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F 슈퍼스타즈

덤프버전 :

WWF 슈퍼스타즈
WWF Superstars


파일:WWF Superstars Arcade Cabinet Poster.jpg

개발 / 유통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3%86%E3%82%AF%E3%83%8E%E3%82%B9%E3%82%B8%E3%83%A3%E3%83%91%E3%83%B3_2014-02-20_04-54.jpg 테크노스 저팬
발매일
1989년
플랫폼
아케이드 게임

1. 개요
1.1. 상세
2. 게임 플레이
2.1. 공통 조작
2.1.1. 대시 공격
2.1.2. 대시 반격기
2.1.3. 잡기 공격
2.1.4. 다운 공격
2.1.5. 기타
3. 등장선수



1. 개요[편집]




1989년에 테크노스 저팬에서 만든 오락실용 프로레슬링 게임. 공략.


1.1. 상세[편집]


미국 프로레슬링 WWF(현 WWE)를 소재로 만든 게임으로 당시에는 상당히 실감나고 박진감 있는 게임이라서 인기를 끌었다.

6명 선수들 가운데 2명을 골라서 2인 1조 태그매치로 플레이하게 되며 나머지 선수들을 이기면 마지막에 안드레 더 자이언트와 밀리언 달러맨을 상대로 챔피언 벨트를 놓고 대결하게 되며 이 경기에서 이기면 챔피언 벨트를 따게 됨과 동시에 챔피언 벨트 방어전을 펼치게 된다.

한국에 퍼질 당시 상당한 인기를 끌어서 사상 희대의 대작게임이 나오기 전인 1989~91년 2월까지만 해도 파이널 파이트, 닌자 거북이와 더불어 80년대 말 오락실게임 대작 중 하나로 오락실에 여러 대를 들여놓은 곳이 꽤 되어서 오락실의 게임 선택권이 줄어들게 하는 데 일조하였다.[1] 게임의 인기 덕에 WWF 레슬링 팬을 늘어나게 하는 역할도 하였다.

이 게임 덕분에 WWF의 인기가 늘어나게 됬기 때문에 WWF가 인기를 끌기 전, 당시 영어에 약했던 오락실키드들 사이에서는 실명 대신 각종 이명으로 불렸었다.

마초맨 - 개목걸이 : 러닝 넥브레이커 드롭이 인상적이라 붙여진 별명.
헐크호건 - 영감 : 수염 때문으로 늙어보인다는 이유.
워리어 - 인디언 : 와일드한 포퍼먼스와 요란한 분장 때문에 붙여진 별명.
홍크통크맨 - 원숭이 : 구랫나루에 빠른 스피드, 까불까불한 포퍼먼스 때문에 붙여진 별명.
빅보스맨 - 경찰, 짭새 : 경찰관과 교도관 복장의 유사성에서 온 착각.
짐더간 - 끝판왕 동생 : 최종보스인 밀리언 달러맨과 파렛 스왑이라 형제 관계로 착각.

단연하게도 WWF가 대중적으로 퍼지고 이름도 알려지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졌다.

속편으로 WWF 레슬페스트가 있다.

실제 레슬러와 사용하는 기술이 별로 일치하는 점이 없다. 빅 보스맨의 보스맨 슬램이나 밀리언 달러맨의 기술 등은[2] 잘 재현했지만 헐크 호건이나 핵소 짐 더간은 일치하는 기술이 별로 없다.[3] 제작비 절감 차원에서 기술 모션이나 개수 등을 공통으로 맞추다보니 그렇게 된 것도 있고 발매시점이 되고 나서 레슬러가 주력 기술을 바꾸어서 그렇게 된 것도 있다. 거기다 이 당시만 해도 WWF가 일본 프로레슬링과 교류하고 정기전도 가졌기 때문에 그 선수들이 WWF 내에서의 경기 스타일이 아닌 일본 링에서의 스타일이 베이스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대표적 사례가 헐크 호건과 앙드레 더 자이언트[4][5] 속편인 WWF 레슬페스트가 거의 대부분의 레슬러의 피니시 및 기술을 재현한 것에 비하면 그다지... 어떤 의미에선 간단한 2버튼 조합으로 즐기는 액션 게임에 가깝다.

