
파일:호주 국기.svg
첼시 FC 위민


8.5. AFC 올해의 유스 선수[편집]


연도
선수
국가
클럽
성별
1995
모하메드 아마르 알 카티리
파일:오만 국기.svg


1996
밤룽 붐프롬
파일:태국 국기.svg
방콕은행 FC

1997
메흐디 마다비키아
파일:이란 국기.svg
페르세폴리스 FC

1998
오노 신지
파일:일본 국기.svg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1999
왈리드 함자
파일:카타르 국기.svg
알아라비 SC

2000
마에다 료이치
파일:일본 국기.svg
주빌로 이와타

2001
두웨이
파일:중국 국기.svg
상하이 선화

2002
이천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현대 호랑이

2003
오쿠보 요시토
파일:일본 국기.svg
세레소 오사카

2004
박주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려대학교

2005
최명호
파일:북한 국기.svg
경공업성체육단

2006
마샤오쉬
파일:중국 국기.svg
다롄 스더

2007
김금일
파일:북한 국기.svg
4.25체육단

2008
아흐메드 칼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아흘리 클럽

이와부치 마나
파일:일본 국기.svg
닛폰 TV 벨레자

2009
기성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C 서울

이와부치 마나
파일:일본 국기.svg
닛폰 TV 벨레자

2010
정일관
파일:북한 국기.svg
리명수 체육단

여민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함안대산고등학교

2011
이시게 히데키
파일:일본 국기.svg
시미즈 S펄스

케이틀린 포드
파일:호주 국기.svg
시드니 FC 위민

2012
모한나드 압둘라힘
파일:이라크 국기.svg
두호크 FC

시바타 하나에
파일:일본 국기.svg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13
알리 아드난 카딤
파일:이라크 국기.svg
차이쿠르 리제스포르

장슬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원도립대학교

2014
아흐메드 모에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KAS 오이펜

스기타 히나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에다 준신 고등학교

2015
도스톤벡 캄다모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FC 부뇨드코르

고바야시 리카코
파일:일본 국기.svg
도키와기 가쿠엔 고등학교

2016
도안 리츠
파일:일본 국기.svg
감바 오사카

나가노 후우카
파일:일본 국기.svg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17
이승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엘라스 베로나 FC

승향심
파일:북한 국기.svg
평양시체육단

2018
투르키 알 아마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샤바브 FC

다카라다 사오리
파일:일본 국기.svg
세레소 오사카 사카이 레이디스

2019
이강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발렌시아 CF

엔도 준
파일:일본 국기.svg
닛폰 TV 벨레자

2020
시상식 미개최[46]
2021
2022
마츠키 쿠류
파일:일본 국기.svg
FC 도쿄

하마노 마이카
파일:일본 국기.svg
첼시 FC 위민



9. AFC 올해의 감독[편집]


연도
선수
국가
클럽
성별
1994
찬윗 폴치윈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

1995
박종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천안 일화 천마

1996
마 유아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1997
차범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1998
구와하라 다카시
파일:일본 국기.svg
주빌로 이와타

1999
마무드 라키모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2000
필립 트루시에
파일:프랑스 국기.svg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2001
나세르 알 조하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2002
거스 히딩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2003
차경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성남 일화 천마

2004
아드난 하마드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2006
최광석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U-20 축구 국가대표팀

2007[47]
라우프 이니리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톰 세르마니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호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2008
니시노 아키라
파일:일본 국기.svg
감바 오사카

김광민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2009[48]
허정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2010
오카다 다케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김태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

2011
노리오 사사키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데즈카 다카코
파일:일본 국기.svg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레이디스

2012
김호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현대

타카쿠라 아사코
파일:일본 국기.svg


2013
최용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C 서울

타카쿠라 아사코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여자 U-16 축구 국가대표팀

2014
토니 포포비치
파일:호주 국기.svg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타카쿠라 아사코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

2015
엔지 포스테코글루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

타카쿠라 아사코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

2016
최강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북 현대 모터스

찬유엔팅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이스턴 SC

2017
호리 다카후미
파일:일본 국기.svg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타카쿠라 아사코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2018
오이와 고
파일:일본 국기.svg
가시마 앤틀러스

타카쿠라 아사코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2019
정정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타카쿠라 아사코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2020
시상식 미개최[49]
2021
2022
모리야스 하지메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칭샤수이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10. 논란[편집]



10.1. 중동 편애 논란[편집]


중동의 오일머니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중동 편애가 심하다는 의혹이 있다. 대표적인 사건이 2009 시즌에 ACL 규정에서 컵 타이 규정[50]을 폐지한 것이다. 규칙 자체는 대회 전에 개정했으니 문제는 없지만, 그 혜택을 받은 게 중동 클럽이었다는게 문제다. 또한 2011년 아챔 4강에서 벌어진 수원 삼성 블루윙즈 대 알 사드 사건에서도 정작 비매너를 저질러 폭력 사태의 원인을 제공한 알 사드 측보다 수원 측에 더 강한 징계를 내려 한국 축구 팬들의 공분을 사기도 했다.

