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lmatic

덤프버전 :

파일:NasLogoWhite.png
Nas Discography

[ 정규 ]
1집
2집
3집
4집

파일:NasI.jpg

파일:NasIWW.jpg
파일:NasIA.jpg
파일:NasN.jpg
Illmatic
(1994)
It Was Written
(1996)
I Am...
(1999)
Nastradamus
(1999)
5집
6집
7집
8집
파일:NasS.jpg
파일:신의손.jpg
파일:NasSD.jpg
파일:NasHHID.jpg
Stillmatic
(2001)
God's Son
(2002)
Street's Disciple
(2004)
Hip Hop Is Dead
(2006)
9집
10집
11집
12집
파일:NasU.jpg
파일:NasLIG.jpg
파일:NASIR.jpg
파일:NasKD.jpg
Untitled
(2008)
Life Is Good
(2012)
NASIR
(2018)
King's Disease
(2020)
13집
14집
15집
16집
파일:왕의병2.jpg
TBD
King's Disease II
(2021)


[ 컴필레이션 ]
2000
2002
2008
2013
2019
파일:NasQF.jpg
파일:NasTLP.jpg
파일:NasGH.jpg
파일:NasTEN.jpg
파일:NasTLP2.jpg
QB's Finest
The Lost Tapes
Greatest Hits
The Essential Nas
The Lost Tapes 2


[ 기타 ]
1997A
2002B
2010C
파일:TheFirmTheAlbum.jpg
파일:NasFITSTR.jpg
파일:NasDR.jpg
The Firm: The Album
From Illmatic To Stillmatic: The Remixes
Distant Relatives
A 그룹 The Firm으로서 발매한 그룹 음반.
B Illmatic부터 Stillmatic까지의 리믹스 곡을 담은 EP.
C 데미언 말리와의 합작 앨범.
.



Illmatic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Illmatic
매틱


파일:NasI.jpg

아티스트
Nas
발매
1994년 4월 19일
녹음
1992 ~ 1993년
장르
힙합, 붐뱁, 하드코어 힙합
길이
39:51
트랙
10개
프로듀서
DJ Premier[1], Large Professor[2], L.E.S.[3], MC Serch[4], Pete Rock[5], Q-Tip[6]
레이블
파일:컬럼비아 레코드 로고.svg


1. 개요
2. 상세
3. 성과
4. 트랙리스트
5. 뮤직비디오
5.1. The World Is Yours
5.4. Represent
5.5. It Ain’t Hard To Tell
6. 다른 버전
6.1. 10 Year Anniversary Illmatic Platinum Series
6.1.1. 추가된 트랙 리스트
6.2. Illmatic XX[7]
6.2.1. 평가
6.2.2. 추가된 트랙 리스트
6.3. Illmatic 오케스트라
7. 기타



1. 개요[편집]


I'm saying man, ya know what I'm saying? ...Niggas don't listen man. representing, It's Illmatic.

말 좀 할게, 내가 뭔 말하려는지는 잘 알지? ...새끼들이 말을 안 듣네. 시작할게, 이건 illmatic이야.

앨범 인트로 트랙 The Genesis 中


I never sleep, cause sleep is the cousin of death.

난 절대 잠 안 자, 잠은 죽음의 사촌이거든.

N.Y. State Of Mind


Time is illmatic, keep static like wool fabric

시간은 일매틱이야, 울 재질처럼 정전기라는 갈등을 일으키지

Life's A Bitch


1994년 4월 19일에 발매된 나스의 정규 1집.


2. 상세[편집]


나스가 음반사와 전담 매니저의 도움을 받아[8] 세상에 내놓은 첫 스튜디오 앨범이자 데뷔 앨범. 동부 힙합, 뉴욕의 힙합을 상징하는 앨범으로 손꼽히는 동시에 힙합 역사상 최고의 앨범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80년대 중반부터 투팍 샤커노토리어스 B.I.G.가 세상을 떠난 90년대 중반까지를 칭하는 '골든 에라'에 발매된 수많은 명반들 중에서도 현재까지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앨범이다.

