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구

최근 편집일시 :






파일:서대문구 CI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행정동
법정동
남가좌1동
남가좌동
남가좌2동
북가좌1동
북가좌동
북가좌2동
홍은1동
홍은동
홍은2동
홍제1동
홍제동
홍제2동
홍제3동
연희동

구청
연희동
북아현동
북아현동
충현동
북아현동
합동
미근동
충정로2가
충정로3가
신촌동
신촌동
봉원동
창천동
대신동
대현동
천연동
현저동
영천동
옥천동
천연동
냉천동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자치구

파일:서대문구 CI.svg
서대문구
西大門區
Seodaemun-gu






구청 소재지
연희로 248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하위 행정구역
14[1]
면적
17.63㎢
인구
305,623명[2]
인구밀도
17,334.94명/㎢
구청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성헌 (초선)
구의회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8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7석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3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석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우상호 (4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영호 (재선)
상징
구화
장미
구목
소나무
구조
까치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티스토리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1. 개요
1.1. 상징
2. 역사
2.1. 인구
3. 지역 특징
3.1. 대학교와 대학가(大學街)
3.2. 젊은이와 노인
4. 교통
4.1. 철도
4.1.1. 관내 철도 목록
4.2. 도로
5. 경제
6. 관광
7. 교육
8. 의료기관
9. 정치
10. 하위 행정구역
10.1. 충현동 - 甲
10.6. 홍제1동, 홍제2동, 홍제3동[3]
11. 기타
12. 사건사고
13. 출신 및 거주 인물
1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의 북서부에 위치한 자치구. 북쪽과 서쪽으로 은평구, 동쪽은 종로구중구, 남쪽은 마포구에 접한다.

구명(區名)[4]의 유래는 동대문구의 예와 같이 돈의문(서대문)이 위치했던 지역이라는 의미이나, 현재 서대문구에는 서대문이 없다. 일제강점기 시절인 1915년 경성부 내 전차 궤도를 깔기 위해 헐렸기 때문. 구 휘장에도 동대문구와 다르게 서대문이 아닌 독립문이 그려져 있다. 다만 서대문구가 설치된 1943년부터 1975년까지는 돈의문 터가 서대문구 관할 내에 있었다. 동대문구 역시 동대문이 종로구로 편입되었기 때문에 동・서대문구 모두에 동・서대문이 없는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시내버스의 권역 번호는 7번이며, 196~70년대에 서대문구에서 떨어져 나간 마포구/은평구 및 경기도 고양시/파주시와 공용한다.


1.1. 상징[편집]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의 휘장
파일:서대문구 CI.svg
2011년 4월 27일 ~ 현재
2011년 4월 27일부터 현재까지 사용중인 서대문구의 휘장이다.## 서대문의 대표적 상징물인 독립문을 표현 했으며 독립문을 둘러싸고 있는 둥근 2개의 타원은 구민들의 화합과 애향심을 상징한다. 독립문 위로 비치는 9개의 햇살은 발전하는 서대문구를 의미하며 녹색은 서대문구의 구색으로 쾌적한 환경을 상징한다.


2. 역사[편집]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성저십리 연희방, 반송방 지역이었고, 1910년 경성부 연희면이 되었다. 1914년 고양군에 편입되어 고양군 연희면이 되었다가, 1936년 경성부에 재편입되었다.

1943년 경성부 구제(區制) 실시로 설치된, 서울 최초의 7개 구 중 하나이다.[5]

1944년 서대문구의 일부를 마포구로 분리하였다. 1949년 고양군 은평면을 편입하고 은평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964년 노고산동·대현동의 일부가 마포구에 편입되고, 마포구 아현동 일부가 서대문구 북아현동에 편입되었다.

1975년 서울특별시 자치구 경계 조정에 따라 서대문구 관할이었던 구기동·평창동·무악동·교남동 등이 종로구에, 정동·서소문동·의주로동·충정로1가[6]·중림동·만리동 등이 중구에, 서대문구 상암동·성산동·연희동 일부[7] 등이 마포구에 편입되었다. 서대문이 있는 정동이 이 때 중구로 편입되어 서대문구에는 더이상 서대문이 존재하지 않게 된 것. 정동이 서대문구 관할이었을 때에는 서울특별시청 바로 앞(덕수궁 일대)까지 서대문구 관할이었다.[8]

1973년 고양군 신도면 진관내리, 진관외리, 구파발리가 은평출장소에 편입되었다.

1979년 서대문구 은평출장소가 은평구로 분리된 이후 오늘날에 이른다.


2.1. 인구[편집]


파일:서대문구 CI.svg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531,744명}}}
1970년 784,325명}}}
1975년 성산동·상암동·연희동(일부) → 마포구 편입
1975년 794,666명}}}
1979년 은평출장소(구 은평면 지역) → 은평구 승격 분리
1980년 417,854명}}}
1985년 402,945명}}}
1990년 385,476명}}}
1995년 367,318명}}}
2000년 367,380명}}}
2005년 349,163명}}}
2010년 324,541명}}}
2015년 312,141명}}}
2020년 312,173명}}}
2022년 4월 305,721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00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3. 지역 특징[편집]


파일:attachment/서대문구/MAP.jpg




서울특별시자치구들 중에서 면적이 좁은 편에 속한다. 대신 구의 곳곳에 (山)이 많다. 구의 한복판에는 안산(鞍山, 해당 항목의 2)이 있다. 안산은 무악이라고도 하며, 산 꼭대기에는 근래에 복원된 조선시대의 봉수대가 있다. 맑은 날에 동쪽을 바라보면 N서울타워63빌딩 등을 볼 수도 있다. 도시 한복판에 있으면서도 산세가 험하지 않아 인근 주민들이 많이 찾는다. 산기슭에는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절 봉원사 등이 있으며, 연세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 캠퍼스의 일부 또한 이 산에 걸쳐 있다.

