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방송

덤프버전 :




종합유선방송
[ 펼치기 · 접기 ]
파일:lghellovisionlogo.jpg
파일:주석 2019-03-24 173629.png
파일:dlive_logo_01.png
파일:hcn_logo.gif
파일:attachment/CMB/ci_cmb.png
파일:external/img.iscs.co.kr/scs_logo.gif
파일:external/www.gcs.co.kr/logo.gif
파일:아름방송 로고.jpg
파일:ccs_logo.png
파일:external/www.jcntv.co.kr/top_logo.jpg
파일:NIB_logo.png
파일:금강방송 로고.jpg
파일:external/www.kctv.co.kr/logo.gif
파일:kctv-blue.png




파일:아름방송_투명화.png
정식명칭
주식회사 아름방송네트워크
본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343번길 14 (정자1동 23-3번지)
설립일
1997년 7월 21일
업종명
종합유선방송업과 인터넷사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기업규모
중소기업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비판
2.1. SBS 계열채널 아날로그 송출중단 사건
2.2. 서비스/인력 문제
2.3. 인터넷 속도 문제
2.4. OGN의 송출 중단
2.5. SPOTV의 송출 중단
3. LG U+로의 인수설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경기도 성남시를 방송권역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사업자. 본사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343번길 14 (정자1동 23-3번지)에 위치해 있다. 그 외에 판교테크노밸리에 가면 ABN 사옥이 한채 더 있는데, 이 쪽은 방송국 기능과 큰 상관이 없이 대부분 임대사무실들이 들어와있고 이에 따라 본래 목적대신 임대업 장사를 한다며 경기도로부터 퇴출명령 고소미를 먹은 상태.# 자세한 사항은 판교테크노밸리 사건사고 부분 참고.

지금의 케이블(종합유선)방송으로 개국한 시기는 1997년의 일이지만, 원래는 난시청 해소를 위해 1979년 중계유선방송으로 설립한 성남유선방송 시절까지 포함하면 거의 40년 이상 방송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원래 이름은 한국케이블TV 성남방송이었고, 2001년 4월 이름을 아름방송네트워크로 변경했다.

요즘에는 대기업 소유의 MSO들이 늘어가고 있지만, 여기는 성남시라는 지역적 특성의 영향을 받아서인지 대기업과 합병 없이 개별SO로 운영되고 있다. 단, 디지털 케이블은 CJ헬로비전(현 LG헬로비전)와 연계되어 있다.

성남시에서는 슈퍼 을인 것 같다. 아름방송은 케이블방송을 목적으로 KT의 관로 설비를 빌렸는데, 2003년 8월 이걸 방송 외에도 케이블인터넷용으로 사용해서 단숨에 가입자 6만여명을 확보해가니까 KT가 소송을 시전하셨으나, 아름방송은 결국 소송에서 졌다.

성남시에 본사가 있는 KT의 멋진 한판승처럼 보였지만, 2005년 아름방송은 300억원을 들여 성남시에 자체적으로 관로를 까는 승부수를 띄웠고 10개월만에 총 250km를 깔았다.

2006년에는 8월 25일 계약 만료를 이유로 방송 구역 내 일부 아파트 단지에 대해 공시청 시설의 원상복구 없이 임의로 방송 송출을 16시간 동안이나 중단하여 방송위원회가 시정명령을 의결했다. #

평일 생방송으로 3차례 지역뉴스를 전하고, 전화 노래자랑, 콘서트, 예전에는 동요 경연 프로그램도 방송하는 등 지역채널 자체 프로그램도 많이 제작하고 기부도 많이 해서 꽤 개념있는 운영을 하는 것 같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며 전국 어디서나 시청가능하다. 성남시 국회의원 토론회와 지방자치 단체장 토론회를 이 방송국에서 주관한다.

