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독립촉성국민회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대통령기.svg 대한민국 여당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48.7.24.~1951.12.17.)

대한국민당
(1949.11~1951.12)

자유당
(1951.12.17.~1960.4.26.)


파일:대한독립촉성국민회 글씨.svg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영문명
National Association (NA)
창당일
1946년 2월 8일
해산일
1958년 8월
선행조직

[[독립촉성중앙협의회|
독립촉성중앙협의회
]]


[[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위원회|
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위원회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당색
파란색 (#1271B5)}}}
정치 이념
보수주의
반공주의
공화주의

1. 개요
2.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 선언문
3.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의원들의 이탈
4. 이후
4.1.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출신 제헌 국회의원
5. 출신 대통령
6. 출신 부통령
7. 역대 선거 결과
8. 관련 정치단체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독립촉성국민회(大韓獨立促成國民會)대한민국의 초대 여당이다. 1946년 2월 8일, 이승만독립촉성중앙협의회김구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위원회가 통합하여 출범하였으며, 촉성은 빨리 이룬다는 뜻이다.

신탁통치를 반대라는 공통의 목적으로 뭉친 대한독립촉성국민회는 독립촉성국민회, 국민회, 독촉국민회, 독촉, 대촉국 등의 약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당시 총재는 이승만, 부총재가 김구였다.

1946년 6월 29일 민족통일총본부로 재발족 하였다. 이후 김구, 김규식 등의 남북협상파는 제헌국회 총선에 불참하게 된다. 이후 대한독립촉성국민회는 독자적인 활동을 하게 된다. 이들은 이후 제헌국회에 참여하여 이승만이 대통령에 선출되는 과정, 남한 단독정부 수립, 제헌헌법 제정 등에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2.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 선언문[편집]


① 우리는 대한의 완전자주독립을 위하여 최후까지 싸울 것을 선언함.
② 우리의 운동은 정당·정파를 초월한 순연(純然)한 국민운동임을 선언함.
③ 우리는 남북과 좌우의 통합을 기하여 사상적으로나 지역으로나 통일완수를 위하여 사력을 다할 것을 선언함.


3.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의원들의 이탈[편집]


제헌 국회의원 선거 이후 1대 국회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의원들의 이탈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민주국민당
대한국민당(1949년)
일민구락부
무소속
의원직사퇴
납북
4
12
25
12
1
1
1

제헌국회 당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의 의원들은 4명을 제외하고 모두 정계개편 등의 이유로 인해 다른 당이나 무소속 등으로 이탈하였다. 제헌국회에서 최종적으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출신 의원들이 제일 많이 간 곳은 대한국민당(1949년)이었다. 모두 25명이 이동하여서 과반수에 해당하는 의원들이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민주국민당과 일민구락부로 소속을 변경한 국회의원도 각각 12명 이었다. 약 21.8% 정도의 의원들이 양당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납북, 무소속 등으로 당적이 이탈된 의원은 3명이었다. 일민구락부의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가장 많은 인원이 이동하였으나 다시 '대한국민당' 등으로 이동한 인원이 많아 결과적으로 12명의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출신 의원들을 보유하게 되었다.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제헌국회출신 의원 중 12명은 민주국민당(1949년)으로 이동한다. 수치상으로 67.27%의 의원이 민주국민당으로 이동한 것처럼 보이나 독촉출신 의원들 중 신정회, 대한노동당, 일민구락부 소속 의원 25명(1명은 조봉암)이 부활한 대한국민당(1949년)에 전부 합류했기 때문에 상당수의 의원들은 대한국민당(1949년)에 있었다. 그렇게 이동한 의원 중 일부분은 2대 국회에서 낙선하거나 무소속으로 변경되었다.


4. 이후[편집]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2년 지방선거, 1956년 지방선거에서 소수의 당선인들을 배출시키며 명맥을 유지해나가고 있었으나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원내 진출에 실패했다. 이후 자유당으로 흡수된 것으로 보인다.


4.1.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출신 제헌 국회의원[편집]