바로 옆 구의 동쪽 경계(境界)에는 서울성곽의 서쪽 경계를 이루고 있는 인왕산(仁王山)이 있으며, 두 산 사이에는 무악재가 있다. 이 무악재를 가로질러 통일로(예전엔 의주로)가 놓여 있고, 그 아래로 서울 지하철 3호선이 지나고 있다. 무악재 아래에는 독립문서대문형무소역사관이 있으며, 이 일대는 독립공원으로 불리고 있다.

홍제천 건너 은평구와 접하는 구의 서쪽 경계에는 백련산(白蓮山)이 있다. 산 중턱에는 절 백련사가, 기슭에는 서대문문화회관[9]이 있다.

구의 북쪽 끝 홍은동에는 북한산아주 조금 걸쳐 있다. 이와 같이 산이 많기 때문에 구내 다른 지역으로의 이동이 매우 까다롭다. 대표적인 예가 홍제동에서 연희동이나 신촌갈 때.

홍제천이 구의 북부에서 남서부로 비스듬히 흘러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구간이 이 하천을 따라 지어진 내부순환로의 아래에 가려 있다. 안습. 그래도 물길을 따라 자전거도로가 놓여 있고 구청 근처의 절벽에는 인공폭포가 설치되어 있는 등, 훌륭한 공원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하천을 따라 내부순환로가 설치될 무렵부터 건천이 되었다가, 최근에는 청계천처럼 한강의 물을 끌어올려 흘려보내면서 다시 물이 흐르기 시작하였다.

구 서쪽에 흐르는 불광천이 북가좌동과 은평구 증산동의 경계 역할을 하며, 불광천변에도 물길을 따라 산책로와 체육시설, 자전거도로 등이 갖추어져 있다.

가좌역 부근에 가재울뉴타운이 추진되었으며, 3구역, 4구역 공사는 완료돼서 입주까지 완료되었고, 나머지도 2019년까지 완공되었다. 이외에 북아현뉴타운아현뉴타운아현역, 이대역 주변에서 진행 중이다.[10]

서대문구청은 연희동에 있다. 홍은동에 서대문등기소와 서대문문화회관이 있다. 연희동에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산하인 서대문도서관이 있고, 현저동에는 이진아기념도서관[11]이 있다.


3.1. 대학교와 대학가(大學街)[편집]


인지도가 높은 유명 대학들이 많이 위치해 있다. 세브란스병원으로도 유명한 연세대학교가 신촌동에 있고, 이화여자대학교가 대신동에 있다. 충정로동에는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가 위치해 있고, 남가좌동과 홍은동에 걸친 지역에는 명지대학교의 인문캠퍼스와 명지전문대학이, 냉천동에는 감리교신학대학교가, 북아현동에는 추계예술대학교가, 홍제동에는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서울여자간호대학교가 자리잡고 있다. 특히 연세대와 이화여대, 두 대학교의 근처에 있는 신촌이 대학가로서 서울의 주요한 부도심들 중의 하나로 성장하였다.[12]

서대문구 소재 대학들의 대부분은 개신교계 미션스쿨이라는 특징이 있다. 특히 4년제 종합대학은 경기대를 제외한 죄다 개신교계 미션스쿨이다.

행정구역상 마포구이긴 하지만 홍익대학교서강대학교도 바로 이웃에 있다. 동대문구, 성북구와 더불어 서울시내 대표 대학밀집지역. 서대문구의 유일한 백화점인 현대백화점 신촌점(구 그레이스백화점)도 여기에 있다.[13] 한편 한국에서 찾기 힘들다는 일본산 노래방 기계가 있어, 국내 오덕들에게는 성지와도 같은 곳이 되었다. (홍대거리 항목으로.)

전대협-한총련 존속시절 해당 지역 총학생회들은 서총련 산하 서부총련 소속이었다.


3.2. 젊은이와 노인[편집]


신촌 및 연대, 이대를 중심으로 젊은이들이 많이 들리고 있는 곳이면서 독립문을 중심으로 노인들이 많이 들리는 복합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 신촌 및 연대/이대만 가 봐도 젊은이들이 왕래하는 편이고 독립문이나 독립공원에는 노인들이 왕래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독립문 주변은 종로랑 다르게 토박이 어르신들이 주로 많이 보인다고 한다.

참고로 서대문구는 마포구, 종로구와 견주어서 3대째 살고 있는 서울 토박이 비율이 상당히 높은 지역이다. 토박이들이 상당히 많이 살고 있는 지역으로 구의 전체 인구 중 6% 정도가 토박이다.[14]


4. 교통[편집]



4.1. 철도[편집]


남쪽에는 경의선마포구와의 경계를 따라 지나며, 신촌 지역에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이 마찬가지로 마포구와의 경계를 따라 지나간다. 동쪽 끄트머리에는 서울 지하철 3호선이 통일로를 따라 지나고, 서쪽 끄트머리인 북가좌동에는 서울 지하철 6호선이 지나간다.[15] 한편 서울 지하철 2호선수도권 전철 5호선의 환승역이자 무지막지한 규모를 자랑하는 던전충정로역도 이 구에 있다.

