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2Y 케이운

덤프버전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육·해군 항공병기

[ 펼치기 · 접기 ]
육군
항공대

단좌 전투기
Ki-27, Ki-43 하야부사, Ki-44 쇼키, Ki-61 히엔, Ki-84 하야테, ◈Ki-87, ◈Ki-88, ◈Ki-94, ◈Ki-98, Ki-100, †ⓩKi-162, ◈ⓩKi-200 슈스이, ◈ⓩKi-201 카류, †ⓩKu-4
복좌 전투기
Ki-45 토류, ◈Ki-83, Ki-102, ◈Ki-93
폭격기
습격기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BR.20 치코냐, Ki-21, Ki-30, Ki-32,
Ki-48, Ki-49 돈류, Ki-51, Ki-67 히류, †Ki-91
자살 공격기
Ki-115 츠루기
훈련기
Ki-9, Ki-6, Ki-17, Ki-55, Ki-54, Ki-79, Ki-86
정찰기
Ki-16, Ki-36, Ki-46
해군
항공대

함재기
A 함상
전투기

A5M, A6M 제로센, A7M 렛푸, †A8M 리쿠후, †N1K3-A 시덴 카이 二
B 함상
공격기

B5M, B5N, B6N 텐잔, B7A 류세이
C 정찰기
C3N, C5M, C6N 사이운,▼D4Y1-C
D 함상
폭격기

D1A, D3A, †D3Y 묘조, D4Y 스이세이
E 수상정찰기
E2N, E7K, E9W, E10A, E13A, E14Y, E15K 시운, E16A 즈이운
F 수상관측기
F1M, F1A
G 육상공격기
G3M, G4M, G5N 신잔, G8N 렌잔, †G10N 후가쿠
H 비행정
H6K, H8K, H11K 소우쿠
J 국지전투기
J1N 겟코, J2M 라이덴, †J3K 17시 국지전투기, ◈J4M 센덴, ◈J5N 텐라이, ◈J6K 진푸, ◈J7W 신덴, †ⓩJ7W2/J7W3 신덴 카이, ◈ⓩJ8M 슈스이, ◈ⓩJ9Y 킷카, ▼N1K-J 시덴, ▼N1K2-J 시덴 카이, ▼N1K3-J 시덴 카이 一, ▼N1K4-J 시덴 카이 三, ▼†A7M3-J 렛푸 카이
K 훈련기
K5Y, K9W 코우요, K10W, K11W 시라기쿠, ▼A6M2-K, ▼M6A1-K 난잔
L 수송기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DC-2,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L2D, L3Y, L4M, ▼H6K-L, ▼H8K-L 세이쿠, ▼H11K-L 소우쿠, ▼G5N2-L 신잔 카이
M 특수공격기
MX 특수활공기

MXY-7 오카, ◈(제식명 불명)N 토카, M6A 세이란, D4Y4 스이세이
N 수상전투기
N1K 쿄후, ▼A6M2-N
P 폭격기
P1Y 긴가
Q 초계기
Q1W 토카이, Q2M 타이요, †Q3W 난카이
R 육상정찰기
R2Y(세이운, 케이운), ◈ⓩR2Y2 케이운 카이, ▼J1N1-R
S 야간전투기
◈S1A 덴코, ▼J1N-S 겟코, ▼P1Y1-S 바야코, ▼P1Y2-S 쿗쿄, ▼D4Y2-S 스이세이
노획 항공기
파일:소련 국기.svg LaGG-3-8, I-16, 투폴레프 SB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F2A 버팔로, P-40, B-17, P-51 머스탱, F4U 콜세어, F6F 헬캣, 커티스 BT-32, CW-21, DB-7, 마틴 139
파일:영국 국기.svg 호커 허리케인, 브리스톨 블렌헤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로부터 수입한 기체
A7He, AxHe, 하인켈 He 119, 융커스 Ju87 슈투카, 메서슈미트 Bf 109E-7, 포케불프 Fw 190A-5, 메서슈미트 Me 210 A2, 메서슈미트 Me 410, ⓩ메서슈미트 Me163, †ⓩ메서슈미트 Me 262, †포케불프 Ta152, †융커스 Ju 390, †V2 미사일
글라이더, 무동력기, 미사일
Ki-147, †Ki-148, †MXY8 아키구사
◈ 시제, 프로토타입 / † 페이퍼 플랜, 수입 실패 / ⓩ 제트 혹은 로켓 엔진 장착기 / ▼ 타 목적 기체를 유용함
국지전투기: 일본군이 운용했던 본토 방어 및 폭격기 요격 전용 전투기. 요격기 문서 참조.
※ 나무위키에 문서가 없거나 이 틀에 기재되지 않은 일본군의 항공병기 전체 목록은 일본 항공병기 설계안 문서 참조.
연합군(특히 미국)이 대전기의 일본 항공기를 지칭할때 사용했던 코드에 대해서는 연합국 코드명 문서 참조.
템플릿:일본 제국의 항공병기를 참조해 주세요. 전반적인 내용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1. 개요
2. R2Y 세이운
3. R2Y1 케이운
4. R2Y2 케이운改
5. 매체에서의 등장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일본군 해군의 시제 육상 정찰기로, 해군은 당시 광대한 중국 대륙에서 육상 정찰기가 없다는 것은 작전에 커다란 지장을 가져온다고 생각했다.

