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18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 기체의 확대 개량형인 F/A-18E/F 슈퍼 호넷에 대한 내용은 F/A-18E/F 문서
F/A-18E/F번 문단을
F/A-18E/F#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보잉 로고.svg

보잉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민항기

협동체
광동체
쌍발기
717(MD95) · 737(오리지널 · 클래식 · NG · MAX) · 757
767 · 777(-200 · -300 · 777X) · 787 드림라이너
3발기
727
-
4발기
707
747(-100 · -200 · SP · -300 · -400 · -8 · 특수목적용)
초창기 모델
247 · 307 · 314 · 377 · 367-80
개발 중단 / 개발 중
2707 · 7J7 · 소닉크루저 · NMA
군용기
훈련기
T-7
전투기
P-26 · F-15E/후기 개량형 · F/A-18E/F
전자전기
EA-18G
폭격기
B-9 · B-17 · B-29 · B-47 · B-52
수송기
C-135 · C-137 · VC-137 · VC-25 · C-32 · C-17 · C-40
조기경보기 / 지휘관제기
OC-135 · RC-135 · WC-135 · EC-135 · E-3 · E-6 · E-8 · E-767 · E-4 · E-7
공중급유기
KC-97 · KC-135 · KC-767 · KC-46
대잠초계기
P-8
무인기
MQ-25 ·MQ-28
헬리콥터
CH-46 · CH-47 · A/M/EH-6 · AH-64D/E
개발 중단 / 컨셉 / 실험기
YC-14 · X-32 · X-48 · YAL-1 · B-1R · F-15SE · 팬텀 레이
인수 합병 및 공동 개발
맥도넬 더글라스의 항공기 · F-22 · B-1 · V-22 · 디파이언트 X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이미지:FA-18_Classic_01.jpg
이미지:FA-18C_Finland_2.jpg
이미지:FA-18C_USN_3.jpg
McDonnell Douglas F/A-18 Hornet

1. 개요
2. 제원
3. 개발 과정
4. 특징
5. 운용 상황
6. 실전 경험
7. 대한민국 공군의 도입 실패
8. 확대 개량형
9. 도입 국가
10. 등장 매체
10.1. 영화
10.2. 게임
11. 모형화
12. 기타
13. 참고 링크
1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미국이 개발한 다목적 전투기로, 별명은 호넷[1], 개량형 F/A-18E/F은 슈퍼 호넷이 되었다.


2. 제원[편집]


F/A-18C/D 호넷
길이
17.1m

12.3m
높이
4.7m
자체중량
10,400kg
적재중량
16,700kg
최대이륙중량
23,500kg
엔진
제너럴 일렉트릭 F404-GE-402 터보팬 × 2
출력
22,000 lbf (AB: 35,500 lbf)
최대속도
마하 1.8
항속거리
2,000km (1,089 nmi)
전투행동반경
535km (290 nmi)
실용상승한도
50,000피트
무장
고정
M61A1, M61A2[2] 20mm 개틀링 기관포 1문(578발)
공대공 미사일
AIM-9 사이드와인더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AIM-132 ASRAAM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3]
AIM-120 암람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AIM-7 스패로우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공대지 미사일
AGM-62 월아이
AGM-65 매버릭
AGM-84 하푼/슬램
AGM-88 HARM
AGM-154 JSOW
AGM-158 JASSM
KEPD 350 타우러스
폭탄
Mk.82/83/84 자유낙하폭탄
GBU-10/12/16,24 페이브웨이 II/III
GBU-32/38/54/55 JDAM
CBU-99/Mk-20 클러스터 폭탄


3. 개발 과정[편집]


F/A-18의 원형은 YF-17 코브라이며, F-5의 후속모델이다. 본래 F-5 전투기의 확대/개량형으로 노스롭(현 노스롭 그루먼)은 P530 코브라라는 전폭기를 개발 중이었다. 이후 미 공군이 차세대 경전투기 획득사업, 즉 LWF을 벌였는데 이때 노스롭은 P530에서 지상공격능력을 빼고 공중전 능력을 좀더 강화한 모델인 YF-17 P600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결국 YF-17 코브라는 LWF 사업에서 가격 문제 등에 의해 F-16에 패배하였다.

이렇게 루저의 인생으로 끝날 뻔한 YF-17에게 다시 한번 기회가 찾아왔다. 이번에는 미 해군이 예산삭감 폭풍에 경전투기를 도입해야하는 상황이었던 것이다. 원래 미 해군은 F-14, A-6만으로 항공모함을 꾸리다가 '예의상 좀 값싸게' F-14 다운그레이드 형으로 부족한 전력을 메꾸려고 했다. 허나 돈 앞에 장사 없다고 미 해군은 결국 싼 값에 F-14를 도와 공중전도 벌이고 A-6를 도와 지상공격도 할 수 있는 경전투기 사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여기에 다양한 회사가 참여했는데, 노스롭은 맥도넬 더글라스와 손을 잡고 YF-17을 함재기로 뜯어고친 전투기를 제안하였다. 이것이 바로 F/A-18 호넷이다. 노스롭이 맥도넬 더글라스와 손을 잡은 이유는 노스롭은 해군용 전투기를 개발한 경험이 없던 반면, 맥도넬 더글라스는 F-4A-4와 같은 함재기를 개발한 경험이 풍부했기 때문이다.

결국 F/A-18은 다양한 경쟁기종을 물리치고 미 해군 경전투기 자리를 차지했다. 재미있는 것은 미 공군이 YF-16을 채용한 것은 YF-17보다 가격이 '많이' 싸서였는데, 미 해군은 오히려 F/A-18을 채용한 후 F-14에 비해 유지보수 비용이 싸다고 좋아했다.

사실 이 미 해군의 경전투기 사업때도, F-16의 해군형인 V-1600이 꽤나 유력한 후보였다. F-16의 개발사인 제너럴 다이내믹스도 해군 전투기 개발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F-8, A-7 등을 개발한 찬스-보우트와 손을 잡고 미 해군 전투기 사업에 참여했다. 하지만 미 해군은 만에 하나라도 하나 뿐인 엔진이 꺼지면 바다 위에 불시착해야한다는 이유로 엔진이 두 개인 쌍발기(이를테면 F-14 등)가 엔진이 한 개인 단발기보다 함재기로서 적합하다는 일종의 쌍발기 우월주의를 전통적으로 가지고 있었고, 이런 점에서 단발기인 F-16보다는 쌍발기인 F/A-18이야말로 자기들이 원하는 기종이라고 판단하여 결국 채용했다. 물론 이상과 현실은 원래 좀 다른 법이기에 정작 미 해군에서 활약한 함상전투기나 함상공격기 중에는 베트남전에서 맹활약한 F-8이나 A-4, A-7의 예를 보면 잘 알 수 있듯이 오히려 단발기들도 상당히 많았었고[4], 이렇게 미 해군이 전투기 사업을 벌일 때마다 전통적으로 꺼내들곤 했던 쌍발기 우월주의가 미 해군의 실제 현실과는 별로 부합되지 않는 것이었음을 생각해보면 왜 미 해군이 F/A-18을 선택했는지 좀 의문이 들 수도 있다.[5]

F/A-18은 본래 전투기 버전인 F-18과 공격기 버전인 A-18 두 가지 모델이 개발되려 했다는 말도 있으나, 이후 이를 하나로 합쳐 F/A-18이라는 기종명을 쓰게 되었다. 사실 F-15 제공형이나 Su-27 같은 전투기[6] 가 아닌 다음에야, 요즘 전투기들은 대부분 공중전과 지상공격 모두를 할 수 있지만 F/A-18은 특이하게도 기종명에 이를 대놓고 광고하고 있는 셈이다.[7]

