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X하면 어떠냐 경제만 살리면 그만이지

덤프버전 :

이명박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1. 소개
2. 재발견
3. 예시
4. 관련 문서


1. 소개[편집]


부패해도 경제만 살리면 된다, 천만의 말씀입니다. 성공한 기업가 출신이었던 미국의 어느 대통령대공황을 불러왔습니다.[1]

- 박근혜, 2007년 한나라당 대선 경선에서 나온 말인데, 경쟁자였던 이명박 당시 후보를 비판하면서 했던 말이다.#


좋은 결과와 이득을 볼 수 있다면 그 과정에서 생기는 각종 부조리ㆍ불합리하고 비윤리적인 일들은 모두 정당화될 수 있다는 사상을 담은 문구. 도덕적, 사회적 가치보다도 경제가 최우선되어야 한다는 의미로 꽤 오래된 표현이다. 목적을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불문한다는 사상을 담고 있다. 즉 황금만능주의 사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표현이다.

이명박 풍자로 널리 퍼진 유행어이긴 하나 그 본인이 저 발언을 했다는 것은 알려진 바 없다. 그럼에도 이명박이 저 발언을 했다고 잘못 알고 있는 사람도 많다. 참여정부 말에 있었던 부동산 가격 폭등 시점부터 빈번하게 쓰였는데 이것은 당시 갈 곳 없는 서민들의 한이 서려있는 말이기도 했다. 현실적으로 보면 보릿고개란 말이 존재했을 정도로 당장 먹고 사는 게 급했던 옛날에는 실제로 이런 주장이 잘 통했고 현대에 와서도 장기 불황과 세계적 경제 위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잘 먹히고 있다. 하지만 바로 그 때문에 때가 오면 반드시 척결해야 할 적폐이기도 하다. 정치권과 기득권 세력이 이 점을 악용해서 자신들의 세력을 공고히 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런 의식이 한국에만 있는 건 결코 아니다. 한국에서 도덕성을 중요시 여길거라고 생각하는 선진국의 시민들도 도덕성보다도 경제와 같은 업적, 성과들을 더 중요시 여기는 모습들을 자주 보여왔다. 기본적으로 어느 국가나 정권 획득 및 유지의 제1 요건과 국민들의 강력한 지지를 끌어내는데 중요한 요소중 하나는 경제이다. 게다가 황금만능주의 사상과는 별개로, 정부가 국민들의 삶의 질을 보장하고 가난하지 않게 살게 하는 것 자체는 굉장히 중요한 덕목이기도 하다.

미국의 빌 클린턴 대통령이 섹스/불륜 스캔들로 비판을 받으면서도 퇴임시 지지율은 68%에 이르렀는데 이는 미국의 경제 호황을 이끌었기 때문이다, 루즈벨트가 4선까지 성공한 데에도 2차대전 + 경제공황 극복이란 시대적 배경이 깔려있다. 인심이 곳간에서 나오고, 입을 것과 먹을 것이 풍족하면 사람은 예절을 안다는 말이 고대부터 나왔던 것처럼 동서고금을 불문하고 사람이 생각하는 건 다 비슷한 셈이다. 푸틴과 고르바초프를 비교해도 답이 나온다. 심지어 프랑스에서 욕을 먹으며 비난의 대상이 되었던 마크롱 대통령도 강경한 경제 개혁 정책이 성공하여 프랑스 경제가 살아나자 지지율이 그냥 대폭 상승했다.

그 많은 논란을 일으키며 특정비밀보호법 통과, 벚꽃 스캔들, 모리토모 학교 비리 사건와 같은 비리 사건들이 줄줄이 터져서 도덕성에서 치명타를 입고 줄곧 욕을 먹던 아베 신조 총리이지만 일단 취업률을 크게 올려 놓으니 일본 20~30대 청년들이 아예 콘크리트 지지층이 되어버렸다.[2] 현재 이들은 아베 정권에 대해 수많은 논란들과 비판에도 불구하고 야당을 처다보지도 않는다.[3]

(전략) 광주 사람들 부산이나 대구 가서 선생님 운동 안 한다. 정주영 운동…. 우리는 이제 진저리가 났다. 선생님도 싫고 YS도 싫고 정주영경제 살리면 그만이다고 해. 경제가 먹혀 들어가니까 이제는 광주에서도 DJ를 욕한다.

