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8

덤프버전 :

제1차 세계대전의 연합군 항공기

[ 펼치기 · 접기 ]
전투기
영국
빅커스 F.B.5 건버스,RAF 빅커스 뱀파이어, 빅커스 F.B.12, 빅커스 E.S.1, 브리스톨 스카웃, 브리스톨 M.1, 브리스톨 F.2, 에어코 DH.2, RAF F.E.8, 솝위드 펍, RAF S.E.5, 솝위드 삼엽기, 솝위드 카멜, 솝위드 돌핀 솝위드 스나이프, 솝위드 1 1/2 스트러터
프랑스
모랑-소르니에 L, 모랑-소르니에 N, 뉴포르 시리즈, 스패드
폭격기
경 폭격기
암스트롱 휘트워스 F.K.8(영), 브레게 14(프) RAF R.E.8(영), 브와쟁 III, 쿠드롱 G.3(프), 마틴 NBS-1(미)
중 폭격기
핸들리 페이지 폭격기 시리즈(영), 빅커스 비미(영), 일리야 무로메츠#항공기(러), 쿠드롱 G.4(프), 카프로니 시리즈(이), 에어코 DH.10(영), 마틴 MB-1(미)
기타 항공기, 요격기, 훈련기
빅커스 F.B.19 정찰기(영), PB.29E/31E 슈퍼마린 나이트호크(영), 샘슨 2(프), 커티스 JN 제니(미), 커티스 모델 D 함재 정찰기(미)




✈️ 항공병기 둘러보기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냉전기 1945~1991 ]⠀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제트전투기의 계보 ]⠀


1. 개요
2. 제원
3. 개발과정
3.1. 기타 장비
4. 실전

파일:external/www.hansenfineart.co.uk/rsm-05-%20winter%20watchmen-%20800%20x%20398.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oyal_Aircraft_Factory_R.E.8_-_Duxford_Airshow_2012.jpg


1. 개요[편집]


1916년부터 1차 세계대전동안 영국군이 운영한 복엽 복좌 폭격기정찰기. 로열 에어크래프트 팩토리(RAF)에서 개발되었으며 기존에 운용되고있던 B.E.2 2인승 복엽기를 대체하고자 개발된 새로운 항공기였다. R.E.8 복엽기는 당시 대부분의 2인승 복엽기가 주로 수행했었던 임무인 정찰 활동과 폭격 임무 그리고 아군의 포격 지점을 유도해주는 지원 비행을 1916년 말 부터 전쟁이 끝나는 1918년 까지 도맡아 수행했을 정도로 영국에서 널리 사용된 기종이었다.


2. 제원[편집]


파일:external/blueprints.ucoz.ru/34851669.jpg
  • 전장 : 8.5m
  • 전고 : 3.47m
  • 익폭 : 12.98m
  • 엔진 : RAF4a(150hp)
  • 최고 속도 : 해수면 고도에서 166km/h (103 mph, 90 knot)
  • 실속 속도 : 76 km/h (47mph, 41knot)
  • 비행 시간 : 4시간 15분
  • 실용 상승 고도 : 4,115m (13,500ft)
  • 상승 시간 : 1,980m (6,500ft) 까지 21분.
  • 무장
  • 폭장량 : 102 kg
  • 생산대수 : 4099대


3. 개발과정[편집]


정찰 실험기체 8호(Reconnaissance Experimental 8)라는 가명칭 아래 1915년 말 부터 개발되기 시작했는데 같은 곳에서 개발중이던 단좌 항공기인 B.E.12 복엽기와 비슷한 시간대에 개발되었던 탓인지 굉장히 비슷한 외형을 지녔었다.
파일:external/jn.passieux.free.fr/Raf_BE12.jpg
B.E.12

다만 이착륙시 더 나은 비행 성능을 얻고자 R.E.8의 엔진이 뒤 쪽으로 약간 경사지게 설치되었다는 점이 유일한 차이점이었다. 특이하게도 배기구가 위쪽 날개위로 뻗어있는 모양을 하고 있는데, 조종사가 매연을 뒤집어 쓰지 않도록 배기구가 수직으로 향함과 동시에 배기구 끝이 윗 날개 위 쪽으로 돌출되어서 매연을 공중으로 날려버리는 용도였다.
2인승 항공기에 대한 인식이 전투기에서 경폭격기나 정찰기의 개념으로 바뀐 뒤로 새롭게 만들어진 R.E.8은 1916년 6월 17일에 두 대의 시제기가 만들어져서 첫 비행을 마쳤으며 7월에는 두 번째로 만들어진 두 대의 시제기들이 프랑스로 보내져서 시험 비행을 실시했다. 프랑스에서 평가된 R.E.8 복엽기는 굉장히 성공적이었으며 조종사들 또한 이 새로운 항공기를 굉장히 마음에 들어해서 9월 부터는 본격적으로 양산되기 시작했다. 후방 무장은 기본적으로 기관총의 방향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스카프 링(Scarff ring)에 달린 루이스 경기관총 이지만 초기에는 스카프 링 없이 그냥 기둥에 루이스 기관총을 설치해서 임시로 사용하기도 했었다. 이후 히스파노 수이자 엔진을 장착한 개량향인 R.E.8a도 등장하였다.