함재기인 F/A-18 호넷은 전적으로 맥도넬 더글라스가 판매하기로 하였고[8] 노스롭은 F/A-18의 지상운용형인 F/A-18L을 팔기로 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노스롭이 맥도넬 더글러스에 합의 내용을 위반했다며 해외 판매 금지 신청을 법원에 내는등 소송에 휩싸였는데다가, 해외 구매국들도 더 튼튼한 데다가 미 해군이 사용하고 있는만큼 향후 예비부품 등의 수급에 더 유리한 일반 F/A-18쪽에 관심이 많다보니 미국 정부가 중재에 나서 맥도넬 더글러스가 5천만 달러를 노스롭에 지불하기로 하고, 노스롭은 F/A-18L 개발을 폐지하는 것으로 매듭지었다. 이후에 맥도널 더글러스는 보잉에 합병됐기 때문에, 현재 F/A-18은 보잉에서 제작하고 있다. F/A-18은 F-35 때문에 JSF 사업에서 탈락한 보잉의 대표적인 효자상품 중 하나이다. 하지만 F/A-18의 판매량은 경쟁 기종이기도 했던 F-16에는 한참 미치지 못한다.[9]


4. 특징[편집]



호넷의 유명한 이른바 "하이 알파 기동".[10] 높은 받음각에서도 실속에 빠지지않고 마치 해리어의 수평비행을 보는듯한 기동이 가능하다.[11][12]

테이퍼익 형태의 주익에 대형 스트레이크를 조합한 것이 특징으로서 이는 현대전투기들이 대체적으로 후퇴익이나 델타익을 채용하는 것이 보통임을 생각해보면 꽤 특이한 설계인데, F-5의 유산을 물려 받은 기종임을 생각해 보면 어느 정도 이해는 간다.[13]

공력기술 특성상 F-5의 유산을 물려받은 기종답게 LEX(앞전연장부)와 높은 종횡비와 낮은 후퇴각의 주익이 조합되었다. 초음속 전투기치고는 주익 후퇴각이 상당히 작아서 아음속에서 유리하고 천음속 영역에서는 불리한 형상이지만 LEX의 높은 후퇴각이 이러한 불리함을 커버해 준다. 추가적으로 Flight Control System이 수준 높은 제어를 하기 때문에 40°가 넘는 극단적인 고받음각에서도 Departure가 일어나지 않는 조종성을 가진다.[14] LWF 사업 경쟁기종이었던 F-16이 고받음각 기동과 순간 선회보다는 전통적인 지속 선회율을 중시한 비행특성을 지닌다는 점을 고려하면 재미있는 대조라고 할 수 있다.

최고속도는 고정식 공기 흡입구를 장착하여 초음속에서의 외부 공기 압축[15]에 불리한 항공기들이 으레 그러하듯이 마하 2 아래인 1.8에 머물러 있다. 최고속도와 가속력이 늘 일맥상통하지는 않지만, F/A-18의 경우 주익부터 후퇴각이 낮은 테이퍼익이라는 점까지 합쳐져 경쟁기종 F-16에 비해 최고속도와 가속력 모두 처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파일:external/pds20.egloos.com/f0082824_4e76b7f9cc924.jpg
F/A-18의 가속력은 다음과 같다. 3만 피트 기준이다. 보다시피 원형인 F-5와 개량형인 F/A-18E/F보다는 가속력이 좋지만 라이벌 기종인 F-16에 비해 크게 밀린다. 이곳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상승률 역시 F-16에게 밀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틴 시리즈 기체들 중에서 가장 처진다.


5. 운용 상황[편집]


도입과 퇴역
초도비행
1978년 11월 18일
도입
1983년 1월 7일
퇴역
2018년 4월 28일(미 해군), 2021년 11월 29일(오스트레일리아 공군), 현역(기타)
원래 종가였던 미국 해군에서 퇴역한 이후에는 미국 해병대 이외에 스위스, 핀란드, 스페인, 말레이시아, 쿠웨이트 공군에서 운용하고 있으며, 캐나다(캐나다군은 육해공 통합체계로 운영)는 CF-18이라는 이름으로 운용 중이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운용했지만 2021년 11월 29일부로 레거시 호넷은 전량 퇴역했다.

미 해군에게 F/A-18은 비행 성능도 좋고, 무엇보다 대형 전투기에 비하면 값이 싸기 때문에 대량으로 배치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이었다. 하지만 최고의 매력 포인트는 정비성이었다. F-14의 경우 정비성이 개떡같아서 즉시 출격(스크램블)이 가능한 대수는 실제 함재기의 1/2 정도밖에 안 되었다고 하는데 이에 반해 F/A-18 시리즈는 정비에 들이는 시간과 인력이 훨씬 적어서 대부분의 기체가 즉시 사용가능하다고 한다. 또한 F404/F414 엔진은 신뢰성이 극단적으로 높아서 현역인 주제에 레전드급이다. 군용 터보팬 엔진치고는 비교적 작은 '바이패스 비'로 인해[16] 비 연료 소모율이 약간 높은 편이지만, 기름 먹는 고양이인 F-14에 비하면 이건 양반이다.[17]

이러한 장점들도 미 해군이 F-14, A-6 퇴역 이후 F/A-18 계열을 그 대안으로 삼은 한 가지 이유이다. 물론 제일 큰 이유야 때문이지만. 여하튼 F/A-18 계열기는 F-14, A-6의 대체는 물론 EA-6을 대체하는 전자전기인 EA-18G 그라울러까지 나와서 결국 미 해군 항공모함의 벌집에 크게 일조하는 중이다. 이 때문에 일부 클래식 밀덕들 중에는 호넷의 성능 및 효율성과는 별개로, 과거 F-14 톰캣, A-6 인트루더, S-3 바이킹 등 다양한 함재기로 가득한 항공모함의 모습을 그리워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18]

미 해군은 F-35C가 완성되어도 F/A-18C/D만 퇴역시킬 뿐, 장거리 타격을 위해 F/A-18E/F 수퍼 호넷은 계속 유지할 예정이다. 그나마 F-35의 개발이 계속 지연되다보니 언제 F/A-18C가 퇴역할지 모를 상황이다. 게다가 EA-6B의 대체기로 F/A-18E/F를 이용한 EA-18G 그라울러가 나왔다. 전자전기라 F-22만큼 비싸...다고 알려있으나, 사실 2억 달러에서 2억 5천만 달러 사이를 호가하는 F-22에 비해 그라울러의 대당 가격은 2010 회계년도 기준으로 7천 3백만 달러이다. F/A-18E/F와도 가격 차이가 그리 크지 않은 셈이다.

2018년 4월 14일, 레거시 호넷의 최후 비행단이었던 VFA-34 "Bluemasters"가 마지막 항해를 마치고 귀환하였다. 이후 4월 28일 부로 기재 정리를 완료하고 F/A-18E로 기종을 전환하였으며 이제 미 해군 항모항공단에서는 더 이상 레거시 호넷 해군 전투비행대를 볼 수 없게 됐다. F/A-18C/D를 운용하던 미 해군 곡예비행단 블루엔젤스도 2020년 11월부로 수퍼호넷으로 기종 전환을 완료하였다.


6. 실전 경험[편집]


기본적으로 함재기라 동 시대의 공군 기체들과 비교하면 실전 경험이 많지는 않다. 다른 틴 시리즈 기체들과 마찬가지로 걸프 전쟁에서 실전 경험을 쌓게 된다. 걸프전 때는 두 가지 진기록을 세우게 된다.

한 가지는 F/A-18 편대가 폭탄을 탑재한 채로 출격, 이라크의 MiG-21들을 격추시켰다. 폭탄을 버리지 않고! 격렬한 선회전까지 했는지 등의 정확한 정황은 알려져있지 않지만 AIM-7뿐만 아니라 단거리 미사일인 AIM-9으로도 격추한 것으로 보아 근거리 교전이 있었던 것은 확실하다.[19] 이 F/A-18 편대는 그렇게 공대공 전투를 마치고 본래 예정된 표적에 폭탄까지 제대로 투하하고 돌아왔다. 'F/A'라는 이름에 정말 걸맞는 전과라고 할 수 있겠다.

