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여자 축구 클럽 대항전에 대한 내용은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페메니나 문서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페메니나번 문단을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페메니나#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현재 진행 중인 시즌에 대한 내용은 2024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문서
2024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번 문단을
2024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NMEBOL Libertadores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파일: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로고 화이트.png
정식 명칭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CONMEBOL Libertadores
창설 연도1960년
주관 단체남미 축구 연맹 (CONMEBOL)
진출 자격남미 축구 연맹에 등록된 회원국 산하 클럽
하위 대회CONMEBOL 수다메리카나
최근 우승팀
파일:브라질 국기.svg

플루미넨시 FC (2023)
최다 우승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인데펜디엔테 (7회)
최다 우승 국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25회)
최다 득점자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알베르토 스펜서 (54골)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2.1. 개별 문서가 있는 대회
3. 대회 방식
4. 진출 팀
5. 진행 과정
5.1. 개편 전 (2007~2016)
5.2. 개편 후 (2017~ )
6. 상금
7. 공식 스폰서십
8. 기록
8.1. 통산 랭킹
8.2. 우승/준우승 횟수
8.2.1. 클럽
8.2.2. 국가
8.2.3. 도시
8.3. 4강 진출 횟수
8.4. 역대 결승전 결과
8.5. 역대 공인구
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공식 인트로 영상

파일:attachment/Copa_Libertadores_trophy.jpg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트로피
CONMEBOL에서 주관하는 클럽 대항전. 남미 클럽 축구의 최강자를 가리는 대회다. 또한 대륙별 최고 클럽 대항전 중 유일하게 '챔피언스'라는 명칭이 붙지 않는다.[1] 정식 명칭에 메인 스폰서명을 넣는데, 현재는 '코파 브리지스톤 리베르타도레스(Copa Bridgestone Libertadores)'가 정식 명칭이다. 2007년까지는 토요타가 스폰서였기 때문에 사이에 토요타를 넣었다. 2008~2012년에는 스페인[2] 은행산탄데르[3]가 스폰서를 맡았으며, 2013년부터는 일본타이어 메이커 브리지스톤이 주관하여 후원한다(코파 브리지스톤 리베르타도레스). 또한, 스페인어로 '리베르타도레스'는 19세기 라틴아메리카 국가의 독립 운동 지도자라는 뜻으로서(해방자), 그들을 기념하는 의미로 대회 명칭으로 쓰이고 있다.[4]


2. 역사[편집]


1948년 남미 클럽 챔피언십[5]이라는 이름으로 처음으로 개최했다. 당시 참가국은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페루, 칠레, 볼리비아, 에콰도르 7개국이었다. 승자는 브라질의 CR 바스쿠 다 가마. 하지만 이후 교통 문제와 각국의 내부 사정으로 인해 제대로 된 대회가 개최되지 못했다.

그러다 1958 월드컵 이후 브라질의 우승으로 남미 축구계에 관심을 가지게 된 UEFA주앙 아벨란제를 비롯한 남미 축구계 인사들과 손을 잡고, 이미 유럽에서 매년 개최하고 있던 유러피언 컵(현 UEFA 챔피언스 리그)에 대응하는 남미의 대륙 대회를 만들기로 결정하면서 정기적인 대회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가 출범하게 되었다. 당시 이름은 '코파 데 캄페오네스 데 아메리카'였다.

참고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와 비슷한 목적으로 탄생하게 된 대회가 바로 유럽과 남미의 대륙 대항전 챔피언들끼리 맞붙는 인터컨티넨탈 컵. 정확히는 인터컨티넨탈 컵을 창설하기 위하여 코파 리베르타도레스가 탄생한 셈이다.


2.1. 개별 문서가 있는 대회[편집]





3. 대회 방식[편집]


개최 시기는 매년 가을부터 겨울(2월~7, 8월)이며, 봄부터 여름(9월~12월)에 있어서는 마찬가지로 남미 축구 연맹 주최의 코파 수다메리카나가 개최된다. 덧붙여 2011년부터 전년의 수다메리카나 우승 클럽이 리베르타도레스에 출전할 수 있게 되었다.
결승전을 포함하여 모든 경기를 홈&어웨이로 개최한다. 결승전을 단일 경기로 치르는 챔피언스 리그와는 다른 점. 2004년까지는 득실이 동률일 때 원정 다득점 원칙과 연장전 없이 바로 승부차기를 벌였으나, 2004년 보카 주니어스온세 칼다스의 경기가 논란이 되었다. 당시 온세 칼다스는 이전 경기부터 원정 경기 다득점에서 밀려왔다. 즉, 원정 다득점 룰이 있었다면 진즉에 탈락했을 팀. 하지만 결국 결승전에서 승부차기로 승리하며 우승을 했고, 이에 보카가 이의를 제기하면서 논란이 커졌다. 이전에도 이런 논란이 있어 와서인지 CONMEBOL은 이를 받아들였고, 결국 2005년부터 원정 다득점을 결승전을 제외한 모든 경기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결승전에도 원정 다득점 룰이 있었으나 2008년부터 결승전에 한하여 원정 다득점 룰을 폐지하고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도입하였다.

