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46

덤프버전 :

파일:보잉 로고.svg

보잉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민항기

협동체
광동체
쌍발기
717(MD95) · 737(오리지널 · 클래식 · NG · MAX) · 757
767 · 777(-200 · -300 · 777X) · 787 드림라이너
3발기
727
-
4발기
707
747(-100 · -200 · SP · -300 · -400 · -8 · 특수목적용)
초창기 모델
247 · 307 · 314 · 377 · 367-80
개발 중단 / 개발 중
2707 · 7J7 · 소닉크루저 · NMA
군용기
훈련기
T-7
전투기
P-26 · F-15E/후기 개량형 · F/A-18E/F
전자전기
EA-18G
폭격기
B-9 · B-17 · B-29 · B-47 · B-52
수송기
C-135 · C-137 · VC-137 · VC-25 · C-32 · C-17 · C-40
조기경보기 / 지휘관제기
OC-135 · RC-135 · WC-135 · EC-135 · E-3 · E-6 · E-8 · E-767 · E-4 · E-7
공중급유기
KC-97 · KC-135 · KC-767 · KC-46
대잠초계기
P-8
무인기
MQ-25 ·MQ-28
헬리콥터
CH-46 · CH-47 · A/M/EH-6 · AH-64D/E
개발 중단 / 컨셉 / 실험기
YC-14 · X-32 · X-48 · YAL-1 · B-1R · F-15SE · 팬텀 레이
인수 합병 및 공동 개발
맥도넬 더글라스의 항공기 · F-22 · B-1 · V-22 · 디파이언트 X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파일:dp_9_7_kc-46_pic.jpg
Boeing KC-46 Pegasus

1. 개요
2. 제원
3. 역사
3.1. KC-X 프로그램
3.2. 개발
3.3. 개발 난항
3.4. 운용
3.5. 도입 국가
4. 기체
4.1. KC-767과 차이점
5. 기타
6. 둘러보기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미 공군공중급유기. KC-767을 베이스로 제작되었다. C-46 기반이 아니다!


2. 제원[편집]


길이
50.5m
날개폭
48.1m
높이
15.9m
승무원
3명(조종사 2명 및 급유관제사 1명)
자중
82.3톤
적재량
연료 96톤, 463L 팔레트 19개, 병력 114명 또는 들것수용환자 19명
이륙최대중량
188톤
엔진
프랫 & 휘트니 PW4062(추력 63,500파운드) 2기
최고속도
915km/h
항속거리
12,200km
최대고도
12,200m


3. 역사[편집]



3.1. KC-X 프로그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C-X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 개발[편집]


미 공군의 KC-135 공중급유기 중 E형은 1950년대에 제작된 가장 노후화된 기종으로, 유지비용 및 신뢰성 리스크가 높아져 갔다. 그래서 미 공군은 문제의 100대 가량을 대체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보잉이 상업적으로 대성공을 거둔 광동체 여객기 보잉 767 기반의 기체를 선정하여 2002년에 KC-767이라는 제식명칭을 부여하였다.

크기는 50.5 X 47.6 X 15.8 m 이며 PW제 엔진이 쓰인다. 항속거리는 6,200 NM이며 급유량은 176,550 LBS(80 톤), 급유속도는 1,200 GPM이다. 인원 수송은 112명, 화물은 65,000 LBS(29.5 톤)을 수송할 수 있다. 이외 전자전이나 방어 장비를 갖춘다.

공군이 KC-767 100대를 리스하려고 했다. 그런데 존 매케인 상원의원 등이 제동을 건다. 여러 나라가 군용항공기를 리스 형식으로 운용하지만, 공군의 리스 계약은 비용의 낭비이고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결국 공군은 2003년 10월에 타협안을 내놓아서, 80대는 구매하고 20대는 리스로 하겠다고 하였다.

그러나 보잉에서 공군청 조달부문 수석부차관이었던 달린 드루연에게 자사 취업을 미끼로 회유해 발주를 얻어냈음이 드러나 프로젝트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는데...