밖으로 나가서 관중석에 자세히 보면 자사의 인기 게임인 더블 드래곤 복장을 한 꼬마아이가 있다.(...) 테크노스 저팬의 깨알같은 유머를 느낄 수 있다. 재미있는 점은 더블 드래곤 2의 스테이지2 보스의 아보레의 캐릭터를 약간 손봐서 앙드레 자이언트 캐릭터로 개조한 냄새가 난다는 것.(...) 문서 가서 보면 알겠지만 외모도 비슷하며 손날치기와 몸통박치기를 사용하고 데미지가 강력하다는 점이 똑같다. 문서에는 앙드레 더 자이언트를 패러디한 것 같다고 나와있는데(이름부터가 아보레) 게임 발매년도가 더블 드래곤 2는 1988년작이고 이 게임은 1989년작이니 순서상 아보레가 먼저라는 것. 그렇다면 더블 드래곤 2에서 유명 프로레슬러인 앙드레를 패러디한 아보레란 악당 캐릭터를 먼저 만들고 나서 진짜 WWF 프로레슬링 게임에서는 그 아보레를 약간 다듬어서 오리지날 앙드레를 만들었다는 말이 성립된다.(...)

지금 기준으로는 시시해보일 수 있지만 당시 게이머들에겐 충격을 준 리얼 레슬링 게임이었다. 일단 로프반동[6] 하나만으로 충격을 받았던 아이들도 있었다. AFKN에서 보던 WWF선수들이 등장해서 꽤 넓게 구현된 링에서 로프반동은 물론 심지어 3단코너에 올라갈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 완전 리얼 수준이었다. 거기다 장외 난투극까지 재현되었을 정도다. 당대의 프로레슬링 게임들은 드롭킥이 적중하면 시전자가 그대로 서있었는데, 이 게임에서는 드롭킥을 적중시켜도 시전자가 쓰러지는 장면만 봐도 실제 경기를 보는 듯한 리얼한 현실감을 주었다.1989년 게임임을 명심하자. 게다가 상단의 3단 코너에 올라가면 대결하는 선수들의 포스터가 꽤 실사풍으로 멋지게 그려져 있는 간판이 보이는데 당시 아이들에겐 이 정도만 되어도 실사 수준의 레슬링 게임처럼 느껴졌으며(워리어의 고릴라 프레스만 봐도 후덜덜 박진감 넘치는) 게임성을 떠나서 그래픽만으로 단연 눈길을 사로잡던 게임이었다.


본 게임의 4년 전 출시된 프로레슬링 게임과 비교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당시 국내에서 대기업인 삼성이 출시하여 대대적으로 홍보하던 차세대 게임기(...) 겜보이(세가 마스터 시스템)에서 정발된 프로레슬링 게임이다. 캐릭터 선택 그런 것도 없고 정체불명의 두 레슬러가 나와서 벌이는 게임이다. 물론 로프반동도 없고 상하로는 움직이지 못하며 좌우로만 움직일 수 있다. 이걸 집에서 즐기다가 우연히 친구와 함께 오락실에 가서 저 게임을 봤다고 생각해 보라. 당시 미군방송 AFKN에서 방영되던 WWF경기에서 보던 바로 그 유명한 선수들에다가 캐릭터를 선택할 수도 있고 실감나는 음성과 효과음 등 당대의 아이들이 왜 저 게임에 눈이 돌아갔는지 알 수 있다.갭 모에 위 영상을 1분 정도 감상 한 후 제일 위의 영상을 틀어보면 '리얼 프로레슬링'이란 느낌이 확 들 것이다. 일단 위 게임에 비해 WWF 슈퍼스타즈는 VGA, 슈퍼패미컴 수준의 총천연색으로 화사한 색감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두 게임을 바로 대비하기는 어려운데, 발매년도가 차이가 나는 것은 기본이고, 당시 가정용 게임기의 성능과 아케이드의 성능이 판이하게 차이가 났다는 점은 고려해야 한다. 1984년도에 세가에서 상하좌우의 이동이 가능한 게임은 이미 출시된 적이 있었다. #

사실 완성도를 떠나서, 프로레슬링 경기에서 로프반동을 하고, 핀폴로 승리한다를 구현한 게임이 정말 얼마 안된다. 초기 게임들은 주인공 고정에 팔레트스왑 캐릭터 돌려막기였기 때문에, 캐릭터성이 있다고 유명해진 프로레슬링 게임이 그 유명한 근육맨을 활용한 머슬 태그매치였다.그리고 WWF 슈퍼스타즈 얼마전에 나와서 오락실에서 돌아간 게임이 익사이팅 아워로보 레슬링 2001이다. 결국 같은 시대에 이 게임과 비교될 레슬링 게임은 챔피언 레슬러 밖에 없다.

