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30 비호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 대한민국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국군 (1991~현재)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大韓民國 國軍

기타전차
경전차
M36 전차R/M, M24 채피L/R
중형전차
M4A3 (76) W HVSSR, T-34-85C/R
MBT
1세대
M46 패튼R, M47 패튼R, M48(A1/A2C) 패튼R, M48(A3KR / A5K · K2 · KW) 패튼M
2세대
Tiran-6X/R, T-72M1X/R, M60X/R
3세대
K-1, K-1A1, T-80U
3.5세대
K-1E1, {K-1E2}, K-1A2, {K-1A3}, K-2 흑표
장갑차
차륜형
M8 LACR,M20 유틸리티 카R, KM900R,F UR-416X/R, M706R, 바라쿠다, K806/808 백호, 블루샤크, RG-31 니알라 Mk.3L
궤도형
M2 하프트랙R, M3 하프트랙R, M113A1R, M577A1R,M548R, LVT-3CR, LVTP-7R, KAAV7A1,
{KAAV-II}, K200(A1), K277, BMP-3, K-21({PIP}), AS-21 레드백X,
K533 · 534, K-77, K-10, K-56, KAFV
차량
소형
K151 현마, K131, K111, 전역차륜차량, 샌드캣
M38(A1)R, M606R, J601R, M151R, 윌리스 MBR, K-100R
트럭
닛산 80IJA/R, 토요타 BMR, GAZ-51C/R, GAZ-63C/R, ZiS-150C/R/NONE, {K351}, K300R, K301R, K311(A1), K511(A1), K711(A1), K800R, K911, K409 TEL, K501 TEL, K-91X TEL
M37R, M715R, G509/10/116R, J602R, M602R, M35R, M211R, J603R, M809R, CCKWR, M1224 MaxxPro Dash MRAP, 민수용트럭, FOX RRV, HEMTT(M977, M984A1, M985A2, M1142)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7R, M110R, K-55(A1), K-9(A1/{A2/}{A3}), K105A1 풍익, 곡산 170mmX/R
자주박격포
K242(A1), K281(A1), K532, KSM-120 비격
대전차 자주포
M56 스콜피온R, SU-76MC/R/NONE
자주대공무기
자주대공포
M16 MGMCR, ZSU-23-4 쉴카X/R, K263(A1/A3), K-30 비호, K-30 SAM 비호복합, K-30W 천호
자주대공
미사일

K-31 천마
다연장로켓
M270(A1) MLRS, K-136 구룡 I/II, K-239 천무
대포병 레이더
AN/TPQ-36, 37, 아서-K, TPQ-74K 천경-II
공병 차량
구난차량
92식 8톤 견인차 니쿠IJA/R, M32 TRVR, K288A1, K1 구난전차, K-912 10톤 구난차량, 경구난차량, KAAVR7A1
AEV
KM9 ACE, M728 X/R/?, K-600 코뿔소
교량 차량
K-1 AVLB 교량전차, K-719 부교 운반차, {KM3 자주도하장비}
기타
K-313, K-512, K-351 정비밴
대테러부대용 차량
S5 장갑차, 렌코 베어캣
프로토타입
중형표준차량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차량
※ 윗첨자?: 사용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문헌에만 등장하는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L: 전량 타국으로 공여된 차량
※ 윗첨자NONE: 잔존 개체 없음
※ 윗첨자M: 개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파일:K-30 비호-2.jpg
K-30 비호
1. 개요
2. 제원
3. 개발
4. 파생형
5. 실전
5.1. 대 드론 전용 병기로의 전환 가능성
7. 미디어
8. 브릭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 11기동사단 K-30 비호 운용 영상
대한민국 육군이 운용하는 단거리 자주대공포. 이름의 유래는 날개 달린 범이라는 뜻의 비호(飛虎).[1]


2. 제원[편집]


K-30 비호
무게
25톤
전장
6.77m
전폭
3.00m
전고
1.885m (차체 높이), 4.056m (레이더 운용 시), 3.267m (조준기 포함 시)
승무원
4명
무장
30mm KKCB 2문[2] (500발+예비로 100발)
발사속도
좌포, 우포 각각 분당 600발
탐지거리
20km
유효사거리
3km
추적거리
7km
엔진
두산 D2840L 520마력
최고속도
65km/h


3. 개발[편집]


무기 연구와 개발은 국방과학연구소가 주도하고 한화디펜스(구. 두산 DST)가 개발에 참여했으며 1983년부터 개발되기 시작해 총 6년 동안 연구인원 600여 명, 개발비 289억 원을 소요하여 1996년 말 초도 생산이 이루어졌고 1999년 체계를 완성했다. 대당 가격은 45여억 원이다. 배치는 기존의 발칸을 대체하는 형태로 진행되며 기계화부대에 우선배치 중. 다만 기존 발칸은 4문 1개 소대이나 비호는 2대 1개 소대이다. 총열이 2개라서 절반으로 줄였다는 루머도 있으나 기본적으로 육안조준에 의지하는 발칸을 훨씬 뛰어넘는 능력으로 대수를 줄인 것. 북한군의 구형공격기가 저공침투로 공격해올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상당한 진가를 발휘한다.