-

- 강병중[4]

부산상공회의소 부회장, 1992년 12월 부산기관장 모임에서#


재미있는 점은 위 발언이 초원복집 사건에서 나온 발언이라는 것이다. 더 자세한 사항은 우리가 남이가 문서 참조. 그러나 이것은 엄밀히 따지면 유체이탈 화법인데 능력제일주의와 결과중심주의를 옹호하는 꼴이 된다. 이것은 유능한 악 또는 진악(眞惡)이 무능한 선이나 위선보다는 낫다는 식의 논지[5]로도 쓰이는데, 능력주의 자체야 합리적인 사상이지만 이게 극단적으로 치달으면 범죄를 저질러도 능력만 있으면 만사 OK라고 간주해 버리기도 하는지라 매우 위험한 주장이다.

일단 도덕성은 실무적 능력과는 큰 상관이 없다. 과거 미국에서 클린턴의 도덕적 논란에 실망, 정치인의 도덕성을 중요시 여기는 움직임이 강해져 개인적으로는 매우 깨끗한 도덕성을 가진 조지 W. 부시 대통령을 지지했다. 부시승리요인 ‘美 국민이 도덕성 선택 그리고 미국인들과 미국은 정치인의 능력이 아닌 깨끗한 도덕성만을 크게 중요시한 대가를 톡톡히 치른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도덕성이 무의미하다는 얘기는 아니다. 아무리 유능하다고 해도 도덕성이 없는 인물은 그 유능함을 자신의 이득만을 위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자연히 부정부패를 비롯한 범죄 행위를 저지르게 되며, 이게 심해지면 아예 나라를 나락에 빠뜨린다. 괜히 지도자가 갖춰야 할 덕목에 도덕성이 포함되었다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도덕성을 제대로 무시했다가 터져버린 역대 최악의 사건은 단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다. "힘 없는 정의는 무능이고, 정의 없는 힘은 폭력이다."라는 말을 떠올리면 이해가 되는데, 결국 도덕성이나 실리나 어느 한 쪽만이 중시되어선 안 되는 셈이다.

2. 재발견[편집]


파일:attachment/XX하면 어떠냐 경제만 살리면 그만이지/n1227-8.jpg

2007년 12월 말, 디시인사이드에서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이 유행어 반열에 오르는데 가장 큰 기여를 했다. "~좀 하면 어떠냐? 경제만 살리면 그만이지"

배경은 2007년 당시 노무현 정부 말기, 부동산 급등을 잡지 못하여 서민들의 고충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2007년의 17대 대선에서 경제 대통령을 표방한 이명박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그와 동시에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의혹이 제기되었다는 점에서 시작되었다.

당선 직후인 2007년 말부터 한동안 인터넷에서 유행했던 풍자적 표현이다. 과정을 생략한 채 목적만 이루기 위한 행동을 비꼬는 말이라고 볼 수 있다.


3. 예시[편집]


이 캐치프레이즈는 클린턴에게 승리를 가져다 주었다. 미국을 비롯해 세계 각지에서 대표적으로 잘 써먹는 슬로건이기도 하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14:28:18에 나무위키 XX하면 어떠냐 경제만 살리면 그만이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실 이건 후버에게 참작의 여지가 있는데, 이 당시에는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지 않는 것이 정석으로 받아들여졌던 시대였고, 후버 역시 이런 사회 분위기에서 사업가로 성공하고 대통령이 되었기 때문. 그러니 증시가 대폭락하는 상황에서 개입하지 않은 건 그 당시의 정석을 따른 모범적 대처라고 할 수 있었다. 다만 대공황은 이전까지와는 달리 아예 소비자들의 소비 능력 자체를 말려죽였던 경제난이라 완전 경쟁이고 자유로운 계약이고 뭐고 죄다 불가능해서 곧장 한계를 드러냈지만.[2] 다만 경제적인 이유로 지지하는거지 극우 미디어물, 국뽕물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의견을 가지기도 한다.[3] 사실 일본의 젊은이들은 정치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는 편이다. 자민당 외의 정당의 존재를 알기나 하면 다행이고, 유신회를 진보정당으로 알고있거나 일본 공산당이 우파 정당이라고 답하기도한다.[4] 넥센타이어의 회장이다.[5] 주로 극단적인 현실주의자들이 애용하는 논리인데, 유능한 것이 모든 정당성을 확보한다는 식으로 악을 묵인하고 합리화하기 때문에 방향성만 정반대일 뿐 결과는 무능력한 선과 별반 다를 바가 없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