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덤프버전 :






テレビ囲碁アジア選手権戦(일본어) / 亚洲杯电视围棋快棋赛(중국어) / Asian TV Cup(영어)

  • 주관: 한국기원, 일본기원, 중국기원
  • 주최: 한국방송공사, 일본방송협회, 중국 중앙 텔레비전
  • 제한 시간: 없음, 30초 초읽기, 1분 생각 시간 10회
  • 계가: 한국: 한국룰 6집반, 일본: 일본룰 덤 6집 반, 중국: 중국룰 덤 7집 반
  • 상금: 우승 250만 , 준우승 50만 엔
  • 참가 대상: KBS 바둑왕전, CCTV배[1], NHK배 TV 바둑 토너먼트 우승, 준우승자+직전 TV 바둑 아시아 우승자 7인. 단, TV 바둑 아시아 직전 우승자가 KBS 바둑왕전, CCTV배, NHK배 결승과 겹칠 경우 공석이 되는 대회의 4강 탈락자 중 3, 4위전을 결정하여 3위자가 진출
  • 대회 방식: 단판 토너먼트. 전기 우승자는 4강 직행. 결승 단판 승부

파일:hPMa-fykymwk2676121.jpg

2017년 대회에서 우승한 나현.

1. 개요
2. 역사
2.1. 대회 목록
2.2. 역대 대회


1. 개요[편집]


한국기원, 일본기원, 중국기원 3단체가 통합해서 열었던 바둑 기전이다. 한국방송공사, 중국 중앙 텔레비전, 일본방송협회에서 매년 개최하는 TV 속기 기전 상위 입상자들과 전기 우승자가 격돌했던 대회로 3국이 매년 순회하면서 개최했다. 제한 시간이 따로 없는 초속기 기전이었기 때문에, 이 대회의 우승자는 속기 세계 챔피언이라고 할 수 있었다.

대회 이름이 길기 때문에 대체로 TV 바둑 아시아, 또는 TV 아시아로 줄여 부른다.


2. 역사[편집]


1989년부터 시작된 대회. 바둑의 저변 확대를 위하여 TV로 바둑을 중계하려는 시도는 꾸준히 있어왔고, 비교적 경제가 발달해서 TV의 보급이 빨랐던 일본에서는 무려 1954년부터 NHK배가 TV로 바둑을 중계했고, 한국에서도 1980년부터 KBS 바둑왕전이 있었으며, 가장 늦은 중국도 1987년에 중국중앙텔레비전배가 창설되었다. 이렇게 3국이 비슷한 TV 바둑 대회를 갖게 되자 올림픽이나 월드컵처럼 왕중왕전을 갖자는 생각은 자연스러운 발상이었고, 곧 세 방송사가 협력하여 대회를 창설하게 되었다. 각 대회의 상위 입상자들이 출전해 승부를 가리는 방식.

운영은 매년 KBS/NHK/CCTV 3개국에서 번갈아 개최를 맡았으며 한중일 3개국이 돌아가며 개최했다. TV로 중계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대회는 속기로 진행됐다. 1회전부터 결승까지 단판 토너먼트고 제한 시간은 없으며 매수 30초 초읽기에 원할 경우 고려 시간 1분을 10번 받을 수 있었다. 사실상 10분 제한에 30초 초읽기였던 셈. 덕분에 일종의 이벤트전 취급이었다.

한국기원의 경우 이 대회를 공식 기전으로 인정하지 않아서 우승 경력 1줄 추가가 혜택의 전부였고 2016년 개정된 승단 규정에서도 이 대회 성적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사이버오로타이젬 바둑에서는 이 대회에서 우승한 프로 기사아이디를 치장해 주지 않았다. 한국기원이 해당 대회 기보를 업데이트하지 않고, KBS를 통해서 중계했을 때만 공개한 건 덤.

일본기원은 이 대회를 공식 기전으로 인정하긴 했지만 승단 대상 국제 기전에 포함시키지는 않았다.