3.3. 개발 난항[편집]


보잉은 처음에는 2016년 봄에 1호기를 미 공군에 전달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새롭게 개발된 붐을 위주로 소프트웨어적, 하드웨어적 결함이 속출하면서 2017년 9월로 1년 이상 연기되었고, 그 다음에는 아예 무기한 연기로 바뀌었다. 보잉은 2018년 하반기에 마무리하겠노라 했지만, 미 공군은 이를 믿지 않고 있다.# KC-46 인도 지연으로 인해 보잉이 감수해야 할 비용은 약 1조원 이상이 된다.

2019년 1월 10일, 전직 보잉 사장 출신인 패트릭 섀너헨이 국방장관 대행으로 임명된 후 펜타곤의 압력으로 KC-46 1호기를 인수했다. 하지만 여전히 몇몇 시험 평가를 통과하지 못했으며, 아직 남아 있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려면 수년은 더 걸릴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그런데 인수한 1호기 내부에서 산업용 도구들을 포함한 쓰레기가 가득 쌓여 있었다고 한다. 이에 미 공군은 보잉에게 심각한 문제가 있다며 비판한 뒤 인수 중단을 선언했다(...).#

4월 2일, 미 공군은 보잉이 쓰레기와 외부 파트가 남아있는 문제를 해결하지 않았다며 다시 한 번 KC-46 인수를 거부했다.#

2019년 9월까지 문제가 제기된 카테고리 1 결함은 총 4가지이다.

① RVS(Remote Vision System) 문제
KC-46은 후방에 붐 조작실을 따로 두지않고, 캐빈에 두어 붐 조작원이 3D 영화 보듯 조작하게 하는 새로운 방식을 도입하였다. 문제는 이게 섬광 등의 외부적 환경에 영향을 받아 실제와 다른 상을 제공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로 인해 붐 조작원이 붐으로 급유받으려는 비행기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어, 하드웨어(렌즈 기타)랑 소프트웨어 모두 갈아치우기로 했다. 이 새로운 체계는 RVS 2.0으로 명명되었으며, 2024년까지 완성해 오버홀에 착수할 예정이다.

② 급유 중 붐에 의한 손상문제
미 공군은 이게 ① 탓이라고 본다. 급유 중에 봉이 가만히 있지 않고, 급유대상 비행기에 스크래치를 내는 문제이다. 모든 항공기에 치명적이고 위험하지만 특히 F-22, F-35, B-2, B-21 그리고 F-117처럼 스텔스도료가 필수인 항공기들의 도료가 벗겨질수 있어 더 치명적이다.

③ 저속기 대상 급유문제
느린 기종들, 특히 완전 무장한 A-10에 붐을 꽂아넣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게 곤란하다. 다만, 이 문제는 보잉의 과실은 아닌것이 애초에 공군이 ROC를 내놓을때 처음부터 소형 저속기 기체급유 조건은 넣지도 않았다.[1] 이후 2016년에 정식 계약을 할때도 이 부분은 요구도 하지 않다가 갑자기 마음대로 조건을 변경하였기 때문이다. 때문에 공군과 보잉은 5천550만 달러 계약을 체결하여 신형 급유 파이프 제작에 들어갔고 공군은 2021년까지 이것이 고쳐지기를 희망하고 있다.

탑재화물 고정풀림 문제
이 문제는 2019년 12월 20일에 보잉이 부품을 교체하며 해결되었다.

낙관적으로 예측하면 4년 뒤엔 KC-46이 기본운용능력을 획득하므로, 그때까지 KC-135와 KC-10이 노인 학대당해야 한다.

2019년 7월 경 연료공급시스템에서 누유가 발생하는 것이 발견됐다.미 공군은 8개월 간 원인을 찾기 위해 노력했으나 실패, 이 문제가 카테고리 1급으로 추가됐다. #

2020년, RVS의 카메라의 적외선 모드가 태양빛에 약해 특정 시간대, 특정 지점에서 급유할 경우 타겟이 잘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했고, 또한 상을 왜곡 시켜 급유구를 정확하게 노리기 어려운 점도 추가되었다.

2021년, 급유 대상 전투기 별로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된 안전장치가 뜻대로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도 발견되어 카테고리 2급으로 추가되었다.

