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지바르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건담 시리즈의 함선에 대한 내용은 잔지바르급 기동순양함 문서
잔지바르급 기동순양함번 문단을
잔지바르급 기동순양함#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지구 아이콘_Black.svg 세계의 섬

[ 펼치기 · 접기 ]

*: 제도나 열도, 섬의 일부만 점유하거나 통제하고 있는 경우
  

1: 범주 내에서 면적이 가장 큰 섬이나 제도

동아시아
제주도1 · 거제도 · 진도 · 강화도 · 남해도 · 영종도 · 안면도 · 완도 · 울릉도 · 돌산도 · 거금도 · 창선도 · 자은도 · 압해도 · 교동도 · 고금도 · 임자도 · 백령도 · 용호도 · 비금도 · 도초도 · 석모도 · 청산도 · 보길도 · 암태도 · 신지도 · 금호도 · 나로도 · 장산도 · 노화도 · 영흥도 · 가덕도 · 덕적도 · 하의도 · 흑산도 · 한산도 · 욕지도 · 독도 · 백마도 · 선유도 · 밤섬 · 여의도 · 노들섬 · 서래섬 · 당정섬 · 남이섬 · 영도 · 붕어섬 · 금구도 · 대부도 · 제부도 · 풍도 · 국화도 · 격렬비열도 · 저도 · 오륙도 · 조약도 · 생일도 · 여서도 · 소록도 · 사량도 · 소매물도 · 좌사리제도 · 칠천도 · 오동도 · 지심도 · 외도 · 망산도 · 을숙도 · 추자도 · 차귀도 · 비양도 · 범섬 · 우도 · 고군산군도 · 어청도 · 십이동파도 · 금란도 · 대청도 · 가의도 · 실미도 · 팔미도 · 운염도 · 안마 군도 · 굴업도 · 자월도 · 신시모도 · 관매도 · 여자도 · 해금강 · 대저도 · 눌차도 · 둔치도 · 고파도 · 외연도 · 우무도 · 원산도 · 유부도 · 녹도 · 삽시도 · 덕도 · 동백섬 · 맥도 · 명지도 · 중사도 · 진우도 · 다려도 · 가파도 · 마라도 · 사수도 · 토끼섬 · 형제섬 · 노랑섬 · 대무의도 · 매도랑 · 물치도 · 볼음도 · 증도 · 관매도 · 거문도 · 가우도 · 가거도 · 고이도 · 금오도 · 노력도 · 눌옥도 · 도초도 · 모황도 · 비금도 · 삼학도 · 소안도 · 영산도 · 우이도 · 지죽도 · 탄도 · 홍도 · 금란도 · 무녀도 · 위도 · 빙도 · 문갑도 · 미법도 · 신시도 · 시루섬 · 서검도 · 사렴도 · 사승봉도 · 선갑도 · 선재도 · 세어도 · 소무의도 · 소청도 · 수수떼기 · 승봉도 · 아암도 · 연평도 · 이작도 · 잠진도 · 장봉도 · 조름섬 · 주문도 · 팔미도 · 해녀도 · 우도 · 장고도 · 고구마섬 · 고하도 ·
비단섬1 · 초도 · 가도 · 기린도 · 반성열도 · 봉곳도 · 창린도 · 능라도 · 석도 · 소수압도 · 소초도 · 소화도 · 순위도 · 신미도 · 대계도 · 대수압도 · 대초도 · 대화도 · 두로도 · 황금평 · 황토도 · 마양도 · 마합도 · 양각도 · 양도 · 어화도 · 여도 · 용매도 · 우리도 · 운무도 · 웅도 · 월내도 · 위화도 · 검동도 · 관마도 · 구리도 · 다사도 · 벌등도 · 어적도 · 유초도 · 임도 · 막사도
혼슈1 · 홋카이도#지리 · 규슈 · 시코쿠 · 오키나와섬 · 사도섬 · 아마미오섬 · 쓰시마섬 · 아와지섬 · 야쿠섬 · 도고섬 · 다네가섬 · 이리오모테섬 · 이시가키섬 · 리시리섬 · 나카도리섬 · 히라도섬 · 미야코섬 · 쇼도섬 · 오쿠시리섬 · 이키섬 · 야시로섬 · 나가시마섬 · 오키노에라부섬 · 에타섬 · 쿠라하시섬 · 오사키카미섬 · 하카타섬 · 이즈오섬 · 하시마섬 · 히메섬 · 요나구니섬 · 이츠쿠시마섬 · 나오시마섬 · 오시마섬 · 도시마섬 · 니지마섬 · 미야케섬 · 미쿠라섬 · 고즈섬 · 하치조섬 · 아오가섬 · 오가사와라 제도 · 토리시마섬 · 미나미토리섬 · 마게시마섬 · 우니섬 · 레분섬 · 이헤야이제나 제도 · 게라마 제도 · 아구니 제도