경의선, 2호선, 3호선, 5호선, 6호선 등 궤도교통 노선이 많기는 한데 어째 다 구 끄트머리의 경계만을 지나가는지라 안쪽에 있는 연희동, 홍은동, 남가좌동은 철도 교통으로의 접근성이 극히 안 좋다. 실제로 이 지역은 서울시계 내에서 철도교통 접근성이 제일 나쁘기로는 동대문구 전농동[16], 장안동[17]과 함께 손에 꼽힐 정도다. 서대문구청도 이 라인 안에 있다. 이들 지역으로 가려면 홍제역(홍은동, 서대문구청, 연희동 방면), 새절역(홍은동, 명지전문대학, 명지대 인문캠퍼스 방면), 홍대입구역(경의선/공철 → 연희동 방면), 가좌역(남가좌동, 가재울뉴타운, 명지대 인문캠 방면)에서 환승해야 한다. 홍대입구역으로 가는 7612번이 시도 때도 없이 헬게이트가 기본이고, 홍제역에서 연희A지구로 가는 7738번에 시민들이 몰려 타는 게 바로 이런 이유다.

추후 서울 경전철 서부선이 지어지면 이 지역들의 교통 여건이 매우 좋아지겠지만 언제 지어질 지 모른다. 서울시는 2023년 착공을 목표로 한다고 한다. 2022년 현재 서울 경전철은 우이신설선신림선이 개통되었고, 동북선위례선이 공사 중이다.[18]


4.1.1. 관내 철도 목록[편집]


서대문구의 교통
서울 지하철 2호선
충정로역
서울 지하철 3호선
홍제역, 무악재역[19]
수도권 전철 5호선
충정로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선
가좌역, 신촌역(경의선)
용산선
가좌역


4.2. 도로[편집]






구의 주요한 도로망으로서 수색로·성산로, 통일로, 신촌로 등이 있다. 수색로·성산로통일로의 도로축은 고양시·파주시의 빨대로서 러시아워만 되면 헬게이트가 열린다. 신촌로는 외곽 방향으로 양화로와 접속하여 서울 서남부와 도심을 잇는 도로망의 역할을 한다. 세 도로축에 모두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어 있다. 모래내로와 연희로 등이 (상대적으로) 동서축인 세 도로를 남북으로 잇는 역할을 한다. 한편 홍제천을 따라 내부순환로가 지나간다.


5. 경제[편집]


나름대로 준수한 편이다. 그래도 서울에서 중상위권은 하며, 부자들이 제법 거주하기 때문에 별 문제는 없다.

서울이 으레 그렇듯이 서대문구도 3차 산업으로 먹고 사는 실정이다. 다만 관광명소 등의 각종 시설들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6. 관광[편집]


현저동에 독립문서대문형무소역사관이 있으며, 이들을 묶어 독립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이 독립공원 안에 설립될 예정이었으나, 광복회의 반발로 최종적으로는 성산(마포구 성산동 소재) 기슭에 세워졌다.

연희동 서대문구청 근처의 안산 산기슭에는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이 있다.[20]

안산(鞍山 해발 295.9m) 자락길은 봄에 벚꽃이 만발해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로도 많이 알려져 있다. 자작나무, 메타세콰이아 같은 숲들도 울창하게 들어서 있어 서울 시민이라면 한번쯤 꼭 가볼 만한 곳이다. 봉원동의 안산 산기슭에는 절 봉원사(奉元寺)가 있다.(7024번 종점) 이름 때문에 강남의 봉은사와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21]

연희동에는 6.25 전쟁의 격전지 중에 하나였던 104고지가 있으며, 기념비도 세워져 있다.


7. 교육[편집]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의 전문대학
명지전문대학
서울여자간호대학교


8. 의료기관[편집]


한국 최초의 근대식 의료기관인 광혜원/제중원을 기원으로 하는 세브란스병원(2,454병상)[22]이 신촌동에 있으며 이 병원은 국내에서 병상수로 서울아산병원 다음으로 큰 병원이다. 그 외 종합병원으로 홍은동에 동신병원(207병상)이 있다.

연희동(서대문구청 근처)에 서대문보건소가 있으며, 홍은동(홍은분소)과 옥천동(천연분소)에 분소를 두고 있다.


9. 정치[편집]



8회 지선 서대문구 개표 결과
서울특별시장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투표율
후보
송영길
오세훈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1,182
(41.99%)

81,312
(55.80%)

- 20,130
(▼13.82)

146,970
(54.08%)

충현동[A][B]
38.78%
59.26%
▼20.48
48.40
천연동
40.35%
57.14%
▼16.80
56.83
북아현동[C]
39.20%
58.55%
▼19.35
54.39
신촌동[D]
38.88%
57.55%
▼18.67
37.86
연희동
39.06%
58.09%
▼19.03
45.54
홍제1동
41.17%
56.70%
▼15.54
53.27
홍제2동
40.53%
57.56%
▼17.03
58.76
홍제3동
43.41%
54.84%
▼11.42
51.75
홍은1동
44.25%
53.80%
▼9.55
53.36
홍은2동
41.52%
56.31%
▼14.79
44.85
남가좌1동[E]
39.62%
58.74%
▼19.11
59.74
남가좌2동[*E ][F]
42.27%
55.80%
▼13.52
49.39
북가좌1동[*E ]
39.95%
58.59%
▼18.63
58.04
북가좌2동
44.85%
53.28%
▼8.43
48.15
후보
송영길
오세훈
격차

거소투표
34.72%
60.76%
▼26.04

관외사전투표
47.41%
49.93%
▼2.52

국회의원
선거구

송영길
오세훈
격차
투표율
서대문구 갑[G][23]
39.71%
57.82%
▼18.11
49.62

42.47%
55.69%
▼13.22
51.23
서대문구청장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투표율
후보
박운기
이성헌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7,750
(46.68%)