보잉은 에어버스 KC-45와의 경합에서 승리한 후, KC-46 개발을 지나치게 자신하고 투입하는 정부 보조 예산을 4.9억 달러로 고정하기로 합의했었는데, 이 정부 부담 개발비용은 이미 모두 소진된 상태이기 때문에 위의 결함들은 모두 보잉이 자기 부담으로 고쳐야 하는 신세가 되었다. 2021년을 기준으로 보잉이 부담해야 할 KC-46의 수리 비용은 5.5억 달러를 넘어 정부 부담 예산을 크게 초과해 버렸다(...).

결국 미 공군은 초기 계약인 180대만 생산하고 브릿지 탱커로서 KC-Y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ROC는 2022년 연말이 되어야 제시될 것으로 보이기에 어떠한 사업요구가 있을지 불명확한 상황이지만 KC-46 추가 도입이 아닌 별도의 사업을 추진한다는 것 자체가 체급부터 다른 기종을 요구한다는 것으로 해석되며, 배치 시기를 2029년으로 상정해둔 상황이라 당장은 록히드마틴과 팀을 짠 A330 MRTT 기반의 신형 급유기 LMXT의 수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에어버스가 자사의 KC-45가 밀렸음에도 이번에는 록히드마틴을 내세워 재도전 준비를 한 상태다.2019년 기사 시간적으로도 ROC 발표 후 기종 선정, 단 6년 정도에 불과한데다가, 공식적으로 체급 상향까지 요구될 경우 A330 MRTT를 그대로 사업 후보로 내보내도 되는 에어버스 측과는 달리 보잉은 보잉 777F 같은 기종을 기반으로 새로 급유기를 개발해야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업적으로 여유가 많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2022년 5월, 미 공군부 장관 프랭크 캔돌은 헤리티지 재단 심포지엄에서 KC-46의 문제를 해결하는 노력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고 그 능력 역시 충분하기 때문에 공군은 KC-Y 사업 진행의 필요성이 떨어졌다고 느끼고 있으며, KC-46의 추가도입에 착수할 것이라고 언급하는 한편, 오히려 2022년을 기준으로 490대를 보유 중인 공중급유기 수량을 479대로 축소시킬 것을 의무화한 2022년도 국방수권법보다 더욱 나아가 455대까지 감축하는 방안을 미 의회에 요구할 것이라며 KC-Y 사업의 폐기를 시사했다.# 결국 미 공군은 2023년 KC-Y 사업을 폐기하고 차세대 스텔스 급유기인 KC-Z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3.4. 운용[편집]


2014년 4월 23일에 미 공군에서 "Pegasus"라는 명칭을 부여했다. 그런데 이 명칭은 미 해군이 무인 함재 전폭기로 추진 중인 X-47와 겹치는 이름이라 진통이 예상된다. X-47도 프로토타입인 X-47A만 페가수스라고 불렀던 것이라서 해군이 향후 버전에는 알아서 새 이름을 지어줄 가능성이 높다.

2019년 1월 10일, 미 공군에 1호기가 인도되었다. 그리고 그 직후 상기한 이유로 인수가 중단되었다가 4월 10일에 재개되었다.#

파일:210513-D-HR740-9004.jpg
2021년 5월, 특수한 통신용 포드가 장착되어 F-22의 IFLD 통신체계와 F-35의 MALD 통신체계를 연결해주는 노드 역할도 부여 받게 되었다.# 2022년 F-22가 본 ABMS Inc.I 통합에서 축출되어 F-35A와만 연동될 예정.