2019년 대회부터 결승전은 홈&어웨이 방식에서 단판식으로 바뀌었으며, 2022년 대회부터 토너먼트 전 경기에서 원정 다득점을 폐지하고 총 득점이 동률일 시 바로 승부차기를 진행하는 2004년 이전의 방식으로 회귀하였다. 참고로 우승 상금은 무려 1200만 달러이다.


4. 진출 팀[편집]


2016년까지는 38개 팀이 대회에 진출하였으나 2017년부터 규정이 바뀌면서 총 47개 팀이 진출하게 된다.

  • 7개 팀: 브라질[6]
  • 6개 팀: 아르헨티나
  • 4개 팀: 볼리비아, 칠레,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우루과이, 파라과이, 베네수엘라
  • 전대회 우승팀[7]
  • 코파 수다메리카나 우승팀[8]

2016년까지 참가했었던 멕시코는 CONMEBOL 소속은 아니지만 초청 팀 자격으로 진출하는데 멕시코 리그 우승팀은 북중미 CONCACAF 챔피언스 리그에 나가면서 2006년부터 15회 연속 우승을 거두고 있다.[9]


5. 진행 과정[편집]



5.1. 개편 전 (2007~2016)[편집]


2007년부터 2016년까지는 다음과 같다.

  • 플레이오프
먼저 38개 팀 중 12개 팀이 예비 플레이오프를 한다. 예비 플레이오프는 각 국가별로 시드 순위가 가장 낮은 1팀씩 11팀이 참가한다. 나머지 1자리는 전년도 우승팀이 있는 국가에서 시드 순위가 두 번째로 낮은 팀이 들어간다. 그렇게 해서 플레이오프를 치르면 6개 팀이 남게 되고 이 6개 팀이 나머지 26개 팀과 조별리그를 치른다.
  • 조별리그
4개 팀씩 8개 조로 나뉜다. 순위 산정은 득실, 득점, 원정 득점, 추첨 순으로 한다. 조별리그가 끝나면 각 조 1위 간 전적을 비교해서 1번부터 8번까지 시드를 매기고 각 조 2위 간 전적을 비교해서 9번부터 16번까지 시드를 매긴다.
  • 토너먼트
조별리그의 결과에 따라 시드를 매긴 후 다음과 같이 한다. 모두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치르며, 각 라운드마다 1차전은 시드 순위가 낮은 팀이 홈 경기를 치르고 2차전은 시드 순위가 높은 팀이 홈 경기를 치른다. 시드 번호의 숫자가 작을수록 시드 순위가 높음을 의미한다.
  • 16강전
    • 16강전 1게임: 1번 시드 vs 16번 시드
    • 16강전 2게임: 2번 시드 vs 15번 시드
    • 16강전 3게임: 3번 시드 vs 14번 시드
    • 16강전 4게임: 4번 시드 vs 13번 시드
    • 16강전 5게임: 5번 시드 vs 12번 시드
    • 16강전 6게임: 6번 시드 vs 11번 시드
    • 16강전 7게임: 7번 시드 vs 10번 시드
    • 16강전 8게임: 8번 시드 vs 9번 시드
  • 8강전
    • 8강전 1게임: 16강전 1게임 승자 vs 16강전 8게임 승자
    • 8강전 2게임: 16강전 2게임 승자 vs 16강전 7게임 승자
    • 8강전 3게임: 16강전 3게임 승자 vs 16강전 6게임 승자
    • 8강전 4게임: 16강전 4게임 승자 vs 16강전 5게임 승자
  • 4강전
    • 4강전 1게임: 8강전 1게임 승자 vs 8강전 4게임 승자
    • 4강전 2게임: 8강전 2게임 승자 vs 8강전 3게임 승자
  • 결승전: 4강전 1게임 승자 vs 4강전 2게임 승자

단, 결승전은 홈 경기 개최 순서에 관한 특례 조항이 있는데, 결승 2차전은 시드와 관계없이 무조건 남미에서 열려야 한다. 즉, 멕시코 클럽은 무조건 홈에서 1차전을 치러야 한다는 소리.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규정집에도 이 규정이 존재한다. 실제 사례로 2015 시즌 결승전에서 멕시코의 UANL과 아르헨티나의 리버 플레이트가 맞붙게 되었는데 시드 순위만 놓고 본다면 UANL이 2위, 리버 플레이트가 16위로 1차전을 리버 플레이트의 홈에서, 2차전을 UANL의 홈에서 치러야 했지만 이 특례 조항이 적용되어 반대로 1차전을 UANL의 홈에서, 2차전을 리버 플레이트의 홈에서 치르게 되었다. 리버 플레이트가 이 혜택을 톡톡히 누리면서 2차전에서 승리를 거두고 우승했다.


5.2. 개편 후 (2017~ )[편집]


2017년부터 다음과 같이 개편되었다. 이로써 UEFA 챔피언스 리그UEFA 유로파 리그 간의 연계와 비슷하게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와 CONMEBOL 수다메리카나가 연계되었다.