3.1. 기타 장비[편집]


후방 사수석에 매우 기본적인 조종 장치가 설치되어져 있었다(!). 평소에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접어놓고 있지만 유사시에는 승강타나 방향타를 조작하는 것은 물론이고 엔진 출력을 조절하는 쓰로틀 까지 조작할 수 있었다고 한다. 다만 보조 날개는 조종하지 못했다.

4. 실전[편집]


파일:external/flyingmachines.ru/94-2.jpg
정찰용 카메라를 점검중인 R.E.8의 조종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ncendiaryBombsRE8.jpg
폭탄을 장착중인 승무원들

보통 신예기종이 배치를 받을 때 정예 부대로 배치되는 것과 달리 경험이 부족한 영국 육군 항공대 소속의 제 52 비행중대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구형 B.E.2 복좌기를 사용하던 초보 파일럿들은 별로 만족하지 못했다.

파일:external/flyingmachines.ru/1003-1.jpg
52 비행중대의 조종사들은 착륙하던 도중 급작스럽게 실속에 빠지는 사고를 자주 겪기 시작했으며, 이와 같은 사고로 몇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자 신형기에 대한 신뢰는 급격하기 떨어지기 시작했고, 이런 항공기를 지속적으로 몰아야했던 조종사들의 사기 또한 바닥으로 곤두박질 치기 시작하는 역효과가 발생했다. 결국 이들은 1917년 1월에 34 비행중대가 사용하던 B.E.2e와 교환하게 되면서 R.E.8 를 떠나 보냈는데 52 비행중대의 조종사들은 성능이 떨어지지만 익숙하고 안전한 B.E.2e 복엽기를 다시 조종하게 된 것에 대해서 굉장히 고마워했다고 한다.

그렇지만 34 비행중대에 배치된 이후로는 착륙과정에서 발생하던 사고가 벌어지지 않았는데 이는 34 비행중대의 기량이 뛰어났었던 덕분이었다. 이 덕분에 R.E.8 복엽기의 재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었고 이어서 구식의 B.E.2 복엽기를 빠른 속도로 대체해나가기 시작했다. 이들이 착륙시 별다른 사고를 겪지 않았던 비법은 바로 고속을 유지하면서 착륙하는 것 이었다.[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E.8_%28trainer%29.jpg
한편 스핀에 자주 빠진다는 평가를 듣자 설계자들은 조종사들의 우려를 없애고자 스핀에 빠진 상황에서 더 쉽게 회복할 수 있도록 수직 안정핀의 면적을 살짝 더 늘리는 개수를 가하여 안정성을 높여 불안감을 해소하고자 했다. 수직 안정핀의 개선으로 R.E.8의 양산형들은 B.E.2e 만큼이나 안정될 수 있었고, 이 덕분에 포격 유도 비행이나 사진 정찰 활동에서도 이점을 얻을 수 있었다고 하며, 적 전투기와의 교전에서도 잠깐이나마 적기의 기동력을 상회할 수 있었고 아예 훈련용으로 사용되던 기체에는 더 커다란 수직 안정 핀이 장착되었다.
파일:external/i39.tinypic.com/71n48h.jpg
그러나 문제가 해결되어 R.E.8이 상당히 많이 배치되었을 무렵은 연합군 조종사들에게 재앙이나 마찬가지였던 고성능의 알바트로스 전투기들이 등장하기 시작한 시기였고, 이 결과 피의 4월이라고 불렸던 1917년 4월 부터는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무지막지한 손실율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2] 다만 피의 4월이 신형 전투기의 등장과 조종사들의 기량 향상으로 끝나감에 따라 손실률은 줄어들었지만 일부 조종사들을 제외하고는 이 느린 구형 기종을 좋아하지는 않았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2 01:50:03에 나무위키 R.E.8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장에서 조종사들이 남긴 기록에 따르면, R.E.8의 착륙 속도가 B.E.2e보다 빨랐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두 항공기에 사용된 날개의 크기가 비슷했었던 반면에 R.E.8의 중량이 B.E.2보다 더 훨씬 무거웠기 때문이었다. 이런 이유로 R.E.8 복엽기는 착륙시 B.E.2보다 더 빠른 속도로 날아야 실속에 빠지지 않고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었다.[2] 이 기간에 R.E.8기의 피해가 어느정도였는지 잘 알 수 있는 우울한 일화가 있는데, 1917년 4월 13일, 영국 육군 항공대 소속의 59 비행중대에서 이륙한 6대의 R.E.8은 정찰 임무를 띄고 독일군의 참호 전선 위로 날아가 임무를 수행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하필이면 붉은 남작 만프레드 폰 리히트호펜이 지휘하는 6대의 알바트로스 전투기를 만나게 되었고 리히토펜의 알바트로스 전투기들은 이들을 5분만에 모조리 격추시켜버렸다고 한다.전멸이라고? 5분도 채 안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