비호는 개발 당시부터 배치 이후까지도 갑론을박이 있었던 장비로 2002년부터 2016년까지 총 396대가 배치될 예정이었으나 국방개혁 2020의 개념이 정립된 후 근거리 저고도 방공망의 효율과 비호의 성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5조 들어갈 '비호 대공포' 논란‥200발 중 6발만 명중 결국 2006년 국회 예산 심의를 통하여 총 167대로 대폭 감축되었다.

스위스dml 오리콘사(社) KCB 30mm 자동식 포체계를 S&T중공업(구 통일중공업)에서 자체적으로 국산화 개발한 KKCB 자동식 포체계 2문을 장착하였다. 각각의 포체계는 HEI-SD, HEIT-SD탄을 분당 600발로 발사할 수 있고 많은 사람들이 탄종을 오해하곤 하는데 이것은 국군이 사용하는 동일구경 30mm탄종 몇 가지(비호의 30×170mm 에머슨 2연장 기관포, SGE-30 골키퍼용 30×173mm, BMP-3AK-630용 30×165mm, 아파치용 30×113mm)가 겹쳐서 생긴 일이다. 차체는 K200의 차체를 기본으로 대형화 하였으나 대형화 된 차체로도, 재대로된 용적이 나오지 않아 결국 자체적인 차체를 설계하고 520마력의 D-2480L형 디젤엔진과 S&T중공업(구 통일중공업)에서 면허생산하는 HMPT-500EK 무단자동변속기가 장착되었다.

K-30 비호와 K-31 천마의 차체는 K200의 연장형이라고 잘못 알려졌는데 전혀 호환이 없는 신규 차체이다. 정확히는 K-21섀시[3]를 이용했다. 그래서, 비호와 천마의 보기륜과 무한궤도 및 하부 차대 부분은 K-21과 동일하다.

레이더LIG넥스원(구 LG정밀)에서 개발한 2차원 방식의 X밴드 레이더를 사용하여 탐지거리는 17km이고 추적거리는 7km이다. 또한 레이시온사에서 개발하고 두산DST에서 생산하는 EOTS(전자광학식조준경)를 이용한다. 게파트와 달리 비호는 탐색레이더만 있고, 추적(공격)레이더는 없어 광학 추적시스템이 대신한다. 이와 함께 표적 탐지용으로 피아 식별과 이동표적 식별 능력을 가진 탐지 레이더가 탑재됐는데 탐지 레이더는 사통 컴퓨터와 탐색 중 추적 기능을 통해, 연동돼 탐지된 표적 정보를 전자 광학 추적기 및 조준 유닛으로 전달해 표적 추적이 용이하게 했다.


4. 파생형[편집]



4.1. 비호복합[편집]


파일:US_Army_photo_160803-A-VV548-006_Standing_Watch_together.jpg
K-30 비호복합


한화디펜스 공식 K-30 비호복합 소개 영상

대한민국 국방부 공식 K-30 비호복합 운용 영상
비호의 개량형. 비호에 신궁 지대공 미사일을 합친 것으로, 이로써 천마 미사일의 역할도 한정된 수준으로 대신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탑재하는 미사일인 신궁이 사정거리 5km밖에 안 되는 맨패즈로서 신궁에만 기대기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4] 개발된 지 한참 된 천마의 사정거리가 이미 10km이므로 기술적 한계 때문에 신궁을 장착한 것은 아니고 어디까지나 과도한 가격 상승 없이 비호의 방공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보조적인 용도로 달았다고 보는 게 맞을 것이다. 이는 방공능력을 보충하기 위해 스팅어를 달도록 개량된 게파드의 전례를 따르는 것이다.

