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W 챔피언십

(♥ 0)

파일:ECW_Championship.jpg
타이틀 명칭ECW 챔피언십
마지막 챔피언이지키엘 잭슨
챔피언 등극일2010년 2월 16일
WWE ECW
이전 챔피언크리스찬
단체WWE
벨트 창설일1994년 8월 27일
벨트 폐지일2010년 2월 16일
【 기록 펼치기 · 접기 】
초대 챔피언지미 스누카
마지막 챔피언이지키엘 잭슨
최다 획득 챔피언샌드맨5회
최장기간 챔피언셰인 더글라스406일
최단기간 챔피언이지키엘 잭슨5분
최고령 챔피언빈스 맥맨61세
최연소 챔피언마이키 윕렉22세
최중량급 챔피언빅 쇼257kg
최경량급 챔피언제리 린84kg

1. 역사
2. 역대 챔피언 목록
3. 역대 토너먼트 경기



1. 역사[편집]


파일:external/www.wwe.com/ECW_World_Heavyweight_Championship.png

역사 자체는 NWA 산하 단체였던 시절의 NWA 이스턴 챔피언십 레슬링으로부터 내려왔다. 1994년 폴 헤이먼이 NWA로부터 독립해 익스트림 챔피언십 레슬링(ECW)으로 쇼를 바꾸는 스크류잡을 기획한다. 이에 동조한 셰인 더글라스가 NWA 월드 타이틀이 걸린 토너먼트 결승에서 우승 후 벨트를 링바닥으로 던지고 NWA는 죽은 단체라 선언하며, ECW 챔피언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벨트디자인도 바뀌었다.

ECW의 몰락과 함께 사라졌으나 2006년에 WWE의 ECW 브랜드 창설을 계기로 다시 부활했는데, 역사 자체는 ECW의 역사와 함께 묶여있다. 2010년 2월 WWE의 ECW 브랜드 폐지와 함께 폐지되었다. WWE는 이 타이틀을 부활시켰을 때 E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이라고 명칭하며 WWE 챔피언십 및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과 같은 1선급 헤비웨이트 챔피언 위상을 가진 타이틀로 만들려고 했지만[1] WWE식의 운영으론 ECW가 부상할 수 없었다.[2]

이 벨트의 이름은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과 마찬가지로 단 한번도 챔피언십의 명칭이 WWE ECW 챔피언십이었던 적이 없다.


2. 역대 챔피언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현재 챔피언이나 최다 횟수 및 최장 보유 기간 등 중요한 부분에만 '''강조''' 표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영문 위키를 참고했으나 WWE측 기록에는 NWA 이스턴 챔피언십 레슬링 챔피언십의 역사는 없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브랜드 색상은 처음 획득한 시점에서 소속된 브랜드 기준.



2.1. NWA[편집]


#이름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
이벤트비고
1지미 스누카1회1992년 4월 25일 (1일)라이브 이벤트[3]
2자니 핫바디1회1992년 4월 26일 (79일)라이브 이벤트
3지미 스누카2회1992년 7월 14일 (78일)라이브 이벤트
4돈 무라코1회1992년 9월 30일 (47일)라이브 이벤트
5샌드맨1회1992년 11월 16일 (138일)라이브 이벤트
6돈 무라코2회1993년 4월 3일 (127일)라이브 이벤트
7티토 산타나1회1993년 8월 8일 (32일)라이브 이벤트
8셰인 더글라스1회1993년 9월 9일 (23일)라이브 이벤트
9사부1회1993년 10월 2일 (85일)NWA 블러드패스트 2
10테리 펑크1회1993년 12월 26일 (90일)ECW 홀리데이 헬(1993)
11셰인 더글라스2회1994년 3월 26일 (385일)ECW 얼티밋 제퍼디(1994)[4]