이름
지역구
소속 후 이동[1]
권병노
경상북도 의성군 을
일민구락부[2]
김경도
경상남도 함양군
일민구락부
김문평
전라남도 여수군 갑
민주국민당
김영기
경기도 안성군
무소속 > 대한국민당
김용재
전라남도 무안군 갑
신정회 > 대한국민당
김익기
경상북도 안동군 갑
민주국민당
김진구
강원도 삼척군
민주국민당
김철
경상북도 경주군 갑
일민구락부
김철수
충청남도 부여군 을
일민구락부
김태수
경상남도 창원군 갑
민주국민당
김효석
경상남도 합천군 을
한국전쟁납북
남궁현
충청남도 부여군 갑
신정회 > 대한국민당
민경식
경기도 용인군
민주국민당
박종환
경상북도 청도군
민주국민당
서성달
경기도 고양군 갑
민주국민당
성낙서
충청남도 대전부
무소속
손재학
충청남도 홍성군
대한노농당 > 대한국민당
송봉해
전라남도 해남군 갑
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송진백
충청남도 대덕군
신정회 > 대한국민당
송창식
경기도 이천군
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신광균
경기도 개풍군
일민구락부
신익희
경기도 광주군
잔존
신현돈
전라북도 무주군
잔존
오석주
전라남도 고흥군 갑
신정회 > 대한국민당
오택열
경상북도 영덕군
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원용균
강원도 횡성군
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유준상
전라북도 완주군 갑
대한노농당 > 대한국민당
유진홍
충청남도 논산군 갑
민주국민당
류홍렬
충청북도 제천군
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육홍균
경상북도 선산군
신정회 > 대한국민당
이남규
전라남도 목포부
잔존
이범교
경상북도 영천군 을
일민구락부
이병국
충청남도 천안군
잔존
이석
경상북도 경주군 을
일민구락부
이승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갑
1948년 7월 20일까지
이요한
전라북도 옥구군
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이원홍
경상남도 합천군 갑
민주국민당
이유선
경기도 부천군
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이의상
충청북도 음성군
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이종근
충청남도 청양군
신정회 > 대한국민당
이종순
강원도 춘성군
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이주형
경상남도 밀양군 갑
일민구락부
장병만
경상북도 칠곡군
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정구삼
충청북도 옥천군
일민구락부
정해준
전라북도 금산군
민주국민당
조봉암
경기도 인천부 을
대한국민당
조옥현
전라남도 순천군 을
대한노농당 > 대한국민당
조재면
전라남도 무안군 을
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조중현
경기도 장단군
신정회 > 대한국민당
진직현
전라북도 임실군
민주국민당
진헌식
충청남도 연기군
일민구락부 > 대한국민당
최규옥
강원도 춘천부
일민구락부
최헌길
강원도 강릉군 을
대한노농당 > 대한국민당
표현태
경상남도 거창군
일민구락부
한암회
경상북도 상주군 갑
일민구락부
홍순녕
제주도 북제주군 갑
민주국민당


5. 출신 대통령[편집]


대한민국 대통령
파일:대한민국 대통령 문장.svg

이름

임기
선출 방식
정당
취임일
퇴임일
1
파일:이승만_흑백 공식사진.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이승만
(1875 ~ 1965)
1
1948년 7월 24일[3]
1952년 8월 14일
1948년 대선
간선 92.3%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48 ~ 51)
자유당 (1951 ~ 60)
2
1952년 8월 15일
1956년 8월 14일
1952년 대선
직선 74.6%
3
1956년 8월 15일
1960년 4월 27일
1956년 대선
직선 70.0%


6. 출신 부통령[편집]


대한민국 부통령

이름

임기
선출 방식
정당
취임일
퇴임일
1
파일:external/img.nate.com/249945001.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이시영
(1868 ~ 1953)
1
1948년 7월 24일
1951년 5월 9일

1948년 부선
간선 67.51%
대한독립촉성국민회

7. 역대 선거 결과[편집]




8. 관련 정치단체[편집]


  • 제헌총선 전
  • 제헌국회 후
    • 3.1 구락부[4]
    • 이정회[5]
    • 일민구락부
    • 대한부인회
    • 대한여자국민당
    • 대한국민당


9. 관련 문서[편집]




10.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대한독립촉성국민회|파일:대한독립촉성국민회 글씨(흰색).png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948.7.~1951.12.)
[[자유당|]]
(1951.12.~1960.4.)
[[민주당(1955년)|]]
(1960.8.~1961.5.)
[[한국민주당|파일:한국민주당 글씨(흰색).png

한국민주당
]]
(1948.7.~1949.2.)
[[민주국민당|파일:민주국민당 글씨(검정).png

민주국민당
]]
(1949.2.~1949.11.)
대한국민당
]](1949.11.~1951.12.)
박정희 정부

전두환 정부

노태우 정부

[[민주공화당|]]
(1963.12.~1973.3.)
[[민주공화당|]]
(1973.3.~1979.10.)
[[민주정의당|]]
(1981.1.~1990.1.)
[[민주자유당|]]
(1990.1.~1992.9.)
파일:유신정우회_한글로고.svg
(1973.3.~1979.10.)
문민정부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민주자유당|]]
(1993.2.~1996.2.)
[[신한국당|]]
(1996.2.~1997.11.)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998.2.~2000.1.)
[[새천년민주당|]]
(2000.1.~2002.5.)
[[새천년민주당|]]
(2003.2.~2003.9.)
[[자유민주연합|]]
(1998.2.~2001.8.)
[[민주국민당(2000년)|]]
(2001.4.~2001.8.)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열린우리당|]]
(2004.5.~2007.2.)
[[한나라당|]]
(2008.2.~2012.2)
[[새누리당|]]
(2012.2.~2017.2.)
[[자유한국당|]]
(2017.2.~2017.3.)
문재인 정부

파일:대한민국 대통령 문장.svg

(2017.5.~2020.3.)