77,365
(53.31%)

- 9,615
(▼6.63)

146,967
(54.08%)

충현동[*A ][*B ]
41.04%
58.95%
▼17.90
48.39
천연동
43.85%
56.14%
▼12.29
56.77
북아현동[*C ]
42.71%
57.28%
▼14.57
54.02
신촌동[*D ]
45.20%
54.79%
▼9.59
37.86
연희동
44.18%
55.81%
▼11.63
45.50
홍제1동
44.55%
55.44%
▼10.89
53.21
홍제2동
42.90%
57.09%
▼14.19
58.61
홍제3동
48.18%
51.81%
▼3.63
51.42
홍은1동
49.21%
50.78%
▼1.57
53.41
홍은2동
46.55%
53.44%
▼6.88
44.81
남가좌1동[*E ]
44.40%
55.59%
▼11.19
59.60
남가좌2동[*E ][*F ]
47.54%
52.45%
▼4.92
49.22
북가좌1동[*E ]
44.62%
55.37%
▼10.76
57.97
북가좌2동
50.25%
49.74%
△0.51
48.10
후보
박운기
이성헌
격차

거소·선상투표
43.66%
56.33%
▼12.68

관외사전투표
53.50%
46.49%
△7.01


20대 대선 서대문구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이재명
윤석열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0,702
(48.33%)

98,924
(47.47%)

+ 1,778
(△0.85)

210,460
(78.05%)

충현동[*A ][*B ]
44.52%
51.25%
▼6.73
72.38
천연동
46.71%
49.70%
▼3.00
78.60
북아현동[*C ]
45.93%
50.14%
▼4.21
78.53
신촌동[*D ]
43.05%
51.64%
▼8.59
68.51
연희동[24]
44.26%
50.73%
▼6.47
71.94
홍제1동
47.41%
48.11%
▼0.71
74.88
홍제2동
46.82%
49.29%
▼2.47
80.91
홍제3동
50.60%
45.48%
△5.12
74.06
홍은1동
50.53%
45.69%
△4.85
76.34
홍은2동
50.44%
45.56%
△4.89
71.75
남가좌1동[*E ]
46.66%
49.70%
▼3.04
82.98
남가좌2동[*E ][*F ]
48.71%
47.40%
△1.31
76.59
북가좌1동[*E ]
47.01%
49.49%
▼2.48
81.28
북가좌2동
52.35%
43.76%
△8.60
72.16
후보
이재명
윤석열
격차

거소·선상투표
44.00%
51.42%
▼7.43

관외사전투표
51.30%
43.89%
△7.41

재외투표
60.99%
34.87%
△26.12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
윤석열
격차
투표율
서대문구 갑[*G ][25]
45.46%
50.13%
▼4.67
74.57

49.64%
46.54%
△3.10
75.88

21대 총선 서대문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서대문구 갑)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우상호
이성헌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7,980
(53.24%)

37,522
(41.64%)

+ 10,458
(△11.61)

91,096
(69.04%)

[ 펼치기 · 접기 ]
충현동[*A ][*B ]
50.61%
44.48%
△6.13
60.90
천연동
53.05%
43.31%
△9.74
70.60
북아현동[*C ]
52.49%
42.54%
△9.96
69.58
신촌동[*D ]
48.50%
42.98%
△5.52
58.43
연희동
51.47%
43.32%
△8.15
63.48
홍제1동
52.92%
42.99%
△9.93
68.42
홍제2동
52.41%
44.11%
△8.30
73.31
후보
우상호
이성헌
격차

거소·선상투표
59.33%
33.49%
△25.83

관외사전투표
62.02%
31.73%
△30.29

재외투표
65.25%
29.66%
△35.59


국회의원 선거 (서대문구 을)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김영호
송주범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8,328
(61.33%)

35,853
(37.69%)

+ 22,475
(△23.63)

96,528
(68.27%)

[ 펼치기 · 접기 ]
홍제3동
59.14%
39.81%
△19.33
65.24
홍은1동
59.04%
39.94%
△19.11
67.91
홍은2동
57.95%
40.90%
△17.05
61.70
남가좌1동[*E ]
61.18%
38.10%
△23.08
72.70
남가좌2동[*E ][*F ]
61.55%
37.54%
△24.00
67.16
북가좌1동[*E ]
60.28%
38.98%
△21.30
72.25
북가좌2동
62.21%
36.77%
△25.44
61.22
후보
김영호
송주범
격차

거소·선상투표
68.07%
30.12%
△37.95

관외사전투표
70.28%
28.52%
△41.77

재외투표
69.95%
29.55%
△40.39



비례대표 선거
정당





격차
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54,415
(30.19%)

61,798
(34.28%)

19,249
(10.67%)

15,072
(8.36%)

11,320
(6.28%)

- 7,383
(▼4.09)

187,656
(68.53%)