그리고 이후에 나온 프로레슬링 게임들의 상당수는 프로레슬링의 탈을 뒤집어쓴 대전액션이었다. 그걸 가장 잘 보여준 것이 캡콤머슬 보머와 그 후속작 슈퍼 머슬 보머로, 핀폴이 있던 프로레슬링 게임이 KO가 적용되는 대전액션으로 변했다. 이는 WWF를 기반으로하는 게임들도 그 꼴이 나게 된다.

게임 스프라이트가 굉장히 단순한데 빅 보스 맨, 홍키 통크 맨, 앙드레 더 자이언트 이 3명을 제외하면 전부 복장이 동일해서 헤드 스왑이고 머리통과 색깔로만 구분된다. 그나마도 홍키 통크 맨은 하의만 긴바지이기 때문에 새로 찍은 스프라이트는 빅보스맨과 앙드레 더 자이언트 이 둘뿐이며 나머지 스프라이트는 사실상 팔레트 스왑이나 다름없다.

2. 게임 플레이[편집]


플레이어가 선택 가능한 캐릭터는 총 6명이다. 이들은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분류된다. 플레이어 기술 특성으로 볼 때 헐크 호건, 얼티밋 워리어, 마초맨, 핵소우 짐 더간이 포함되는 경량형과 빅 보스맨, 홍키 통크 맨의 중량형으로 구분이 가능하다.[7] 각 캐릭터는 타입에 따라 공통 특성을 가지고 여기에 캐릭터별로 약간의 변형이 가해진 형태로 운영된다.[8]

캐릭터별로 다른 기술이 있는 것은 캐릭터 소개에서 기술한다.

2.1. 공통 조작[편집]


스틱으로 상하좌우 이동을 하며 공격 자체는 좌우 방향만 가능하다.

A버튼 : 펀치. 세 방 연속으로 히트하면 상대가 일시적으로 경직을 일으키고 네 번째 연속히트로 쓰러진다.
B버튼 : 킥. 첫 방은 펀치 3연타와 마찬가지 경직에 두 번째 연속 킥으로 쓰러진다.
A+B : 대시. 상대가 있는 방향으로 대시하며 스틱으로 지정하여 반대 방향 대시도 가능하다. 대시 중에 로프까지 가면 로프 반동을 한다. 버튼 조합으로 대시 공격이 나간다.


2.1.1. 대시 공격[편집]


경량형은 대체로 공통 기술이고 중량형은 각각 개별 기술 형태를 띤다.

A : 경량형은 클로스라인이 나간다. 대시 반격기인 백 바디 드랍에 100% 당한다.
B : 경량형은 플라잉 니킥을 한다. CPU 한정으로 몸 숙이기로 이 공격을 피할 수 있다.
A+B : 경량형은 대시 드롭킥을 날린다. 역시 CPU 한정으로 공격 회피가 가능하다. 중량형은 몸이 무거워 드롭킥을 못한다.


2.1.2. 대시 반격기[편집]


상대가 대시 중일 때 나가는 기술.

A : 전 캐릭 공통으로 백 바디 드랍이 나간다.
B : 경량형은 드롭킥을 쓴다. 중량형은 개별 기술이 나간다.
A+B : 대시를 하며 통상 대시와 동일한 조작이 가능하다.


2.1.3. 잡기 공격[편집]


캐릭터끼리 공격 없이 접촉을 하면 락 업상태가 된다. 이때 내부 공식에 의해 어느 한쪽이 잡기 공격 상태가 되고 잡기 공격을 할 수 있다.

