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와트시(Wh)에 대한 내용은 와트 문서
2.2번 문단을
와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역사
3. 영어권 외의 지역에서
4. 기타
5. 다른 언어
6. 참고 문서


1. 개요[편집]


⟨wh⟩[1]영어에서 자주 쓰이는 다중문자 중 하나이다. 오늘날의 주된 발음은 미국식/영국식을 가리지 않고 양순 연구개 접근음 [w]이다. ⟨wh⟩의 음 변화는 상당히 장구한 편인데, 오죽하면 영어 위키백과에는 영어 ⟨wh⟩의 역사 문서가 따로 존재할 정도이다.[2]


2. 역사[편집]


기원적으로 [w]의 무성음 격인 양순 연구개 마찰음 [ʍ][3][4]를 나타내는 데 쓰였으며 고대 영어에서의 철자는 'hw'였다. 이는 그림의 법칙에 의하여 인도유럽조어 재구형 [\*kʷ]가 파열음>마찰음 변화를 겪은 것이다. 중세 영어 시기에도 발음은 변하지 않았으나 표기가 오늘날처럼 'wh'로 바뀌었다.

고대 영어부터 주로 [u]나 [o]와 같은 원순 모음 앞에서 /h/가 원순음화되는 현상이 벌어져 /h/와 /hw/를 구별할 수가 없게 되었다. 'whole'과 같은 단어는 그러한 흐름에 따라 'h'에서 'wh'로 표기가 변한 단어이다. 그러고서 같은 조건에서 /h/였든 /hw/였든 탈원순음화가 나타나 [h]로 되었는데 그 결과가 'who'[huː]의 음에 남아있다. 본래 'hw-'로 적던 'how'는 그 변화가 너무 일찍 일어났기 때문에 표기까지도 'h'로 굳어졌다.

그 뒤 빠르게는 1200년대, 늦게는 1700년대에 [ʍ]가 [w]로 변하여 'w'로 적는 단어들과 발음이 같아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wine–whine merger(⟨w⟩-⟨wh⟩ 합류)[5]라고 한다. 1700년대 말까지만 해도 [ʍ]가 정석이고 [w]는 속된 발음이라는 인식이 있었던 모양이다.[6] 오늘날에도 용인발음 화자 몇몇은 [ʍ]로 발음하곤 하나, 이는 그것이 올바르다는 인식 때문이지 자연스러운 발화에서 [ʍ]가 주도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7]

그 결과 오늘날에는 스코틀랜드아일랜드 일부 지방들을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 [w]로 읽는다.[8] 단, 사전적 처리는 사전/어휘마다 달라서 사전적으로 [h]가 들어있음을 인정하는 사전/단어도 있고 그렇지 않는 것도 있다. 같은 옥스퍼드 영한사전에서 what은 영/미를 가리지 않고 [w]로 나오지만 whisky는 미국식에서 [hw]로 나타난다. The Routledge Dictionary of Pronunciation for Current English 같은 책에서는 거의 모든 단어에 대해서 미국식 영어에서는 [h]가 첨가될 수 있다고 표기하고 있다.#

흔히 [ʍ]는 /hw/로 표기되지만 [ʍ]가 남아있는 일부 지방에서는 기식을 더 넣어 [hʍ]라고 하기도 한다. 일부 방언에서는 [f]로도 변했고 아일랜드어로는 whisky(위스키)를 fuisce로 적는다.[9]


3. 영어권 외의 지역에서[편집]


한국일본에서는 위 변화의 영향인지 표기 'h'에 이끌린 것인지 확실친 않지만 'wh'가 들어가는 단어들을 [hw] 계열로 적는 경향이 있다. 가령 옛날 영어 교재에서는 'what'의 발음을 '홛'으로 적어두곤 했다. 한국에서 이러한 표기를 적는 것은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의 영향이라는 설이 있다. 일본에서는 현재도 what을 표기할 때에 ホワット(Howatto)로 표기한다.

근래에는 '옛날 발음'이라는 인식은 있어서 [w]로 적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미 외래어로 굳어진 것들은 여전히 [h]가 들어간 표기로 남아있다. wheel(), whistle(휘슬), white(화이트), whipping cream(휘핑크림) 등. 듀엣 Wham!이 데뷔했을때 국내 일부 언론이 '홤!'으로 표기한 적이 있다.


4. 기타[편집]


영어에서 'hw'로 적던 단어들의 인도유럽조어 재구형 [\* kʷ\]는 로망스어에서 마찰음화가 일어나지 않았는지 주로 'qu'[k\]로 표기된다. 그래서 영어 의문사 'wh-'와 라틴어 의문사(그 외 프랑스어 등) 'qu-'의 대응이 나타난다.[10] 한편 독일어를 비롯한 대다수의 게르만어파 언어들에서는 영어보다도 몇 백년은 더 일찍 h가 탈락한 다음에 w가 유성 순치 마찰음 [v]로 변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독일어와 영어의 의문사 대응을 보면 was[vas], wer[ver] 이런 식. 북게르만어군에서는 hw가 hv로 바뀌었고, 스웨덴어는 1906년 철자법 개정으로 hv에서 h가 빠져 v가 되었다.