(2020.3.~2020.5.)

(2020.5.~현재)
[[더불어시민당|]]
(2020.3~2020.5)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 정당
대한제국 ~ 미군정
(1897 ~ 1948)


[ 펼치기 · 접기 ]

||<|4><bgcolor=#dcdcdc,#222> ||<|8><-2> 공산정당 ||<-7> 조선의 붕당 ||<|10><bgcolor=#dcdcdc,#222> ||
||<-5><bgcolor=#6a1309> 황국협회 ||<-2><bgcolor=#87ceed> 독립협회 ||
||<-7><bgcolor=#ffC87C> 신민회 ||
||<-7><bgcolor=#005ba6> 대한민국 임시정부 ||
||<|7><bgcolor=#fffff0>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3><bgcolor=#f02815> 의열단 ||<|3><bgcolor=#fff8dc> 조선혁명당 ||<|2><bgcolor=#00008b> 한국독립당 ||<-2><bgcolor=#00008b> 한국독립당 ||<-2><bgcolor=#f5deb3> 대한인국민회 ||
||<bgcolor=#f0fff0> 한국혁명당 ||<|2><bgcolor=#00008b> 한국독립당 ||<bgcolor=#90ee90> 대한인동지회 ||<bgcolor=#007dc2> 흥사단 ||
||<-2><bgcolor=#722F37> 신한독립당 ||<-2><bgcolor=#ffb6c1> 신간회 ||
||<-4><bgcolor=#ff8200> 민족혁명당 ||<|2><bgcolor=#80ff00> 한국국민당 ||<|2><bgcolor=#00ffff> 흥업구락부 ||<|2><bgcolor=#fff000> 수양동우회 ||
||<bgcolor=#90253f> 경성 콤그룹 ||<bgcolor=#ffbb00> 조선건국동맹 ||<bgcolor=#dc143c> 조선민족혁명당 ||<bgcolor=#ffdb58> 조선혁명당 ||<-2><bgcolor=#4c516d> 한국독립당 ||
||<bgcolor=#d82018> 전국평의회 ||<bgcolor=#da251d> 건국준비위원회 ||<bgcolor=#c9062a> 조선독립동맹 ||<|2><-4><bgcolor=#4c516d> 한국독립당 ||<|2><bgcolor=#0000ff> 독립촉성중앙협의회 ||<bgcolor=#7cfc00> 조선민족당 ||
||<bgcolor=#cc0000> 조선공산당 ||<bgcolor=#da460d> 조선인민당 ||<bgcolor=#c70125> 남조선신민당 ||<|4><bgcolor=#008000> 한국민주당 ||<colbgcolor=#f00000> 조선민주당 ||
||<|3><bgcolor=#353839> 독립노농당 ||<-3><bgcolor=#cc0000> 남조선로동당 ||<|3><bgcolor=#27176f> 대동청년단 ||<|3><bgcolor=#4f7fd4> 조선민족청년단 ||<|3><bgcolor=#ffffe0> 청년조선총동맹 ||<|3><-2><bgcolor=#1271b5> 대한독립촉성국민회 ||<|3><bgcolor=#FF0000> 서북청년회 ||
||<|2><bgcolor=#cc0000> 남조선로동당 ||<-2><bgcolor=#e31910> 사회노동당 ||
||<-2><bgcolor=#e31910> 근로인민당 ||
|| 진보정당 || 조선로동당 (남로당파) || 진보정당 || 조선로동당 (연안파) ||<-7> 보수정당 / 민주당계 / 진보정당 ||
}}}