동아시아 국가들과 사이가 좋지 않은데 아시아 축구가 중동 vs 동아시아 구도 때문이기에 그렇다[51]. 아시아 유명 축구 TV프로그램 풋볼 아시아를 보면 이러한 구도가 보인다.

함맘 전 회장과 정몽준 전 FIFA 부회장 사이가 견원지간인 건 잘 알려진 사실이다. 평소 AFC에 대해 탐탁치 않게 생각한 국가들은 AFC 회장선거에서 정몽준에게 표를 던지기도 했다. 결과는 실패로 돌아갔다.

하지만 딱히 중동 편애라고 볼 수만도 없는 게 오일 머니뿐 아니라 일본이나 한국, 중국, 동남아 스폰서들도 많다. 그리고 중동 편애 이야기가 나오는 근본적인 이유는 심판 배정 문제 때문인데, 같은 한자 문화권에 가까운 나라인 한국, 일본, 중국 사이가 별로인 것처럼 중동(서아시아) 쪽도 역사적으로나 최근에도 별로 사이가 좋은 편이 아니다.[52] 그보다는 그냥 심판 수준이 떨어지는 거라고 보면 된다. 이 문제에 대해선 존 듀어든도 칼럼에 거론한 적 있을 정도로 너무나도 AFC 행정력이나 심판 수준이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 것.

그런데 돌연 샤이크 살만 현 AFC 회장이 "호주를 아시아권에서 퇴출시켜야 한다"라고 발언한 것이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즉 살만 회장이 "호주가 아시아에 들어와 있는데 호주가 아시아와 관련이 있나?"라는 얘긴데, 링크된 기사를 봐도 알겠지만 호주가 아시아 연맹에 편입된 이후 월드컵 본선에 2번이나 진출했고 이는 중동 국가들로 하여금 불공정하다는 반발을 사고 있는 듯 하다는 것이다. 더구나 샤이크 살만 연맹회장이 바레인 축구협회회장이란 것을 고려하면 월드컵 본선 진출에 별 재미를 보지 못한 중동 국가들을 규합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10.2. 러시아의 AFC 편입 논란[편집]


러시아UEFA에 속해있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축구 국가대표팀과 소속 클럽팀 등 모든 러시아의 축구팀들이 UEFA, FIFA에서 잠정적 퇴출은 물론이고 출전이 무기한 금지된 상황에서 아시아 축구 연맹으로 이적한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만일 편입될 경우 기존의 아시아 강팀들[53]의 반발은 물론이고, 신흥강팀들과 다크호스들도 이에 반발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러시아도 유럽에서 강팀에 실력이 좋은 팀이기에 아시아와 실력이 격차가 더 벌어질 수 있으므로 아시아 축구 예선에는 득보다 실이 크고 혼돈의 도가니 속으로 빠져들 수가 있다. #기사#기사2

또한 원정에서도 모스크바 등 러시아 주요도시들도 장거리 원정을 생각하면 선수들의 피로를 고려해야 한다.

2022년 12월 31일에 러시아축구연합은 'AFC에 합류하는 대신 UEFA에 잔류하면서 국제 대회 복귀를 타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사


11. 산하 협회의 축구 리그[편집]




12. 아시아 축구 연맹 찬가[편집]