비슷하게 마찰음 계열에서 발음이 이동한 표기로는 어중의 ⟨gh⟩가 있다. 이 표기는 본래 연구개 마찰음 [x]를 적기 위한 것이었는데 이들은 대부분이 묵음으로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렸다. 그나마 음상이 유지된 경우 ⟨wh⟩의 일부 경우와 유사하게 [f]로 남아있다(laugh, tough 등).

패밀리 가이에서 브라이언 그리핀스튜이 그리핀의 [h]를 강조하는 ⟨wh⟩ 발음에 태클을 거는 장면이 있다고 한다.

영어의 의문사는 'how'를 제외하면 모두 'wh'로 시작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래서 영어에서 의문사를 'wh-word'라고도 부르며, 'w'로 시작하는 것이 5개, 'h'로 시작하는 것이 1개라고 '5w1h'(육하원칙)라고 부른다. 앞서 보았듯 'how' 역시 고형은 'hwo'였으나 고대 영어에서 이미 [h]로의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5. 다른 언어[편집]


마오리어에서는 [ɸ]를 나타내는 데 사용한다.[11] 현재는 영어의 영향으로 [f]로 발음하는 것이 대세가 되었다.

일본어 로마자 입력 방식에서는 'wha'와 'who'는 ウァ, ウォ로 나와 (wa), (wo)와 차이가 난다. 간혹 ウァ, ウォ를 입력해야 할 때가 있을 때 요긴하다. 단, 'whi', 'whu', 'whe'는 'h'가 있든 없든 동일하게 ウィ, ウ, ウェ로 나온다.[12]

한국에서 '화'의 로마자 표기는 'hwa'이지만 HANWHA(한화)에서처럼 'wha'를 쓸 때도 간혹 있다. 한국어에서 유성음 사이의 /ㅎ/가 약화되는 것을 바탕으로 [wa]를 의도한 'wha'를 쓴 것인지, 영어에서 ⟨wh⟩가 /hw/[ʍ]로 발음되었던 것을 바탕으로 /ㅎ/가 약화되지 않은 /hwa/[ʍa]를 의도한 'wha'를 쓴 것인지는 불명이지만 당연히 화를 의도해서 썼을거라고 생각하는게 타당하다. 당시 한국에서는 wh를 화를 대응할때 썼기 때문이다. ex> ewha 이화여대, earl k. whang 유진 초이의 모티브가 된 황기환 지사의 영어식 표기


6. 참고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6 16:22:04에 나무위키 wh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중문자 묶음을 표시할 때 ⟨ ⟩ 기호를 자주 쓴다.[2] 비슷하게 발음 변화가 큰 다중문자 ⟨gh⟩는 개별 문서는 있지만# 역사적 변천 문서가 따로 있지는 않다.[3] /hw/로 분석되는 경우도 있으며 사전에서도 'hw'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접근음이 무성음으로 나면 상대적으로 마찰음과 비슷해진다. 참고로 한국어의 //은 무성 성문 마찰음이다.[4] 해당 음성의 언어별 출현 양상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유틀란트 반도 덴마크어에서 'hv'가 이 소리가 나며, 이탈리아어 토스카나 방언에서는 'qu'가 이 음으로 날 때가 있다.[5] ⟨w⟩-⟨wh⟩가 최소대립쌍인 두 단어를 든 것이다. 발음 때문에 쓰인 말일 뿐 뜻은 중요하지 않지만, 'wine'은 알다시피 와인이고, 'whine'은 "칭얼거리다", "끼익끼익거리다"라는 뜻이다. 다만 Trap–bath split 같은 용어에서도 보듯 이러한 용어의 예로 꼭 최소대립쌍을 써야 하는 관례는 없는 듯하다.[6] 이와 유사하게 [h\]로 시작하는 단어에서 [h\]를 빼고 발음하는 것은 속되게 여겨졌다. 마이 페어 레이디에서도 남자 주인공이 여자 주인공에게 우선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h\]를 넣어서 발음하는 것이었다.[7] Wells, J.C., Accents of English, CUP 1982, pp. 228–229.[8] wh의 [ʍ\]발음은 RTE에서 자주 들을 수 있는 발음이다.[9] 재미있게도 영어 whisky 자체가 아일랜드어 uisce("")의 차용어인데 이후 해당 언어의 고향에서 다시 차용했다. 잉글랜드를 거쳐 다시 차용되는 과정에서 'f'가 덧붙은 셈이다.[10] 평행하게 유성음에서 영어-프랑스어의 [w\]-[g\]의 대응(war-guerre, William-Guillaume)도 유사한 대응으로 추측된다.[11] 같은 폴리네시아어군 언어 하와이어에는 해당 음소가 없어 동원어들은 대개 'h'[h\]로 대응된다. (whitu - hiku, "7"#)[12] 그밖에 わ행에 본래 있었던 옛 글자인 ゐ, ゑ를 입력하려면 wyi, wye로 입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