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덤프버전 :

}}} ||



파일:스카이 프로리그 2005 로고.jpg

1. 개요
2. 특이사항
3. 사용 맵
4. 개요



1. 개요[편집]


  • 기간: 2005년 9월 3일 ~ 2006년 1월 21일
  • 우승: SK텔레콤 T1, 준우승: 삼성전자 칸
  • 결승 장소: 대구실내체육관[1]


2. 특이사항[편집]


  • SK텔레콤 T1 프로리그 2연속 우승[2]
  • KTF 연승 기록 23연승에서 끝(對 삼성전자 칸)[3]
  • KTF와 삼성 승패 및 승점이 같아서 2위 결정전으로 순위를 가려냄
  • 프로리그 결승전 첫 동시생중계[4]
  • 우승팀 상금 5,000만원, 준우승팀 상금 1,500만원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티저 오프닝 링크
온게임넷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오프닝 링크
MBC GAME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오프닝 링크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결승전 오프닝 링크


3. 사용 맵[편집]


네오 포르테(Neo Forte), 네오 레퀴엠(Neo Requiem), 알 포인트(R-Point), 러시 아워 2, 우산국, 철의 장막


4. 개요[편집]


순위



득실
벌점
1
SK텔레콤 T1
13
5
+22(47-25)

2
KTF 매직엔스
12
6
+12(44-32)
1
3
삼성전자 칸
12
6
+12(44-32)
1
4
GO
12
6
+9(41-32)

5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
10
8
+8(41-33)
1
6
POS
9
9
+4(41-37)
2
7
Plus
7
11
-6(33-39)

8
KOR
7
11
-9(31-40)
1
9
SouL
5
13
-25(22-47)

10
한빛 스타즈
3
15
-27(22-49)

(노랑:결승 직행, 초록:플레이오프 직행, 파랑:준플레이오프 진출)

준플레이오프(2006.1.4)
송병구 P

네오 포르테

서지훈 T
박성훈 P
이창훈 Z

철의 장막

박영민1 P
이주영 Z
변은종 Z

러시 아워 2

이주영 Z
이재황 Z
임채성 T

우산국

김환중 P
마재윤 Z
이현승 P

알 포인트

변형태 T
박성훈 P
이창훈 Z

철의 장막

마재윤 Z
변형태 T
송병구 P

네오 레퀴엠

마재윤 Z
삼성전자 칸
4
결과
3
GO

플레이오프(2006.1.11)
송병구 P

네오 포르테

박정석 P
박성훈 P
이창훈 Z

철의 장막

김정민 T
조용호 Z
변은종 Z

알 포인트

홍진호 Z
이재황 Z
임채성 T

우산국

김정민 T
조용호 Z
김근백 Z

네오 레퀴엠

변길섭 T
이창훈 P
최수범 T

철의 장막

조병호 P
홍진호 Z
ACE

러시 아워 2

ACE
삼성전자 칸
4
결과
0
KTF 매직엔스

결승(2006.1.21)
박태민 Z

네오 레퀴엠

송병구 P
박용욱 P
임요환 T

철의 장막

박성훈 P
이창훈 T
전상욱 T

알 포인트

박성준1 Z
고인규 T
윤종민 Z

우산국

이재황 Z
임채성 T
김성제 P

네오 포르테

이현승 P
박용욱 P
윤종민 Z

철의 장막

박성훈 P
이창훈 Z
최연성 T

러시 아워 2

변은종 Z
SK텔레콤 T1
4
결과
3
삼성전자 칸

삼성의 약진과 한빛의 폭망이 눈에 띄는 시즌. 삼성은 후기리그 시즌 중에 열렸던 KeSPA컵 우승의 기세가 더해지며 시즌 준우승까지 이뤄내며 선전한[5] 반면에, 지난 시즌 3위였던 한빛은 유례없는 막장 성적으로 팬들의 눈시울을 붉혔다.[6] SouL의 경우 초반 4승 무패라는 호성적을 이뤄내며 주목을 끌었으나 그 후 남은 경기 중 한 번을 제외하고 모조리 패하며 거품임을 보여줬고, 반대로 T1은 시즌 초기 1승 4패라는 성적으로 팬들의 뒷목을 잡게 했으나 이후 개인전에서는 다시 돌아온 최강 에이스 최연성, 지난 시즌에 이어 큰 기복 없이 안정적인 모습을 전상욱, 갑자기 기량이 급상승하여 개인전과 팀플 모두 활약한 성학승, 안정적인 팀플 멤버로서의 변신에 성공한 박용욱, 팀의 정신적 지주 임요환, 팀플에서 여전히 안정적인 고인규-윤종민 등의 활약으로 시즌이 계속 지나면서 환골탈태하여 우승까지 무난히 이뤄내게 되었다.

자세한 대진은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대진표 참고.

[1] 현재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의 홈 경기장이기도 하며, 당시에는 대구 오리온스의 홈 경기장이었다.[2] 동시에 당시 감독이었던 주훈은 프로리그 최다 우승 감독이 됨.[3] 강민의 개인방송에 나온 정수영 감독이 밝히길 KeSPA 측에서 맵을 늦게 알려준 게 컸다고 한다. 원래 보이콧할 생각이었으나 부전패 처리하겠다는 말에 어쩔 수 없이 출전했고 거기서 연승 기록이 끊기게 됐으며, 이 경기를 이겼으면 30연승까지 찍었을 거라고 아쉬워했다. 강민도 이에 동의했다.[4] 이 시즌 한정으로 전기리그 결승전과는 달리 후기리그 결승전과 그랜드 파이널 결승전 제작을 MBC GAME에서 담당했다.[5] 특히 송병구박태민을 상대로 벌인 결승전 1경기는 프로토스 공중군과 저그 물량 부대간의 치열한 물고 물리는 혈전이 인상적인 장기전 명경기로 평가받는다.[6] 이 시즌 한빛의 최대 부진의 원인은 지난 시즌 다승왕 김준영의 잦은 출전으로 인한 패턴 파악을 통한 부진도 있었지만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안정적인 테란 카드의 부재였다. 그래서 상대의 저그 선수들을 잘 공략하기가 어려웠고, 이는 김준영의 부진과 함께 한빛이 이 시즌 크게 부진에 빠져버리는 원인이 되고 만다. 훗날 테란 라인의 부진은 웅진 시절에도 포스트시즌에서 결승 진출에 실패하거나 혹은 포스트시즌 진출에 한 끗발 아쉽게 진출하지 못하게 되는 등 팀의 가장 큰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자리잡고 만다. 그나마 이 시즌에 윤용태를 발굴한 것이 유일한 위안거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문서의 r113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문서의 r113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3 07:30:58에 나무위키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