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키스탄군

덤프버전 :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 아시아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 유럽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 아메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 아프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우즈베키스탄 공화국군
Oʻzbekiston Respublikasi Qurolli Kuchlari
Armed Forces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파일:우즈베키스탄군기(라틴문자).svg
국가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
소속
우즈베키스탄 국방부
상비군
31,000명
준군사조직
17,000명
예비군

병역제도
징병제
[ 펼치기 · 접기 ]
육군력
2세대 전차
340대[1]
장갑차(APCs/IFVs)
1,365대
자주포
137문
대전차포
36문
견인포
290문
박격포
210문
방공포
601문
MLRS
108대
전략미사일
5대
공군력
전투기
67기
훈련기
14기
수송기
45기
헬리콥터
130기
지대공 미사일
130~150문
방공포
600문

예산
국방비 종합
-
우즈벡군 국방부 홈페이지
우즈벡군 유튜브

1. 개요
2. 수뇌부
3. 육군
4. 공군
5. 여담



1. 개요[편집]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 구 소련군 투르키스탄 군관구를 기반으로 건설된 우즈베키스탄의 군대이다. 육군과 항공-방공군(공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치안유지활동에 투입되기도 하고 육군의 규모가 크다.

독립후 다른 CIS국가와 비슷하게 러시아인 장교들이 많았고, 이후 자체적으로 장교를 양성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영내에 구 소련군 시절의 사관학교가 3개나 위치하고 있어서 자체적으로 장교를 양성할 기초 기반이 마련되어 있었고[1], 1994년 합동군사대학교를 설립하였다.

징병제로 운영하며 징병제임에도 불구하고 군복무가 엉망이다. 돈이 있으면 1달만 복무할 수 있고 돈이 없으면 1년을 복무한다고 한다.

약 7920만 솜을[2] 지불해야 군복무를 1달 하고 나올 수 있다고 한다. 소련군의 영향을 받아서 구타 및 가혹행위와 같은 병영부조리가 말도 못 하게 심하다고 한다. 1년 군복무하다가 죽는 경우가 부지기수라고 할 정도라는 이야기가 있다. 특히 돈 없이 1년 복무하는 병력들이 많이 죽어나간다고 한다. 다민족국가다 보니 우즈벡인이 아니더라도 가야 하는데 우즈베크어를 못 하면 가혹행위 대상자라고 한다.


2. 수뇌부[편집]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통수권자
국방장관
총참모장
파일:Shavkat Mirziyoyev  1.jpg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대통령
바호디르 쿠바노프 (육)중장
수크라트 콜무하메도프 (육)소장
우즈베키스탄 육군 총사령관
우즈베키스탄 항공 및 방공군 총사령관


불명
아크메드 부르하노프 소장


3. 육군[편집]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529-60548.jpg
우즈베키스탄 육군은 대부분 구 소련군 육군 부대들을 주축으로 창설되었다. 초창기 우즈베키스탄 육군은 장교단의 대다수는 러시아인, 사병의 상당수는 우즈베크인들로 구성되었고, 이후에 러시아인의 군복무를 불허하면서 러시아인 장교들이 해임되고 우즈베크인으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1997년 미국의 CENTRASBAT 프로그램으로 미국,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과 합동훈련을 진행했고, 미군은 우즈베키스탄 육군에 500만 달러를 투자하였다. 2003년 우즈베키스탄 국방부는 복무기간을 18개월에서 12개월로 낮추고 사관학교 출신의 복무기간은 9개월로 조정하였다.

총 병력은 24,500명이며 독재국가라서 군대가 학살이나 전쟁범죄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총 5개 군관구를 운영하고 있으며 6개 차량화 소총병여단, 1개 전차연대, 1개 공병여단, 1개 공수여단, 1개 특수전 여단, 3개 포병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장은 주로 T55, T62, T72와 같은 구 소련제 기갑차량과 장비들을 대거 사용하고 있다.


4. 공군[편집]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현대 우즈베키스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우즈베키스탄 공화국군 (1992~현재)
O'zbekiston Respublikasi Qurolli Kuchlari

회전익기
'''[[무장헬기|

경헬기
]]'''
AS550 C3 페넥
'''

다목적 헬기
'''
AS532UL 쿠거 | AS332 슈퍼 퓨마 | Mi-8MT
수송헬기
Mi-6R
공격헬기
Mi-35M | Mi-24P
'''[[전투기|

전투기
]]'''
'''[[3세대 전투기|

3세대
]]'''
MiG-23MLR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Su-27(S/UB) | MiG-29(A/UB)
공격기
Su-25BM | Su-17(M/M3)R
'''[[정찰기|

정찰기
]]'''
특수
An-26RKR 핵물질 탐지기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295W | An-26
전술
An-12B
전략
Il-76MD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MAV
로친 M
클래스 1 - 소형
로친 D-341
'''

UCAV
'''
클래스 3 - MALE급
윙룽 I
'''

지원기
'''
전자전기
An-12PP
'''[[훈련기|

훈련기
]]'''
제트
L-39C 알바트로스 | Su-25UB
헬기
EC130T2
VIP 탑승기
B787-8 | B767-33P (ER) | A320-214 | ACJ319-153N | Tu-154B | Tu-134AK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Air_defence_and_Air_force_and_of_Uzbekistan.jpg
우즈베키스탄 공군도 육군과 비슷하게 구 소련군 투르키스탄 군관구 소속 제49항공군의 일부를 모태로 창설했다. 1994년 우즈베키스탄과 러시아간에 조종사 훈련 협정을 체결하여 우즈베키스탄 공군은 러시아 항공우주군의 지원을 받고 있다. 영토내에 13개의 공군기지가 존재하며 구 소련의 교리를 따라 육군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1992년 타지키스탄 내전 당시에는 타지키스탄 정부군을 지원하였고, 타지키스탄 반군의 마지막 거점을 우즈베키스탄 공군이 파괴하였다고 한다. 2015년 대한민국에 우즈벡 국방부장관과 공군사령관이 직접 방문하여 Su-25를 대체할 FA-50 세편대의 도입을 강하게 희망했고 이에 KAI한국 공군에서도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하며 몇년뒤 우즈벡 대통령이 공식방한 할 때 계약을 진행하려고 했지만, 미국의 반대로 성사되지 못했다. 2021년 8월 탈레반에게 장악당한 아프가니스탄 공군 소속의 EMB 314 슈퍼 투카노기와 세스나 208기가 우즈베키스탄으로 도주했으며, 테르메스 공항에서 목격되었으나 이후 상태는 알려지지 않았다. 총 병력은 7,500명으로 주요 구성은 Su-27/Su-24/MiG-29 등으로 무장해 있다.

  • 제60혼합항공여단
  • 독립혼성항공연대
  • 독립혼성항공대대
  • 제65헬기연대
  • 제66독립헬기연대
  • 제12대공로켓여단
  • 무선기술여단


5. 여담[편집]


우즈벡인의 증언에 의하면 해군이 있다는 말이 있으나, 국경수비대를 오인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별도로 준군사조직으로 국경수비대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그쪽의 담당을 해군으로 오인했을 가능성이 크다.

영문 위키백과에 관련 자료들이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4:26:50에 나무위키 우즈베키스탄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우즈베크어 군사 어휘의 부족 등의 이유로 러시아어가 주요 군사언어로 사용되었다.[2] 환율로 대략 880만 원.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