  • 팀 수가 기존의 38팀에서 47팀으로 확대되었다. 브라질 7장, 아르헨티나 6장, 나머지 8개 CONMEBOL 회원국 리그에게는 4장씩 주어지며 추가로 전년도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우승팀에 1장, CONMEBOL 수다메리카나 우승팀에 1장이 부여된다. 초청 팀 자격으로 참가하였던 멕시코 팀은 2017 시즌부터 일정상의 문제로 불참의 의사를 연속적으로 표현했고 이후에도 2020 시즌까지 계속해서 참여하지 않고 있다.
  • 플레이오프가 3개 스테이지로 늘어났다. 1차 플레이오프에서는 6개 팀이 참가하고 2차 플레이오프에서는 1차 플레이오프를 통과한 3개 팀이 2차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나머지 13개 팀과 경쟁한다. 여기서 승리한 8개 팀이 최종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이렇게 최종적으로 4개 팀이 조별리그에 진출하여 나머지 28개 팀과 경쟁한다. 최종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한 팀 중 전적이 좋은 2개 팀은 CONMEBOL 수다메리카나에 합류한다.
  • 조별리그에서는 기존과 같이 조 2위까지 16강에 진출한다. 조 3위 팀은 CONMEBOL 수다메리카나에 합류한다.
  • 토너먼트 대진 편성을 시드 번호를 바탕으로 무작위 추첨한다. 각 조의 1위 팀과 2위 팀끼리 전적을 비교해서 1위 팀에는 1번부터 8번까지, 2위 팀에는 9번부터 16번까지 시드 번호를 매기는 것은 기존과 같다. 다만 1번 시드 팀이 기존처럼 무조건 16번 시드 팀과 대결하는 게 아니라 추첨에 따라 9번부터 16번까지의 팀 중 한 팀과 맞붙을 수 있고 반대로 16번 시드의 팀 역시 무조건 1번부터 8번까지의 팀 중 한 팀과 맞붙을 수 있다.


6. 상금[편집]


2023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상금
우승
(Champion)
$18,000,000
준우승
(Runner-up)
$7,000,000
4강 진출
(Semi Final)
$2,300,000
8강 진출
(Quarter Final)
$1,700,000
16강 진출
(Round of 16)
$1,250,000
조별 리그 진출
(Group stage)
$3,000,000
조별 리그 승리
(Group stage win)
$300,000
3차 예선
(3rd stage)
$600,000
2차 예선
(2nd stage)
$500,000
1차 예선
(1st stage)
$400,000


7. 공식 스폰서십[편집]




8. 기록[편집]


※ 굵은 글씨는 대회 최다 기록임.


8.1. 통산 랭킹[편집]


순위클럽명진출우승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리버 플레이트3743741839992620391229648
2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483401170108123559438121618
3파일:우루과이 국기.svg CA 페냐롤47536916479126555449106571
4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보카 주니어스3063101627670471273198562
5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올림피아4333201259110445640650466
6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세로 포르테뇨42031711690110403411-8438
7파일:브라질 국기.svg SE 파우메이라스2232101173954392218174390
8파일:브라질 국기.svg 그레미우 풋볼 포르투알레그렌시2132071084356318189129367
9파일:칠레 국기.svg CSD 콜로-콜로3412419554923363342339
10파일:브라질 국기.svg 상파울루 FC213199964855310195115336

※ 2022 시즌 종료 시점 기준.
※ 순위는 통산 승점에 따름.
※ 3회 이상 우승팀 중 10위 안에 들지 못하는 클럽은 CA 인데펜디엔테(16위), 클루브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플라타(20위), 산투스 FC(25위)이다.


8.2. 우승/준우승 횟수[편집]



8.2.1. 클럽[편집]


