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C컵

덤프버전 :



<bgcolor=#ffffff,#191919>
[ 펼치기 · 접기 ]



폐지 대회

#!end
[ 펼치기 · 접기 ]





AFC컵
파일:AFC_Cup_logo.png
정식 명칭
AFC컵
AFC Cup
창설 연도
2004년 - AFC컵
2024년 - AFC 챔피언스 리그 2
진출 자격
소속 리그에서 출전권을 부여받은
AFC 라이선스 클럽
상위 대회
AFC 챔피언스 리그[1]
하위 대회
AFC 챌린지 리그[2]
최근 우승 팀
파일:오만 국기.svg 알 시브 클럽 (2022)
최다 우승 팀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SC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쿠와 알 자위야 (3회)
최다 우승 국가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4회)
파일:icon-afc-cup.pn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1. 개요
2. 상세
3. 방식
4. 시즌 일람
4.1. 2021 시즌
4.2. 2022 시즌
4.3. 2023-24 시즌
5. 역대 우승팀
6. 우승 횟수



1. 개요[편집]




AFC컵 - 브랜드 아이덴티티
AFC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에서 주최하는 아시아의 차상위 클럽 축구 대항전이다.


2. 상세[편집]


AFC 챔피언스 리그 하위 대회라 UEFA 유로파 리그와 유사한 성격의 대회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사실 그와는 전혀 다른 유형의 컵대회이다. 서아시아 동아시아로 나눌 때 각 지역 최상위 5개국은 참여가 일체 불가하며, 그 후순위의 상위 6개국도 1팀만 참여 가능하다. 이는 아직 아시아의 지역별 축구 격차가 국가별로 너무 심할 정도로 크기 때문이다.[3]

2023시즌부터는 클럽 랭킹이 하락해서 호주 A리그 멘 팀이 2팀이 나오게 되는데 그 팀은 2022‐23시즌 A리그 그랜드 파이널 우승팀인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FC와 2022년 오스트레일리아컵 우승팀인 맥아서 FC. 물론 호주는 아챔에서 1팀이 나가기는 한다.

아시아 축구 시장을 키우려면 챔피언스 리그와 연계하고 출전 가능 국가를 늘리는게 맞다는 의견도 있다.[4][5]


3. 방식[편집]


초창기에는 AFC 챔피언스리그와 AFC컵간의 연계는 없었다. 그러다가 2009년에 대대적으로 개편하면서 전년도 아컵 우승팀과 준우승팀을(단, AFC에서 정한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챔피언스리그 PO에 넣어주는 제도를 시행했고 PO에서 탈락한 팀을 AFC컵 조별 예선에 끼워주는 제도도 시행되었다.

2013시즌엔 챔피언스리그 PO 탈락팀을 아컵에 출전시키는 제도가 폐지되었다.

2017시즌부터는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서아시아, 중앙아시아로 분할 출전한다.

2021 시즌부터 AFC컵 우승 팀은 다시 다음 시즌 AFC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에 진출할수 있게 되었다. 다만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하면 AFC컵으로 편입되지 않는다.

2021년부터 시행되는 AFC컵 본선의 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그룹 스테이지의 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서아시아: A, B, C조에 배정되며 각 조 1위 팀 전부와 각 조 2위 팀들 중 성적이 가장 좋은 한 팀이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한다.
  • 남아시아: D조에 배정되며 조 1위 팀이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한다.
  • 중앙아시아: E, F조에 배정되며 각 조 1위 팀이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한다.
  • 동남아시아: G, H, I조에 배정되며 각 조 1위 팀 전부와 각 조 2위 팀들 중 성적이 가장 좋은 한 팀이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한다.
  • 동아시아: J조에 배정되며 조 1위 팀이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한다.

녹아웃 스테이지 방식은 다소 복잡하다. 일단 녹아웃 스테이지는 크게 서아시아 지역과 나머지 4개 지역으로 구분된다.

서아시아 지역의 그룹 스테이지를 통과한 팀들끼리 지역별 준결승전과 결승전을 치른다.

그리고 나머지 4개 지역 팀들은 지역간 녹아웃 스테이지를 통하게 되는데, 다음과 같다.
  • 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지역의 그룹 스테이지 통과팀은 지역간 준결승전에 자동 진출한다.
  • 중앙아시아 지역의 그룹 스테이지 통과팀들끼리 지역별 결승전을 치러 지역간 준결승전에 진출할 한 팀을 선발한다.
  • 동남아시아 지역의 그룹 스테이지 통과팀들끼리 지역별 준결승전과 결승전을 치러 지역간 준결승전에 진출할 한 팀을 선발한다.
  • 이렇게 4개 지역에서 지역간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한 팀들끼리 지역간 준결승전과 결승전을 치른다.