3.5. 도입 국가[편집]


  • [[미국|{{{#!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inline"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미국"
    행정구}}}{{{#!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
    ]]
미 공군은 기존의 노후화된 KC-135E 공중급유기 대체분을 포함해 총 179대를 확보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 [[일본|{{{#!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inline"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일본"
    행정구}}}{{{#!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
    ]]
파일:50923386188_f88e541466_o.jpg
일본은 난세이(南西) 지역의 방공 태세를 강화할 목적으로 KC-46A 3대를 도입하기로 했다 # 가격은 대략 대당 1억 7천3백만 달러(192억 1800만 엔) 가량. 초호기는 2021년 경 인도되었다. 이후 2020년 예산에서 4대 추가 도입이 결정되었고, 이후 KC-767 대체분량을 포함해 11대 추가 구입이 결정되어 총 15대가 도입될 예정이다.[2]

  • [[이스라엘|{{{#!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inline"
    이스라엘}}}{{{#!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이스라엘"
    행정구}}}{{{#!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
    ]]
2020년, 8기 도입이 확정되었다. 이스라엘은 자국의 KC-135가 너무 노후화된 점을 근거로 들어 미국 공군 분량 2기를 자국용으로 전환해 2023년까지 조기 인도할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inline"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이탈리아"
    행정구}}}{{{#!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틀:국기|
    ]]
기존에 운용하던 KC-767 4기를 퇴역시키고 6기를 도입한다. 본래 KC-767 기체 2기를 추가 구입한 후 나머지 4기와 함께 KC-46급으로 개량하는 안이 검토되었으나 실현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어 KC-46 6기를 신규로 도입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4. 기체[편집]


파일:190122-F-JG201-0319.jpg
KC-46의 기반이 된 기종은 767-2C라는 명칭을 가진 화물기로서 KC-767과는 달리, KC-46은 프랫&휘트니의 PW4062 엔진을 탑재할 예정이며, 767-200의 기체에 767-300F의 날개와 카고 도어, 기어, 바닥과 767-400ER의 플랩, 그리고 보잉 787의 조종석과 KC-10의 급유 붐의 개량형을 탑재할 기종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급유 붐의 공급업체는 영국의 방위산업체인 BAE 시스템즈로 결정되었다. 새로운 붐과 급유 시스템[3]의 채용을 통해 KC-767에 비해서 시간당 급유량이 대폭 늘어났다.

그리고, 기존의 KC-135와 비교해서는 동체 길이 및 날개 폭이 각각 7m 더 큰 정도에 지나지 않아 기존의 격납고 등의 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과 함께 광동체의 이점을 살려 탑재량의 비약적 향상도 이루었다 . 경쟁 기종인 동체 길이 및 날개폭이 60m 전후의 대형기인 A330 MRTT와 비교했을 때 이착륙이 가능한 활주로가 더 많아서 운용상의 자유도가 크다.


4.1. KC-767과 차이점[편집]


KC-767의 플라잉 붐은 KC-135을 기반으로 한 5세대 FBW가 들어가고 분당 900 미국 갤런의 속도로 급유하지만 KC-46은 KC-10을 기반으로 한 6세대 FBW가 들어가고 분당 1200 미국 갤런의 속도로 급유한다.[4] 그외에도 KC-767의 조종석은 기존의 유압식 조종석이 거의 그대로 쓰이지만 KC-46은 보잉 787의 조종석에 FBW가 쓰이고 로워 덱 전체를 연료탱크로 사용한다. 길이는 2m, 날개폭은 0.6m, 높이는 0.1m의 차이가 난다.

일본 공자대와 이탈리아 공군이 쓰는 KC-767은 민간에서 여객용으로 쓰이던 보잉 767-200ER을 개조해서 공중급유기를 만들었다. 가까이서는 외부창이 있었던 흔적이 보인다. 반면 KC-46은 화물기 기반으로 신규 생산해서 그런 흔적이 없다.

또한 KC-767은 제너럴 일렉트릭 CF6을 쓰지만 KC-46은 프랫 & 휘트니 PW4000을 쓴다. 단, 콜롬비아 공군이 운용하는 KC-767은 IAI에서 중국국제항공 출신 767-200ER을 개조한 것이어서 PW4000이 달려있다.



5. 기타[편집]



보잉에서 실제로 실시한 첫 급유 영상.

  • 대한항공에서 KC-46를 위한 테일콘을 제작해 납품한다. 하지만 정작 한국은 평가 당시 기준으로 KC-46이 미완성 기체라는 이유를 들어 A330 MRTT를 선택했고 이후 절찬리에 운용하고 있다[5].