파일: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로고 화이트 가로형.png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우승/준우승 횟수
클럽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인데펜디엔테701964, 1965, 1972, 1973, 1974, 1975, 1984-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보카 주니어스661977, 1978, 2000, 2001, 2003, 20071963, 1979, 2004, 2012, 2018, 2023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CA 페냐롤551960, 1961, 1966, 1982, 19871962, 1965, 1970, 1983, 201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리버 플레이트431986, 1996, 2015, 20181966, 1976, 2019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클루브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플라타411968, 1969, 1970, 20091971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올림피아341979, 1990, 20021960, 1989, 1991, 2013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331971, 1980, 19881964, 1967, 1969
파일:브라질 국기.svg 상파울루 FC331992, 1993, 20051974, 1994, 2006
파일:브라질 국기.svg SE 파우메이라스331999, 2020, 20211961, 1968, 2000
파일:브라질 국기.svg 산투스 FC321962, 1963, 20112003, 2020
파일:브라질 국기.svg 그레미우 풋볼 포르투알레그렌시321983, 1995, 20171984, 2007
파일:브라질 국기.svg CR 플라멩구311981, 2019, 20222021
파일:브라질 국기.svg 크루제이루 EC221976, 19971977, 2009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클루브 아틀레티코 나시오날211989, 20161995
파일:브라질 국기.svg SC 인테르나시오나우212006, 20101980
파일:칠레 국기.svg CSD 콜로-콜로1119911973
파일:브라질 국기.svg 플루미넨시 FC1120232008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라싱 클루브 데 아베야네다101967-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101985-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벨레스 사르스필드101994-
파일:브라질 국기.svg CR 바스쿠 다 가마101998-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온세 칼다스102004-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LDU 키토102008-
파일:브라질 국기.svg SC 코린치안스102012-
파일:브라질 국기.svg 클루비 아틀레치쿠 미네이루10201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산 로렌소102014-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아메리카 데 칼리04-1985, 1986, 1987, 1996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아소시아시온 데포르티보 칼리02-1978, 1999
파일:칠레 국기.svg CD 코브렐로아02-1981, 198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뉴웰스 올드 보이스02-1988, 1992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바르셀로나 SC02-1990, 1998
파일:브라질 국기.svg 클루비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02-2005, 2022
파일:페루 국기.svg 클루브 우니베르시타리오01-1972
파일:칠레 국기.svg 클루브 우니온 에스파뇰라01-1975
파일:칠레 국기.svg CD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01-1993
파일:페루 국기.svg 클루브 스포르팅 크리스탈01-1997
파일:멕시코 국기.svg 크루스 아술 AC01-2001
파일:브라질 국기.svg AD 상카에타누01-2002
파일:멕시코 국기.svg CD 과달라하라01-2010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나시오날01-2014
파일:멕시코 국기.svg 티그레스 UANL01-2015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인데펜디엔테 델 바예01-2016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라누스01-2017


8.2.2. 국가[편집]


국가우승준우승우승 클럽준우승 클럽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2513CA 인데펜디엔테 7, CA 보카 주니어스 6,
클루브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플라타 4, CA 리버 플레이트 4,
라싱 클루브 데 아베야네다 1, AA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1,
CA 벨레스 사르스필드 1회, CA 산 로렌소 1
CA 보카 주니어스 6, CA 리버 플레이트 3,
CA 뉴웰스 올드 보이스 2, 클루브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플라타 1, CA 라누스 1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2318상파울루 FC 3, 산투스 FC 3,
그레미우 풋볼 포르투알레그렌시 3,
SE 파우메이라스 3, 크루제이루 EC 2,
SC 인테르나시오나우 2, CR 플라멩구 3,
CR 바스쿠 다 가마 1, SC 코린치안스 1,
클루비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1, 플루미넨시 FC 1
상파울루 FC 3, SE 파우메이라스 3, 그레미우 풋볼 포르투알레그렌시 2,
크루제이루 EC 2, SC 인테르나시오나우 1, 산투스 FC 2,
AD 상카에타누 1, 클루비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2,
플루미넨시 FC 1, CR 플라멩구 1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88CA 페냐롤 5,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 3CA 페냐롤 5,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 3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37클루브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2, 온세 칼다스 1아메리카 데 칼리 4, 아소시아시온 데포르티보 칼리 2, 클루브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1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35클루브 올림피아 3클루브 올림피아 4, 클루브 나시오날 1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15CSD 콜로-콜로 1CD 코브렐로아 2, CSD 콜로-콜로 1,
클루브 우니온 에스파뇰라 1, CD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 1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13LDU 키토 1바르셀로나 SC 2, 인데펜디엔테 델 바예 1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03-크루스 아술 AC 1, CD 과달라하라 1,티그레스 UANL 1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02-클루브 우니베르시타리오 1, 클루브 스포르팅 크리스탈 1


8.2.3. 도시[편집]


도시우승준우승우승 클럽준우승 클럽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부에노스아이레스139CA 리버 플레이트 4, CA 보카 주니어스 6, AA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1,
CA 벨레스 사르스필드 1, CA 산 로렌소 1
CA 리버 플레이트 3, CA 보카 주니어스 6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몬테비데오88CA 페냐롤 5,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 3CA 페냐롤 5,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 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베야네다80CA 인데펜디엔테 7, 라싱 클루브 데 아베야네다 1-
파일:브라질 국기.svg 상파울루76상파울루 FC 3, SE 파우메이라스 3, SC 코린치안스 1상파울루 FC 3, SE 파우메이라스 1
파일:브라질 국기.svg 포르투알레그리53SC 인테르나시오나우 2, 그레미우 풋볼 포르투알레그렌시 3그레미우 풋볼 포르투알레그렌시 2, SC 인테르나시오나우 1
파일:브라질 국기.svg 히우지자네이루52CR 플라멩구 3, CR 바스쿠 다 가마 1, 플루미넨시 FC 1플루미넨시 FC 1 CR 플라멩구 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라플라타41클루브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플라타 4클루브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플라타 1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아순시온35클루브 올림피아 3클루브 올림피아 4, 클루브 나시오날 1
파일:브라질 국기.svg 벨루오리존치32크루제이루 EC 2, 클루비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1크루제이루 EC 2
파일:브라질 국기.svg 산투스32산투스 FC 3산투스 FC 2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메데진21클루브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2클루브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1
파일:칠레 국기.svg 산티아고13CSD 콜로-콜로 1CSD 콜로-콜로 1, 클루브 우니온 에스파뇰라 1,
CD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 1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마니살레스10온세 칼다스-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키토10LDU 키토 1-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칼리06-아메리카 데 칼리 4, 아소시아시온 데포르티보 칼리 2
파일:페루 국기.svg 리마02-클루브 우니베르시타리오 1, 클루브 스포르팅 크리스탈 1
파일:칠레 국기.svg 칼라마02-CD 코브렐로아 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로사리오02-CA 뉴웰스 올드 보이스 2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과야킬02-바르셀로나 SC 2
파일:브라질 국기.svg 쿠리치바02-클루비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2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01-크루스 아술 AC 1
파일:브라질 국기.svg 상카에타누두술01-AD 상카에타누 1
파일:멕시코 국기.svg 과달라하라01-CD 과달라하라 1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상골키01-인데펜디엔테 델 바예 1