레이더의 탐지 거리가 17km 에서 21km로 늘었으며 개별적으로 상위 탐지체계에 의존하여 휴대용 신궁에 비해 자체 탐색 레이더 및 자동추적 열상 광학장비와 연동되어 접근 표적의 경우 5km보다 먼 거리부터 교전이 가능하며, 확대된 냉각기 탱크 용량으로 교전의 유연성이 대폭 향상되었다. 장갑화된 차체 방호능력도 대공능력의 증가라는 면에서 도움이 된다. 기왕 개발한 대공 차량의 저렴한 능력 강화라는 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개량이다.

2013년 5월 22일 수리온 전력화 행사에서 복합형 비호가 공개되었으며, 2014년부터 양산체계에 들어가 2015년에 실전 배치한다고 한다.

2016년 4월 18일자 국방일보에서 '비호복합(K-30 SAM)'으로 불리며 운용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2018년 12월 인도 육군의 단거리 방공무기체계 도입 사업에서 판치르-S12S6 퉁구스카를 누르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 객관적 성능보단 가격과 정치적 이해관계가 주요 요인이었던 듯 하나, 아직 최종 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수출 성사는 좀 더 지켜봐야 할 듯하다. # 그리고 러시아는 이런 결과에 충격을 받은 모양인지 인도 정부를 압박하고 있기에 마냥 낙관할 수는 없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

2019년 5월 인도 육군은 한화 비호복합 자주대공포를 최종 선정하였다는 기사가 나왔다. 인도 육군은 총 104대의 비호복합과 탄약운반차량 97대, 지휘차량 39대, 탄약 등 26억 달러(한화 3조 원)어치를 발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탄약은 미사일 4,928발과 포탄 17만 2,260발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한화 측은 "사실이 아니며 오보"라고 부인했다.

(만화로 보는 비호복합)

결국 2020년 9월 20일, 최종적으로 도입 자체가 무산되었다는 기사가 나왔다.


4.2. 비호 2[편집]


실제로 개발이 진행되지 않았고 개념안만 있는 페이퍼 플랜하나이다.

기본 체계는 한화 측의 차체를 기반으로 레이더가 장착된 K-21 기반의 포탑을 장착하는 형태로 기본형만 보면 스웨덴 CV90의 대공 차량 버전과 유사하게 생겼지만 운용국의 요구사항에 따라서 기관포 탑재 여부, 미사일 탑재 여부와 종류를 선택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 30mm 쌍포신 대공기관포 대신 격추율이 높은 공중폭발탄을 쓰기 위해서 기관포의 구경을 40mm로 확장할 수 있다.

한화는 미국의 차기 야전 방공체계 사업에 이 차량을 제안한 상황이다.

해외 군사전문매치인 디펜스 월드 넷의 에 의하면, 사우디가 이미 비밀리에 비호 복합의 구입을 결정했으며, 비호II의 경우엔 아예 공동생산을 결정한 것으로 소개하였으나 사우디는 독일과 함께 오리콘 방공 체계 현대화를 선택했다.


4.3. 천호 30mm 차륜형 대공포[편집]


파일:antiaircraft_30mm_slide_img_01.jpg
천호 30mm 차륜형 대공포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천호 자주대공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실전[편집]



5.1. 대 드론 전용 병기로의 전환 가능성[편집]


21세기 들어 비행형 드론의 위협이 부상하면서 한때 국내 언론과 국방부에서 드론 대응이 가능하다며 비호를 띄워주는 시도가 있었다.

2018년 6월 공개된 영상에서 드론을 요격하는 장면으로 무인기의 위협에 대해 SHORAD(단거리 방공체계)가 세계 방산시장에서 수요가 상승하는 추세이며, 덕분에 비호의 군사적 효용성이 다시 주목을 받아 미국유럽의 방산전시회에 참가하는 등 해외 시장 진출 가능성이 어느 정도 높아지게 되긴 했었다는 주장이 있었다.

그동안 비호 및 비호 복합이 현대전에서 개발 및 운용의 당위성이 있는가에 많은 의문을 가진 게 사실이었다. 원래 비호의 컨셉이었던 고속으로 이동하는 항공기를 상대로 탐지거리가 짧은 레이더와 사거리가 낮은 기관포와 미사일로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한가에 대한 것이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무인기를 이용한 테러나 군사작전이 성공을 거두었고 이번 사우디 석유시설 공격으로 작고 속도가 느린 대규모 드론 공격의 위험성이 입증되면서 서방 단거리 자주 대공방어 체계 중 유일하게 생산라인이 살아있는 비호 복합이 나설 수 있다는 것.