시니컬하고 삭막한 노토리어스 B.I.G.Ready to Die우탱클랜Enter the Wu-Tang (36 Chambers)과 다르게, G-funk 아티스트들이 그려오던 섹스, 술, 마약등의 쾌락에 쩔어있고 로우라이더를 모는 갱스터의 모습과도 다르게, 나스가 자라온 퀸스 브릿지 프로젝트를 포함한 뉴욕의 거리와 마약, 총이 얽혀있는 흑인 게토의 삶이란 주제를 거물 프로듀서들인 DJ 프리미어, Large Professor, L.E.S., MC Serch, Pete Rock, 큐팁의 묵직한 비트[9] 위에 자신만의 화려하지만 군더더기 없는 라임과 플로우로 능수능란하게 풀어낸 앨범이다. 당시에 흔히 볼 수 있던 누군가를 조롱하고 풍자하며 사회를 비판하기보다는 나스 자신이 살아온 흑인 게토 거리의 삶을 그저 담담하게 써내려간 랩이라는 것도 힙합 업계에 큰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퀄리티의 경우 가사와 랩, 비트, 이후 끼친 영향력 등 뭐 하나 빠지는게 없어 단점을 찾기가 힘든 힙합 음악 그 자체인 앨범이라는 평까지 들으며 발매 당시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뮤지션들과 평론가, 대중들의 극찬을 받았다. 이 극찬을 바탕으로 나스는 순식간에 힙합의 역사에 빼놓을 수 없는 거물급 래퍼가 되었으며, 현재도 나스 최고의 커리어로서 나스를 지탱해주고 있는 앨범이기도 하다. 나스와 디스전을 했던 제이지조차 니 앨범 중 두개는 쓰레기고 하나는 뭐.. 그럭저럭이지, 나머지 하나는 일매틱이군, 정리하면 넌 10년에 한번 좋은 앨범 내는 놈이라면서 깠지만 그 와중에도 일매틱은 까지 못했다. 오히려 돌려서 리스펙을 해준 셈. 자타공인 올드스쿨 래퍼의 신봉자인 제이콜은 '나스가 성경을 썼다'고 존경을 표하기도 했으며, 래퍼로서도 대단하지만 작사능력을 특히 고평가받는 켄드릭 라마는 '아예 다른 차원에 있지 않았으면 가사로 사람을 그렇게 고양 시킬 수는 없었을 것이다. 일매틱은 내 음악과 나의 스토리텔링에 엄청난 영향력을 선사했다'고 수차례 리스펙을 했다.

다만 소포모어 징크스의 대명사이기도 한데, 나스가 어떤 앨범을 내더라도 Illmatic이 워낙 명반이라 비교당하기 때문이다. 미국 리스너들이 나스가 Illmatic 레벨이거나, 뛰어넘는 앨범을 낼 수 있다면, 그 날로 나스는 그 누구도 범접할 수 없을 힙합계의 GOAT가 될 것이라는 반쯤 진담섞인 우스갯소리를 할 정도. 이 앨범을 낸 뒤의 나스가 앨범을 낼 때마다 듣곤했던 '나스는 랩은 이렇게 잘하는데 왜 앨범의 이 비트랑은 좀 따로 노냐? or 비트의 퀄이 왜 이러냐?'라는 비판에 가장 반대되는 완벽한 예시가 1집에 나왔다는 점이 참 아이러니하다.

Illmatic이 힙합 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이라는 의견을 내면 힙합 커뮤니티에서도 반대하는 사람들조차 '동의하지는 않지만 그런 의견이 나와도 이상하지 않다'라고 이해할만큼 최고의 평가를 아직도 유지하고 있다. 이는 Illmatic이 단순히 가장 뛰어난 앨범이라는 게 아니라, 힙합 문화에 끼친 영향력 면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기에 그런 의견이 나올만하다는 인식이 많다는 것이다. 이렇듯 Illmatic은 이미 나스나 90년대 골든 에라를 넘어, 힙합 그 자체를 상징하는 앨범이 되었으며, 괜히 나스가 "name a rapper that I ain't influenced(나한테 영향 안 받은 래퍼 있으면 나와 보라 그래)"[10]라고 뱉을 수 있는 게 아니다.

나스는 이 이후 비트 고르는 센스가 영 꽝이라는 평가를 받는지라 이 앨범의 수록곡들은 아직까지도 나스 공연의 주요 래퍼토리로 애용되고 있다. 실제로 나스 공연이 끝나고 인터넷에 올라오는 나스의 셋리스트를 보면 일매틱의 수록곡이 차지하는 부분은 엄청나게 크다. 특히 N.Y State Of Mind, Represent, The World Is Yours[11], It Ain't Hard To Tell은 현재까지 와서도 나스의 대표곡으로 꼽힌다.

이후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에서 2003년에는 400위, 2012년에는 402위에 랭크되었고, 2020년 순위 개정을 통해 44위까지 상승했다. 그리고 리드머에서 별 다섯 개의 점수를 받았다.