6. 둘러보기[편집]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현대 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전투기
4세대
F-16C/DU, F-15C/D/EU
4.5세대
F-16CM/DMM, F-15EX
5세대
F-22A, F-35A, F-23, F-32
6세대
{PCA}
공격기
AT-6B, A-10C, AC-130HR/UR/WR/J, F-117
폭격기
B-52HM, B-1B, B-2A, {B-21}, {B-52J}
수송기
전술
C-12C/D/F, C-12J, C-27J, C-41AR, C-144, C-145, C-146A, LC-130H, C-130H/J/J-30NG
전략
C-17A, C-5M
지원기
조기경보기
E-3B/C/G, E-8CR, {E-7}, E-10
정찰기
E-9A, U-2S, U-28, CN-235
통신중계기
E-11A
계측통신정보기
RC-135S
전자정찰기
RC-135U, EC-130H/J/SJ, EA-37B
신호정보수집기
RC-135V/W, RC-26B
기상관측기
WC-130J
대기분석기
WC-135C/W/R
관측지원기
OB-135B
공중지휘기
E-4
공중급유기
KC-10A, KC-135R/T, {KC-46A}
회전익기
V-22, TH-1H, UH-1N, M/HH-60G/U, {HH-60W}, {MH-139}, V-44
무인기
SUAV
RQ-11B, RQ-20B
UAV
RQ-4A/BU, RQ-170, RQ-180
UCAV
MQ-1BR, MQ-9A/B, MQ-20
훈련기
T-1A, T-41C, T-51A, T-52A, T-53A, TG-16, T-6 II, T-38A/C, TU-2S, F-117, {T-7A}
다목적기
UV-18B, U-27, U-28
특수목적기
MC-130J/H/P, MC-12W
주요인사 탑승기
VC-25, C-20A/B/C, C-20G/H, C-21A, C-32A/B, C-37A, C-37B, C-38A, C-40B/C
※ 윗첨자R: 퇴역 항공기
※ 윗첨자M: 개조/개량 항공기
※ 윗첨자U: 업그레이드/업그레이드 예정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항공기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현대 일본 자위대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일본 자위대 (1954~현재)
日本 自衛隊

회전익기
경헬기
TH-135, TH-480B, BK 117, OH-6(D/J)육/R, TH-55J육/R, H-13육/해/R
다목적 헬기
EC225, S-61A해/R, OH-1, UH-60JA육/항, UH-1(BR/HR/J)/{UH-X}, H-19/S-55A/H-19C육/해/항/R
수송헬기
MV-22, CH-47(J/JA)육/항, KV-107육/해/항/R, H-21B/V-44A항/육/R
공격헬기
AH-1S, AH-64DJ
대잠헬기
MCH-101, SH-60(J/K), MH-53E해/R, HSS-2(A/B)해/R
전투기
1세대
F-86(D/F)R
2세대
F-104(J/DJ)R
3세대
F-1R, F-4EJ/EJ 改R
4세대 / 4.5세대
F-15(J/DJ, J 改/DJ 改), F-2(A/B)
5세대
F-35A/{B}
6세대
{GCAP}
수송기
C-130(H/R), C-1A, C-2, YS-11, C-46DR
수상기/비행정
US-2, US-1A해/R, HU-16해/R
무인기
UAV
보잉 스캔이글, {RQ-4}
지원기
조기경보기
E-767, E-2C/{D}
해상초계기
P-1, P-3C, P-2J해/R, S2F-1해/R
전선통제기 / 연락기
U-125A, U-4, U-36A, LR-2, LC-90R, LR-1육/R, LM-1육/R, 가와사키 KAL-2R
정찰기
RF-86FR, RF-4(E/EJ)R, EP-2JR, EP-3
공중급유기
KC-130R, KC-767J, {KC-46A}
전자전기
EC-1, YS-11(EA/EB), {EC-2}
훈련기
프롭
후지 T-7, 후지 T-5, 후지 T-3R, KM-2육/해/항/R, 비치크래프트 B65R, T-34A(LM-1)R, T-6(D/F/G)R
제트
T-33AR, 뱀파이어 T.55X/R, 후지 T-1(A/B)R, T-2R, T-4, T-400
특수목적기
보잉 747-400R, 보잉 777-300ER, U-4, EC 225LP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 자위대: 해당 자위대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항공자위대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현대 이탈리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공군
Aeronautica Militare, AM