8.3. 4강 진출 횟수[편집]


클럽횟수연도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CA 페냐롤201960, 1961, 1962, 1963,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2, 1974, 1976, 1979, 1981, 1982, 1983, 1985, 1987, 201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리버 플레이트201966, 1967, 1970, 1976, 1978, 1982, 1986, 1987, 1990, 1995, 1996, 1998, 1999, 2004, 2005, 2015, 2017, 2018, 2019, 202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보카 주니어스191963, 1965, 1966, 1977, 1978, 1979, 1991, 2000, 2001, 2003, 2004, 2007, 2008, 2012, 2018, 2019, 2020, 2023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131962, 1964, 1966, 1967, 1969, 1971, 1972, 1980, 1981, 1983, 1984, 1988, 2009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올림피아121960, 1961, 1979, 1980, 1982, 1986, 1989, 1990, 1991, 1994, 2002, 201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인데펜디엔테121964, 1965, 1966, 1972, 1973, 1974, 1975, 1976, 1979, 1984, 1985, 1987
파일:브라질 국기.svg SE 파우메이라스111961, 1968, 1971, 1999, 2000, 2001, 2018, 2020, 2021, 2022, 2023
파일:브라질 국기.svg 상파울루 FC101972, 1974, 1992, 1993, 1994, 2004, 2005, 2006, 2010, 2016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아메리카 데 칼리101980, 1983, 1985, 1986, 1987, 1988, 1992, 1993, 1996, 2003
파일:브라질 국기.svg 그레미우 풋볼 포르투알레그렌시101983, 1984, 1995, 1996, 2002, 2007, 2009, 2017, 2018, 2019
파일:브라질 국기.svg 산투스 FC91962, 1963, 1964, 1965, 2003, 2007, 2011, 2012, 2020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바르셀로나 SC91971, 1972, 1986, 1987, 1990, 1992, 1998, 2017, 202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클루브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플라타61968, 1969, 1970, 1971, 1983, 2009
파일:브라질 국기.svg 크루제이루 EC61967, 1975, 1976, 1977, 1997, 2009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세로 포르테뇨61973, 1978, 1993, 1998, 1999, 2011
파일:브라질 국기.svg SC 인테르나시오나우71977, 1980, 1989, 2006, 2010, 2015, 2023
파일:브라질 국기.svg CR 플라멩구61981, 1982, 1984, 2019, 2021, 2022
파일:칠레 국기.svg CD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51962, 1966, 1969, 1984, 1993
파일:칠레 국기.svg CSD 콜로-콜로51964, 1967, 1973, 1991, 1997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클루브 아틀레티코 나시오날51989, 1990, 1991, 1995, 2016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산 로렌소41960, 1973, 1988, 2014
파일:페루 국기.svg 클루브 우니베르시타리오41967, 1971, 1972, 1975
파일:칠레 국기.svg CFP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41970, 1996, 2010, 2012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아소시아시온 데포르티보 칼리41977, 1978, 1981, 1999
파일:브라질 국기.svg 클루비 아틀레치쿠 미네이루41978, 2013, 2021, 202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벨레스 사르스필드41980, 1994, 2011, 2022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CD 로스 미요나리오스31960, 1973, 1974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라싱 클루브 데 아베야네다31967, 1968, 1997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LDU 키토31975, 1976, 2008
파일:칠레 국기.svg CD 코브렐로아31981, 1982, 1987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뉴웰스 올드 보이스31981, 1982, 1987
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아메리카32000, 2002, 2008
파일:멕시코 국기.svg CD 과달라하라32005, 2006, 2010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클루브 산타페21961, 2013
파일:브라질 국기.svg 보타포구 FR21963, 1973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과라니21966, 2015
파일:칠레 국기.svg 클루브 우니온 에스파뇰라21971, 1975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로사리오 센트랄21975, 2001
파일:페루 국기.svg 클루브 알리안사 리마21976, 1978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리베르타드21977, 2006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A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21985, 1986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Flag_of_Bolivia_%28state%29.svg.png 클루브 볼리바르21986, 2014
파일:브라질 국기.svg SC 코린치안스22000, 2012
파일:브라질 국기.svg 플루미넨시 FC22008, 202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우라칸11974
파일:페루 국기.svg CA 데펜소르 리마11974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포르투게사 FC11977
파일:칠레 국기.svg CD 팔레스티노11979
파일:브라질 국기.svg 구아라니 FC11979
파일:칠레 국기.svg CD 오이긴스1198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Flag_of_Bolivia_%28state%29.svg.png 클루브 호르헤 윌스테르만11981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데포르테스 톨리마1198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아틀레티코 산크리스토발1198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우니베르시다드 데 로스 안데스 FC11984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CD 엘 나시오날1198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Flag_of_Bolivia_%28state%29.svg.png 클루브 블루밍11985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다누비오 FC11989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주니어 FC11994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CS 에멜렉11995
파일:페루 국기.svg 클루브 스포르팅 크리스탈11997
파일:브라질 국기.svg CR 바스쿠 다 가마11998
파일:멕시코 국기.svg 크루스 아술 FC12001
파일:브라질 국기.svg AD 상카에타누12002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데포르티보 인데펜디엔테 메델린12003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온세 칼다스12004
파일:브라질 국기.svg 클루비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12005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CN 쿠쿠타 데포르티보12007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데펜소르 SC12014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나시오날12014
파일:멕시코 국기.svg 티그레스 UANL12015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라누스12017