2.2. ECW[편집]


#이름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
이벤트비고
12샌드맨2회1995년 4월 15일 (196일)ECW 호스틸 시티 쇼다운
13마이키 윕렉1회1995년 10월 28일 (42일)라이브 이벤트
14샌드맨3회1995년 12월 9일 (49일)ECW 디셈버 투 디스멤버
15레이븐1회1996년 1월 27일 (252일)라이브 이벤트
16샌드맨4회1996년 10월 5일 (63일)ECW 얼티밋 제퍼디
17레이븐2회1996년 12월 7일 (127일)ECW 홀리데이 헬
18테리 펑크2회1997년 4월 13일 (118일)베얼리 리갈
19사부2회1997년 8월 9일 (8일)본 투 비 와이어드
20셰인 더글라스3회1997년 8월 17일 (60일)ECW 하드코어 헤븐
21뱀뱀 비겔로우1회1997년 10월 16일 (45일)라이브 이벤트
22셰인 더글라스4회1997년 11월 30일 (406일)ECW 노벰버 투 리멤버
23태즈1회1999년 1월 10일 (252일)ECW 길티 애즈 차지드
24마이크 어썸1회1999년 9월 19일 (89일)ECW 애너키 룰즈
25다나카 마사토1회1999년 12월 17일 (6일)ECW on TNN
26마이크 어썸2회1999년 12월 23일 (112일)ECW on TNN
27태즈2회2000년 4월 13일 (9일)ECW on TNN
28타미 드리머1회2000년 4월 22일 (0일)ECW 사이버 슬램
29저스틴 크레더블1회2000년 4월 22일 (162일)ECW 사이버 슬램
30제리 린1회2000년 10월 1일 (35일)ECW 애너키 룰즈
31스티브 코리노1회2000년 11월 5일 (63일)ECW 노벰버 투 리멤버
32샌드맨5회2001년 1월 7일 (0일)ECW 길티 애즈 차지드
33라이노1회2001년 1월 7일 (93일)ECW 길티 애즈 차지드[5]
-폐지-2001년 4월 10일-


2.3. WWE[편집]


#이름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
이벤트비고
34랍 밴 댐1회2006년 6월 13일 (21일)WWE ECW[6]
35빅 쇼1회2006년 7월 4일 (152일)WWE ECW[7]
36바비 래쉴리1회2006년 12월 3일 (147일)ECW 디셈버 투 디스멤버(2006)[8]
37빈스 맥맨1회2007년 4월 29일 (35일)WWE 백래쉬(2007)[9]
38바비 래쉴리2회2007년 6월 3일 (8일)WWE 원 나잇 스탠드(2007)
-공석-2007년 6월 11일WWE RAW[10]
39쟈니 나이트로1회2007년 6월 24일 (69일)WWE 벤전스(2007)[11]
40CM 펑크1회2007년 9월 4일 (143일)WWE ECW[12]
41차보 게레로1회2008년 1월 22일 (68일)WWE ECW[13]
42케인1회2008년 3월 30일 (91일)WWE 레슬매니아 24[14]
43마크 헨리1회2008년 6월 29일 (70일)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2008)[15]
44매트 하디1회2008년 9월 7일 (127일)WWE 언포기븐(2008)[16]
45잭 스웨거1회2009년 1월 12일 (104일)WWE ECW
46크리스찬1회2009년 4월 26일 (42일)WWE 백래쉬(2009)
47타미 드리머2회2009년 6월 7일 (49일)WWE 익스트림 룰즈(2009)
48크리스찬2회2009년 7월 26일 (205일)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2009)
49이지키엘 잭슨1회2010년 2월 16일 (5분)WWE ECW
-폐지-2010년 2월 16일-[17]


3. 역대 토너먼트 경기[편집]



3.1. NWA[편집]


#연도대회명우승자
11992ECW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토너먼트지미 스누카