특히 시리아에서 그 초라한 실상을 드러낸 판치르의 성능에 실망하거나[5] 기타 정치적 사정으로 러시아제 자주 대공장비 도입을 꺼리는, 그리고 합리적 가격으로 무인기 공격에 대한 방어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국가들에게 주목도가 올라가 판매를 노릴 수도 있다는 것.

실제로 2019년 9월 14일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가 운영하는 대규모 원유 채굴시설 두 곳이 예멘 후티 반군이 날린 자폭 무인기 공격을 받아 중요시설이 파괴되어 석유 및 가스 생산이 중단됐다. 무함마드 빈 살만 알 사우드 사우디 왕세자는 이날 사건 이후 18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연락을 하여 협력을 요청했다. 복합 비호의 홍보영상 중에 드론(300만원짜리 DJI팬텀 3으로 추정. 의외로 비싼 기종을 썼다.)을 정확하게 격추하는 모습을 보고 연락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피격사건 이후 사우디 측의 비호 복합에 대한 문의가 부쩍 늘었다고 한다.

하지만 사우디는 2019년 12월에 독일 라인메탈사와 1억 2,000만 유로의 계약을 맺고 기존에 사용하던 오리콘 대공포와 스카이가드 화력 통제 레이더를 최신형으로 바꾸기로 하였다.#그리고 2020년 2월에 스카이가드3 방공 시스템을 인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걸프만의 주요 해군기지에 배치된 것으로 이에 따라서 유전 지대 인근에 시설 방어용 고정식 대공포 체계인 라인메탈의 스카이쉴드(Skyshield)가 배치될 것으로 보인다.[6]

사실 이런 홍보는 완전히 진실을 호도한 것으로, 사우디를 공격한 자폭 무인기는 사실상 순항미사일에 가까운 물건으로서 단순한 대공기관포와 MANPADS 수준의 대공미사일을 탑재한 비호복합 정도로는 고도나 속도 면에서 대응이 불가능하다. 아아전쟁으로 주가를 올린 바이락타르 TB2 같은 드론도 역시 비호로 대응할 수 없으며, 가격이 최대한 비싸봐야 수백에서 수천만 원 정도인 소형 무인기가 비호가 상대할 수 있는 한계이다. 그래도 이것이 의미가 있는 것은 저가형에 기술수준도 낮아서 숫자도 많은데 보병부대에게는 큰 위협이 되나, 요격하는 미사일보다 싸서 도저히 미사일로는 가격 교환비가 안 나오고 충분한 수량을 배치하기도 힘들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이런 무인기들은 고작해야 보병휴대화기 정도를 장착하기 때문에 비호보다 사거리가 긴 무기를 장착하기는 힘들다고 봤으나 이러한 용도로도 비호는 쓸모없는 성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 나중에 알려지게 된다. 비호 복합으로 실제 사우디 현지에서 테스트까지 했으나 레이더로는 무인기를 잘 탐지해내지 못해 EOTS만으로 대응해야 했다고 한다. 신형 파편탄을 비호 복합은 사용하지 못해 구형 탄만으로 요격하다보니 실질 요격거리가 700m 정도에 그쳤다고 한다.

거기에 국방부의 소형 드론 격추 실험으로도 실제 비호의 대드론 대응능력은 형편없는 수준이라는 게 드러났다. 150km로 비행할 수 있는 저속 소형 드론을 700미터 거리에서 한 발을 맞춰 격추시키는 데 300발 가까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온 것. 비호의 탄약 적재량을 생각하면 비호가 감당 할 수 있는 소형 드론은 단 2대라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온 것이다. # 심지어 이 수치는 500미터 거리에서 300발을 사격해서 2발을 명중시킨 목측 수동사격을 하는 고정식 발칸포에 비해서도 별로 나을 게 없는 명중율로 나온 것이다.

거기에 카타르에서 이루어진 테스트에서 비호보다 훨씬 먼저 나온 독일의 게파트 자주대공포는 2km 밖에서 소형 드론을 레이더로 포착하고 단 6발만 쏴서 격추하는 등 비호보다 대드론 요격성능이 월등히 뛰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비호는 시한신관조차 없이 표적에 정확히 맞아야지만 터지는 구형탄을 쓰며 레이더 등의 포착 성능도 더 떨어지기 때문에 소형 비행체 요격에 있어서는 성능이 현격하게 떨어지는 것이다.