8.4. 역대 결승전 결과[편집]


연도우승스코어준우승
2023파일:브라질 국기.svg 플루미넨시 FC2-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보카 주니어스
2022파일:브라질 국기.svg CR 플라멩구1-0파일:브라질 국기.svg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2021파일:브라질 국기.svg SE 파우메이라스2-1파일:브라질 국기.svg CR 플라멩구
2020파일:브라질 국기.svg SE 파우메이라스1-0파일:브라질 국기.svg 산투스 FC
2019파일:브라질 국기.svg CR 플라멩구2-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리버 플레이트
2018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리버 플레이트2-2 / 3-1: 종합 전적 5-3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보카 주니어스
2017파일:브라질 국기.svg 그레미우 풋볼 포르투알레그렌시1-0 / 2-1: 종합 전적 3-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라누스
2016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클루브 아틀레티코 나시오날1-1 / 1-0: 종합 전적 2-1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인데펜디엔테 델 바예
2015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리버 플레이트0-0 / 3-0: 종합 전적 3-0파일:멕시코 국기.svg 티그레스 UANL
2014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산 로렌소1-1 / 1-0: 종합 전적 2-1파일:파라과이 국기.svg 나시오날 아순시온
2013파일:브라질 국기.svg 클루비 아틀레치쿠 미네이루0-2 / 2-0: 종합 전적 2-2(PSO 4-3)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올림피아
2012파일:브라질 국기.svg SC 코린치안스1-1 / 2-0: 종합 전적 3-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보카 주니어스
2011파일:브라질 국기.svg 산투스 FC0-0 / 2-1: 종합 전적 2-1파일:우루과이 국기.svg CA 페냐롤
2010파일:브라질 국기.svg SC 인테르나시오나우2-1 / 3-2: 종합 전적 5-3파일:멕시코 국기.svg CD 과달라하라
2009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클루브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플라타0-0 / 2-1: 종합 전적 2-1파일:브라질 국기.svg 크루제이루 EC
2008파일:에콰도르 국기.svg LDU 키토4-2 / 1-3: 종합 전적 1-1(PSO 3-1)파일:브라질 국기.svg 플루미넨시 FC
2007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보카 주니어스3-0 / 2-0: 종합 전적 5-0파일:브라질 국기.svg 그레미우 풋볼 포르투알레그렌시
2006파일:브라질 국기.svg SC 인테르나시오나우2-1 / 2-2: 종합 전적 4-3파일:브라질 국기.svg 상파울루
2005파일:브라질 국기.svg 상파울루 FC1-1 / 4-0: 종합 전적 5-1파일:브라질 국기.svg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2004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온세 칼다스0-0 / 1-1: 종합 전적 1-1(PSO 2-0)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보카 주니어스
2003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보카 주니어스2-0 / 3-1: 종합 전적 5-1파일:브라질 국기.svg 산투스 FC
2002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올림피아0-1 / 2-1: 종합 전적 2-2(PSO 4-2)파일:브라질 국기.svg AD 상카에타누
200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보카 주니어스1-0 / 0-1: 종합 전적 1-1(PSO 3-1)파일:멕시코 국기.svg 크루스 아술 AC
2000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보카 주니어스2-2 / 0-0: 종합 전적 2-2(PSO 4-2)파일:브라질 국기.svg SE 파우메이라스
1999파일:브라질 국기.svg SE 파우메이라스0-1 / 2-1: 종합 전적 2-2(PSO 4-3)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아소시아시온 데포르티보 칼리
1998파일:브라질 국기.svg CR 바스쿠 다 가마2-0 / 2-1: 종합 전적 4-1파일:에콰도르 국기.svg 바르셀로나 SC
1997파일:브라질 국기.svg 크루제이루 EC0-0 / 1-0: 종합 전적 1-0파일:페루 국기.svg 클루브 스포르팅 크리스탈
1996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리버 플레이트0-1 / 2-0: 종합 전적 2-1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아메리카 데 칼리
1995파일:브라질 국기.svg 그레미우 풋볼 포르투알레그렌시3-1 / 1-1: 종합 전적 4-2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클루브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1994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벨레스 사르스필드0-1 / 1-0: 종합 전적 1-1(PSO 5-3)파일:브라질 국기.svg 상파울루 FC
1993파일:브라질 국기.svg 상파울루 FC5-1 / 0-2: 종합 전적 5-3파일:칠레 국기.svg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
1992파일:브라질 국기.svg 상파울루 FC1-0 / 0-1: 종합 전적 1-1(PSO 3-2)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뉴웰스 올드 보이스
1991파일:칠레 국기.svg CSD 콜로-콜로0-0 / 3-0: 종합 전적 3-0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올림피아
1990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올림피아2-0 / 1-1: 종합 전적 3-1파일:에콰도르 국기.svg 바르셀로나 SC