B : 락업 상태에서 상대방을 강제로 대시시킨다.
↑+A : 스틱을 위로 한 채로 A버튼. 전캐릭 공통으로 바디슬램이 나간다. 횟수에 상관 없이 무한정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자이언트에게 사용할 때에는...
A : 헤드락 상태로 이동한다. 헤드락은 공격력은 없고 주 잡기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준비 단계이다. 캐릭터별로 두 개의 잡기 기술이 있고 이 기술을 성공하면 상대는 기상했을 때 그로기 상태로 일어난다. 하지만 쓰러졌을 때 구르기를 하면 그로기는 없다. 연속 사용 가능 횟수와 전체 사용 가능 횟수에 제한이 있다. 기술에 실패하면 상대방의 락업 상태가 되거나 반격기술을 당하게 된다. 기계에 설정에 따라 최대 3회까지 연속 사용이 가능한 경우부터 아예 연속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까지 있다. 기술은 헤드락 중 A나 B버튼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다. 경량형은 두 잡기가 같은 데미지이고 중량형은 잡기 B의 데미지가 더 약한 대신 자이언트에게도 사용할 수 있다. 상대가 그로기 상태일 때 뒤에서 접근하면 경량형은 잡기기술 B가 자동 시전되고 중량형 캐릭터는 반대 방향으로 대시를 시킨다.


2.1.4. 다운 공격[편집]


상대가 쓰러져 있을 때 머리 위치에 있을 때 A버튼을 누르면 잡아서 일으키기가 나가고 B버튼을 누르면 플래싱 엘보 계열 공격이 나간다. 몸 근처에서는 A버튼은 발로 밟는다. B버튼은 폴을 시도한다. 폴을 시도할 때 폴짝 뛰는 캐릭터가 몇몇 있는데 이때 상대가 구르거나 일어나면 시전자가 쓰러진다. 에너지가 별로 없을 때 이렇게 되면 바로 역관광 코스.


2.1.5. 기타[편집]


CPU에 한해서 큰 기술을 시전하고 난 다음 간헐적으로 고유 모션을 한다.[9]

이 게임에 등장한 선수들은 2019년 홍키 통크 맨을 마지막으로 모두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버질 : ???

팬메이드 게임인 더블 드래곤 리로디드에서 본편에 등장하는 레슬러 전원을 선택해 진행할 수 있다. 전원 프로레슬러이다 보니 주인공 빌리, 지미가 작아보일 정도로 체급이 아보보와 비슷하고, 심지어 앙드레 더 자이언트는 브루노프보다 더 크다.

드롭킥이 가능한 캐릭터는 상대가 서 있다면 로프 상단에서 드롭킥이 가능하다. 그로기 상태에서 쓰지만 특성상 맞은 상대는 자이언트 에게 맞은 것 마냥 날아가기에 고수들은 태그하러 들어가는 에너지가 빠진 상대 캐릭터를 로프반동 시킨 후 달려오는 걸 그대로 드롭킥으로 날려버려서 핀폴하기 좋은 위치로 보내는 데도 쓴다


3. 등장선수[편집]


파일:external/shinchoujin.50webs.com/wwfsstar_01_Hogan.gif

잡기 A는 파일 드라이버, B는 백드롭. 지 기술은 마초맨에게 다 뺏기고 요상한 기술만 쓴다. 다운 공격이 그의 전매특허인 레그드랍이 나간다. 파일 드라이버는 실패하면 바로 백 바디 드랍 반격을 받고 백드롭은 링 구석에서 시전하면 로프에 걸려 제대로 들어가지 않아 효율이 떨어진다. 쇼에서는 최강캐 위치지만 여기서는 그저그런 수준이다. CPU는 간혹 대시 반격기로 썰렁한 발차기를 하기도 한다.

파일:external/shinchoujin.50webs.com/wwfsstar_02_UltimateWarrior.gif

잡기는 고릴라 프레스, 아토믹 드롭. 대시 공격 B가 숄더태클이다. 자이언트를 상대할 수 있는 클로스라인과 CPU가 수그려 피하기가 불가능한 숄더태클, 잡기 기술도 둘 다 위치 제약이 없어서 게임 안에서 강캐 대접을 받는다.