회전익기
경헬기
TH-500B, OH-13HR
다목적 헬기
HH-101A해/공, AW109A/E/Mk.II육/C, HH-139A/B, {AW169}, 벨 205, 벨 206, 벨 212, 벨 412SP/HP육/C, AB.47 G2R, A.105R, H-19A/DR, H-34R, S-51R, NH 500E
수송헬기
CH-47C/F, NH-90, A.101GR, VH-3DR, S-61RR
공격헬기
A129 CBT, {AW249}
대잠헬기
벨 212 ASW, NH-90 NFH/TTH
전투기
1세대
CL13 Sabre Mk.4R, F-84F/GR, F-86KR, G.91R/PAN/YR, 드 해빌랜드 뱀파이어 FB.5/FB.52/FB.52A/NF.10R, 드 해빌랜드 베놈 FB.50R, Aerfer Ariete, Aerfer Sagittario
2세대
F-104G/S/S-ASA/S-ASA/MR
4세대
4.5세대

F-2000A, A-200A, F-16A/BL/R
5세대
F-35A/B
6세대
{GCAP}
공격기
A-11B, AV-8B+
전자전기
EA-200B, YEC-27J, 아에리탈리아 G.222 VSR, PD-808GER
수송기
A319CJ, A340-500, C-27J, C-130H/J/J-30, Do 228, 피아지오 P.180해/공/C, 팰컨 50, 팰컨 900, 아에리탈리아 G.222 A/RM/SAA/TCMR, 브레다-피토니 BP.471R, 브레다-자파타 BZ.308R, CV-440-75/96R, C-119J/GR, DC-6R, G.212R, SM.102R 포커 F27-600L/R
다목적기
알라파마 발도R, 암브로시니 S.1001R, Helio H-395R, LA-250R, MB.308R, U-166AR
비행정
HU-16 알바트로스R, P.136R
지원기
조기경보기
E-3ANAEW&CF, G550 CAEW, {E-7}NAEW&CF
해상초계기
P-72AS, P-1150AR, S2F-1R
신호정보수집기
슈퍼 킹 에어 350
정찰기
RT-33AR, RF-104GR, U-166BR
공중급유기
{KC-46}, KC-767A, KC-130J, KC-707R
무인기
SUAV
스캔이글
UAV
MQ-1C, MQ-9A, RQ-7, P.1HH 해머헤드, S-100
UCAV
{유로드론}
훈련기
프롭
T-260A/B, T-2006A, 암브로시니 S.7R, 카프로니 트렌토 F-5R, G.46R, G.59R, G.80R, G.82R, M.416R, MB.323R, P.148R, P.149R, 템코 T-35R
제트
A-11T, F-16B, F-35A, MB-339A/CD/RM/PAN, 피아지오 P.180, T-345, T-346, TF-2000A, 파나비아 토네이도EA-200A, TF-104GR, T-33AR
특수목적기
VC-319AJ, CL-215-1A-10R, CV-440-75R, 걸프스트림 IIIR, DC-9-30R, VC-180AR, PD-808VIP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 윗첨자C: 카라비니에리에서 운용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현대 이스라엘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이스라엘 공군 (1948~현재)
זְרוֹעַ הָאֲוִיר וְהֶחָלָל