함상 정찰기로 C6N 사이운이 개발되고 있었지만, 대규모 점령지를 운영하고 있던 해군으로서는 육상 기지에서 발진하고 임무를 수행할 신형 고속 정찰기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하지만 중국 전선태평양 전쟁의 초기에 승승장구하던 일본은 승세를 믿고 개발작업을 서두르지 않았다.

그러나 전황이 급변하면서 필요성도 높아지고 더욱 고성능의 기체가 요구되자 결국 시작된 프로젝트가 Y40 프로젝트다. 이것이 구체화되어 새로이 개발에 착수한 기체가 바로 육상 정찰기 케이운이다.


2. R2Y 세이운[편집]


{{{#White 空技廠 R2Y 暁雲
제원}}}
분류
장거리 육상 고고도 정찰기
무장
없음
생산량
3대(1기 완성)

Y30 프로젝트로 시작되어 1942년 요코스카에서 17시 정찰기로 개발되며 세이운으로 명칭이 부여되었으나 요구성능 미달을 이유로 취소후 케이운으로 넘어간다.


3. R2Y1 케이운[편집]


파일:external/www.hsgalleries.com/r2y1jmb_1.jpg
{{{#White 空技廠 R2Y 景雲 (景雲)
제원}}}
분류
장거리 육상 고고도 정찰기
길이
13.05 m
전폭
14.00 m
높이
4.25 m
익면
34.00 제곱 미터
자체중량
6,015 kg
전비중량
8,100 kg
엔진
아이치 Ha-70 수랭식 엔진
최대 속도
741 km/h
최대 항속 거리
3,610 km
상승 한도
11,700 m
무장
없음

독일에서 수입한 하인켈 He 119 정찰폭격기의 구조를 참고하여 엔진을 동체중앙부에 탑재하여 4m 이상의 샤프트를 통하여 기수에 달린 6엽 프로펠러를 구도시키는 형태를 가졌다.

또한 He 119에서 따온 것은 엔진 배치뿐만 아니라, 인입식 래디에이터도 채용하여 장거리 순항시 1개의 엔진만으로 비행할 때는 동체 하부의 방열기를 집어넣고 후방 동체 상단과 주익 앞전에 뚫린 인렛을 통해 엔진을 식히는 방식을 도입하였고, 조종석은 병렬 복좌, 착륙장치는 전륜 식으로 하였다. 이런 다양한 신설계들은 당시 일본으로서는 처음으로 시도한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성공여부를 떠나 기술적인 모험이나 도전이었다.

그 결과 케이운은 그때까지의 통상적인 일본기들과는 판이하게 다른 독특한 모양의 기체가 되었고 개발은 복잡하고도 어려운 기술적인 난제를 수없이 해결해야만 하는 긴 작업이 되었다.

하지만 아이치 Ha-70 엔진의 문제가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았고, 1944년(쇼와 19년) 6월까지도 원형기의 초도비행이 실시되지 못하자 마침내 해군 수뇌부는 전국의 약화에 따른 긴축을 구실 삼아 개발진도가 부진한 기종에 대한 정리를 하게 되었는데, 여기에 케이운도 대상으로 꼽혔다.