중국기원은 이 대회를 공식 기전으로 인정했을 뿐만 아니라 우승자는 다른 메이저 세계 대회 우승자들처럼 九단으로 승단시켜 줬다. 또한 중국 바둑 서비스인 한큐바둑에서는 이 대회 우승자에게 다른 메이저 세계 대회 우승자들과 마찬가지로 금관을 달아 줬다.

속기 대회답게 대국 진행이 매우 빠르다 보니 엉뚱한 실수도 자주 나와 승부를 예측하기 힘든 점이 있었지만 기사들로부터나 팬들로부터나 대회 자체의 인기는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2019년도 대회를 끝으로 대회가 폐지되었다.


2.1. 대회 목록[편집]




2.2. 역대 대회[편집]


회차
연도
개최지
우승자
준우승자
1
1989년
도쿄 NHK 방송국
다케미야 마사키 九단
고바야시 사토루 九단
2
1990년
도쿄 NHK 방송국
다케미야 마사키 九단
이창호 四단
3
1991년
서울 KBS 방송국
다케미야 마사키 九단
차오다위안 九단
4
1992년
도쿄 NHK 방송국
다케미야 마사키 九단
조훈현 九단
5
1993년
베이징 CCTV 방송국
요다 노리모토 九단
서봉수 九단
6
1994년
부산 KBS 부산방송총국 스튜디오
오타케 히데오 九단
첸위핑 九단
7
1995년
지바시 쉐라톤 그랜드 호텔
이창호 七단
조훈현 九단
8
1996년
칭다오시 하이티엔 호텔
이창호 七단
유창혁 七단
9
1997년
경주시 경주현대호텔
위빈 九단
왕리청 九단
10
1998년
지바시 뉴오타니 마쿠하리 호텔
요다 노리모토 九단
마샤오춘 九단
11
1999년
톈진시 하얏트 호텔
요다 노리모토 九단
이창호 九단
12
2000년
경주시 경주현대호텔
조훈현 九단
이창호 九단
13
2001년
시즈오카현 경제단체연합회 게스트하우스
조훈현 九단
목진석 五단
14
2002년
베이징시 화룬 호텔
이창호 九단
조훈현 九단
15
2003년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 호텔
저우허양 九단
미무라 도모야스 九단
16
2004년
도쿄 NHK 방송국
위빈 九단
송태곤 七단
17
2005년
베이징 화룬 호텔
장쉬 九단
조한승 八단
18
2006년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 호텔
왕시 五단[2]
이창호 九단
19
2007년
도쿄 NHK 방송국
이세돌 九단
천야오예 五단
20
2008년
베이징 동방문화주점
이세돌 九단
조한승 九단
21
2009년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 호텔
쿵제 七단[3]
이세돌 九단
22
2010년
교토 교토호텔 오쿠라 별장
쿵제 九단
유키 사토시 九단
23
2011년
베이징 창안 그랜드 호텔
쿵제 九단
백홍석 八단
24
2012년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 호텔
백홍석 九단
쿵제 九단
25
2013년
도쿄 아카사카 뉴오타니 호텔
이야마 유타 九단
박정환 九단
26
2014년
베이징 창안 그랜드 호텔
이세돌 九단
고노 린 九단
27
2015년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 호텔
이세돌 九단
박정환 九단
28
2016년
도쿄 아카사카 뉴오타니 호텔
리친청 二단[4]
신진서 六단
29
2017년
저장성 핑호시 경제개발구 세인트레이크 호텔
나현 八단
이세돌 九단
30
2018년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 호텔
김지석 九단
나현 九단
31
2019년
도쿄 친잔소 호텔
신진서 九단
딩하오 六단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4 04:17:32에 나무위키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대회는 국내 기전이고 비슷한 이름의 국제 이벤트 기전인 CCTV 하세배와는 다른 대회다.[2] 전해 상하이 대첩의 마지막 희생자 왕시는 여기서 복수에 성공했고, 이 대회 우승 직후 九단으로 승단했다.[3] 쿵제는 이 대회 우승 직후 九단으로 승단했다.[4] 리친청은 이 대회 우승 직후 九단으로 승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