또 한 가지는 연합군 전투기중 유일하게 공대공에서 격추'당한' 전투기라는 점이다. 개전 첫날 밤에 F/A-18 1기가 실종되었는데 미군은 처음에 지대공 미사일에 격추당하였다고 생각하였다. 이후 걸프전 당시 U-2가 정찰했던 사진들을 분석하다가 1994년경에(전쟁이 끝난 뒤다) 사막 지대에서 이 실종된 F/A-18의 잔해를 발견, 이라크에 요청하여 미군이 실제 잔해수거 및 유해 발굴에 나섰다. CIA의 보고서도 그렇고, 러시아의 언론 매체도 그렇고 이라크 공군의 MiG-25가 발사한 R-60 미사일에 의해 격추당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잔해 조사에 따르면 조종사가 비상탈출을 시도하였는지 캐노피는 사출되었으나 조종사는 살아남지 못했다고 한다. 당시 동료 조종사들도 상황을 파악하지 못했던 것을 감안하면 MiG-25의 접근사실 자체를 몰랐던 듯하다. RWR도 만능이 아니고,[20] 조기경보기도 개전 초기의 복잡한 전장상황에 대해 모든 것을 다 커버할 수는 없었을 것이란 점을 감안하면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다.


7. 대한민국 공군의 도입 실패[편집]


원래 우리나라의 KFP 사업 때 1차로 선정된 기종도 F/A-18C/D이었다. 하지만 막상 납품할 시점에서 맥도널 더글라스가 가격을 두 배 가까이 올려버리는 바람에[21] 결국 가격인상률은 비슷했으나 그래도 처음 책정한 예산 범위내에서 사업을 진행할 수 있었던 F-16에게 밀렸다. 1차 선정된 시점에서는 F-16에 아직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이 통합되지 않았고[22] 때문에 중거리 전투가 불가능하여 F/A-18이 비싼데도 선정되었다지만 선정 후 가격이 30% 넘게 치솟아[23] 재검토에 들어갔고, 마침 시기적절하게 F-16 Block 50/52형이 등장하며 AIM-120 AMRAAM 미사일이 통합된 데다가, 결정적으로 기존 예산으로 120대를 들여올 수 있게 되어 최종적으로 F-16이 선정된 것이다. 한국은 미국을 제외하고는 최초로 F-16 Block 52형과 AIM-120 AMRAAM 미사일을 도입한 국가로 당시 미 공군 사양의 업그레이드 기종이다.[24]

당시에는 정용후 공군참모총장이 F/A-18 사수, F-16 도입 결사 반대를 외치다가[25] 노태우 대통령에게 찍혀 강제전역을 당했고, 한동안은 하푼 대함미사일을 KF-16보다 더 무리 없이 탑재 가능하고, KF-16이 운용할 수 없는 SLAM 순항미사일을 운용할 수 있는 F/A-18을 고수하는 게 더 낫지 않았겠냐는 주장도 있었으나, 2020년대에 들어서는 당시 F/A-18C/D를 도입했다면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 문제로 곤란에 빠졌을 거라는 의견이 주류다.

2019년 F/A-18A/B/C/D가 미 해군에서 전량 퇴역한 것은 물론, 2,500대 이상이 수출되어 현재까지도 꾸준하게 미국 주도로 개량형이 나오는 F-16과 달리 겨우 500대 정도가 해외 판매된데다 기존 F/A-18을 도입했던 국가들은 2020년 현재 슈퍼 호넷, 그리펜, 유로파이터 등 다른 전술기로 기종 전환을 할 준비를 하고 있지 적극적으로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려는 국가가 별로 없다.[26] 슈퍼호넷이 호넷의 개량형이라기보다는 호넷 기반의 다른 기종에 가깝기 때문이다.[27] 호넷의 운용 국가 수가 애매하다는 영향도 있다. F/A-18에 맞는 신형 AESA 레이더는 2010년대 후반이 돼서야 레이시온의 레이더가 미국 해병대에 이어 # 캐나다의 CF-18 기종에 통합하고 있는 중이다. #

미 해병대는 쿠웨이트에서 중고 호넷을 되사온 다음 AN/APG-65 레이더에 소프트웨어만 개량한 F/A-18C+를 사용하다가. 2020년에 와서야 레이더를 AN/APG-79(V)4[28]로 교체하는 개량을 진행중이지만 역시 전세계 적으로 기존 F-16 개량, 혹은 신품 생산을 통해 제작되는 F-16V에 비하면 적은 200대 가량이다.[29]


8. 확대 개량형[편집]



8.1. X-53 액티브 에어로엘라스틱 윙(AAW)[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X-53_parked.jpg
능동 공역학탄성 날개를 장착한 실험기 버전이다. 2002년 11월 첫 비행이 있었고, 2006년에서야 X 명칭이 붙었다. 보통의 고정식, 또는 가변형 날개와는 다르게 유압 액츄에이터를 통해 날개를 변형시킬 수 있었다.


8.2. F/A-18E/F 슈퍼호넷[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FA-18_Hornet_VFA-41.jpg
사진은 제41전투공격비행대대(VFA-41) 블랙 에이시스 소속 F/A-18F이다.

A-6, F-14D가 퇴역할 상황이 되었음에도 미 해군은 적절한 대체 기종을 찾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30] 미 해군은 F/A-18 호넷을 개량하고 더 크게 늘린 F/A-18E/F 슈퍼 호넷을 개발했다.

슈퍼호넷에 대한 자세한 제원이나, 기존 호넷과의 차이점 등등은 항목 참고. 전반적으로 호넷의 개량형이라기보다는 호넷을 기반으로 새로 개발한 기체에 가깝다.


8.3. 어드밴스드 슈퍼호넷[편집]


파일:external/www.boeing.com/advanced_super_hornet_fullscreen_1024x768.jpg
문서 참고.


8.4. EA-18G 그라울러[편집]


슈퍼호넷을 베이스로 하여 적 레이더 및 방공 관제 체계를 교란/무력화하는 데 특화한 침투 전자전기다. 문서 참고.


9. 도입 국가[편집]


2019년 국가별 F/A-18 보유/운용 수량[31]
종류
미국
캐나다
호주
스페인
핀란드
쿠웨이트
스위스
말레이시아
총계
미해군
미해병대
NASA
F/A-18A/B
257[32]
62


69
85





F/A-18C/D

211




62
27
30
8

F/A-18E/F
512



24






CF-18A/B



76







EA-18G
153



11






총계
922
273
4
76
110
86
62
27
30
8
1,592
꽤 많은 나라가 도입하기는 했지만 정말로 많은 나라가 쓰고 있는 F-16와는 비교가 안된다. F/A-18의 수출량은 500대 미만이고 F-16의 수출량은 2500대 이상이다.

  •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미 해군 / 파일:미합중국 해병대 마크.svg 미 해병대 - 해병대는 커스텀 기종으로 'F/A-18D(N) 나이트 어택'이라는 야간 작전용 공격기까지 수령한다. 2018년 4월 마지막 전투 임무 이후 VFA-34 "블루 블래스터즈"의 2019년 2월 고별 비행을 끝으로 미 해군의 실전부대는 레거시 호넷을 은퇴시켰으며 곡예 비행팀 블루 엔젤스도 2020년부터는 슈퍼 호넷을 도입할 예정이지만, 해병대는 여전히 C/D형을 운용 중이다.[33] 현재로서는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F/A-18E/F Block 2의 AN/APG-79(v)4 AESA 레이더로 교체하는 개량을 하고 있다. 관련자료
파일:1602083495.jpg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캐나다군은 활주로 등 시설이 열악한 자국의 북부 지방에서도 사용하기 위해 단거리 이착륙 능력이 있는 F/A-18을 도입했다. 또한 영공이 워낙 넓다보니 저렴하면서도 항속거리가 좀 더 긴 항공기를 도입했다. 드넓은 본토 방공만 생각한다면 제공 성능은 다소 떨어지자만 항속거리가 긴 방공 전투기인 토네이도 ADV가 더 적합했겠지만, 캐나다군은 유럽 전장에서도 한몫을 해야 하는 입장이라 다방면에서 활약할 수 있는 호넷을 골랐다. 여담으로, F-14를 대신 구입할 뻔 하기도 했는데, 마침 이란에 종교혁명이 벌어져서 미국이 부품 수출을 막은 바람에 알리캣들을 이란에서 저렴하게 구매하기로 했던 것이다. 그러나 대사관 사건에 휘말리느라 이란의 알리캣 제안은 취소되었다. 2000년대에 한 번 업그레이드가 되었는데, 구입시 A/B형 기준의 항공 전자 장비를 C/D형 기준으로 업그레이드 한 것이다. 캐나다에서는 CF-188Α/Β로도 부른다.
    이후 F-35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도입이 확실시 됐으나, 군비 문제와 정치적 문제로 취소되어 한동안 CF-188을 계속 운영하게 되었다. 대체 기종은 JAS 39 그리펜 F-35 를 후보로 놓고 최종 평가에 들어갔으며, 결국 많은 이들이 예상한 대로 2022년 3월 29일 F-35A 88기를 도입하기로 결정됐다.
    2021년 9월 21일 Raytheon은 캐나다의 C/F-18A 함대에 장착할 AESA 레이더를 납품하는 미화 1억 4,037만 달러 이상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였다.“캘리포니아 엘 세군도에 있는 Raytheon Co.는 이전에 낙찰된 계약에 대해 미화 1억 4037만 달러의 수정 계약을 체결 하였으며, 미 국방부는 월요일 성명에서 이번 수정 으로 캐나다 정부를 위해 C/F-18A 항공기에 레이더 통합을 지원하기 위해 36대의 AN/APG-79(V)4 AESA 레이더 시스템을 조달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AN/APG-79(V)4 AESA 레이더 통합 노력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노후화 관리, 엔지니어링 지원 및 관련 기술, 재정 및 관리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급 및 지원을 제공한다고 한다. #