여담으로 이미 데뷔전부터 유명했던 나스가 첫 앨범을 낸다는 소식에 당시 리스너들의 관심은 그야말로 하늘을 찔렀는데 이때 해적판 테이프만 수만 개가 돌아다녔다고 한다.

앨범 커버는 어릴 적 나스의 사진이라고 한다. 그가 하고 있는 아프로 머리는 마이클 잭슨을 좋아해서 따라한 머리라고 나스가 직접 밝혔다. 또한 마지막 트랙 It Ain't Hard To Tell도 마이클 잭슨의 Human Nature를 샘플링했다. [12]

2004년에 10주년 기념으로 앨범 리마스터링과 리믹스 4곡, 미수록곡 2곡이 포함된 Illmatic Platinum Edition 이 발매되었다. 2014년에는 20주년 앨범으로 Illmatic XX가 발매되었다. 그리고 4년 후 2018년, 미국 케네디 센터에서 오케스트라와 협연한 일매틱 라이브 실황을 담은 Illmatic: live from the kennedy center가 발매됐다.

나스 정규앨범 중 가장 늦게 골드 앨범[13]을 달성하기도 했다.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현재까지 판매량은 160만장, 미국 음반협회[14]에서는 200만장이 판매되었다고 한다.

후에 발매된 오케스트라 버전 앨범도 있다.

한국힙합 1, 2세대는 90년대 미국 힙합에 강력한 영향을 받았기에 당연히 Illmatic의 영향도 엄청났다. Illmatic을 주구장창 샘플링하는 것은 물론이고, Nas와 Illmatic에 대한 리스펙을 드러내는 래퍼들도 많다. 대표적인 게 90년대의 팬인 라임어택과 Illmatic을 안 들어본 래퍼를 존중하지 않는다고까지 말한 딥플로우. 이 둘은 랩 스타일마저 90년대 붐뱁 스타일에 뿌리를 두고 있다.


3. 성과[편집]


파일:Billboard200logo.jpg
1994년 5월 첫째 주
• • •
11
-2

Music Box
Mariah Carey
12
New

Illmatic
Nas

13
-

Toni Braxton
Toni Braxton

• • •

파일:RIAA 플래티넘2.png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
Platinum Certification
(2x Platinum)


미국 내 판매량 2,000,000 단위 이상





4. 트랙리스트[편집]


Illmatic
트랙리스트

#
곡명
프로듀서
길이
비고
1
The Genesis
Nas
Faith N
1:45
[15]
2
N.Y. State Of Mind
DJ Premier
4:53
[16]
3
Life's A Bitch
(feat.AZ)
L.E.S.
3:30
[17]
4
The World Is Yours
Pete Rock
4:50
[18]
5
Halftime
Large Professor
4:20
[19]
6
Memory Lane
(Sittin' In Da Park)
DJ Premier
4:08

7
One Love
Q-Tip
5:25
[20]
8
One Time 4 Your Mind
Large Professor
3:18
[21]
9
Represent
DJ Premier
4:12

10
It Ain’t Hard To Tell
Large Professor
3:22
[22]


5. 뮤직비디오[편집]



5.1. The World Is Yours[편집]




캡션



5.2. Halftime[편집]




캡션



5.3. One Love[편집]




캡션



5.4. Represent[편집]




캡션



5.5. It Ain’t Hard To Tell[편집]




캡션




6. 다른 버전[편집]


발매된지 오래된 만큼 여러 버전의 앨범이 있다.

6.1. 10 Year Anniversary Illmatic Platinum Series[편집]