[ 펼치기 · 접기 ]
충현동[*A ][*B ]
33.05%
32.50%
9.44%
8.03%
5.49%
△0.54
60.90
천연동
32.34%
32.82%
10.23%
9.01%
6.35%
▼0.48
70.60
북아현동[*C ]
30.97%
33.10%
10.18%
9.90%
6.14%
▼2.13
69.58
신촌동[*D ]
31.64%
28.86%
11.15%
10.80%
4.90%
△2.78
58.43
연희동
33.12%
30.91%
10.72%
8.77%
6.00%
△2.21
63.48
홍제1동
31.87%
33.22%
10.49%
8.26%
6.11%
▼1.36
68.43
홍제2동
33.72%
32.01%
9.99%
7.79%
6.05%
△1.71
73.33
홍제3동
29.64%
37.45%
9.49%
7.68%
5.50%
▼7.81
65.24
홍은1동
30.60%
36.04%
9.94%
7.19%
6.26%
▼5.45
67.91
홍은2동
31.58%
34.39%
9.63%
7.28%
6.29%
▼2.80
61.72
남가좌1동[*E ]
30.43%
34.41%
11.11%
9.74%
6.62%
▼3.98
72.81
남가좌2동[*E ][*F ]
28.98%
34.64%
11.79%
8.67%
5.86%
▼5.66
67.21
북가좌1동[*E ]
30.18%
33.04%
11.16%
9.62%
6.69%
▼2.86
72.33
북가좌2동
28.44%
38.64%
9.77%
6.92%
5.26%
▼10.21
61.27
정당





격차

거소·선상투표
28.76%
34.24%
9.58%
6.57%
2.46%
▼5.48

관외사전투표
23.74%
37.38%
12.66%
7.75%
8.39%
▼13.65

재외투표
23.11%
37.33%
11.55%
4.88%
14.44%
▼14.22



국회의원 선거구는 소선거구제가 실시된 이래 꾸준히 갑과 을 두 개가 배정되어 있다. 젊은이(대학생), 노년층, 부유층, 서민층이 골고루 분포되어 있어 매 선거마다 양대 진영이 치열하게 부딪히는 지역 중 하나이다.

갑구는 부촌인 연희동과 젊은이들이 많은 신촌을 동시에 끼고 있다. 13대 총선 이후 8번의 총선에서 보수정당이 3번, 민주당계 정당이 5번 승리하였으나, 김상현이라는 거물 정치인의 영향력을 배제한다면 경합세라고 볼 수 있겠다. 또한 이 지역은 우상호 현 의원과 이성헌 전 의원의 6연전으로도 유명한 지역이다. 두 정치인은 16대 총선부터 내리 6번을 선거에서 부딪히고 있는데, 16대 총선, 18대 총선에서는 한나라당 이성헌 후보가 당선되었지만, 17대 총선, 19대 총선, 20대 총선, 21대 총선에서는 열린우리당 - 통합민주당 -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후보가 당선되었다. 그리고 이성헌 전 의원은 8기 지방선거에서 서대문구청장에 당선되면서 현역 의원과 현역 구청장으로 재회하게 되었다.

을구의 경우에도 비슷하다. 13대 총선부터 14대 총선까지 민주당 강경파 임춘원이 재선 국회의원을 했고, 15대 총선부터 16대 총선까지 새천년민주당 온건파 장재식이 지역구 재선 국회의원을 하였다. 17대 총선부터 19대 총선까지 보수성향의 정두언이 3선을 하다가 20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영호 후보에게 졌다. 대체적으로 갑구보다 민주당계 정당이 좀 유리한 면이 있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특이점이 있다면, 여성의당이화여대가 있는 신촌동에서 3.08%(257 / 8,336표)를 받았다는 점이다. 비례 후보가 겨우 4명에 아무런 기반이 없던 신생 원외정당이, 투표 시점에서 현역의원이 있었던 우리공화당, 민중당, 친박신당은 물론 원내교섭단체인 민생당(!!)까지 제치고 6위(!!!)를 차지했다. 신촌동 한정으로 원내 진입이 가능한 득표율을 올렸는데, 이대생 중 주소지를 옮기지 않은 학생들까지 고려하면, 20대 여대생 사이에서 얼마나 래디컬 페미니즘이 광범위하게 자리 잡은지를 알 수 있다.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는 대학이 많은 신촌동에서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58.5%)가 민주당 박영선 후보(34.3%)를 더블스코어 가까이 눌렀음을 물론, 서대문구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더불어 2등 박영선 후보와의 차이도 가장 큰 지역이 신촌동이었다. 1년 만에 젊은층 사이에서, 특히 2030 남성들 사이에서 반민주당 여론이 강해진 것을 신촌동만 봐도 알 수 있다.

2030 세대의 민주당 지지 이탈은 이듬해에도 이어졌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전년과 다르게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를 제쳤지만 그 격차는 1,778표(0.85%)에 불과해 1% 이내의 초접전이었다. 2010년대 내내 이어진 민주당 우세가 깨진 것은 물론이거니와, 4선 중진 우상호 의원이 있는 갑구에서는 7개동 모두 윤석열 후보가 승리하면서 체면을 구겼다. 더욱이 20대 1인 가구가 밀집한 신촌동에서 윤석열 후보가 51.6%로 과반을 차지해 재보궐에 이어 서대문구 최다 득표율을 기록하여 부촌이 밀집한 곳이자 윤석열 후보가 어린 시절 살았던 연희동보다도 표차를 벌렸다.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국회의원

서대문구 갑
서대문구 을
13대
강성모 (초선)
임춘원 (재선)
14대
김상현 (4선)
임춘원 (재선)
15대
김상현 (5선)
장재식 (재선)
16대
이성헌 (초선)
장재식 (3선)
17대
우상호 (초선)
정두언 (초선)
18대
이성헌 (재선)
정두언 (재선)
19대
우상호 (재선)
정두언 (3선)
20대
우상호 (3선)
김영호 (초선)
21대
우상호 (4선)
김영호 (재선)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청장
1기(95~98)
이정규 (초선)
2기(98~02)
이정규 (재선)
3기(02~06)
현동훈 (초선)
4기(06~10)
현동훈 (재선)[26]
5기(10~14)
문석진 (초선)
6기(14~18)
문석진 (재선)
7기(18~22)
문석진 (3선)
8기(22~26)
이성헌 (초선)


10. 하위 행정구역[편집]


파일:01-13-seodaemun-ko.svg.png
법정동 20개, 행정동 14개가 있다.