[ 펼치기 · 접기 ]
구성
인사
여당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자유당
연립여당
한국민주당 · 민주국민당 · 대한국민당
정책 및 방향
경제개발 3개년 계획 · 의무교육 · 의무 복무 · 시장경제체제 · 지방자치제 · 한미상호방위조약 · 농지개혁법 · 국가보안법 · 이승만 라인 (평화선) · 한국외국어대학교 · 인하공과대학
평가
평가 · 긍정적 평가 · 부정적 평가
타임라인
1948년
반민족행위처벌법 통과 · 행정권 이양 · 제주 4.3 사건 · 여순사건 · 국가보안법 제정
1949년
반민특위 해산 · 해병대 창설 · 공군 창설 · 병역법 제정 · 징병검사 실시 · 국회 프락치 사건 · 백범 김구 암살 사건
1950년
6.25 전쟁 발발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유엔군 참전 · 한강 인도교 폭파 · 부산 수도 이전 · 인천 상륙작전 · 흥남 철수 · 한강 방어선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주문진항 해전 · 오산 전투 · 동락리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대전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안동전투 · 다부동 전투 · 흥남철수 · 보도연맹 학살사건 · 경산 코발트탄광 학살사건 ·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 선거법 제정 · 국민방위군 설치령 · 농지개혁 · 한국은행 발족 · 유네스코 가입
1951년
1.4 후퇴 · 거창 양민 학살사건 · 국민방위군 사건 · 한국조폐공사 설립 · 자유당 창당
1952년
제2대 대통령 선거 · 발췌 개헌 · 이승만 라인 (평화선) 선포 · 백마고지 전투
1953년
정전 협정 (휴전) ·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 국제시장 대화재 · 노동 3법 제정
1954년
사사오입 개헌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독도의용수비대 파견
1955년
단성사 저격 사건
1956년
제3대 대통령 선거 · 1956년 지방선거 · 장면 부통령 저격사건 · 한국증권거래소 발족
1957년
저작권법 제정 · 장충단집회 방해 사건 · 가짜 이강석 사건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 · 진보당 사건 · 농업협동조합 발족
1959년
제28보병사단 사단장 살인사건 · 조봉암 사형
1960년
제4대 대통령 선거 (3.15 부정선거) · 4.19 혁명 · 2.28 학생민주의거 · 고려대학교 4.18 학생 시위 · 김주열 최루탄 사건 · 장면 부통령 사퇴 · 이승만 대통령 하야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이승만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이승만 참고








''' 1946.12.12. ~ 1948.5.30.'''

[ 펼치기 · 접기 ]

17인 · 2인


13인 · 1인


4인 · 5인


0인 · 6인

민중동맹

0인 · 5인


0인 · 5인


0인 · 3인

사회민주당

0인 · 2인


0인 · 2인

인민위원회

2인 · 0인

기타정당

0인 · 6인

종교계

0인 · 5인

무소속

9인 · 3인

재적

90인(45인 · 45인)

좌측은 민선 (45인) 의석 수, 우측은 관선 (45인) 의석 수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민 · 5참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1948.5.31. ~ 1950.5.30.'''

[ 임기 개시 당시 정당별 의석 ]
연립 여당

55석


29석

야당

12석


6석


2석


11석

무소속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85석
재적
200석


[ 임기 종료 당시 교섭단체별 의석 ]
여당

71석

야당

63석


파일:일민구락부.png

29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13석
교섭단체 미상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12석


재적

188석

제국 중추원 · 임시의정원
제헌 · 2 · 3 · 4 · 5민 · 5참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1950.5.31. ~ 1954.5.30.'''

[ 임기 개시 당시 정당별 의석 ]
연립 여당

14석


24석

야당

24석


파일:대한청년단 글자.png

10석


3석


파일:일민구락부.png

3석


2석


4석

무소속

126석

재적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80009; font-size: .8em"
210석


[ 임기 종료 당시 교섭단체별 의석 ]
여당

파일:자유당 심볼(백색).png
[[파일:자유당 선거벽보 글씨.png

99석

야당

20석

비교섭단체

60석

재적

179석

제국 중추원 · 임시의정원
제헌 · 2 · 3 · 4 · 5민 · 5참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1954.5.31. ~ 1958.5.30.'''

[ 임기 개시 ]
여당

파일:자유당 심볼(백색).png
[[파일:자유당 선거벽보 글씨.png

114석

야당

15석


3석


3석

무소속

68석

재적

203석



[ 임기 종료 ]
여당

파일:자유당 심볼(백색).png
[[파일:자유당 선거벽보 글씨.png

131석

야당

파일:민주당(1955년) 상징.png
[[파일:민주당(1955년) 선거벽보 글씨(흰색).png

46석


파일:통일당(1957년) 글씨(흰색).png

1석

무소속

24석

재적

202석

제국 중추원 · 임시의정원
제헌 · 2 · 3 · 4 · 5민 · 5참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7:17:38에 나무위키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한민국 제1대 국회의원 목록[2] 일민구락부[3] 관보 및 초대 대통령 취임 기념 우표, 취임식 일자 기준.[4] 비한민당계 우파성향으로 이승만을 지지했던 무소속 국회의원들이 독촉계열 등과 뭉쳐서 만든 원내교섭단체로서 6.1구락부와 함께 제헌국회 거의 최초의 원내교섭단체라고 보면 된다.[5] 3.1 구락부의 실질적 후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