  • 파일:NASA 로고.svg NASA: 추적기와 연구용, 훈련기로 사용하려고 일부 도입했다. 도입한다고 해봤자 NASA 예산이 미 국방부에 비하면 새발의 피라 꼴랑 4대 정도에 그쳤지만 한편으로는 이런 싸지 않은 기종을 살 수 있었던 것만으로도 NASA는 감지덕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별개로 HARV(High Alpha Research Vehicle)와 X-53 AAW(Active Aeroelastic Wing) 같은 개량형을 주문하여 연구용으로 쓰기도 했다. 현재는 주로 캘리포니아주 에드워즈 공군기지 내의 암스트롱 비행연구센터(Armstrong Flight Research Center)[34]에서 연구용도로 쓰고 있다.


우주왕복선 엔데버 호의 은퇴기념비행을 호위하는 NASA 소속 F/A-18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걸프전에서 얻어터지고 나서 무장 강화를 위해서 독일제/미국제/벨기에제/심지어 중국제 무기까지 마구 도입하는 나라답게 F/A-18도 도입했다... 지만 사실 도입 결정은 전쟁 터지기 몇 년 전인 1988년에 결정되었다. 이후 미국으로부터 인도받으려는 와중에 전쟁이 나버려서 이라크군에게 나라가 점령된 상황이다보니 전투기를 받을 상황이 아니었고, 결국 전쟁이 끝나고 난 뒤인 1992년부터 들여올 수 있었다. 조종은 쿠웨이트군이 하지만 정비는 전역한 미군을 고용해서 한다. 오일머니의 힘. 그리고, 2015년 5월에는 슈퍼 호넷 도입을 잠정 결정하게 되면서 호주에 이어 호넷과 슈퍼호넷을 연달아 운용하게 되는 해외 운용국이 되는줄 알았으나 2016년 3월 현재 미국의 승인이 지연되고 있다. 사실 2015년 경부터 뭔가 조짐이 좋지 않음을 감지한 쿠웨이트는 유로파이터 타이푼의 도입 협상도 병행했고 2016년 초에 도입을 확정했다. 2016년 11월 슈퍼 호넷 28대 구매를 확정하였으며, 기존 보유하고있던 구형 F/A-18은 보잉社에 되팔기로 했다.

  •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미라지 3 계열을 대체는 해야 하는데, 도입 후보군이 F/A-18과 토네이도였다. 그런데 토네이도가 걸프전에서 문제[35]를 일으키면서 F/A-18로 급선회[36], 도입 당시에 신규 전투기 도입을 반대하는 국민들이 들고 일어나 국민투표를 통해서 60%의 찬성을 얻어 도입했다. 이 투표는 당시 냉전이 끝난다고 군대를 키울 필요가 있냐는 반발이었다. 이후 JAS 39로의 대체를 시도했으나 군과 국민들의 반발을 비롯한 경제적, 정치적 이유로 무산되어 계속 F/A-18을 운용하다가 드디어 후계기로 F-35A 도입을 결정하였다.
파일:tumblr_inline_ntta7fkBQn1t90ue7_1280.jpg

  •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냉전 당시에는 친소 중립국으로 분류되며 소련제 MiG-21, 스웨덴SAAB 35 드라켄 전투기들을 쓰던 핀란드였지만 냉전이 끝나자마자 MiG-21과 드라켄들을 퇴역시키고 F/A-18을 구입했다. 그후 잘 사용하다가 2021년 HX Fighter Program을 통해 후계기로 F-35를 선정, 2025년부터 도입하여 F/A-18을 서서히 대체할 계획이다.

  •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북아프리카와의 불편한 관계가 지속될 수 있다고 보고 1985년부터 1990년까지 좀 더 항속거리가 긴 F/A-18을 도입했다. 또한 F/A-18로 KEPD 350을 운용중에 있다.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미국제/러시아제/영국제를 가리지 않고 도입하는 나라. 말레이시아의 주력 전투기는 MiG-29이고, 주력 공격기는 F/A-18D이다. F/A-18F를 추가 도입하려다가 조지 W. 부시 정권과의 관계 악화로 인해 무산되어 Su-30MKM을 도입하기로 했다.
파일:malaysianair2.jpg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아무래도 영토가 넓고 주변이 넓은 바다인 관계로[37] A/B형을 1985년에 도입했다. 참고로 호주군이 도입한 호크 고등훈련기에는 F/A-18의 콕핏(조종 시스템)을 달아놨다. 호주 회계감사국은 아무래도 오래 쓴 만큼 동체 부식과 안전비행한도인 6,000 비행시간에 가까워지면서 안전 장치들을 손보고 구조적 피로도의 비율을 어느 정도 줄여야 할 것 같다고 제기한 적이 있다. 참고로, 미국은 AN/APG-65 레이더 소프트웨어에 성능 제한을 걸어뒀는데 호주가 멋대로 컴퓨터의 소스코드를 해킹하고 개조까지 해서 미국과의 관계가 상당 기간 불편했던 적이 있다.[38] 2009년부터 슈퍼 호넷 24대를 도입하여서 이 중 12대는 예산확보시에 EA-18G 그라울러로 개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도입하였고[39], 개량도 결정해서 2018년에 실전 배치하여 F-35와 운용할 계획이라고 한다.15억 호주달러 (미화 14억 4천만 달러 가량)가 들어갈 것으로 추정 중이며 개량 내용에는 윙팁 (wingtip) 전자지원수단 안테나, 기수에 내장되는 전자전 장비 및 ALQ-99 교란 포드 (pod) 등이다. 2015년에 호주 공군용 EA-18G 1호기가 출고되며 미국을 제외한 세계 최초의 EA-18G 운용국이 되었다.
2021년 11월 29일부로 F/A-18A/B형이 모두 퇴역했다. 퇴역한 기체 중 8기는 박물관에 전시하고 다른 일부는 미국의 공중전 훈련 용역 민간군사기업 Air USA사에 판매할 것이라고 한다. 후계기는 현재 도입중인 F-35A.
이미지:INT_FA-18_Classic_02.jpg


10. 등장 매체[편집]



10.1. 영화[편집]


멕시코 마약 카르텔 우두머리의 저택을 폭격하기 위해 등장한다.


알카트라즈에 터마이트 플라즈마 폭탄을 투하하기 위해 등장한다.

인간 진영의 주력으로 등장한다. 사실 영화가 미 해병대의 지원만 받았기에 거의 F/A-18만 나온다.

데스트론 군단 오토롤러즈의 오토제타의 변형 형태로 등장한다.


  • '태양의 눈물(Tears of Sun)' (2003)

  •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2009)'
출격하는 장면만 나온다.