1989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아틀레티코 나시오날2-0 / 0-2: 종합 전적 2-2(PSO 5-4)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올림피아
1988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0-1 / 3-0: 종합 전적 3-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뉴웰스 올드 보이스
1987파일:우루과이 국기.svg CA 페냐롤0-2 / 2-1: 플레이오프 2-0 연장전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아메리카 데 칼리
1986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리버 플레이트2-1 / 1-0: 종합 전적 3-1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아메리카 데 칼리
1985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A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1-0 / 0-1: 플레이오프 1-1(PSO 5-4)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아메리카 데 칼리
1984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인데펜디엔테0-0 / 1-0: 종합 전적 1-0파일:브라질 국기.svg 그레미우 풋볼 포르투알레그렌시
1983파일:브라질 국기.svg 그레미우 풋볼 포르투알레그렌시1-1 / 2-1: 종합 전적 3-2파일:우루과이 국기.svg CA 페냐롤
1982파일:우루과이 국기.svg CA 페냐롤0-0 / 1-0: 종합 전적 1-0파일:칠레 국기.svg CD 코브렐로아
1981파일:브라질 국기.svg CR 플라멩구2-1 / 0-1: 플레이오프 2-0파일:칠레 국기.svg CD 코브렐로아
1980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0-0 / 1-0: 종합 전적 1-0파일:브라질 국기.svg SC 인테르나시오나우
1979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올림피아2-0 / 0-0: 종합 전적 2-0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보카 주니어스
1978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보카 주니어스0-0 / 4-0: 종합 전적 4-0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아소시아시온 데포르티보 칼리
1977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보카 주니어스1-0 / 0-1: 플레이오프 0-0(PSO 5-4)파일:브라질 국기.svg 크루제이루 EC
1976파일:브라질 국기.svg 크루제이루 EC4-1 / 1-2: 플레이오프 3-2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리버 플레이트
1975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인데펜디엔테0-1 / 3-1: 플레이오프 2-0파일:칠레 국기.svg 클루브 우니온 에스파뇰라
1974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인데펜디엔테1-2 / 2-0: 플레이오프 1-0파일:브라질 국기.svg 상파울루 FC
1973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인데펜디엔테1-1 / 0-0: 플레이오프 2-1파일:칠레 국기.svg CSD 콜로-콜로
1972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인데펜디엔테0-0 / 2-1: 종합 전적 2-1파일:페루 국기.svg 클루브 우니베르시타리오
1971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1-0 / 0-1: 플레이오프 2-0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클루브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플라타
1970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클루브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플라타1-0 / 0-0: 종합 전적 1-0파일:우루과이 국기.svg CA 페냐롤
1969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클루브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플라타1-0 / 2-0: 종합 전적 3-0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
1968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클루브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플라타2-1 / 1-3: 플레이오프 2-0파일:브라질 국기.svg SE 파우메이라스
1967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라싱 클루브 데 아베야네다0-0 / 0-0: 플레이오프 2-1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
1966파일:우루과이 국기.svg CA 페냐롤2-0 / 2-3: 플레이오프 4-2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리버 플레이트
1965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인데펜디엔테1-0 / 1-3: 플레이오프 4-1파일:우루과이 국기.svg CA 페냐롤
1964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인데펜디엔테0-0 / 1-0: 종합 전적 1-0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
1963파일:브라질 국기.svg 산투스 FC3-2 / 2-1: 종합 전적 5-3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A 보카 주니어스
1962파일:브라질 국기.svg 산투스 FC1-2 / 3-2: 플레이오프 3-0파일:우루과이 국기.svg CA 페냐롤
1961파일:우루과이 국기.svg CA 페냐롤1-0 / 1-1: 종합 전적 2-1파일:브라질 국기.svg SE 파우메이라스
1960파일:우루과이 국기.svg CA 페냐롤1-0 / 1-1: 종합 전적 2-1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클루브 올림피아