다만,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당시, 비호가 격추하지 못했다고 비난받기도 하는데, 애초에 비호복합이 배치 된 지역으로는 무인기가 오지도 않았다는 게 경향신문의 국방부 취재 결과로 나왔다. 그리고 전방 지역에 촘촘히 배치하지 못해 적 출몰 예상 일부 지역만 배치 되었다고 보도되었다. 그리고, 당시 북한 무인기는 고도 3km까지 높게 비행했는데, 애초에 저고도 방공무기인 대공포의 대응범위가 아니다. 팰렁스나 골키퍼 같은 함선에 설치되는 CIWS조차도 사거리가 3km 이하이다.

비호가 대응가능한 무인기는 상용 쿼드콥터가 박격포탄을 무장하고 투하하는 정도라고 볼 수 있으며, 그나마도 훨씬 더 구세대적인 발칸포가 대충 방향 잡고 막 갈기는 것과 별 차이가 없을 정도로 대응능력이 형편없는 수준이다. 중고도~고고도 비행하는 무인기는 애초에 대공포로 요격이 불가능하다. 그 사실을 자체 테스트로 잘 알고 있으면서도 과도한 홍보 영상을 올리던 국방부는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을 계기로 비호의 취약성이 널리 알려지게 되자 영상을 비공개하였다.


6. 논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30 비호/논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미디어[편집]



7.1. 게임[편집]



7.1.1. 워게임: 레드 드래곤[편집]


최초 미디어 출연분. 같은 가격인 일본의 87식 자주대공포와 비교해서 수륙양용이 가능하고 연료탑재량이 더 많은 대신 기동간 사격 명중률이 더 떨어지고, 프로토타입 판정이라 한 팩밖에 못 쓴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7.2. 만화[편집]



7.2.1. 하이브 / 데드퀸[편집]


대한민국 육군 기갑부대 소속으로 거대벌레들을 때려잡는 대공화기로 등장했다. 엑스트라다보니 큰 활약 자체는 하지 못했으나 3부 100화부터 제대로 된 활약을 보여줬다.


7.3. 스틸레인[편집]


광화문 광장에 배치되어 있는 장면이 등장한다.


8. 브릭[편집]


옥스포드사에서 0M3302 제품으로 출시됐었다.

9. 둘러보기[편집]






[1] 실제로 외신에서 소개할 때 이를 직역한 K-30 플라잉 타이거라는 이름으로 소개되는 경우도 있다. 다른 국산 방공무기 체계인 천마(天馬) 미사일도 날개 달린 말이라는 이름을 공유한다.[2] 스위스의 오리콘사의 KCB 30밀리 기관포(30 x 170mm)의 국산화 버전이다. 대한민국 해군에서도 동형의 기관포를 사용한다. 울산급 호위함, 동해급 초계함, 포항급 초계함(초기형), 구형 고속정 등.[3] 차체가 아닌 섀시이다. 차체는 K-21과 다른 신규 설계되었다.[4] 사정거리가 10km대까지는 되어야 본격적인 야전 방공용 미사일이라 볼 수 있다.[5] 시리아 내전 당시 반군에 대해 화학무기를 사용한 것에 대한 조치로 미국이 시리아의 공군기지 한 곳에 토마호크를 60발을 발사했는데 이를 방어해야할 판치르 역시 토마호크에 당한 데다가 방어도 제대로 못 하면서 항공기 전력을 대거 손실했다. 판치르의 성능이 문제가 아니라 시리아군의 운용능력이 문제였다는(요격하려고 발사한 미사일이 레이더 운용을 잘못해서 아예 딴데로 발사되는 등) 주장도 많고 상당부분 사실일 가능성도 높으나, 원래 무기는 누가 운용했냐보다는 실전에서 어떤 모습을 보여줬냐에 따라 평가되는 것이기에 판치르에겐 충분히 악재였던 사건들이었다. 실전에서 보여주는 모습으로 해당 무기의 가치가 좌우되는 이런 현상은 마케팅의 영역이라 할 수 있는데, 원래 이런 분야는 객관적이거나 공평하지만은 않다. T-72가 걸프전과 이라크전에서 온갖 오명을 얻었던 상황도 이와 비슷하다.[6] 스카이쉴드는 라인메탈에서 오리콘 35mm 대공포와 스카이가드 화력통제 레이더를 개량하여 C-RAM으로 만든 것이다. 다만 스카이쉴드의 사우디 수출 실적은 2020년 7월까지도 라인메탈 사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소개되지 않고 있다. 그런데 독일은 중동지역 무기수출에 제재를 걸며 K9 자주포K2 흑표의 중동지역 수출을 막았는데 정작 자신들은 중동에 무기를 팔았다. 심지어 12월에는 아직 제재 해제까지 3개월이나 더 남아있을 때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8 14:28:51에 나무위키 K-30 비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