  • '배틀쉽(Battleship)' (2012) - 대파당한 외계인 전함에서 보낸 공격유닛에 격침당할 뻔한 미주리 호를 구하고 외계인 전함을 마저 박살낸다[40].

미 해군 곡예비행단 'Blue Angels'의 곡예비행장면을 뮤직 비디오 형식으로 만든것이다#

질라에게 미사일 12개를 발사해 사살한다.
당연히 이 장면은 고지라 시리즈 팬덤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안겨주고, 욕을 먹었다.

에어 포스 원이 격추되기 직전 호위기로서 배경으로만 등장한다.[41]

  • 빅 게임(2014)
화이트 하우스 다운과 마찬가지로 에어 포스 원의 호위기로 나오며, 여기서도 호위 대상인 에어 포스 원은 지대공 미사일을 맞고 격추되는데 구름에 가려져서 보이지는 않으나 여기서는 함께 격추된 것으로 추정된다.

  • 탑건: 매버릭[42]

10.2. 게임[편집]





  • Flight Simulator X Acceleration


  • 제인스 F/A-18


  • F/A-18 KOREA
1997년에 발매된 게임으로 가상의 한국전쟁을 소재로 하고 있다.

  • F/A-18 Operation Iraqi Freedom

F/A-18A형이 등장한다.
싱글 캠페인에서만 등장한다. 모델은 F/A-18C이다.



새로이 추가된 Jets DLC에서 항공모함(USS Freedom)에 소속되어 있다. 완전히 같은 모델은 아니고, 호넷의 디자인을 베이스로 한 F/A-181 Black Wasp라는 스텔스 설계가 된 기체로 등장한다. 기본적으로 20mm 450발, AA 6발, AG(AT) 4발, GBU 2발을 탑재한 하이브리드.

파일:Screen_180110_230203_00002.png
F/A-18C의 최후기형 생산분인 블록 51, 로트번호 20번 사양이 DLC로 구현되었다.
엄청난 구현도와 그에 걸맞는 유연한 성능으로 최고의 인기를 누리는 모듈이다. 어떤 임무에도 투입할 수 있는 범용성과 디지털화 된 에비오닉스, 비행 제어 시스템이 큰 장점이다. 단순 기체뿐 아니라 Link-16을 이용한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역시 구현되어 있어 압도적인 상황 판단력과 전술적 우위를 플레이어에게 제공한다.

수직미익만 등장한다. F-16을 모델로 한 P-996 레이저 전투기의 수직 미익이 호넷의 것이다.

호넷과 그라울러가 등장한다.


F/A-18 호넷이 비행기 전술성 병력으로 등장한다.


11. 모형화[편집]


F/A-18은 라이벌(?)인 F-16만은 못하지만 많이 모형화된 기종이다. 적당한 크기와 미 해군의 주력 기체라는 상징성 덕분에 모형으로도 인기가 많다. 다만 신규 모형화는 F/A-18E/F에 밀려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실제로도 그렇지만 F/A-18E/F와는 비슷하게 생겼지만 생각보다 크기 차이가 많이 난다.

70년대 제품으로 당연히 양각 몰드이다. 이제는 구하기도 거의 불가능하다.
80년대 제품으로 하세가와 것과 마찬가지로 구하기 쉽지 않다. 사실 결정판 아카데미 제품이 있는데 구할 이유도 딱히 없다.
동 스케일의 타미야 F-16과 함께 최고의 에어로 킷으로 꼽히는 좋은 제품이다. 구성과 디테일, 프로포션 모두 훌륭하다. 레이더가 완벽 재현되어 있으며 엔진 역시 재현되어 있다. 가동 부위도 은근히 많다. 플랩과 에일러론은 각도를 선택할 수 았게 되어 있다. 이후 출시된 1/32 F-16보다 평이 더 좋다. 기본형은 C형이고 이후 바리에이션으로 D형과 A+형이 발매되었다. 2010년대 이후 출시된 바리에이션들은 카르토그래프 데칼을 포함하고 있다.
  • 키네틱
아카데미 제품의 재포장판으로, 원판이 워낙 명작이라 이 제품 역시 좋다.

하세가와답지 않은 풍성한 구성과 하세가와다운 좋은 디테일&프로포션이 겹쳐 아직까지도 결정판으로 꼽히며, 역시나 하세가와다운 데칼놀이질로 바리에이션이 매우 다양하다. 다만 어째서인지 도통 새 바리에이션이나 기본판 재발매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
하세가와의 카피나 다름없는 키트. 다만 가격 하나는 무시무시하게 싸다.
  • 키네틱
2010년대에 출시된 신금형. 주익 시위선 각도 등 자잘한 오류가 많으나 구하기도 어려운 하세가와를 사서 뜯어고치느니 속편하게 키네틱을 사는 게 낫다. 블루엔젤스나 ATARS 등 바리에이션도 통상판으로 출시.

1/48과 마찬가지로 바리에이션이 굉장히 많다.

  • 1/110
    • IMAI



  • 1/300
    • 니치모

1/350 항공모함을 위한 액세서리이다.

1/350과 마찬가지로 1/700 항공모함을 위한 액세서리이다.
  • 피트로드
트럼페터 제품의 재포장판이다.
다른 기체들과 함께 합본으로 판매된다.


12. 기타[편집]


  • F/A-18과 F-16을 비교하는 경우가 많으나, 두 기종은 많은 점에서 차이를 두고 있다. 일례로 F/A-18의 APG-73은 F-16의 APG-68에 비해 넓은 탐색범위 및 BAR 그리고 더 미세한 빔 등 이점을 가지고 있다. 대신, F-16은 더 싼 기체 가격과 유지비-즉 가성비가 더 뛰어나고, 기체 중량 대비 더 강력한 엔진과 빠른 가속력 및 속도와 상승율, 더 긴 항속거리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서로 나름대로의 장점이 있는 것이다.[43]

  • F/A-18은 현대의 대표적인 중형급 전투기로 꼽힌다. 이에 대응하는 동구권 전투기로는 MiG-29를 꼽기도 하지만 호넷과 펄크럼은 최대이륙중량이 4톤 가량 차이나(펄크럼 약 19톤, 호넷 약 23톤) 동급이라고 하기에는 다소 애매한 편이다. 이후 펄크럼의 개량으로 비슷해지기는 했다. 타이푼라팔 등의 유럽제 델타익 전투기들은 체급에 비해 탑재능력이 큰 편이라 직접적으로 비교하기는 애매한 면이 있지만 대체적으로 호넷과 유사한 체급이라고 간주된다.

  • 다른 틴 시리즈 전투기들을 포함해 보통 기관포는 동체 상면 또는 전방의 측면에 설치되지만 호넷은 특이하게 기관포가 중앙에 가깝게 레이돔과 캐노피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마치 대전기 전투기들처럼 기관포가 전방에서 발사된다.



13. 참고 링크[편집]




14. 둘러보기[편집]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냉전기 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USN

회전익기
경헬기
S-52, H-19
다목적헬기
UH-1E/N
수송헬기
CH-46, CH-53
공격헬기
AH-1G/J/W
대잠헬기
SH-2, SH-3, SH-60
제공 전투기
1세대
FJ-1, FJ-2, FJ-4, F2H(F-2), F9F-2, F7U, F9F-6
2세대
F3H-1/2(F-3), F-11, F8U, F4D(F-6)
3세대
F-4A/B/J/N/S, F-111B
4세대
F-18A/B/C, F-14A/B/D
해병전투기
F8U, F-4A/B/J/N/S, F-5 II/III, F/A-18A/B/C/D, AV-8B, F4D(F-6), XFV-12
지상 공격기
A-1E/D/N/H, A-2, A-3, A-4A/B/C/E/F/M, A-5, A-6, A-7A/B/E, AF
전자전기
F3D-2Q(F-10), EA-6B, EP-3
수송기
C-1, C-2
공중급유기
KC-130
해상초계기
P-2V, P-3A/B/C, S-2, S-3
조기경보기
E-1, E-2C/D, E-6
훈련기
T-38, T-2, T-45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USN