파일:일메틱십주년.png
2004년, 10주년 기념으로 리마스터되어 발매된 음반.
리믹스와 추가 트랙이 같이 수록되어 있다.
[1] 갱 스타 소속, 이스트 코스트 힙합의 거장이자 붐뱁을 대표하는 힙합 최고의 프로듀서, 자세한 설명은 항목 참조.[2] 뉴욕 퀸스빌리지 태생의 프로듀서이자 DJ 및 MC, Nasty Nas를 데뷔시켜준 장본인이다. 2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함께 작업을 하는 등, 교류를 지속하고 있다.[3] 풀네임은 Psyco Les, Nas와 Hip Hop Is Dead 앨범때까지 계속 작업해왔던 프로듀서, 현재 Nas의 Mass Appeal Records 전의 레이블이였던 Ill Will Records 전속 프로듀서이기도 했다. Juju와 함께 프로듀서 및 힙합 그룹 The Beatnuts를 결성하기도 하였다.[4] 실제로 프로듀서는 아니고, 이 앨범의 발매에 도움을 준 인물이다. 전설적인 힙합 그룹 3rd Bass의 멤버이자, 최초로 인기를 끈 백인 래퍼들 중 하나이기도 하다.[5] DJ Premier와 함께 이스트 코스트 힙합을 대표하는 DJ이자 프로듀서 및 MC, 래퍼 C.L. Smooth와 함께 힙합 역사상 최고의 1MC 1DJ 듀오로 종종 거론되는 Pete Rock & C.L. Smooth를 결성한 경력도 있다.[6] A Tribe Called Quest의 리더. 그룹에서 프로듀싱과 MC 및 디제잉을 담당한다. 프로듀서가 프로듀서라 그런지 One Love는 다른 트랙보다 잔잔하고 재즈힙합의 느낌이 물씬 풍긴다.[7] 로마 숫자로 XX는 20을 뜻한다.[8] 이 전담 매니저는 Faith Newman이라는 여성이었는데, 이 A&R 매니저가 없었다면 지금의 나스와 일매틱은 아마 없었거나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을 것이다. 나스를 포함한 주변 사람들이 굉장히 여유있고 어떤 일어나도 최선의 결과로 이끌어나갈 수 있는 침착한 멘탈이 대단했다고 극찬하는 이 사람은 아직 어렸던 당시의 나스의 크고 작은 문제들을 해결하여 음악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왔으며, 거물급 프로듀서들을 섭외하고 나스와 프로듀서들의 관계를 이상적으로 이어가고자 동분서주했다. 뿐만 아니라 이런 규모의 작업을 하다보면 생기는 여러가지 문제(예시로 당시에는 너무나도 흔했던 부틀렉, 속칭 해적판이라고 불리는 불법 앨범과 유출 문제로 나스는 현타가 너무 세게 와서 다 때려치고 싶어졌다고 한다.)를 처음 맞닥뜨려서 멘탈이 여러번 터진 나스의 멘탈을 붙잡고, 끊임없이 자신감을 준 사람이다. 오랜 시간이 흘러 페이스 뉴먼 본인이 인터뷰에서 밝히길 '다른 사람도 그렇지만, 나도 illmatic의 제작과정을 보면서 이 앨범은 시간의 시험을 견딜 수 있는 고전이라고 느껴져서 앨범 제작에 그렇게 열심히 서포트할 수 있었다'고 한다. 나스의 별명 중 하나가 뉴욕의 왕인데, 이를 빗대서 이야기하면 말 그대로 킹메이커라고 할 수 있는 사람인 셈. 이에 대한 사실로 이 앨범의 시작을 알리는 첫번째 트랙인 The Genesis의 크레딧에도 Faith N이라는 이름으로 프로듀서진에 그녀가 이름을 올렸다는 점이다. 실제로 그녀는 프로듀서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크레딧에 이름을 올리는 것에 아무도 불만을 가지지 않았다는 점만 봐도 이 앨범의 제작에 관여한 이들이 그녀를 얼마나 리스펙하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가끔 일매틱에 관한 인터뷰가 나올 때면 힙합 팬들이 댓글로 당신의 능력과 노력으로 힙합 역사에 남을 앨범이 올바른 모습으로 나올 수 있었다는 찬사를 보내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셈.[9] 하지만 묵직함이 상대적으로 덜한 트랙도 많다. One Love, Halftime 등. 그런 트랙들간의 완급조절도 뛰어났던 점이 이 앨범이 극찬을 받는 이유 중 하나가 되었다.[10] Ether 중[11] 아마드 자말의 “I Love Music” 샘플링.[12] illmatic:Live from the Kennedy Center with the National Symphony Orchestra 앨범의 마지막 곡인 It Ain't Hard to Tell의 앞부분 스킷에서 들을 수 있다 오케스트라 버전 It Aint't Hard to Tell[13] 총 판매량 50만장 이상[14] RIAA[15] 시작하고 처음에 나오는 벌스는 나스가 일매틱을 내기 전 Main Source의 Live At The Barbeque에 피처링했던 벌스이며 "12살 때 예수를 죽이려고 지옥에 갔지"라는 가사로 유명하다. 나스, 나스의 친동생인 Jungle, 앨범의 유일하게 피처링으로 참여한 AZ 셋이서 대화를 이어나가는 형식인 스킷이다.[16] 인트로에 나스가 "I don't know how to start this shit"(이걸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어.)라고 중얼거리는데 이건 실제로 나스가 이 곡을 어떻게 시작할지 몰라서 한 말이라고 한다. 그날 쓴 오리지널 벌스가 60마디 정도라고. 그런데도 나스는 이 곡을 한 테이크만에 녹음했다고 한다. 또 나스는 이 곡의 가사를 17살 때 썼다고 한다. 우리나라로 치면 약 19살인 고3이 자신이 살던 도시에 대한 범죄를 바탕으로 가사를 쓴 것과 같은 셈. 싱글 발매는 되지 않았지만 이 앨범에서 가장 유명한 곡 중 하나이며, 특히나 '잠은 죽음의 사촌'이라는 브릿지의 문구가 유명하여 나스의 시그니처로 평가받는다.[17] 3번째 싱글. AZ는 이 앨범에서 유일하게 래퍼로 참여한 인물이며 곡 마지막 부분의 트럼펫 소리는 Nas의 아버지인 Olu Dara가 담당하였다.[18] 4번째 싱글. 스카페이스의 모토인 'The World Is Yours'를 차용하여 뉴욕시의 범죄를 다루는 노래인데, 스카페이스는 2번 트랙인 N.Y. State Of Mind에서도 언급되었다.(Of pain, I'm like Scarface sniffin cocaine) 앨범에는 표기되지 않았지만 피쳐링이 존재한다. 이 곡의 프로듀서인 Pete Rock이 그 주인공. It Ain't Hard To Tell, N.Y State of Mind와 함께 이 앨범에서 가장 유명한 곡이다. 참고로 비트는 유명 재즈 뮤지션 아마드 자말 의 'I Love Music'을 샘플링했다.[19] 1번째 싱글이자 Nasty Nas의 데뷔곡, 영화 Zebrahead의 OST에 먼저 수록되어 공개되었다. 예명도 당시 Nasty Nas를 사용. 버스타 라임즈가 이 비트에 라이밍을 도전했는데 실패했다고 한다.[20] 앨범의 5번째 싱글. 앨범에는 표기되지 않았지만 피쳐링이 존재한다. 이 곡의 프로듀서 Q-Tip이다.[21] 마지막 두 곡을 위해 잠깐 쉬어가는 트랙. 쉬어가는 트랙인 만큼 Illmatic에서 가장 존재감이 없는 트랙이지만 20년 뒤에 나온 오케스트라 버전에서는 존재감을 뽐내는 트랙이다.[22] 2번째 싱글. 마이클 잭슨의 Human Nature를 샘플링하였으며 역시나 이 앨범에서 가장 유명한 곡 중 하나로 꼽힌다.