송출 전문사인 센트럴넷 등 다양한 계열사를 가지고 있지만 사실상 별도 법인으로 발촉하여 운영되고 있다. 회사마다 이름도 있고 주식회사를 표방하지만 실제로는 상장도 안한 그냥 아름방송 계열사다.

2016년 경부터 관내 아날로그 케이블 회선을 디지털 8VSB 방식으로 교체하고 있다. 기존 케이블 보급형 (월 5,500원)을 가입해 있으면 자동으로 전환해주는 듯. 별도 셋톱박스없이 케이블 채널도 HD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동네에 설치가 됐다고 문자가 오면 HDTV의 채널검색을 돌려보면 검색이 된다. 단, EPG는 지상파를 제외하고 지원되지 않으니 참고.[1] 2019년 3월, 성남의 모든 지역에 8VSB 설치를 완료하면서 아날로그 방송 종료를 공지했다.#

2. 비판[편집]



2.1. SBS 계열채널 아날로그 송출중단 사건[편집]


2011년 12월 신규 개국한 종합편성채널(JTBC/TV조선/채널A)과 종편으로 전환된 기존 보도채널(MBN)을 의무적으로 편성해서 70여개 이상의 채널을 구성해야하니 지상파 계열 중 SBS CNBC를 비롯한 '인기없는' 채널들을 배제하고, SBS Plus, MBC 드라마넷, KBS joy를 뒷번호로 밀어버렸다.

그러나 SBSKBS, MBC의 PP들은 "아날로그에 3개 채널대역이 추가되면서 종편 채널을 배정해도 1개만 부족하니 3개씩이나 뺄 이유가 없다. 1년 단위의 계약 중간에 채널을 빼면 계약을 유지하기 어려우니까 원상복구되지 못하면 2011년 12월 31일 이후로 계열 채널 모두 계약을 끊어버리겠다"고 했다.

당시 아름방송은 "시청자에 대한 변경 고지가 필요하다"고 계약이 끝난 2011년 12월 말 이후에도 지상파의 나머지 인기 채널들을 계속 송출했고, 결국 지상파 계열들은 법정관리를 시전하며 나머지 인기 채널들도 송출을 중단하라고 했다.

결국 2012년 2월 13일 0시를 기해 SBS 계열 채널들이 아날로그 상품에서 모두 송출 중단됐고, 지금도 아름방송을 이용하는 성남시 시청자들은 PGA, EPL 등의 중계를 TV로 시청하지 못하고 있다. 웃긴건 계약과 관련된 건이기 때문에 디지털 상품에서도 빠질거같은데 비싼 상품에서 잘만 나온다! 이는 아름방송이 LG헬로비전의 디지털 대역을 이용하고 있음에 기인하는 듯. SBS 측에서는 당연히 디지털에서 송출하는 것도 불법이라고 따지고 있었다. 그런데...

2015년 7월 28일부터 단행된 정기채널개편에서 아날로그채널에 SBS 계열 채널들이 모두 입성했다. 근 3년 5개월여만에 파국이 마무리된 상태. 따라서 해당사항은 흑역사로 봐야 한다. 그래서 갈등도 역시 해소되었으니 흑역사 같은 존재였던 것이 ABN 아름방송의 SBS 송출 중단 사태를 3년 반 넘게 지속되던 것으로 보인다.[2]


2.2. 서비스/인력 문제[편집]


회선 문제와 서버 문제 그리고 기존 비대칭 케이블을 이용한 동축케이블의 한계로 접속자가 늘어나는 오후 10시 정도 되면 온라인 게임 기준으로 핑이 펑펑 터져나가는데, 대체로 주민들은 '동네 인터넷이 다 그렇지 뭐' 라는 반응을 보인다.
매출이 줄어든다고 기술직원 감축하고 벌만큼 벌었으니 팔아 넘기려다 딜 실패도 원인중 하나 체념한게지


2.3. 인터넷 속도 문제[편집]


문제가 많다.
기본적으로 돈을 많이 들이든 안 들이든 인터넷 속도는 4Mbps를 못 넘기며, 심지어 업로드 속도는 1Mbps를 넘지 못한다...
몇년 전부터 바뀐 게 없는, 느려터지고 쓸모없는 인터넷이란 인식이 박혀있으며, 여기는 인터넷으로 돈을 버는 게 아닌 위약금 해지금으로 돈을 번다는 도시전설이 있을 정도다.
고로 여러분들은 아름방송을 거들떠보지도 말고 다른 인터넷 회사를 알아보시는 게 좋습니다.