10.1. 충현동 - 甲[편집]


관할 법정동은 미근동·북아현동(일부)[27]·충정로2가·3가·합동이다. 인구는 20,178명.[P]

2008년 행정동 개편으로 북아현3동과 충정로동이 합병되었으며, 이 때문에 새 행정동의 지명은 '충정로'와 '북아현'에서 한 글자씩 따 와서 만들어졌다. 구 북아현3동과 충정로동의 소생활권이 다르기 때문에 두 지역을 잇는 마을버스 노선이 전혀 없다.

북아현동 지역에는 추계예술대학교, 추계초, 서울중앙여중고가 있고 그 주변으로 재개발이 예정되어 있다. 충정로역 동쪽의[28] 충정로, 미근동, 합동은 말이 서대문구지 사실상 사대문안의 종로구, 중구나 거의 마찬가지로 간주되는 지역으로,[29]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경기초, 인창중, 미동초, 구세군 빌딩, 종근당 사옥, 서울서대문경찰서, 대한민국 경찰청, 국민권익위원회, 주한프랑스대사관이 있다.


10.2. 천연동 - 甲[편집]


관할 법정동은 냉천동·영천동·옥천동·천연동·현저동이다. 인구는 16,951명.[P] 관내에 독립문서대문독립공원, 감리교신학대학교, 영천시장] 위치하며, 독립문사거리를 기점으로 통일로, 사직로, 성산로가 교차하는 지점이어서 교통량이 매우 많은 곳이자 종로의 관문이기도 하다.


10.3. 북아현동 - 甲[편집]


관할 법정동은 북아현동(일부)으로, 원래 마포구 아현동과 같은 동네였으나 신촌로를 기준으로 구가 갈리는 바람에 인위적으로 북아현으로 이름을 바꾼 사례이다. 기존에 북아현1,2,3동으로 분동되어 있었으나 2008년에 북아현1,2동이 합쳐져 북아현동이 되고, 북아현3동은 충정로동과 합쳐져 충현동을 구성하고 있다. 인구는 15,758명.[P]

아현역 북쪽(1,2번 출구 방향)에 위치한 북아현뉴타운 예정지이다. 이 곳에는 북성초, 한성, 중앙여중·고, 추계예대 등 학교가 의외로 많이 있으며 아현역 근처에 가구 판매 관련 점포들이 밀집한 북아현동 가구거리가 있다. 참고로 북아현동은 서대문구지만 길 건너 아현동은 마포구로 구 자체가 다른데, 조선 시대에는 한성부 서부 반송방 아현계(阿峴契)로 불리는 한 동네였으나, 1914년 고양군 연희면 아현북리 및 용강면 아현리로 나뉜 후 각각 서대문구와 마포구에 편입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옛날 옛적에 가뭄이 심하게 들어서 아이들이 많이 굶어죽었는데, 이 굶어죽은 아이들을 묻은 곳이라는 의미로 애오개[30]가 되었다는 식의 설이 구전되어 오지만 확실한 것은 아니며, 아현동에서 신촌 방향으로 가는 방향의 대현(大峴:큰 고개)[31] 보다 작은 고개가 있는 동네라 아현(兒峴) 즉 아기고개라고 불리다가 한자와 음이 변하여 아현(阿峴) 혹은 애오개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아현고가도로가 굴레방 다리라는 이름으로 자리잡고 있었으나 2014년 3월[32] 철거되었다. 철거된 자리는 차선으로 쓰이고 있으며 기둥 중 하나가 기념비처럼 세워져 있다.

의외로 북아현 재개발 3구역 뒤쪽으로 가면[33] 연희동 못지 않는 고급 단독주택이 밀집 되어있는 부촌이 있다.


10.4. 신촌동 - 甲[편집]


관할 법정동은 대신동·대현동·봉원동·신촌동·창천동이며, 신촌동은 동북쪽에 월경지가 있다. 2008년 행정동 개편으로 행정동 대신동과 창천동이 합병되어 신설되었다. 인구는 20,310명.[P] 세대당 인구수가 2022년 6월 기준 1.39명으로 손에 꼽을 정도로 적으며, 그만큼 대학생을 비롯한 1인 가구의 비중이 높다.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세브란스병원, 현대백화점 신촌점, 신촌역신촌 번화가가 여기에 속한다. 유동 인구가 엄청나게 많은 곳으로 손꼽히며, 이곳에 사는 사람들도 대부분 연세대 및 이화여대에 재학 중인 대학생이나 관련 업에 종사하는 주민들이다.


10.5. 연희동 - 甲[편집]


파일:서대문구청.jpg
서울 서대문구청사[34]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34,800명[P]으로 서대문구에서 인구가 가장 많다.

조선시대 이궁 가운데 하나였던 연희궁이 동명의 어원이다. 연세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가 인근에 위치하며. 한편 경내의 고급 주택지에는 교수, 선교사, 외국인들과 정치인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그래서 대표적인 고급주택 밀집 지역으로, 전두환, 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의 거주지이기도 하다. 그래서 대한민국 치안 최상급 동네 서태지도 연희동에 살았다. 또한 윤석열 대통령도 성장기 때 연희동에서 거주했다.