마지막으로 서아시아 지역의 녹아웃 우승팀과 지역간 녹아웃 우승팀이 최종 결승전을 진행하여 최종 우승팀을 가린다.


4. 시즌 일람[편집]



4.1. 2021 시즌[편집]


2021시즌 위키문서

2020시즌은 코로나 여파로 중도에 취소되었으므로 2019시즌의 시드가 유지된다.

동남아시아 지역은 대회를 진행할 장소를 구하지 못해 취소되었다.

2021시즌 불참국가는 다음과 같다. (AFC 챔피언스 리그에만 참가하는 서아시아 상위 5개국 및 동아시아 상위 5개국은 제외)

구역
불참국가와 불참 팀&사유
서아시아
오만(알시브와 알나스르, 기권)
예멘(클럽 라이선스 팀 없음)
아세안
미얀마(샨 유나이티드와 한타와디 유나이티드, 쿠데타 이슈로 기권)
필리핀(카야 FC, ACL 조별 라운드 진출, 승계팀 없음)[6][7]
남아시아
파키스탄(클럽 라이선스 팀 없음)
동아시아
북한(클럽 라이선스 팀 없음)
마카오(벤피카 드 마카오와 차오 팍 케이. 추첨 전 기권)
괌(클럽 라이선스 팀 없음)
중앙아시아
아프가니스탄(클럽 라이선스 팀 없음)

이후 인근지역(아세안 포함)의 과도한 결원 발생 우려 등으로 인해 7월 7일 그룹 G조[8], H조[9]와 I조[10] 경기를 취소시키면서, 서부권(중동, 서아시아)을 빼면 동아시아와 남아시아 팀들만[11] 넉아웃 스테이지에 올라서게 되고 말았다.


4.2. 2022 시즌[편집]


2022시즌 위키문서

지난시즌 우승팀인 바레인의 알 무하라크는 AFC 라이선스를 얻지 못해 타이틀방어에 자동으로 실패했다.

2022시즌 불참국가는 다음과 같다.
구역
불참국가와 불참 팀&사유
서아시아
요르단(우승팀은 라이선스가 없고 차상위 팀은 챔피언스리그 참가팀임)
예멘(라이선스 시스템 미구축)[12]
중앙아시아
아프가니스탄(라이선스 시스템 미구축)
남아시아
파키스탄(라이선스 시스템 미구축)[13]
아세안
미얀마(한타와디는 조별리그 추첨 이후[14] 기권)[15]
브루나이, 동티모르(각각 클럽 라이선스 팀 없음)
동아시아
북한, 괌, 북마리아나제도(각각 라이선스 시스템 미구축)
마카오(벤피카 드 마카오는 참가 거부, 차오 팍 케이는 조별리그 추첨 이후 기권.)


4.3. 2023-24 시즌[편집]


2023-24시즌 위키문서

호주 A리그의 순위가 폭락해 결국 AFC컵에 발을 들이고 말았다.
2023-24시즌 불참국가는 다음과 같다.
구역
불참국가와 불참 팀&사유
서아시아
요르단(차상위 팀은 챔피언스리그 참가팀임)
예멘(라이선스 시스템 미구축)
중앙아시아
아프가니스탄(라이선스 시스템 미구축)
남아시아
스리랑카, 파키스탄(각각 라이선스 시스템 미구축)
아세안
베트남(차상위 팀은 챔피언스리그 참가팀임)
동티모르(라이선스 시스템 미구축)
동아시아
북한, 괌, 북마리아나제도(각각 라이선스 시스템 미구축)

5. 역대 우승팀[편집]