}}}
찬가는 한국인 작곡가 이동준이 작곡했다. 2015년 AFC 아시안컵에서 최초로 사용했다. 현재의 찬가는 2018년 개정판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06:13:19에 나무위키 아시아 축구 연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 AFC 소속 국가 기준[A] A B C D E F 모두 OFC 소속시 기록[2]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싱가포르, 아프가니스탄,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중화민국, 파키스탄, 필리핀, 홍콩 등 주로 동남아시아동아시아 국가들이 주축이 되었다.[3] 원정 거리 문제는 유럽처럼 강제로 다른 조로 분리하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기는 하다.[4] 말레이시아. AFC 챔피언스 리그 한정.[5] FIFA 월드컵 최종 예선 한정.[6] AFC 아시안컵 한정.[7] 카타르 한정.[8] 레바논. 아시안컵 한정.[9] 요르단. 월드컵 최종 예선 제외.[10] 쿠웨이트. 월드컵 최종 예선 제외.[11] 사우디아라비아. AFC 챔피언스 리그 한정.[12] 국가대표 한정. 월드컵 최종 예선 제외.[13]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 한정.[14] 사우디 아라비아의 신도시 계획.[15] 독일의 자동차 부품 제조사[16] 일본의 카드사[17] 사우디아라비아의 도시 개발회사[18] 중국의 유제품 제조사[19] 일본의 게임 제작사[20] 일본의 종합화학기업[21] 스페인의 스포츠용품 제조사[22]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이 승계. 북베트남은 남베트남이 패망할 때까지 FIFA에 가입하지 않았다.[23] 현 AFC 소속 국가 기준[24]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까지는 아시아 지역 예선을 치루었으나 이후 중동국가들의 입김으로 강제로 탈퇴당해 오세아니아등지를 떠돌다가 1991년 유럽축구연맹에 가입하여 1994년 미국 월드컵 부터는 유럽 지역 예선을 뛰게 되었다. 여담으로 1970년 멕시코 월드컵 이후 가장 본선에 근접했던 대회가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으로 당시 오세아니아 예선1위의 자격으로 콜롬비아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루었으나 패배해 아쉽게 본선에 오르지는 못했다.[25] 2006년 대회까지는 OFC 소속이었기 때문에 AFC 소속일 때의 기록만 보면 4회다.[26]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27] 현재 UEFA 소속이지만,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던 당시에는 AFC였다.[28] AFC 소속 기준으로는 1회[P] A B C D E F G 2021년으로 연기됨[29] 2004년까지는 OFC였으며, AFC 소속 기준으로만 보면 2회다.[30] 중화민국 국호로 출전(특히 1949년 이전까지는 중국 본토 전체를 대표했다).[31] 지금은 유럽 소속이지만, 이 당시에는 아시아 소속이었다.[32] 2005년까지는 오세아니아 소속이었으며, 아시아 소속일때만 보면 3회 진출[33] 2005년까지는 오세아니아 소속이었으며, 아시아 소속일때의 기준으로만 보면 3회 출전[B] A B 대한민국 & 버마 공동 우승[C] A B 남북한 공동 우승[34] AFC 소속 기준으로만 계산하면 5회 출전[35] 북부 선발 팀과 남부 선발 팀으로 나뉘어 출전했다.[36]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 선발팀 출전.[37] 아시아 소속 기준으로만 보면 2회 진출[38] 아시아 소속 기준으로만 보면 0회 진출, 이 3회 진출은 전부 오세아니아 소속일 때다.[3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조기에 취소되었다.[40] 대륙 내에서 활동하는 선수에게만 자격을 인정하려는 방식은 사실 남미 올해의 선수도 쓰고 있다. 다만, 남미의 경우 유럽에서 활동하는 수준 높은 선수들이 발롱도르에서 인정을 받기 때문에 따로 남미 대륙에 한정된 상을 시상해도 큰 문제가 없다. 아시아와 비슷한 레벨인 아프리카와 북중미는 선수상에서 타 대륙 활동을 차별하지 않는다.[41] 소속팀의 프리미어리그 우승과 UEFA 챔피언스리그 준우승에 기여하고 아시안컵에서도 한국을 3위로 이끌어 여전히 최고 수준 활약을 보여준 박지성은 2005년 시상식에 불참해서 찍혔는지 아예 최종 후보로도 뽑지 않고 미리 배제시켰다(...).[42] 2019년의 시상에서 분데스리가UEFA 유로파 리그의 베스트 팀에 뽑힌 하세베 마코토와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에서 맹활약한 황희찬을 후보 30인에서 제외시켰다. 아시아 내 약체에 속하는 국가들에서도 후보를 뽑으면서 유럽에서 크게 주목한 선수들을 배제한 것이다.[43]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조기에 취소되었다.#[44] 언론들의 보도에서 손흥민이 선정된 국제 선수상은 팬 투표 비중이 60%인 팬 선정 상이며, 공식 선정이 아니다.# 같은 사례로 AFC는 챔피언스리그 MVP의 팬 투표도 진행했으며 여기서 이란 선수인 하메드 락이 선정되었지만,# 공식 MVP는 윤빛가람이다.#[45]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조기에 취소되었다.[46]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조기에 취소되었다.[47] 이 연도부터 남녀 감독이 공동 수상했다.[48] 이 연도에는 단독 수상했다.[4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조기에 취소되었다.[50] 컵 대회를 1경기라도 출전한 선수가 시즌 중 이적하면 그 시즌의 해당 컵 경기에는 출전하지 못하는 조항이다.[51] 아시안컵이나 월드컵 예선전 대진을 보면 사우디아라비아나 이란을 제외하면 동아시아 국대들이 두려워 해야 할 중동세들은 그다지 많지 않다. 하지만 이라크, 그리고 특히 시리아 등이 간혹 동아시아에 빅엿를 선사하는 예도 있어서 만만하게는 볼 수 없다. 대체로 경기매너 때문에 논란이 많은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극성홈팬들과 침대축구(...).[52] 시아파와 수니파의 대립, 친미 국가와 반미 국가 진영의 대립, 작게는 카타르와 바레인의 하와르 제도 분쟁 등등.....하지만 이스라엘 문제나 튀르키예의 EU 가입 논란처럼 확실히 뭉치는 부분도 있어서 100%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이란을 믿느니 이스라엘을 차라리 믿고 만다는 투로 2020년 아랍에미리트가 아랍연맹 반발을 무시하며 이스라엘과 정식 수교를 맺는다든지 여기도 확실히 뭉치는 것도 아니다.[53] 대한민국, 호주, 이란, 일본, 사우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