파일:external/shinchoujin.50webs.com/wwfsstar_03_Machoman.gif

잡기는 버티컬 수플렉스와 아토믹 드롭. 대시 공격 A가 러닝 넥브레이커 드롭이다. 클로스라인보다 데미지가 높고 백 바디 드랍 반격을 안 당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클린히트하지 않으면 같이 쓰러져서 스테이지가 많이 진행돼서 에너지가 별로 없을 때 운용이 난감하다. 하지만 이 러닝 넥브레이커 드롭은 자이언트 잡는 최적의 무기다. 이 기술 하나로 마초맨은 자이언트 킬러 등극. 물론 정면으로 달려가면 손날치기로 반격당하니 안되고, 자이언트의 스피드가 느린 점을 십분 활용하면 된다. 위아래로 이동하면 자이언트가 천천히 따라오는데 그때 위치 잘 잡고 저 기술 날리면 빗맞아 쓰러지거나[10] 아니면 정말 제대로 걸려든다(자이언트 표정 귀엽다). 이거 몇번 해주면 자이언트가 태그하러 도망가며, 도망 가기 전에 끝낼 수 있다. 머리 잡히기 시작하면 로프반동시켜서 백바디드롭으로 몇번 던져준 후 3단 코너에 올라가서 마초맨의 실제 피니쉬이기도 한 엘보우드롭 몇번 먹여주면 확실하게 끝. 헐크호건의 라이벌인만큼 인기가 상당했는데 이상하게도 후속작인 레슬페스트에는 등장하지 않았다

파일:external/shinchoujin.50webs.com/wwfsstar_05_HonkeytonkMan.gif

잡기는 숄더 넥브레이커꿀밤치기. 대시공격 A는 러닝 펀치, B는 요상한 날라차기. 대시 반격기 B는 대시공격 B를 제자리에서 시전. 실제 인물도 후덕하고 드롭킥을 못해서 중량급으로 분류했지만 게임 내에서는 가장 가벼운 것으로 설정이 되어있는지 스피드가 빠르다.하지만 클로스라인이 없어 자이언트를 한번에 쓰러뜨릴 기술도 없고 날아차기가 발동이 느리고 타점도 낮을 뿐더러 판정 마져 좋지않아 드롭킥은 물론 플라잉 니킥과 공중 출돌시 100% 진다. [11] 그나마 러닝펀치가 워리어의 숄더태클이나 빅보스맨의 팔꿈치치기보다 사정거리가 길어 사용이 불편해도 자이언트를 제외한 다른 캐릭터들을 대시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하지만 꿀밤치기가 자이언트에게 통하기 때문에 몇대 패주면 달러맨으로 교체가 되니 그때까지는 그럭저럭 쓸만하다. 핵소 짐 더간에 뒤지지 않는 약캐이긴 하지만 그래도 홍키통크맨은 한국과 인연이 있는 선수다. 2003년에 방한하여 이왕표와 붙은 적이 있다. 당시 해설가 천창욱이 홍키통크맨에게 구타를 당한 뒤 문제의 천창욱 체어샷 사건이 터졌는데 자세한 사항은 프로레슬링은 쇼다 문서 참조.

파일:external/shinchoujin.50webs.com/wwfsstar_04_BigBossman.gif

잡기는 것렌치 수플렉스헤드 벗. 대시공격 A는 래리어트가 연상되는 러닝 엘보, B는 숄더 태클. 대시 반격기 B는 키친 싱크. 상대가 자이언트만 아니면 최강급 성능을 자랑한다. 특히 상대 에너지가 줄어들면 대시 반격기 A로 보스맨 슬램이 나가는데 주 잡기 기술 수준의 데미지에 그로기를 유발해 CPU 상대로는 후반 무한 반복으로 마무리까지 무난하게 갈 수 있다. 덤으로 쓰러진 상대에게 아래+A+B로 바디 프레스로 데미지를 주면서 핀폴이 가능하다. 자이언트 상대로는 홍키통크맨과 더불어 최악의 경기력이 나오는 게 발이 느려 도망치기 어렵고 주로 대시 반격기 위주로 플레이를 해야 하는데 키친 싱크는 자이언트의 HP가 일정 이상 떨어지기 전까지는 다운되지 않는다. 게다가 자이언트가 피가 줄어들면 보스맨 슬램을 하려는데 이게 안 넘어간다. 물론 이 시점에서는 대신 키친 싱크로 자이언트를 넘길 수 있다. 다만 화면에 상태 표시가 없으니 재주껏 상대 에너지 계산해서 기술을 바꾸어야 한다. 그래도 잡기 기술 중 홍키 통크 맨의 꿀밤치기와 더불어 박치기가 통하니 자이언트하고 상대를 안하는게 최선이지만 어쩔 수 없이 상대하게 된다면 박치기로 몇대 패서 달러 맨과 바꿔서 상대하면 된다.