6.1.1. 추가된 트랙 리스트[편집]


트랙리스트
#
제목
길이
1
Life's a Bitch (Remix)
(feat. AZ)
3:00
2
This World Is Yours (Remix)
3:56
3
One Love (Remix)
5:09
4
It Ain't Hard to Tell (Remix)
3:26
5
On The Real
3:26
6
Star Wars
4:08

6.2. Illmatic XX[23][편집]


파일:일메틱이십주년.png
2014년, 20주년 기념으로 발매된 음반.
04년 버전처럼 리믹스와 추가 트랙이 같이 수록되어 있다. 물론 추가된 곡들과 리믹스들은 다르다.
[23] 로마 숫자로 XX는 20을 뜻한다.


6.2.1. 평가[편집]






6.2.2. 추가된 트랙 리스트[편집]


트랙리스트
#
제목
길이
1
I'm a Villain
4:30
2
The Stretch Armstrong And Bobbito
Show On Wkcr October 28, 1993"
(feat. 6'9", Jungle & Grand Wizard)
7:46
3
Halftime
(Butcher Remix)
4:36
4
It Ain't Hard to Tell (Remix)
2:49
5
One Love
(LG Main Mix)
5:32
6
Life's a Bitch
(Arsenal Mix)
(feat. AZ)
3:30
7
One Love
(One L Main Mix)
(feat. Sadat X)
5:43
8
This World Is Yours
(Tip Mix)
4:28
9
It Ain't Hard to Tell
(The Stink Mix)
3:20
10
It Ain't Hard to Tell
(The Laidback Remix)
3:36

6.3. Illmatic 오케스트라[편집]


파일:일메틱오케스트라.png
원 제목은 Illmatic: Live from the Kennedy Center with the National Symphony Orchestra이다.

내셔널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피쳐링으로 비트를 연주한 앨범.
곡들의 길이가 원본보다 좀 더 길다.



7. 기타[편집]


  • 앨범 아트는 유사한 형식의 디자인만 달리 한 버전으로 이후에도 많이 사용되었다.
  • 1995년 영화 12몽키즈에 일매틱의 포스터가 잠깐 나온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8 03:12:32에 나무위키 Illmatic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