3.2. WWE[편집]


#연도대회명)우승자
12007ECW 월드 챔피언십 토너먼트쟈니 나이트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10-04 01:23:50에 나무위키 ECW 챔피언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랍 밴 댐은 WWE 챔피언 존 시나에게 도전할 때 자신이 챔피언이 되어 WWE 타이틀을 ECW 월드 헤비웨이트 타이틀이란 명칭으로 쓰겠다고 선언했다. 이후 WWE 챔피언에 등극한 랍 밴 댐에게 E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이라며 벨트를 부활시켜 수여했다. 빅 쇼가 E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이 된 후 언더테이커, 케인, 바티스타, 릭 플레어 등 WWE 내에서 위상이 높은 선수들을 ECW에 출연시켜 타이틀에 도전하게 했는데, 릭 플레어는 빅 쇼와 붙기 전에 반드시 ECW 챔피언에 등극해서 개인 통산 17회 월드 챔피언이 되겠다는 프로모를 선보였다. 사이버선데이 2006에선 WWE 챔피언십,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ECW 월드 챔피언십 세 벨트 중 팬들의 선택을 받은 타이틀을 두고 WWE 챔피언 존 시나,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부커 T, ECW 월드 챔피언 빅 쇼가 격돌해(세 타이틀 중 월드 헤비웨이트 타이틀이 걸렸고, 부커 T가 방어했다.) 동급의 위상처럼 보이게 하려고 노력했다. 언더테이커가 30인 로얄럼블에서 우승한 2007년에는 WWE 챔피언,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ECW 월드 챔피언십 중에 선택해서 도전할 수 있다는 각본을 넣어서, 언더테이커가 세 명의 챔피언과 대면하는 장면도 있었다.[2] 폴 헤이먼은 ECW는 부활하자마자 죽어있었다고 회고했다. 조이 스타일스, 타미 드리머, 스티비 리차드 등은 WWE 체제 안에서의 ECW 부활은 실패로 끝날 것이라며 회의적으로 보았고, 이 우려는 사실이 되었다. 다만 오랫동안 메인 이벤터에 올라오지 못한 중고 선수들과 신인들의 등용문으로 잘 써먹긴 했다. 매트 하디크리스찬 모두 커리어 WWE에서의 첫 메인 타이틀을 ECW 챔피언십으로 따냈고 잭 라이더, 이지키엘 잭슨, 요시 타츠, 잭 스웨거 등이 대립 과정에서 주목 받을 수 있었다. 이 덕분에 이후 생긴 NXT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친 셈.[3] NWA 이스턴 챔피언십 레슬링 챔피언십의 창설[4] ECW 챔피언십으로 개명[5] ECW 체제 마지막 챔피언.[6] WWE 체제 첫 챔피언. 머니 인 더 뱅크를 사용하여 WWE 챔피언십을 차지한 이후, 폴 헤이먼이 수여했다.[7]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WWE 챔피언에 이어 3관왕을 달성했다. 사상 첫 최중량급 챔피언 기록.[8] 사상 첫 흑인 ECW 챔피언 등극.[9] WWE 회장에다가 최고령 챔피언 기록.[10] 바비 래쉴리가 드래프트를 통해 RAW로 이적하면서 타이틀 박탈[11] 바비 래쉴리가 RAW로 드래프트 되어 공석이 된 타이틀을 당일 크리스 벤와 vs CM 펑크의 경기로 주인을 가리기로 했으나, 벤와가 스케줄을 펑크내(후에 스케줄 펑크 원인이 크리스 벤와의 일가족 살인 사건임이 밝혀졌다.) 대신 쟈니 나이트로가 출전해 챔피언이 되었다. 그리고 쟈니 나이트로는 후에 존 모리슨으로 링네임을 개명했다.[12] CM 펑크의 마지막 ECW 타이틀 도전권 기회었다.[13] NO DQ 매치였다. 이때 차보 게레로는 실제 숙모이자 스맥다운 단장이던 비키 게레로와 한 패인지라 비키가 대놓고 도와줬기에 ECW 챔피언에 오를 수 있었다.[14] 레슬매니아 24 다크 매치에서 마크 헨리를 제거시켜 차보 게레로의 ECW 챔피언십 도전권을 얻었다. 11초만에 챔피언에 등극한다.[15] WWE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2008) 이후 현재의 ECW 챔피언십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사상 두 번째 흑인 ECW 챔피언 등극.[16] 스크램블 매치었다.[17] WWE ECW의 폐지와 함께 타이틀도 자연스럽게 폐지. 최초로 WWE의 ECW 폐지 겸 마지막 흑인 챔피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