연도
우승팀
결과
준우승팀
경기장
2004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자이시 SC
3-2
0-1[A]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와흐다 SC
파일:시리아 국기.svg 다마스쿠스, 압바시인 스타디움
2005
파일:요르단 국기.svg 알 파이살리 SC
1-0
3-2
파일:레바논 국기.svg 네즈메 SC
파일:요르단 국기.svg 암만, 암만 국제경기장
파일:레바논 국기.svg 베이루트, 알 마나라 스타디움
2006
파일:요르단 국기.svg 알 파이살리 SC
3-0
2-4
파일:바레인 국기.svg 알 무하라크 SC
파일:요르단 국기.svg 암만, 암만 국제경기장
파일:바레인 국기.svg 리파, 바레인 국립 경기장
2007
파일:요르단 국기.svg 샤밥 알 오돈
1-0
1-1
파일:요르단 국기.svg 알 파이살리 SC
파일:요르단 국기.svg 암만, 암만 국제경기장
2008
파일:바레인 국기.svg 알 무하라크 SC
5-1
5-4
파일:레바논 국기.svg 사파 SC
파일:바레인 국기.svg 리파, 바레인 국립 경기장
파일:레바논 국기.svg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2009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SC
2-1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카라마 SC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시티, 알쿠웨이트 SC 경기장
2010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 SC 알레포
1-1[ET]
(PSO 4-3)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카디시야 SC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시티, 자베르 알 아흐마드 국제 경기장
2011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나사프 카르시
2-1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SC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카르시, 마르카지 스타디움
2012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SC
4-0
파일:이라크 국기.svg 아르빌 SC
파일:이라크 국기.svg 아르빌, 프란소 하리리 스타디움
2013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SC
2-0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카디시야 SC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시티, 알 사다카 왈살람 스타디움
2014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카디시야 SC
0-0[ET]
(PSO 4-2)
파일:이라크 국기.svg 아르빌 SC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두바이, 막툼 빈 라시드 알막툼 경기장
2015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조호르 다룰 탁짐[16]
1-0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FC 이스티클롤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두샨베, 파미르 스타디움
2016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쿠와 알 자위야
1-0
파일:인도 국기.svg 벵갈루루 FC
파일:카타르 국기.svg 도하, 수하임 빈 하마드 스타디움
2017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쿠와 알 자위야
1-0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FC 이스티클롤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히소르, 히소르 중앙 경기장
2018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쿠와 알 자위야
2-0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알틴 아시르 FK
파일:이라크 국기.svg 바스라, 바스라 스포츠 시티
2019
파일:레바논 국기.svg 알 아헤드
1-0
파일:북한 국기.svg 4.25체육단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쿠알라룸푸르, 쿠알라룸푸르 스타디움
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범유행으로 대회 중도취소
2021
파일:바레인 국기.svg 알 무하라크 SC
3-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FC 나사프 카르시
파일:바레인 국기.svg 마나마, 알 무하라크 스타디움
2022
파일:오만 국기.svg 알 시브 클럽
3-0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쿠알라룸푸르 시티 FC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쿠알라룸푸르,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

6. 우승 횟수[편집]


클럽
우승
준우승
우승 연도
준우승 연도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SC
3
1
2009, 2012, 2013
2011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쿠와 알 자위야
3
0
2016, 2017, 2018

파일:요르단 국기.svg 알 파이살리 SC
2
1
2005. 2006
2007
파일:바레인 국기.svg 알 무하라크 SC
2
1
2008, 2021
2006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카디시야 SC
1
2
2014
2010, 2013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나사프 카르시
1
1
2011
2021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자이시 SC
1
0
2004

파일:요르단 국기.svg 샤밥 알 오돈
1
0
2007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 SC 알레포
1
0
2010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조호르 다룰 탁짐
1
0
2015

