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mebody That I Used to Know

덤프버전 : r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레코드상 수상자
'''[[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레코드상 수상자(2000년~2019년)|{{{#b69858 Grammy Award for Record of the Year
(2000~2019)]]'''

[ 펼치기 · 접기 ]




파일:BillboardHot100(2020Version).png
빌보드 핫 100 역대 1위

We Are Young
FUN., Janelle Monáe

Somebody That I Used to Know
Gotye, Kimbra
(8주 연속)

Call Me Maybe
Carly Rae Jepsen


Somebody That I Used to Know
파일:Somebody That I Used To Know.jpg}}}
수록 음반
Making Mirrors
발매일
2011년 7월 5일
레이블
Eleven, Universal Music
아티스트
고티에, 킴브라
작사/작곡
고티에
프로듀서
고티에
파일:빌보드 로고.svg
1위
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
1위

1. 개요
2. 상세
3. 기록
4. 뮤직비디오
5. 가사
6. 여담



1. 개요[편집]




2011년 7월 5일 발매된 고티에의 싱글. 킴브라가 피쳐링을 맡았다.

2012년 전 세계에서 가장 인기를 끈 곡 중 하나로, 칼리 레이 젭슨과 함께 2012년 빌보드 차트에 지각변동을 일으켰다.

고티에의 대표곡이자, 유일한 빌보드 차트 Top 10 진입곡이다.[1] 대표적인 원 히트 원더의 사례 중 하나. 음악이 실험적이기도 하고, 가수 본인 부터가 상업적 성과에 그리 연연하지 않는 듯한 모습이다.


2. 상세[편집]


아트 팝 장르로 분류되는 굉장히 독특하고 실험적인 분위기가 특징이며 특이하게도 초반부 음은 반짝반짝 작은 별에서 따왔다.

2011년 발매된 뒤, 고티에의 본국인 호주 싱글 차트에서 1위에 올랐다. 고티에나 킴브라 최초의 호주 차트 1위 곡이다.

당초 고티에는 세계적으로는 그리 유명한 가수가 아니었지만, 이 노래의 호주 인기에 힘입어 영미권을 중심으로 이 노래가 알려지기 시작했다.

노래가 입소문을 타면서 2012년 1월, 미국 빌보드 핫 100에도 진입했다. 이후 글리에서 이 노래를 리메이크하면서 곡이 더욱 널리 알려졌다. 물들어올 때 노 젓는다고, 고티에와 킴브라는 이 노래로 4월 14일 SNL에서 공연을 펼쳤으며, 이 직후인 4월 28일, 빌보드 핫 100 1위에 올랐다. 그리고 Call Me Maybe의 역주행 전까지 8주 연속으로 1위를 유지했다.

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 22개 나라에서 1위를 차지했다. 서양권에선 엄청난 히트를 기록하며, 2012년 빌보드 연말 차트 1위, 빌보드 핫 100 2010년대 총결산 차트 8위 등에 올랐다. 2021년 현재까지 RIAA에서 가장 높은 인증을 획득한 곡이다.

다만 동양권에선 상대적으로 차트 파워가 약했으며, 때문에 노래의 성적에 비해 한국에선 다소 묻히는 감이 있다.

2013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Record of the Year와 'Best Pop Duo/Group Performance'를 수상했으며, 이 노래가 수록된 앨범인 'Making Mirrors'는 'Best Alternative Music Album'을 수상했다.

2021년 7월즈음 밈으로 인기를 끌었는데, 아직도 간간히 나오고 있다. 원래는 7월보다 꽤 전부터 '게임플레이' 와 '세계관 설정(Lore)' 을 비교해서, "게임플레이는 단순한데 세계관 엎청 깊더라"[2] 식의 밈에서 배경음악으로 쓰이다가, Microwave Lore(전자레인지 세계관 설정)를 기점으로 다양한 기계의 작동원리, 내부구조 설명을 빠르게 배속한 영상에 '(기계 이름) 세계관 설정(...)' 이라는 캡션을 붙여다가 만들어진 영상들이 더 많아지게 된다. 이후에도 단어 Lore가 밈에서는 역사나 원리를 뜻하는 곳에서 쓰이게 되는 등 영향력이 컸다.


3. 기록[편집]


역대 그래미 시상식 [3]
파일:external/www.brooklynvegan.com/grammy.jpg
올해의 레코드상
제54회
(2012년)


제55회
(2013년)


제56회
(2014년)

"Rolling in the Deep"
아델

"Somebody That I Used to Know"
고티에 (Feat. 킴브라)


"Get Lucky"
다프트 펑크 (Feat. 퍼렐 윌리엄스나일 로저스)


파일:RIAA 다이아몬드.png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
Diamond Certification
(14x Platinum)

@노래@

미국 내 판매량 14,000,000 단위 이상




파일:빌보드 로고.svg

'''

빌보드 싱글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노래
32위
{{{#!wiki style="display:inline;display:none"[[https://| {{{#000,#fff 빌보드 싱글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노래
32위]]'''




4. 뮤직비디오[편집]




Music Video

(2011. 7. 6.)


독특하고 개성있는 뮤직비디오로 큰 주목을 받았다. 조각조각 채워지는 색채가 오묘한 분위기를 만든다.