회전익기
CMV-22B, MH-60R/S/H, MH-53E, CH-46R, AH-1(W/Z), UH-1(N/Y)
전투기
4세대
F-14(A/B/D)R, F/A-18(A/BR, C/D)해병
4.5세대
F/A-18E/F
5세대
F-22N, F-35B해병, F-35C
6세대
{F/A-XX}
공격기
A-12, AV-8B/AV-8B+해병
수송기
UC-12, C-26D, 걸프스트림 V, C-40, C-2A, PC-12NG, C-130T
지원기
조기경보기
E-2C/D, E-6
대잠초계기
P-3C, P-7, P-8A, S-3R, S-2R
정찰기
HC-144해경
공중급유기
KC-130
전자전기
EA-6BR, EA-18G, EP-3
훈련기
프롭
DHC-3, T-34, T-44A, T-6 II
제트
T-45, T-45C, T-2 벅아이, 걸프스트림 G100, T-38A/C, TAV-8B해병
헬리콥터
TH-57, UH-72
가상적기
F-21AR, F-16(A/B), (T)F-16N
다목적기
UC-35D
무인기
MQ-4C, RQ-7, MQ-8B, 스캔이글, RQ-21 블랙잭, {MQ-25}
※ 윗첨자해병: 해병항공대 운용 장비
※ 윗첨자해경: 해안경비대 운용 장비
※ 윗첨자R: 퇴역 항공기
※ 윗첨자M: 개조/개량 항공기
※ 윗첨자U: 업그레이드/업그레이드 예정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항공기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현대 핀란드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회전익기
경헬기
MD 500(D/E) · MD 500(C/M)육R | AB 206A 제트 레인저육R | Mi-1육R | SE.3130 알루에트-II육R
다목적 헬기
NH90 TTH | Mi-8(P/PS/T)육R | Mi-4육R
전투기
프롭
발멧 피후리R | Bf 109 GR
1세대
뱀파이어 FB.52R | 냇 F.1R
2세대
MiG-21F-13/bisR | J 35BS 드라켄R
3세대
J 35(FS/XS) 드라켄R
4세대
F-18(C/D) 호넷
5세대
{F-35A 라이트닝 II}
폭격기
Il-28R
정찰기
전술
리어젯-35A/S | MiG-21bis/TR | 냇 FR.1R | Il-28R "니키타"R | 펨브로크 C.53R | 포커 C.XR
전자
C-295M SIGNT | 포커 F27-100 SIGINTR
수송기
C-295M | PC-12NG | 포커 F27-400M 트룹쉽R | C-47A 스카이트레인R
다목적기
PA-31-350 치프틴R · PA-31 나바호R | PA-28(R-200/RT-201) 애로우 II · 애로우 IVR | 세스나 402B 비즈니스라이너R | BN-2A 아일랜더R | DHC-2 비버 Mk.1R
무인기
SUAV
오비터-2B | DJI 매빅 프로 플래티넘
UAV
ADS-95 레인저
지원기
연락기
비치크래프트 D17SR | Fi 156K-1R
훈련기
프롭
G115E 튜터 | L-70 빈카R | L-90TP 레디고R | VL 툴리 (I~III)R | VL 비마R | VL 푸루R | Fw 44 J
제트
호크 Mk.(51/51A/66) | Sk 35CS 드라켄R | MiG-21(U/UM/US)R | CM.170R 마지스테르R | MiG-15UTIR | 뱀파이어 T.55R
표적예인
사브 91D 사피르R | 사브 B 17A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현대 스위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스위스군 (1945~현재)
Schweizer Armee

회전익기
경헬기
EC635P2+ | SE.3160 Alouette-IIIR | SE.3130 Alouette-IIR | SO.1221 DjinnR | OH-23 RavenR
다목적 헬기
TH98(98, 98/18) Cougar | TH89(89, 89/06) Super Puma
전투기
프롭
P-51B MustangI, R | P-51(D/K) MustangR | M.S.406S MoraneR | D-3800 MoraneR | D-3801 MoraneR | D-3802(A) MoraneR | D-3803 MoraneR | Me 109 D-1 DavidR | Me 109 (E1/E-3) EmilR | Me 109 F-4 FritzI, R | Me 109 G-6 GustavR | Me 109 G-14 GustavI, R
1세대
D.H.100 (F.1/FB.6) VampireR | D.H.113 NF.10 VampireX, R | D.H.112 (FB.1/FB.4) VenomR | N-20.10 Aiguillon
2세대
헌터 F.Mk.58(A) Hunter R
3세대
미라주 IIIS MIROR | F-5E Tiger II
4세대
F/A-18(C/D) Hornet
5세대
{F-35A Lightning II}
공격기
P-16(.04/Mk.2/Mk.3)
정찰기
전술
DA42 Twin Star | 미라주 IIIRS MIROR | C-36R | C-35R | C.V-ER
수송기
Ju 52R | C-45 ExpeditorR | D.H.98 PR.IV MosquitoI, R | Si 204R | M 18dR, DHC-6-300 Twin OtterST, 모델 350C Super King AirST
다목적기
PC-6B2-(H2/H4) Turbo Porter
무인기
SUAV
KZD-85
UAV
ADS 15 | ADS-(95/90) RangerR | MQM-61 CardinalR
지원기
연락기
PA-18 Super CubR | Fi 156 StorchR | 모델 50 Twin BonanzaR | Do 27H-2R | Bf 108R
훈련기
프롭
PC-21 | PC-9R | PC-7 Turbo-Trainer | P-3R | P-2R | Harvard IIBR | Fw 44F StieglitzR | Bü 131R | Bü 133R | Bf 108 B-1 TyphoonR
제트
F-5F Tiger II | BAe 호크 Mk.66 HawkR | 미라주 III(BS/DS) MIROR | D.H.115 T.55 VampireR | 헌터 T.Mk.68 Hunter R
표적예인
F+W C-3605R
VIP 탑승기
PC-24 | 다쏘 팰컨 900EX | 챌린저 604 | 세스나 560XL Citation Excel | EC635 VIP | 비치크래프트 1900R | 리어젯 35R | 다쏘 팰컨 50R | AS365 Dauphin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ST: Swisstopo에서 측량용도로 사용
※ 윗첨자I: 강제착륙시킨/귀순해온 항공기를 편제에 넣음
※ 윗첨자X: 실험용으로 사용
취소선: 개발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작은 글자: 해당 기체의 별명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현대 호주 왕립 공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호주 왕립 공군 (1945~현재)
Royal Australian Air Force

회전익기
다목적 헬기
AS.350BR, AW139 SAR, 벨 47G-3B-1/G-2/G-2AR, MRH-90 타이판, S-51R, SA.316BR, Sycamore Mk 3/Mk 14R,
공격헬기
AH-1G, 타이거 ARH, {AH-64E}
수송헬기
CH-47CR, UH-1B/D/HR, S-70A-9R
전투기
1세대
미티어 F Mk 3/F Mk 8/NF MK 11/T Mk 7/U Mk 21AR, 뱀파이어 F MK 30/FB Mk 31/T Mk 33/T Mk 34/T Mk 34A/T Mk 35/T Mk 35AR, CA-27 세이버 Mk 30/Mk 31/Mk 32R, 호커 P.1081
2세대
CAC CA-23
3세대
미라주 IIID/O(A)/O(F)R, F-4ER
4세대 / 4.5세대
F/A-18A/BR, F/A-18F, F-111A/C/GR
5세대
F-35A
폭격기
밸리언트 B Mk 1R, 링컨 Mk 30/Mk 30A/GR Mk 31/MR Mk 31R, 캔버라 B Mk 2/Mk 20/Mk 21/T Mk 4R
수송기
C-17A, C-27A, C-47A/B, C-49, C-50, C-53R, C-130A/E/H/J, DHC-2R, DHC-3R, DHC-4R, 노마드 N24A/N.22BR, 바이킹 C Mk 2R, 요크 C Mk 1R, 프레이터 Mk 21R
지원기
조기경보기
E-7A 웨지테일
대잠초계기
P2V-4/5/7R, P-3B/C, AP-3C, TAP-3B, P-8A
정찰기
RF-111CR, MC-55A, 미라주 IIIO(R)R, 리어젯 35R
공중급유기
KC-30A MRTT, 보잉 707-338C/368CR
전자전기
AP-3C, EF-18A
무인기
UAV
A45 IAI 헤론, A92 GAF Jindivik Mk I/Mk 2/Mk 2B/Mk 102/Mk 3/Mk 3A, MQ-4C
UCAV
{MQ-28}
훈련기
프롭
Anson GR Mk I/Mk XII/Mk XIV/T Mk IR, CA-1/3/5/7/8/9/16 WirrawayR, CA-6 WackettR, CA-25 WinjeelR, CAP 10BR, CT/4A/B/E 에어트레이너R, DA40NG, DH.82A 타이거 모스R, DH.94 모스 마이너R, HS 748 Series 2R, PA-34-220TR, PC-9/A, PC-21, 비치크래프트 B200R/350
제트
MB-326HR, 호크 127
특수목적기
604 봄바디어, 737 보잉 비즈니스 젯, BAC 1-11 217EAR, CV-440R, HS.478 Series 2R, 미스테르/팰콘 20CR, 바이카운트 Model 720/756R, 팰콘 7X, 팰콘 900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맥도넬 더글라스 로고.svg