회전익기
경헬기
SA 313B 알루에트 IIR | MD 500-TOW LahatutR
다목적 헬기
UH-1DR | AS565 팬서
수송헬기
CH-53 Yas'ur, UH-60A Yanshuf, {CH-53K}
공격헬기
AH-1G Tzefa A, AH-1Q Tzefa B, AH-1F Tzefa (C/D), AH-64A Peten | AH-64D-I Saraph
전투기
프롭
F-51(D, J26) 머스탱R | 스핏파이어 Mk IXcR | S-199 SakeenR | 브리스톨 보파이터R
1세대
미티어(NF.13, F.8)R | M.D.450B 우라강R | 미스테르 IIR | 미스테르 IVAR | F-84FL/R
2세대
SMB2 (삼바드R, 사'르)
3세대
F-4-2000 | F-4E KurnassR | 미라주 III(BJ, CJ) 샤하크R | 미라주 V, |IAI 내셔 | IAI 크피르 (C2R, C7R, NG)
4세대 / 4.5세대
IAI 라비 | IAI 나메르 | F-16(A 네츠/B) Block 1/5/10, F-16C 바락 Block 30, 40, F-16D 바락 II Block 30/40, F-16I Block 52(개량) | F-15(A 바즈, B, C, D) | F-15I 라'암 | {F-15EX}
5세대
F-35I 아디르
공격기
A-4(E, F, M, N) AyitR
폭격기
B-17GR | S.O.4050 보투르 (IIA, IIB, IIN)R
수송기
IAI 아라바R | C-130J
지원기
조기경보기
G550 CAEW
정찰기
DH.98 (FB.IV, NF.30, T.3, PR.16) MosquitoR | DH.98 TR.33 Sea Mosquito | RF-4E Orev
공중급유기
KC-707 Saknai | KC-130H Qarnaf | {KC-46}
무인기
UAV
IAI 헤론 | 헤르메스 450 | 헤르메스 900 | 헤르메스 1500
UCAV
IAI 하피 | IAI 에이탄
훈련기
프롭
T-6R | G 120A | T-6A
제트
M-346 Lavi | F-15 B/D, F-16D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파일:보잉 로고.svg

보잉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민항기

협동체
광동체
쌍발기
717(MD95) · 737(오리지널 · 클래식 · NG · MAX) · 757
767 · 777(-200 · -300 · 777X) · 787 드림라이너
3발기
727
-
4발기
707
747(-100 · -200 · SP · -300 · -400 · -8 · 특수목적용)
초창기 모델
247 · 307 · 314 · 377 · 367-80
개발 중단 / 개발 중
2707 · 7J7 · 소닉크루저 · NMA
군용기
훈련기
T-7
전투기
P-26 · F-15E/후기 개량형 · F/A-18E/F
전자전기
EA-18G
폭격기
B-9 · B-17 · B-29 · B-47 · B-52
수송기
C-135 · C-137 · VC-137 · VC-25 · C-32 · C-17 · C-40
조기경보기 / 지휘관제기
OC-135 · RC-135 · WC-135 · EC-135 · E-3 · E-6 · E-8 · E-767 · E-4 · E-7
공중급유기
KC-97 · KC-135 · KC-767 · KC-46
대잠초계기
P-8
무인기
MQ-25 ·MQ-28
헬리콥터
CH-46 · CH-47 · A/M/EH-6 · AH-64D/E
개발 중단 / 컨셉 / 실험기
YC-14 · X-32 · X-48 · YAL-1 · B-1R · F-15SE · 팬텀 레이
인수 합병 및 공동 개발
맥도넬 더글라스의 항공기 · F-22 · B-1 · V-22 · 디파이언트 X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항공병기 둘러보기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냉전기 1945~1991 ]⠀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제트전투기의 계보 ]⠀




7. 관련 문서[편집]



[1] 당시 ROC를 내늫을때 미래에 KC-46이 배치될때는 A-10같이 붐급유를 요구하는 소형 저속기체들은 이미 퇴역했을 것이라 생각해서 제외된것으로 보인다.[2] 24-2페이지[3] 기존의 급유기처럼 기체 후미에 붐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광학장비를 통해 조종실에서 붐을 조작할 수 있다고 한다.[4] 경쟁 기종인 A330 MRTT의 ARBS라는 플라잉 붐과 속도가 거의 같다.[5]2022년 12월 28일, 제 148회 방위산업추진위원회에서 2차 공중급유기 사업이 의결됨으로 말미암아 후보기종으로 선택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 수송기 역할까지 겸임하는 A330 시그너스와는 별도로 공중급유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기 바라는 여론도 있는 관계로 도입 가능성이 아주 없어 보이지는 않는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9 05:04:29에 나무위키 KC-46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