※ PSO: Penalty Shoot-out


8.5. 역대 공인구[편집]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역대 공인구
스폰서파일:나이키 로고.svg
형태사용 연도명칭준우승팀우승팀
파일:2011_CopaLibertadores_Ball.png2011Nike Total 90 Tracer CSF파일:CA 페냐롤 로고.svg파일:산투스 FC 로고.svg
파일:2012_CopaLibertadores_Ball.png2012Nike Seitiro CSF파일:CA 보카 주니어스 로고.svg파일:SC 코린치안스 로고.svg
파일:2013_CopaLibertadores_Ball.png2013Nike Maxim CSF파일:클루브 올림피아 로고.svg파일:클루비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로고.svg
파일:2014_CopaLibertadores_Ball.png2014Nike Ordem CSF파일:클루브 나시오날 로고.svg파일:CA 산 로렌소 로고.svg
파일:2015_CopaLibertadores_Ball.png2015Nike Ordem 2 CSF파일:티그레스 UANL 로고.svg파일:CA 리버 플레이트 로고.svg
파일:2016_CopaLibertadores_Ball.png2016Nike Ordem 3 CSF파일:인데펜디엔테 델 바예 로고.svg파일:아틀레티코 나시오날 로고.svg
파일:2017_CopaLibertadores_Ball.png2017Nike Ordem 4 CSF파일:CA 라누스 로고.svg파일:그레미우 풋볼 포르투알레그렌시 로고.svg
파일:2018_CopaLibertadores_Ball.png2018Nike Ordem 5 CSF파일:CA 보카 주니어스 로고.svg파일:CA 리버 플레이트 로고.svg
파일:2019_CopaLibertadores_Ball.png2019Nike Merlin CSF파일:CA 리버 플레이트 로고.svg파일:CR 플라멩구 로고.svg


9. 관련 문서[편집]


[1] 다만 '챔피언스 리그'라는 이름이 붙지 않는 유일한 대회가 아니다. 저 북쪽 너머의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의 경우 2024 시즌부터 해당 연맹이 주최하는 대륙 최상위 클럽 대항전의 명칭을 '챔피언스 리그'에서 챔피언스 으로 변경하였기 때문이다. [2] 남미 국가들을 식민 통치했던 스페인의 회사가 스폰서를 맡았다는 말인데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라는 대회 이름의 의미를 알고 있다면 아이러니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다만 스페인은 과거 자국의 식민지였던 국가 출신 사람들한테 스페인에서 일정 기간 사는 것을 조건으로 국적을 주는 등 식민 통치에 대한 보상을 해주고 있기에 한국-일본처럼 식민지 문제로 사이가 나쁘거나 하지는 않다. 리오넬 메시도 이러한 방법으로 스페인 국적을 취득했으며 라리가의 Non-EU 쿼터제 적용 대상도 아니다(다만 메시는 태어날 때부터 이탈리아 국적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리그에서 뛰다가 지금 라리가의 한 클럽으로 이적해도 쿼터제 적용을 받지 않는다).[3] 현재 라리가를 후원하고 있는 BBVA와 스페인 내 은행 업계의 양대 산맥이다.[4] 이 때문에 2018년 대회 결승전 당시, 경기 전 유혈 사태로 인해 2차전이 마드리드에스타디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치러지도록 변경되자 크게 논란이 일었다. 남미권의 독립 운동가들을 기리는 대회의 결승전이 아르헨티나의 식민 지배국의 중심인 스페인, 그것도 수도인 마드리드의 다른 팀도 아닌 레알 마드리드가 사용하는 경기장에서 열리는 꼴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후손은 두고두고 수치스러운 일이 벌어졌다면서 남미 축구 연맹을 죽도록 깠다.[5] 스페인어: Copa de Campeones Sudamericanos, 포르투갈어: Campeonato Sul-americano de Clubes Campeões.[6] 전년도 코파 두 브라질(FA컵) 우승팀과, 해당 팀을 제외한 전년도 세리 A(리그) 상위 6개 팀.[7] 자동 진출이다. 따라서 전 대회 우승팀이 속한 국가에 1장의 진출권이 추가로 부여된다.[8] 역시 자동 진출이다. 따라서 해당 대회 우승팀이 속한 국가에 1장의 출전권이 추가로 부여된다.[9] 멕시코 팀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전에 올라간 경력은 3회 있었는데, 2001년 크루스 아술, 2010년 CD 과달라하라, 2015년 티그레스 UANL이 결승에 오르면서 우승까지 넘봤으나 모두 패했다. 참고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멕시코 팀이 우승하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비(非)멕시코 팀이 남미 챔피언 자격으로 나오게 되어 있기에 멕시코가 북중미와 남미 챔피언으로 클럽 월드컵에 나오는 일은 이뤄질 수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8-24 00:50:03에 나무위키 CONMEBOL 리베르타도레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