맥도넬 더글라스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2><tablewidth=100%><bgcolor=#315288> 민항기 ||
||<colbgcolor=#eee8aa,#544e10> 쌍발기 ||DC-9MD-80MD-90MD-95(B717) ||
|| 3발기 ||DC-10MD-11 ||
|| 4발기 ||DC-8MD-12 ||
||<-2><bgcolor=#006400> 군용기 ||
|| 전투기 ||FH 팬텀F2H 밴시F3H 데몬F3D 스카이나이트F-6(F4D)F5D 스카이랜서F-4 팬텀 II
F-101F-15F/A-18F/A-18E/F ||
|| 공격기 ||BTD 디스트로이어A-1A-3A-4AV-8B ||
|| 폭격기 ||B-18A-20A-26 ||
|| 급강하폭격기 ||SBD 돈틀리스 ||
|| 뇌격기 ||TBD 데버스테이터 ||
|| 수송기 ||C-17C-47C-54 ||
|| 공중급유기 ||KC-10 ||
|| 훈련기 ||T-45 ||
||<-2><bgcolor=#151b54> 헬리콥터 ||
|| 군용 ||MD 500AH-64 ||
||<-2><bgcolor=#999999,#666666> 더글라스의 1945년 이전 모델 ||
||<bgcolor=#cccccc,#323232> 쌍발기 ||DC-1DC-2DC-3 ‧ DC-5 ||
||<bgcolor=#cccccc,#323232> 4발기 ||DC-4DC-6DC-7 ||
||<-2><bgcolor=#dedede,#202020>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파일:보잉 로고.svg