저녁 시간대의 게임 핑은 최대 1,000~ 3,000까지 올라가기도 하는 미친 인터넷을 보여준다.
하다못해 차라리 핸드폰의 인터넷을 테더링으로 쓰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2.4. OGN의 송출 중단[편집]


한동안 송출이 중단되어 큰 불만을 가져왔던 SBS 스포츠가 부활한 반면 온게임넷의 아날로그 송출이 2015년 7월 28일 자로 중단되어 버렸다. 송출이 중지된 채널은 비단 OGN 뿐만 아니라, 채널차이나의 전신인 홈스토리[3], 온스타일, ETN 등 일부 채널도 해지되는 등 최악의 국면도 존재하고 있다. OGN을 복구시킬려면 8VSB로 갈아타야 하는 것이 있으나, 활용도 역시 엄청 불편하거든.

현재 8VSB를 이용하는 HD 알뜰 보급형에서는 바로 위에 언급되었던 CNTV, 채널차이나, 온스타일, ETN 채널을 지원한다. 정작 문제는 OGN은 아직 지원목록에 없다.


2.5. SPOTV의 송출 중단[편집]


에이클라엔터테인먼트 계열사인 SPOTV, SPOTV2, SPOTV PLUS, SPOTV GAMES 4개 채널이 2020. 4. 22. 송출 종료되면서, KBO 리그 중계 40%와 한국프로농구 중계 전부, 그리고 손흥민 출전 경기를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으며, 2021년 이후부터는 MLB 중계도 볼 수 없게 되었다. 또한 2023년에는 e스포츠 종목을 포함한 항저우 아시안게임 일부 경기를 볼 수 없게 되었다. 스카이라이프나 IPTV로 갈아타거나 SPOTV NOW 앱을 이용해야 할 수도 아니면 LG헬로비전이 인수해서 송출재개되길 기다려야 할듯


3. LG U+로의 인수설[편집]


CJ헬로 인수를 성공적으로 성사시킨 LG U+가 이번에는 아름방송 인수를 타진 중이라고 하는 소식이 전해졌다.# SK브로드밴드가 케이블 권역 중 딜라이브 권역[4]과 중복되는 지역을 선정하여 부분 인수한다는 설이 제기되자 유료방송 점유율 경쟁에서 패하지 않기 위해서 아름방송을 인수한다는 설이 제기된 것으로 보인다.

역시나 이번에도 관건은 매각 가격이라고 한다. 아름방송 측에서는 고액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LG U+ 본사 차원에서 직접 인수에 나설지, 자회사 LG헬로비전을 통해 인수를 진행하는 것일지도 주목이 되고 있다.[5]


4.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8:15:12에 나무위키 아름방송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후술하다시피, 대한민국의 EPG 자체가 8VSB 방식의 케이블방송 정보면이 매우 부실하다.[2] 그러나 SBS 바이아컴 소유의 SBS MTV, 니켈로디언(Nickelodeon)은 원래부터 ABN에 송출하지 않는 채널로 봐야 한다.[3] 홈스토리는 채널차이나로 채널명이 변경되었다.[4] 노원구, 종로구, 서대문구 등.[5] 본사에서 직접 인수에 나서게 되면 산하에 케이블 방송사 2사를 배치하게 되는 실정이라 LG U+ 당국의 계책이 복잡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