파일:external/shinchoujin.50webs.com/wwfsstar_06_HacksawJimDuggen.gif

잡기는 불도그와 백드롭. 홍키 통크 맨에 뒤지지 않는 약캐. 불독은 심각하게 위치 제약이 크고 펀치 모션이 마치 권투선수의 가드모션에서 치는 것처럼 나가는데 모양만 그렇고 실제 가드 능력은 없다. 게다가 모션 때문에 발동이 느려 거의 상대방 펀치에 씹힌다. 로우킥을 가장한 가녀린 소녀킥은 리치도 짧다.유일한 장점은 클로스라인이 있어 자이언트한테 대시가 가능하다는 점.

파일:external/img.gamefaqs.net/gfs_28915_2_16.jpg
  • 민 진 오클랜드(1942~2019) - 선택 불가. 인터뷰어로 등장.
  • 버질(1962~) - 선택 불가. 인터뷰어도 아니고 선수인데 이렇게로만 등장하고 끝이다. 현실이나 게임 속에서나 자버는 자버

  • 앙드레 더 자이언트(1946~1993) - 선택 불가. 보스로 등장. [12]
파일:external/shinchoujin.50webs.com/wwfsstar_07_AndreTheGiant.gif
보스급이라서 그런지 전 캐릭터 중 가장 데미지가 크게 들어간다. 사용 기술은 타격기로는 춉, 빅 붓을 사용하는데 한 방 맞으면 멀리 날아간다. 대시 기술은 숄더 태클, 대시 반격기는 타격기와 동일하다. 잡기 기술은 코코넛 크러시를 사용하며 때때로 피니시급 서브미션 기술인 캐나디안 백 브레이커를 사용하는데 걸리면 피가 엄청나게 줄어든다.
참고로 테크노스 저팬에서는 이 캐릭터의 스프라이트에 얼굴을 아놀드 슈워제네거 비슷하게 바꾸고 옷을 다르게 입힌 뒤 더블 드래곤 2의 스테이지 2 보스 아보레로 재탕했다.