4. R2Y2 케이운改[편집]


파일:external/d8a7bf49156204dae9ee2aaacfe40fb717c9709723718db63a7ed1f0876c2e4c.jpg
{{{#White 景雲改
제원}}}
분류
제트 공격기
길이
13.05 m
전폭
14.00 m
높이
4.25 m
익면
34.00 제곱 미터
자체중량
5,700 kg
전비중량
8,850 g
엔진
미츠비시 Ne-330 터보 제트엔진
추력 1,320kg x 2기
최대 속도
783 km/h
최대 항속 거리
1,269 km
상승 한도
10,500 m
무장
30mm 5식 기관포 4 정
800kg 폭탄 1 기(1,764파운드)

그러나 1944년, 미츠비시에서는 일본 최초의 제트엔진인 Ne-20을 만들어낸 이시가와지마 사로부터 기술을 제공받아 신형 제트엔진 Ne-330을 출시하도록 하였고, 이 실험에는 현재 개발중인 기체에서 가장 제트화가 쉬운 기체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는데, 그 기체가 바로 R2Y1 케이운 이였다. 이렇게 해서 자연히 케이운의 개발작업에 대한 취소명령은 기각되어 개발작업을 계속할 수 있었다.

1945년(쇼와 20년) 4월에 R2Y1 시제 1호기가 과급기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로 완성되어 5월에 시험비행을 하였지만 문제가 많았다.
회전수 동조와 출력전달, 진동문제에 시달리던 병렬식 엔진은 독일의 다임러-벤츠사조차 해결에 어려움을 겪던 문제였고, 이를 일본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하기에 힘이 들었던 것은 당연한 것이었다.

심지어 고속을 위하여 무리하게 도입한 집합식 배기관도 문제였다. 어느 정도 한계에서 타협을 보아야 할 배기가스 추력증강효과가 오히려 엔진 배기연을 제대로 내보내는데 방해가 되어 전체 출력이 떨어지고 과열에도 한몫을 보태고 있었던 것이다.

2번째 비행에서는 엔진실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비상착륙을 시도하다가 기체가 반파되고 말았다.

그 후 1호기는 엔진의 교환과 수리를 받는 동안 미군기의 공습으로 파괴되었고, 2호기는 종전 전까지도 제작중이었으나 역시 공습으로 파괴되어 바다에 투기되었다.

제트화의 첫번째 방안으로 날개에 제트엔진을 달고, 두번째 방안은 몸통에 제트엔진을 내장하고 기수에서 흡입구를 마련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패망을 몇개월 남기지 않은 상태에서 있던 R2Y1 프로토타입조차 공습으로 파괴되는 와중에 제트화를 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였으며 결과적으로 R2Y2 케이운 개량형은 패망 전까지 도면 위를 벗어나지 못한다.

여담이지만 함재기로서의 개발과 어뢰탑재도 진행했다고 한다.


5. 매체에서의 등장[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r2y2_v1.png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r2y2_v2.png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r2y2_kai.png
R2Y2 케이운 개량형 V1
R2Y2 케이운 개량형 V2
R2Y2 케이운 개량형 V3
워 썬더에서 케이운 카이가 일본 단발 폭격기 트리의 제트기로 등장한다.[1]

히어로즈 인 더 스카이 에서 프리미엄 기체로 등장하였다.
조종석 앞쪽에 프로펠러가 장착되어 있고 주익에 쌍발 제트엔진이 장착된 독특한 형태로 구현되었는데 옆동네 일본 정규트리의 깅가 전투기보다 성능이 떨어져서 버림받았다(...)

전함소녀에서는 다이호, 시나노, 소류를 개장시 얻을 수 있다. 전함소녀 최초의 제트폭격기로써 폭격수치는 13. 다만 다이호, 시나노, 소류가 잘 나오는 것도 아니고 육성 난이도도 난이도인 만큼 양산이 쉽지많은 않다.

함대 컬렉션에서는 함재기로 구현되었다는 설정으로 함상정찰기형 시제 케이운이 등장했으나, 12월 9일 업데이트로 개수공창에서 장비 변환을 통해 네식 엔진을 소모하여 제트전폭기인 케이운改로 변환할 수 있게 되었다. 함상정찰기 케이운은 장갑항모에서, 제트전폭기 케이운改는 기지항공대나 캐터펄트를 장착한 장갑항모인 쇼카쿠改二甲, 즈이카쿠改二甲에서 운용할 수 있다.

월드 오브 워쉽에서 초항공모함 세키류가 Yokosuka R2Y2라는 이름으로 전술 뇌격기로 운용한다.


6. 둘러보기[편집]


✈️ 항공병기 둘러보기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냉전기 1945~1991 ]⠀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2 02:04:02에 나무위키 R2Y 케이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R2Y2의 3가지 바리에이션이 순서대로 등장한다. 주익에 2기의 엔진 장착→동체 후방에 엔진을 달고 흡기구가 주익에 존재→동체 후방에 엔진을 달고 동체 전방에 흡기구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