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iniscence(테일즈위버)

덤프버전 :

1. 개요
2. 리믹스 버전
3.1. 4B TUNES
3.2. 5B TUNES
3.3. 6B TUNES
3.4. 8B TUNES
4. 관련 문서





DJMAX RESPECT V에서 추가된 BGA

1. 개요[편집]


온라인 게임 테일즈위버의 OST이자 테일즈위버를 대표하는 명곡. 작곡가는 남구민[1].

노래하는 숲, 바람의 숲에서 밤 시간에 들을 수 있는 잔잔한 배경음악으로, 플레이어들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에게도 게임 음악 명곡으로 끝없이 회자되고 있는 인기곡이다. 테일즈위버를 해보지 않은 사람들도 노래를 들려주면 들어봤다고 할 정도. 감성을 자극하는 피아노 멜로디와 1분 26초부터 나오는 베이스라인이 압권인 곡이다. 게임 내에서 비가 오면 빗소리와 어우러져서 더욱 일품이다. 일본에서도 Second Run과 함께 신곡(神曲)이라고 불릴 정도로 인기가 대단하며, 가장 인기가 높은 BGM 5개를 선정해 오르골화하는 프로젝트에서는 2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일본을 제외한 해외에서의 인지도도 상당히 높은편이다. 게임 이름은 몰라도 이 곡은 안다는 외국인들이 많다.

테일즈위버 10주년 기념으로 공개한 비하인드에 따르면, 본인이 공들여 만들지 않은 Second Run이 대박을 치자 그 인기가 이해가 가지 않는 상태에서 "과연 이렇게 만들어도 좋아하나?" 싶어서 만든 곡이라고 한다. 더 자세히 말하면 '음질 작업 없이 적당히 빠른 피아노면 진짜 좋아하는가?' 하는 마음가짐으로 만들었다고. 그리고 이 곡이 실제로 Second Run에 이어 대박을 치자 남구민 본인은 더 심각한 고민에 빠졌었다고 한다. 마치 본인의 작곡에 대한 관념 자체가 흔들리는 느낌이었다고 한다. 물론 지금은 심적인 여유를 가지면서 이런 시선[2]에서 벗어났지만, 아직도 곡을 만든 사람이긴 하지만 유저들이 느끼는 감동에 대해 100% 이해하지는 못하겠다고 말했다.# 여러모로 유저들의 입장에서도, 작곡가의 입장에서도 Second Run과 비슷한 포지션에 있는 곡이다.

MMORPG 특유의 사냥으로 시작해 사냥으로 끝나는 방식이 싫어 다양한 감정을 넣고 싶었고, 그 중 밤 시간에 어울릴만한 감정, 사냥하는 유저들에 대한 고독함을 모티브로 작곡했다고 한다.

Second Run과 함께 테일즈위버의 대표적인 명곡으로 손꼽히지만, 작곡가 남구민은 다른 곡들을 더 좋아한다고 한다. 물론 노래가 얼마나 좋은가는 개개인의 주관에 따라 다르다.


게임 채널 유후미[3]에서 공개한 Reminiscence에 관한 비하인드와 남구민 본인의 라이브 영상.

2. 리믹스 버전[편집]



바닐라 무드 버전. 플루트, 바이올린, 첼로, 키보드로 연주해서 원곡보다 느리면서도 더욱 몽환적이게 들린다.

오렌지커피의 March Fairy
피아노, 바이올린, 드럼으로 연주해서 원곡과 전체적인 윤곽은 비슷하지만 매우 다른 느낌을 준다. 원곡보다는 밝은 느낌.


슈퍼 마리오 월드(커스텀 뮤직) 버전. 편곡자는 Cool or Cruel로 유명한 월드피스다.


3. DJMAX RESPECT V[편집]





파일:Reminiscence_1.png

COLLABORATION 파일:djmax_collaboration_nexon.png
Reminiscence
모드
NM
HD
MX
SC
4B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3
199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5
313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10
741
-
5B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4
305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9
625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2
872
-
6B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5
362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1
839
-
파일:djmaxsc10.png 6
989
8B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4
352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9
632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2
904
파일:djmaxsc5.png 5
1002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리듬 게임 DJMAX RESPECT V에 2021년 10월 28일 NEXON 콜라보레이션 DLC로 수록되었다. 동명의 도전과제가 있는데, 그 조건이 'FEVER를 OFF로 설정하고 테일즈위버 곡을 클리어'이다. 이 곡의 분위기를 생각하면 당연히 피버 소리가 방해될테니 이를 끈 뒤에 감상하듯 플레이할 것을 유도하는 업적이다.

프리뷰에서는 크고 선명하게 재생되지만 피아노 쪽 키음 마스터링이 덜 되어서인지, 혹은 원곡의 느낌을 살리기 위해 고의적으로 이를 의도한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전반적으로 곡을 플레이할때 플레이하는 느낌이 잘 안 난다는 평이 존재한다. 도전과제를 위해 피버 사운드를 뮤트로 설정할 시 더더욱. 다른 음악에 비해 음량 크기가 너무 낮다는 지적도 있다.


3.1. 4B TUNES[편집]


NM
HD


MX






3.2. 5B TUNES[편집]


NM
HD


MX






3.3. 6B TUNES[편집]


NM
HD


SC





6B SC는 영상 기준 1분 28초에 등장하는 1, 6번 롱노트+빠른 트릴 패턴이 정확도를 심히 깎아먹는다. 이 부분을 제외하면 특별히 어려운 부분은 없으나 이 부분이 퍼펙트 플레이나 맥스 콤보를 방해하는 가장 큰 걸림돌이다. 동시치기 짬은 되는데 죽어도 트릴은 못 넘길것 같으면 맥스랜덤을 거는 것도 좋은 선택.


3.4. 8B TUNES[편집]


NM
HD


MX
SC





8버튼 SC는 6버튼과 마찬가지로 고속 트릴이 존재하나 6버튼처럼 빽빽하게, 처리하기 힘든 배치로 나오지는 않는다. 초반엔 트리거 노트가 거의 등장하지 않다가 중반부터 트리거 복합 패턴이 등장하기 시작하는데, 8버튼 13레벨을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면 무난하게 넘어가지는 패턴이므로 딱히 트리거 때문에 어려운 부분은 없다. 4800콤보 부근 트리거+트릴 패턴도 주의하자.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2 19:04:48에 나무위키 Reminiscence(테일즈위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DJMAX 시리즈에 Nauts라는 명의로 EGG, Far East Princess 등의 악곡들을 제공해 알려져있기도 하다.[2] 본인은 '어리석은 시각'이라고 표현했다.[3]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이전 명칭이 유후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