  • 테드 디비아시(1954~) - 선택 불가. 보스로 등장.[13]
파일:external/shinchoujin.50webs.com/wwfsstar_08_MillionDollarMan.gif
AI가 꽤 악랄하고 기술이 다양하다. 팔레트 스왑인 핵소우 짐 더간과 비교해서 훨씬 업그레이드 된 주인공 복사 캐릭터. 외형적으로 봤을 때 핵소우 짐 더간과는 색깔만 다르다. 타격기는 짐 더간과 동일하고, 대시 기술은 클로스라인과 드롭 킥, 러닝 키친 싱크를 사용, 대시 반격기로 파워 슬램과 오버헤드 벨리 투 벨리 수플렉스, 드롭 킥, 백 바디 드랍을 사용하고, 잡기 기술로는 백 브레이커와 백드롭, 버티컬 수플렉스를 사용하며 쓰러진 상대에게는 피스트 드랍과 엘보 드랍을 사용한다. 피니시급 서브미션 기술로 밀리언 달러 드림을 사용하는데 자이언트의 캐나디안 백 브레이커와 마찬가지로 매우 흉악한 기술이다. 애초 두 기술 모두 에너지가 얼마 없을 때 나오는 기술이기에 걸리면 그냥 끝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코인 러쉬만이 유일하게 벗어날 수 있는 길인데 이것도 동전넣고 빠르게 버튼 연타하여 벗어나지 않으면 에너지가 죽죽 달거나 그대로 기권패를 당해 게임오버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하자.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12:04:58에 나무위키 WWF 슈퍼스타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담이지만 공교롭게도 같은 년도에 이 게임들이 출시되었는데 각각 5월(슈퍼스타즈), 10월(닌자가북이), 12월(파이널 파이트)에 정식가동되었다.[2] 파워슬램, 백 브레이커, 밀리언 달러 드림 등.[3] 게임 내에서는 둘다 백 드롭 같은 화려한 기술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의 실제 경기는 우월한 신체 스팩으로 상대를 찍어 누르는 스타일이였지 절대 태크니션들이 아니였다. 인기 비결도 관중을 사로 잡는 화려한 쇼맨쉽이였다.[4] 헐크 호건 항목을 보면 알지만 이 양반은 미국과 일본의 경기 스타일이 상당히 다르다. 또한 앙드레 더 자이언트의 경우 일본에서 활동할 땐 한참 젊은 나이의 육체적 전성기 때였기 때문에 정말 괴물 같은 강력함을 자랑했지만 WWF의 경우는 이미 상당히 노쇠한 나이에 계약했기 때문에 헐크 호건한테 바디슬램이나 당하고 달러맨에게 돈 받고 챔피언 벨트 넘기는 바보 거인이라는 허접한 기믹이나 수행하던 퇴물 취급을 받았다. 사실은 WWF에서도 강력한 모습을 보여 주긴 했는데(사실 강력한 정도가 아니라 거의 무관의 제왕급이었다.) 그때는 70년대~80년대 초반까지였고 이후 WWF식 프로레슬링이 정착하게 되는데 하필 그 때가 안드레가 노쇠한 시기여서 그런 것이다.[5] 애시당초 안드레가 그렇게 허접한 레슬러였다면 레슬매니아 3에서 헐크 호건에게 보디슬램을 당한 것이 전설이 되지 않았을 것이다. 레슬매니아의 메인 이벤트 경기를 맡았다는 것 자체가 '최종보스'의 위상을 말해준다. 애초 실력이 아닌 흥행이 최우선인 프로레슬링에서 거인 캐릭터의 숙명은 다른 선역을 빛내주는 역할이란 것이다. 왜냐하면 관중들은 골리앗 때려잡는 다윗에 열광하지, 다윗 때려잡는 골리앗에 열광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보통 이런 거인 캐릭터들은 난민학살하며 강력한 이미지를 뽐내다가 끝내 '주인공' 레슬러에게 패하게 되는데, 레슬매니아 3에서 최종보스 기믹으로 헐크 호건과 붙었으니 거인 캐릭터로서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역할을 해낸 것이다. 그리고 어차피 이 때는 안드레의 커리어 끝물이기도 했고. 이후 2~3년 더 뛴 후 안드레는 결국 은퇴하게 된다.[6] 로프반동이 구현된 게임은 이전에도 있었다. 한국에서도 나름 인기있었던 1986년의 로보레스 2001등.[7] 플레이가 불가능한 밀리언 달러맨은 경량형, 안드레 더 자이언트는 굳이 분류하면 초중량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8] 다만 이게 오피셜인지는 의문인 게 애시당초 빅 보스 맨은 몰라도(빅 보스 맨은 데뷔 당시 357파운드였다가 나중에 줄어서 약 312파운드가 되었다.) 홍키 통크 맨은 250파운드도 되지 않았다.(다만 WWF 시절에는 260파운드 정도는 나갔을 수 있다.) 그에 비해 헐크 호건은 303파운드, 짐 더간도 280파운드, 얼티밋 워리어가 275파운드, 밀리언 달러 맨이 260파운드로 비교적 경량급이었던 마초맨을 제외하면 확실히 다들 홍키 통크 맨보다 체중이 많이 나갔다.[9] 예를 들어 헐크 호건의 귀 기울이기라든가...[10] 다른 선수들의 클로스라인이나 어깨치기는 자이언트가 놀라는 시늉만 하고 쓰러지지 않기 때문에 바로 반격당할 위험이 있으나 마초맨의 기술은 빗맞아도 쓰러져서 반격의 위험이 없다. 다만 마초맨의 에너지가 너무 없으면 마초맨이 못일어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에(...) 에너지가 좀 있어야 한다.[11] CPU 전에서 롱키 통크 맨을 만났을때 프라잉 니킥을 가진 캐릭터가 팀에 있다면 그 라운드는 거의 거저먹을 수 있는 야비가 존재한다. 플레이어가 막무가내로 프라잉 니킥만 써도 반격을 100% 지는 날아차기로 해오기 때문에 라이프가 걸레짝이 될 때까지 계속 자폭한다.[12] 2라운드인 도쿄에서도 오직 보스로만 등장한다.[13] 챔피언 벨트를 뺏긴 후의 2라운드인 도쿄에서는 중간에 나오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