보잉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민항기

협동체
광동체
쌍발기
717(MD95) · 737(오리지널 · 클래식 · NG · MAX) · 757
767 · 777(-200 · -300 · 777X) · 787 드림라이너
3발기
727
-
4발기
707
747(-100 · -200 · SP · -300 · -400 · -8 · 특수목적용)
초창기 모델
247 · 307 · 314 · 377 · 367-80
개발 중단 / 개발 중
2707 · 7J7 · 소닉크루저 · NMA
군용기
훈련기
T-7
전투기
P-26 · F-15E/후기 개량형 · F/A-18E/F
전자전기
EA-18G
폭격기
B-9 · B-17 · B-29 · B-47 · B-52
수송기
C-135 · C-137 · VC-137 · VC-25 · C-32 · C-17 · C-40
조기경보기 / 지휘관제기
OC-135 · RC-135 · WC-135 · EC-135 · E-3 · E-6 · E-8 · E-767 · E-4 · E-7
공중급유기
KC-97 · KC-135 · KC-767 · KC-46
대잠초계기
P-8
무인기
MQ-25 ·MQ-28
헬리콥터
CH-46 · CH-47 · A/M/EH-6 · AH-64D/E
개발 중단 / 컨셉 / 실험기
YC-14 · X-32 · X-48 · YAL-1 · B-1R · F-15SE · 팬텀 레이
인수 합병 및 공동 개발
맥도넬 더글라스의 항공기 · F-22 · B-1 · V-22 · 디파이언트 X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항공병기 둘러보기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냉전기 1945~1991 ]⠀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 F/A-18 문서의 r540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5 04:45:49에 나무위키 F/A-18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Hornet의 뜻은 대형말벌이며 장수말벌이 아니다. 장수말벌은 엄연히 종의 이름이며 영어권 국가에서는 장수말벌이 서식하지 않는다. 장수말벌은 Asian giant hornet이고 물론 이를 줄여 그냥 Hornet으로 부를 수도 있겠지만, 영미권에서 Hornet하면 보통 유러피언 호넷이나 아메리칸 와스프를 말한다. 다만 2020년 들어 미국 북서부 태평양 연안의 워싱턴 주에 미확인 경로를 통해 장수말벌이 유입, 인근 양봉 농가의 꿀벌이 몰살당하는 등 피해가 발생중이기는 하다.[2] A1-F18AC-NFM-200 에 따르면 로트15 중반기체인 BuNo 164725부터 M61A2를 탑재한다. [3] 호주군 수출형 한정[4] 그리고 F-4의 전신이라고 부를 수 있는 맥도넬 F3H 데몬(Daemon) 또한 단발기였다. 새로 해군 항공대를 구성할 함상전투기로 채용된 F-35C 또한 단발기이다.[5] 사실 숨겨진 이유 중 하나로는 미 공군에서 먼저 사용중인 기체를 주력으로 사용하고 싶지 않다는 점도 상당히 작용했다. F-35 이전 미 해군에서 먼저 채용한 기체를 공군이 채택한 경우는 간혹 있었지만 그 반대는 전투기에서는 사실상 없었다. 후보로는 F-111 처럼 F-35와 유사하게 처음부터 공동개발 한 경우 뿐 아니라 F-15, F-16, F-22, F-117 등 최근의 미 공군 주력기체를 포함해서 자주 고려되었음에도 모두 취소되었다. 기껏 채용한다는 게 F-16처럼 가상적기로 사용할 정도다.미 공군은 미 해군의 적[6] 여기서 Su-27 플랭커 계열기들이 공중전만 하는 전투기로 오해할 여지가 많은데, 현재 운용되는 Su-27 패밀리는 대부분 멀티롤이 가능하고, 제공권 장악이 주목적인 Su-27SM/SM3도 멀티롤을 염두에 두고 있으며, 최신형 Su-35S 플랭커E는 아예 홍보영상부터 멀티롤 잘된다고 광고하고 있다![7] 여담이지만 한때 미 공군의 F-22도 '지상공격도 못하는 주제에 가격만 비싸다.' 라고 의회의 비난을 받자 F/A-22로 이름을 바꾸면서 JDAM, SDB 운용능력을 대대적으로 홍보한 적이 있다. 현재는 다시 F-22로 이름을 바꾼 상태이다. 사실 A는 미 해군이 주로 쓰는 분류이며, 미 해군이 먼저 사용한 기종을 도입한 경우가 아닌 미 공군만 쓰는 기종 중 A를 붙인 것은 A-10 등 근접 지원 항공기들 뿐이다. 미 공군은 F-111이나 F-117처럼 실질적으로 공격기 임무를 수행하더라도 그냥 F를 붙이는 편이다. 즉 미 공군은 주 전투임무 기준으로 A는 근접 지원기, F는 항공차단을 포함한 전술기, B는 전략임무를 맡은 폭격기에 붙는다고 보면 된다. 예를 들면 F-111에 전략공격임무를 부여한 파생형은 FB-111A라는 형식이 부여되었다.[8] 물론 일부 구성품 등은 노스롭이 제작하였다.[9] F-16은 공군에서의 운용에 특화된 기종이라는 점 때문에 세계 대다수 공군을 소유한 국가들에 있어서 수요가 높고 가격 대비 성능이 매우 뛰어나서 그야말로 아이돌급 인기를 구사한다. 특히 과거 공산국가였거나 신흥공업 국가들의 주력 전투기로서도 상당한 인기를 끄는 반면 F/A-18은 해군 함재기라는 점과 그나마도 항모의 규모와 운영방식이 여타 국가들이 상이하게 다르다 보니 수요가 많지 않다. 결정적으로 전 세계에서 항모 끌고 다닐 수 있는 나라가 많지 않다. 호넷을 운용할 만한 슈퍼캐리어를 운용하는 국가는 더더욱 없다. 그나마 도입한 국가라곤 스위스와 캐나다등 일부 국가 뿐이라 현저하게 낮은 판매량이 나올 수밖에 없다.[10] 여기서 알파는 AOA 즉 받음각을 의미한다. 정확히는 High AOA Pass.[11] 다만 저속-고 받음각이라는 극단적인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기동이라 잠시라도 측풍이나 양쪽 양력 불균형 등으로 자세 안정을 잃거나 비행영역을 잠시라도 벗어나면 바로 실속이 일어나기에 상당히 위험한 기동이다. 캐나다 공군 호넷 추락 장면[12] 해당 기체는 직진 비행중 약간씩 하강하는 것을 느낀 파일럿이 추력을 올렸으나 이를 회복하지 못했고 이후 애프터버너까지 가동을 시도했으나 우측엔진의 MFC ratio boost piston의 고장으로 왼쪽 엔진만 애프터버너가 작동, 추력 불균형이 일어나 급격한 요 회전(스핀)이 발생하면서 결과적으로 오른쪽 날개가 실속하면서 추락했다. 본래는 추력불균형으로 인해 스핀이 발생해도 자동으로 대처하지만, 당시 속도와 고도가 낮아 회복이 불가능했다. 이후 캐나다 공군은 한동안 에어쇼에서 하이 AOA 패스를 중단했고 이후 하이 AOA 패스시 최저고도(500ft) 제한을 걸었고 그 외에도 상황에 따른 AOA 제약을 걸었다.[13] 테이퍼익을 가진 전투기라고 하는 기종들을 보면 대부분 잘린 델타익이거나 다이아몬드익인 경우가 많다. 반면 F/A-18의 경우 진짜 직선익스러운 테이퍼익을 가지고 있다.[14] 다만 기체 자체는 개량형인 F/A-18E/F에 비해 기동성이 좋지만 제어기술의 한계로 Falling Leaf 등의 상황에 빠질 수 있다고 한다.[15] 초음속 비행에서는 제트엔진의 공기 압축기에서 이뤄지는 내부 공기 압축 단계 이전에 공기의 동압을 얼마나 덜 손실하면서 효율적으로 압축하는가 여부가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 단계에서의 회수된 압력이 결국 엔진 추력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정식 공기 흡입구는 특히나 외부 공기 압축에서의 특성이 좋지 않다. 깡추력으로 때우는 F-22 정도를 제외하면 고정식 공기 흡입구를 장착한 전투기들은 F/A-18과 마찬가지로 최고속도가 마하 2를 넘기지 못한다.[16] 0.35 정도로 등장 당시에는 좀 작은 편이었다. 다만 90년대 들어와서는 유사 엔진들의 바이패스비도 작아지는 추세인지라... 이 때문에 바이패스비가 비교적 큰 F100/F110 엔진을 장착한 F-16에게 항속거리가 밀린다.[17] F-14 문서 참조. 다만 호넷과 톰캣의 체급 차이도 감안해야 한다.[18] 특히 프라모델러 중 이러한 사람이 많다. 80년대 항공모함 모형에 비해 요즘 항공모함 모형은 소수의 조기경보기와 수송기를 제외하면 전부 호넷 계열이라 심심하다고 한다.[19] 물론 근거리 교전이라고 무조건 선회전 상황이었다고 볼 수는 없다.[20] RWR은 탐지되는 레이더 파를 감지, 나타내는 장치다. 적외선 유도 방식의 R-60을 잡아낼 수 있을리가 없다. 미사일 근접 경보면 몰라도. 문제는 이게 울릴 상황이면 이미...... (물론 호넷은 MWS가 없다.)[21] KFP 사업 기간 중에 소련이 해체되고 냉전이 종식되면서 도입물량이 급감, 그 결과로 가격이 폭등했다는 설도 있으나, 소련이 해체(1991년)되기전에 기종 선정이후 최종 계약 협상(1990년)에서 대폭 인상된 가격을 제시해 결렬되고 F-16으로 바뀐 것으로 KFP 사업기간 중에 소련이 해체되었다지만 가격인상이 없었다면 소련 해체 전에 최종 계약이 체결되었을 것이다.[22] 다만 AIM-7 스패로우 장착시험은 개발중에도 계속되었고 미 본토방공용 F-16ADF사양은 실제로 AIM-7을 운용하였다. [23] 원래 120대를 살 생각으로 준비해놓은 예산으로 80대 밖에 살 수 없어진 것이다.[24] 미군 사양에 없는 하푼 인티(미 공군은 F-16에 하푼을 운용하지 않는다 무장시험을 한 적은 있지만.), IFF장치, ASPJ까지 탑재되었다[25] 당시 공군은 피스브리지 사업을 통해 F-16 40대를 이미 운용 중이었으나 중거리 전투가 불가능하여 값만 비싼 애물단지 취급을 받으면서 공군 내의 여론은 F/A-18을 지지하고 있었다.[26] 스위스는 아예 공군을 없애자(!!!) 라며 주민투표를 했다가 아무리 그래도 아예 공군을 폐지하는것은 위험하다며 F-35A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27] 마찬가지로 파생형 별로 변경점이 큰 F-15MiG-29, Su-27 계열은 그래도 신형 기종에 적용된 개선 사항을 구형 기종에 적용하는 것 정도는 가능하지만 호넷은 그조차 어렵다.[28] F/A-18E/F Block 2부터 장착되는 레이더이다.[29] 대한민국 공군도 현재 보유 KF-16을 F-16V(Block 70/72) 사양으로 개량 중이다.[30] 물론 대체기 개발 사업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예산문제로 중간에 중단되었던 것이다. A-12가 대표적이다.[31] http://en.wikipedia.org/wiki/McDonnell_Douglas_F/A-18_Hornet[32] C도 포함[33] 해병대 소속 슈퍼호넷 조종사는 있지만 해병대 소속의 슈퍼호넷은 없다.[34] 예전에는 NASA 부국장을 지냈던 휴 드라이든(Hugh L. Dryden)의 이름을 따서 불렀지만 2014년 3월부터 닐 암스트롱의 이름으로 개칭했다.[35] 사실 독일군 전술을 이라크에서 그대로 가져다 쓴 이탈리아영국의 잘못...[36] 토네이도는 IDS니 ADF니 임무별로 기종이 다르기 때문에 차라리 F/A-18을 도입해서 하나로 두 개를 써먹자는 생각도 있었다.[37] 다수의 해상감시 레이다와 P-3 해상초계기로 감시하면서 F/A-18과 F-111이 적 함선을 공격한다.[38] 1984년부터 1990년까지 호주의 국방장관을 지냈던 Kim Beazley가 밝힌 내용이다. https://www.news.com.au/national/australia-cracked-top-secret-us-jet-fighter-codes/news-story/6a080a08de5c8a1f2d77deecf1893566[39] F/A-18F+라고 부르기도 한다.[40] 단 이때는 미주리호가 외계인 전함을 아작내버리고 난 후였다. 미주리의 함포공격으로 외계 전함의 전투력의 대부분을 파쇄시켜 버렸기 때문이다.[41] 지상에서 해킹된 지대공 미사일이 에어 포스 원을 타격하자 플레어를 뿌리며 회피기동으로 잽싸게 튀었다.[42] 사실 여기에 나온 전투기는 F/A-18E/F 슈퍼호넷이다[43] 현재는 거의 개량이 없는 레거시 F/A-18에 비해 F-16은 지속적으로 개량되면서 Block 60부터는 AN/APG-80 AESA 레이더가 탑재되고 Block 70에서는 더욱 발전한 AN/APG-83 AESA 레이더를 탑재하는 등, 성능 면에서 F-16이 레거시 F/A-18을 압도하게 되었다. 물론 가격도 많이 상승했지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