파일:레바논 국기.svg 알 아헤드
1
0
2019

파일:오만 국기.svg 알 시브 클럽
1
0
2022

파일:이라크 국기.svg 아르빌 SC
0
2

2012, 2014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FC 이스티클롤
0
2

2015, 2017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와흐다 SC
0
1

2004
파일:레바논 국기.svg 네즈메 SC
0
1

2005
파일:레바논 국기.svg 사파 SC
0
1

2008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 카라마 SC
0
1

2009
파일:인도 국기.svg 벵갈루루 FC
0
1

2016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알틴 아시르 FK
0
1

2018
파일:북한 국기.svg 4.25 체육단
0
1

2019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쿠알라룸푸르 시티 FC
0
1

2022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9 22:58:32에 나무위키 AFC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4-25 시즌부터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로 개편 예정.[2] 2024-25 시즌 창설 예정.[3] 동남아에서 그래도 나름 잘 나가는 AFC 챔피언스 리그에 도전장을 내미는 태국 팀들조차도 조별리그나 예선에서 한중일 팀들의 동네북이고 종종 상대를 잘못 만나 6점차로 털리는 경우가 생기긴다. 2021시즌에 싱가포르탬피니스 로버스 FC전북 현대 모터스를 ACL 조별리그에서 만났으나, 0:9로 처참하게 패했다. 다만 2022시즌의 경우 동남아에서 단기간에 많은 경기를 치렀던 변수와 중국 슈퍼 리그의 몰락으로 중국 팀들이 죄다 승점자판기가 된 덕에 동남아 팀들이 꽤 많이 진출했고 한국에서 2팀(울산, 전남), 일본에서 1팀(가와사키)이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4] 아시아 하위 리그의 명문팀들이 상위리그 중상위권 팀과 붙으며 순환되는 형식이 될 텐데 이렇게 되면 전자는 강팀과 붙어볼 수 있고 후자는 아시아 대항전에 나가서 경험을 쌓을 수 있고 당연히 유럽 하부리그 스카우터들도 어느 정도 방문할 텐데 유럽 진출의 기회도 된다.또한 한일 중하위권 구단도 큰 손해는 아닌 것이 재정이 어려운 시민구단이 꽤 되는지라 참가 배당금만으로도 구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5] 사실 한국, 일본 등 아시아 상위리그면 연봉이나 수준도 유럽 중상위권 리그 혹은 중하위권 리그보다 높기에 유럽대항전에 자주 나가는 팀 아니면 가는 게 연봉이나 수준 면에서 유럽의 높은 세금 등으로 인해 오히려 더 손해인 면도 있지만 아시아 중위권 리그의 선수들에게는 이게 큰 기회가 될 수밖에 없다. 아시아 개발도상국과 유럽의 소득 격차는 유럽의 세금을 누를만큼 크기 때문.[6] 필리핀은 동아시아 지역 6위이기 때문에 ACL PO에서 지면 ACC에 참여하고 ACL PO에서 이기면 ACC티켓은 차순위 팀으로 이양된다. 그러나 AFC는 ACL과 ACC 모두 컵 대회 우승팀 제외 리그 상위 50% 팀에게만 티켓을 부여한다. 2020시즌 필리핀 리그는 참여팀이 6팀이라 3위까지에게만 티켓을 줄 수 있었고 3위 팀인 ADT FC는 U-23로 이루어진 특별 팀이라 AFC 클럽 라이선스가 없는 관계로 승계팀 없이 티켓이 소멸되었다.[7] 이 때문에 인도네시아 페르시푸라 자야푸라, 캄보디아 비사카, 동티모르 라레녹 유나이티드를 조별로 배정시켰었다.[8] 베트남 하노이 FC, 인도네시아 발리 유나이티드, 캄보디아 보응 켓 FC, ASEAN지역 최종 예선통과팀(자리없음)[9] 말레이시아 케다 다룰 아만, 싱가포르 라이언 시티 세일러스, 베트남 사이공 FC, 인도네시아 페르시푸라 자야푸라[10] 캄보디아 비사카, 동티모르 라레녹 유나이티드, 말레이시아 테렝가누 FC, 싱가포르 게일랑 인터네셔널[11] 우즈베키스탄 나사프 콰르시, 인도 ATK, 홍콩 리만[12] 쿠웨이트는 위 두 국가에 의해 서부에 할당되지 않은 자리가 발생해 추가로 생겼다.[13] 몰디브의 경우는 예선에 배정된 클럽 발렌시아가 예선2R 시점에 재정 이슈로 탈락했고 당시 상대팀인 아바하니 리미티드 다카가 플레이오프로 올라섰다. 몰디브는 조별에 배정된 마지야 SRC만 참가했다.[14] 지난 해는 쿠데타 이슈로 대회 일정 이전에 기권했었다.[15] 이 때문에 플레이오프에 있었던 캄보디아 비사카와 라오스 영 엘리펀츠는 경기 없이 자동으로 조별진출 확정되었다[A] 원정 다득점 원칙으로 승리[ET] A B 연장[16] 4강전에 진출한 쿠웨이트 팀들이 쿠웨이트 축구 협회에 대한 FIFA의 자격 정지 처분으로 인해 중도 실격되면서 자동으로 결승에 진출하는 행운이 뒤따라 동아시아권(당시 권역을 서아시아와 동아시아로 나누어 대회를 치렀다) 클럽으로는 처음으로 AFC컵 결승전에 진출하는 기록을 세웠으며, 거기에 더해 결승전에서는 타지키스탄의 이스티클롤을 상대로 원정 단판승부라는 불리함을 딛고 1:0으로 우승. 동아시아권 클럽으로는 처음으로 AFC컵 우승이라는 기록까지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