서대문구청이 이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구청 옆에 서대문구보건소가, 구청 뒷쪽 언덕배기에 서대문구의회와 서대문청소년센터가 있다.


10.6. 홍제1동, 홍제2동, 홍제3동[35][편집]


관할 법정동은 홍제동(일부)이다. 사실 홍제동 전체인데, 유진상가 건물만 행정동 홍은1동에 속해 있는 이상한 행정구역을 갖고 있다. 인구는 1동 23,406명, 2동 13,527명, 3동 17,714명.[P]

홍은동과 더불어 동쪽으로는 인왕산, 남쪽으로는 안산, 그리고 백련산, 북한산 자락에 둘러싸인 분지 지형에 속한다. 홍제천을 기준으로 북쪽이 홍은동, 홍제천 남쪽이 홍제동이 된다. [36] 1동은 통일로를 기준으로 남서쪽에, 2동과 3동은 북동쪽에 위치해 있다. 홍제역 북쪽이 3동, 남쪽이 2동.

홍제동이란 이름은 과거 이 지역에 존재했던 큰 국립 숙박시설인 홍제원(弘濟院)[37] 에서 유래한다. 홍제동 남쪽 현재의 독립문으로 향하는 고개가 바로 무악재인데 무악재는 서울과 개성, 평양, 의주 등을 연결하는 국도로 과거부터 매우 중요한 교통로였다. 이 고개를 지나는 통일로가 의주로로 불렸던 것이 바로 의주로 향하는 도로였기 때문이다.

거주 위주의 지역으로 무악재역부터 홍제역까지 이르는 역세권은 도로변을 따라 양 사이드로 아파트 단지들이 밀집해 있다. 신축보단 구축 아파트 위주이며 입지와 교통편이 좋은 지역이다. 광화문 및 종로, 시청으로의 접근성이 좋고 강남으로의 접근성도 괜찮은 편이다. 그러나 산이 많은 동네라 통일로와 지하철역에서 멀어져 안 쪽으로 들어갈수록 교통편이 좋지 않다. 곳곳에 재개발이 예정되어 있는 오래된 주택촌이 많다. 달동네로 유명한 개미마을도 이곳에 있다. 유진상가 건너편에 인왕시장이 있으며, 서울여자간호대학이 동의 북쪽에 위치한다. 이곳 역시 홍은동처럼 이름을 따온 홍제초 대신 홍은초가 있다.


10.7. 홍은1동, 홍은2동 - 乙[편집]


관할 법정동은 홍은동이며, 홍은1동은 법정동 홍제동(일부)도 관할하는데, 딱 유진상가 건물이다. 인구는 1동 22,734명, 2동 26,216명.[P]


10.8. 남가좌1동, 남가좌2동 - 乙[편집]


관할 법정동은 남가좌동이다. 인구는 1동 15,362명, 2동 29,626명.[P] 모래내로15길을 기준으로 남쪽이 1동, 북쪽이 2동이다.

구 서쪽에 위치한 동. 모래내시장,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연가초등학교, 가재울초등학교,연희중학교 등이 관내에 있다. 대부분의 구역이 가재울뉴타운으로 지정되었다.


10.9. 북가좌1동, 북가좌2동 - 乙[편집]


관할 법정동은 북가좌동이다. 인구는 1동 17,853명, 2동 31,188명.[P] 거북골로를 기준으로 남쪽이 1동, 북쪽이 2동이다.

구 최서단에 위치한 동으로 가재울중학교, 가재울고등학교, 서울북가좌초등학교가 있다.


11. 기타[편집]


2010 G20 서울 정상회의를 앞두고 관공서에서 세계가 지켜보고 있습니다, 음식 쓰레기를 자제해 주십시오라는 말도 안 되는 드립을 시전했다가 폭풍같이 까였다.

미용실은 명지대학교 인문캠 정문앞 이열헤어컷과 이가미방, 오모쿠가 유명하다. 이열헤어컷은 여자가 많이 가며 오모쿠는 남자가 많이 간다.

대중매체에서는 네이버 웹툰 베스트 도전만화우주n은하의 배경이 되는 동네이기도 하다.

2001년에는 홍제동 주택 화재 사고 당시 서울 서부소방서(현 은평소방서) 소속 소방공무원 6명이 한꺼번에 숨진 사건이 터지면서 소방공무원의 처우 개선 및 복지 증진 강화 대책이 필요하다는 누리꾼들의 의견도 있었으며, 이보다 7년 앞선 1994년에는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가 일어나는 등 서대문구에도 화재, 폭발을 필두로 대형 인명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드러난 것으로 나오게 될 정도이다. 따라서 소방공무원이 숨진 사건이 일어난 뒤 해당 이야기가 얼마 전 KBS 1TV인간극장에서도 뒤늦게 소개되었다.

2021년 서대문구의 사립 J여중-여고 배구부에서 감독이 수개월간 학생들을 상대로 성추행하여 구속되었다(10월 19일, 헤럴드경제 조범자).