5. 가사[편집]


Somebody That I Used to Know
Now and then I think of when we were together
가끔 우리가 함께했던 때를 생각해
Like when you said you felt so happy you could die
니가 죽을 만큼 행복하다고 말하던 시절
I told myself that you were right for me
나는 네가 나에게 딱 맞는 사람이라고 되뇌었어
But felt so lonely in your company
너와 함께 있을 땐 외로웠지만
But that was love and it's an ache I still remember
그건 사랑이면서도 여전히 잊을 수 없는 고통이야
You can get addicted to a certain kind of sadness
넌 슬픔에 빠지겠지
Like resignation to the end Always the end
항상 결국엔 끝을 체념하듯이
So when we found that we could not make sense
우리가 인연이 아니었다고 알았을 때
Well you said that we would still be friends
너는 우리가 친구 사이로 남을 수 있을 거라 했지만
But I'll admit that I was glad that it was over
하지만 난 이 모든 게 끝나서 좋아
But you didn't have to cut me off
하지만 그렇게 딱 자를 필욘 없었잖아
Make out like it never happened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And that we were nothing
아무 관계도 아니었던 것처럼
And I don't even need your love
너의 사랑도 필요없지만
But you treat me like a stranger
낯선 사람 대하듯이 날 대했잖아
And that feels so rough
그게 내 마음을 아프게 해
No you didn't have to stoop so low
그렇게 비굴해질 필요 없었잖아
Have your friends collect your records
And then change your number
네 친구들에게 음반을 가져오라 하고 전화번호 도
바꿀 필요 없었잖아
I guess that I don't need that though
나에겐 이런 관계는 필요없을 거 같아
Now you're just somebody that I used to know
이제 넌 내가 한때 알던 사람일 뿐이니까
Now you're just somebody that I used to know
이제 넌 내가 한때 알던 사람일 뿐이니까
Now you're just somebody that I used to know
이제 넌 내가 한때 알던 사람일 뿐이니까
Now and then I think of all the times you screwed me over
가끔 니가 날 엿맥였을 때가 생각나
But had me believing it was always something that I'd done
하지만 넌 내가 잘못한 거라고 믿게 만들었지
But I don't wanna live that way
하지만 난 그렇게 살고 싶지 않아
Reading into every word you say
너의 말에 일일이 의미부여 하면서
You said that you could let it go
넌 그냥 잊어버릴 수 있다 했잖아
And I wouldn't catch you hung up on somebody that you used to know
그리고 난 네가 알던 누군가에게 매달리는 널 붙잡고 싶진 않았어
But you didn't have to cut me off
하지만 그렇게 딱 자를 필욘 없었잖아
Make out like it never happened
아무일도 없었던 것처럼
And that we were nothing
아무 관계도 아니었던 것처럼
And I don't even need your love
너의 사랑도 필요없지만
But you treat me like a stranger
낯선 사람 대하듯이 날 대했잖아
And that feels so rough
그게 내 마음을 아프게 해
No you didn't have to stoop so low
그렇게 비굴해질 필요 없었잖아
Have your friends collect your records
And then change your number
네 친구들에게 음반을 가져오라 하고 전화번호 도
바꿀 필요 없었잖아
I guess that I don't need that though
나에겐 이런 관계는 필요없을 거 같아
Now you're just somebody that I used to know
이제 넌 내가 한때 알던 사람일 뿐이니까
(Somebody)
I used to know
내가 알던 누군가
(Somebody)
Somebody that I used to know
내가 알던 누군가
(Somebody)
I used to know
내가 알던 누군가
(Somebody)
Now you're just somebody that I used to know
이제 넌 내가 한때 알던 사람일 뿐이니까
I used to know
내가 알던 누군가
That I used to know
I used to know
이제 넌 내가 한때 알던 사람일 뿐이니까
Somebody


6. 여담[편집]


  • 여러 가수들에 의해 다른 장르로 리메이크 되었으며 이중 Three Days Grace도 리메이크했다. #
  • 이 노래에서 nekalakininahappenenawiwanatin[4]이라는 밈이 존재한다. wenomechainsama, turi ip ip ip과 함께 가사의 몬더그린으로 유명해진 밈으로 3형제를 이루고 있다.
  • 2022년에 개봉한 영화 보호자에도 수록되었다.

[1] 빌보드 핫 100 전체로 보면 'Eyes Wide Open'도 진입하긴 했다. 96위라는 매우 낮은 최고 순위로...[2] 예를 들어 TF2. 밈 커뮤니티에서 인기있는 게임이라는 점, 코믹스 설정을 유저들이 잘 모르고 게임플레이는 스토리와 크게 관계없다는 점이 완벽하다. 여기서 더 발전해서, 게임만이 아니라 다른 활동이나 도구들도 게임플레이는 실제 사용에, 세계관 설정은 역사나 원리에 갖다붙이는 경우도 많았다. 예를 들어 은 게임플레이는 '방아쇠 당기면 빵야' 지만 설정으로는 상당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등...[3] 그래미 시상식의 가장 중요한 상들로 여겨지는 올해의 레코드상, 올해의 앨범상, 올해의 노래상, 최고의 신인상만이 기록되있다. 나머지 부문의 상들은 따로 문서 내 수상 목록에 수록해주길.[4] Make out like it never happened And that we were nothing 부분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23 09:13:28에 나무위키 Somebody That I Used to Know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