12. 사건사고[편집]



13. 출신 및 거주 인물[편집]




14. 관련 문서[편집]







[1] 20개 법정동, 14개 행정동[2] 2022년 6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3] 홍제1동, 홍제2동 = 甲 / 홍제3동 = 乙[4] 구의 이름[5] 7개 자치구: 동대문구, 서대문구, 성동구, 영등포구, 용산구, 종로구, 중구.[6] 충정로역 근처인 충정로2·3가는 그대로 서대문구에 남았다.[7] 현재의 마포구 연남동이다.[8] 1975년 이전만 해도 서대문구의 관할 구역은 이후 독립한 은평구를 제외하고도 지금의 2배 이상 넓었다. 물론 동대문구, 관악구 일부 지역도 이 때 잘려나가 인접한 다른 구로 편입되었지만 다른 구와 비교해 보면 서대문구는 면적이 절반 가까이 줄어들어 가장 녋은 구역이 잘려 나갔다. 사실상 서울특별시 자치구 경계 조정의 최대 피해자.[9] 예전에는 YMCA가 운영/관리하는 서대문문화체육회관이었으나, 2012년에 서울시설공단으로 운영/관리 주체가 변경되고, 이름도 오늘날과 같이 바뀌었다.[10] 참고로 재개발 때문에 721번, 751번, 761번, 7613번, 7611번, 7713번이 동부센트레빌아파트 → 삼성래미안2차아파트, 북가좌삼호.가재울아이파크아파트 → 섬성래미안2차아파트로 바로 들어가는 길이 공사로 인해 통제되면서, 7611번은 동부센트레빌아파트 정류장을 경유하지 않고 따로 마련된 도로를 통해 삼성래미안2차아파트 정류장으로 향하며 7713번은 요진아파트쪽으로 가는 것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721, 751, 761, 7613번은 남가좌동새마을금고 정류장을 추가로 정차한뒤, 따로 마련된 도로를 통해 삼성래미안2차아파트 정류장으로 향한다. 근데 삼성래미안2차아파트 정류장을 연결해주기 위해 우회적으로 하여 공사현장 사이(...)를 지난다. 721, 751, 761, 7613번은 한 정거장 추가로 지나게 된 셈이고 7611번은 한 정거장 단축된 셈이다.[11] 유학 도중 교통사고로 숨진 딸을 기리기 위하여 한 독지가가 건립기금을 기부해 설립한 도서관이다. 도서관의 이름이 바로 이 유학생의 이름을 딴 것이다.[12] 유명 대학교들이 밀집해 있는 것도 신촌의 발전을 도왔지만, 교통의 발달도 이에 큰 역할을 하였다. 신촌로터리는 과거부터 서울 서북부 교통의 요지였으며, 서울 지하철 2호선이 개통하면서 교통이 더욱 편리해졌다. 지금도 신촌역이 있는 신촌로터리와 연세대학교 정문 앞의 성산로로 수많은 버스 노선들이 경유한다. 여기에 소위 Big 5 병원(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으로 불리는 세브란스병원 내원객도 많다.[13] 신촌시장 터 소재. 현대백화점 뒷 편에 있는 공원은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주변에 살던 어린이들의 놀이터이자 유치원들의 소풍 장소였는데, 어느 순간부터 가출 동성애자 청소년들의 서식지가 되어 현재 그곳에서 노는 어린이는 아무도 없다.[14] 마포구나 종로구 또한 서대문구와 인접해서 사실상 거기서 거기다.[15] 정확하게는 불광천 너머 은평구 증산동을 지나간다.[16] 크고 아름다운 청량리역이 있으나 끄트머리에 있다.[17] 장한평역이 있으나 또 끄트머리에 있다.[18] 실제로 3기 지하철 계획 중 서대문구를 관통하는 노선이 있다. 자세한 건 3기 지하철 계획 문서로.[19] 독립문역종로구 관할이다. 다만, 일부 출구는 현저동에 있고, 경계에 있다.[20] 어린 자녀들이 있는 가족들이 많이 찾는다.[21] 한때 유영철이 살인 후 사체를 유기한 장소로도 유명하였다.[22] 미국 북장로교에서 파견된 알렌 박사가 1885년에 설립하였다. (출처: 위키백과 한국어판 "광혜원" 항목) 1899년부터 "세브란스" 명칭이 해당 병원/의료교육기관에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1955년에 연희전문학교와 통합하여, 연세대학교 의료원으로 개칭되었다. 그러나 역사가 오랜 세브란스병원 명칭이 널리 쓰이고 있다.[A] 법정동 정로동 + 북아[B] 경기대학교가 있는 동네[C] 북아현뉴타운이 있는 동네[D]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가 있는 동네[E] 가재울뉴타운이 있는 동네[F] 명지대학교가 있는 동네[G] 충현동, 천연동, 북아현동, 신촌동, 연희동, 홍제1동, 홍제2동[23] 지역구 국회의원 :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4선)[24]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고향이다.[25] 지역구 국회의원 :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4선)[26] 10.3.30. 구청장직 사퇴. 잔여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27] 구 북아현3동[P] A B C D E F G H I 2022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28] 지도를 볼 때 삼각형 모양의 서대문구에서 동남쪽의 꼭지점이 부분으로서 충정로(5호선)-서소문로(2호선)-통일로로 둘러싸인 작은 삼각형이다.[29] 국번도 도심 국번을 쓴다고 한다.[30] 이 이름을 딴 5호선 애오개역이 역 터 남쪽에 있다.[31] 신촌동 항목으로. 원래 대현동이라고 동이 따로 있었다[32] 2014년 2월 6일부터 차량통행이 금지됨, 2014년 11월 아현-충정로 구간 중앙차로 개통.[33] 구 북아현3동[34] 건물 연식이 적어보이지만 사실은 리모델링의 결과물. 건물 자체는 1977년에 지어진 것이다.[35] 홍제1동, 홍제2동 = 甲 / 홍제3동 = 乙[36] 홍은동은 옛 홍제외리, 홍제동은 옛 홍제내리이다[37] 중국 사신이 한양성내로 들어오기 전에 이 곳에 머물러 옷을 갈아입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