하이난섬1 · 홍콩섬 · 콜로안섬 · 타이파섬 · 웨량섬 · 창허섬 · 란타우섬 · 샤먼섬 · 구랑위 · 충밍섬 · 마완 · 스프래틀리 군도* · 파라셀 군도 · 완산 군도 · 저우산 군도
타이완섬1 · 진먼섬 · 란위섬 · 둥사 군도 · 타이핑다오
동남아시아
뉴기니섬*1 · 보르네오섬* · 수마트라섬 · 술라웨시섬 · 자바섬 · 티모르섬* · 할마헤라섬 · 스람섬 · 숨바와섬 · 플로레스섬 · 요스 수다르소섬 · 방카섬 · 숨바섬 · 부루섬 · 발리섬 · 니아스섬 · 롬복섬 · 벨리퉁섬 · 마두라섬 · 부톤섬 · 웨타르섬 · 와이게오섬 · 얌데나섬 · 탈리아부섬 · 무나섬 · 오비섬 · 펠렝섬 · 야펜섬 · 모로타이섬 · 바탐섬
티모르섬*1 · 아타우루섬
스프래틀리 군도* · 라부안 · 세바틱섬 · 보르네오(칼리만탄)*1 · 피낭섬
루손섬1 · 민다나오섬 · 비사야 제도 · 팔라완섬 · 보라카이섬 · 네그로스섬 · 세부섬 · 사마르섬 · 민도로섬 · 레이테섬 · 보홀섬 · 마스바테섬 · 파나이섬 · 술루 제도 · 칼라얀 군도*
깟바섬 · 꼰선섬 · 박롱비섬1 · 푸꾸옥섬 · 혼쩨섬 · 쯔엉사 군도*
싱가포르 섬(폴라우 우종)1 · 센토사섬 · 페드라 브랑카섬
푸켓1 · 사멧섬 · 따오섬 · 코 타푸 · 사무이섬 · 팡안섬
남아시아
안다만 제도1 · 니코바르 제도 · 스리하리코타 · 노스 센티널 아일랜드
아스톨라섬1
볼라섬1 · 모헤시칼리섬
실론(스리랑카)섬1
서아시아
괵체아다섬1 · 뷔위카다섬
키프로스섬*1
바레인섬1
더 월드 · 야스섬 · 팜 아일랜드
아르와드섬1
케슘섬1 · 호르무즈섬 · 아부무사섬
파라산 군도1
소코트라섬1 · 페림섬
서유럽
아일랜드섬* · 그레이트브리튼섬1 · 와이트섬 · 몬트세랫 · 버뮤다 · 케이맨 제도 · 포클랜드 제도 · 세인트헬레나 · 어센션섬 · 트리스탄다쿠냐 · 앵귈라 · 채널 제도 · 맨섬 · 비숍 록
아일랜드섬*1 · 스켈리그 마이클
코르시카섬 · 누벨칼레도니1 · 몽생미셸 · 마요트 · 레위니옹 · 왈리스 푸투나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케르겔렌 제도 · 과들루프 · 생피에르 미클롱 · 클리퍼턴섬 · 세인트마틴섬* · 생바르텔레미 ·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
아루바 · 퀴라소 · 사바 · 보네르 · 신트외스타티위스 · 세인트마틴섬* · 서프리슬란트 제도1
뤼겐섬1 · 우제돔섬* · 페마른섬 · 쥘트섬 · 푀르섬 · 펠보름섬
남유럽
시칠리아1 · 사르데냐 · 토스카나 제도 · 판텔레리아 · 펠라지에 제도
마요르카섬1 · 미노르카섬 · 이비사섬 · 포르멘테라섬 · 테네리페섬 · 그란 카나리아섬 · 라팔마섬 · 란사로테섬 · 카브레라섬 · 푸에르테벤투라섬 · 라고메라섬 · 엘이에로섬
아조레스 제도1 · 마데이라 제도
크레타섬1 · 에비아섬 · 레스보스섬 · 로도스섬 · 케팔로니아섬 · 키오스섬 · 케르키라섬 · 렘노스섬 · 산토리니섬 · 사모스섬 · 델로스섬 · 낙소스섬 · 자킨토스섬 · 타소스섬 · 안드로스섬 · 레프카다섬 · 카르파토스섬 · 코스섬 · 키티라섬 · 코르푸섬 · 히오스섬
크르크섬1 · 코르출라섬 · 브라치섬 · 흐바르섬 · 라브섬 · 파그섬 · 로시니섬 · 우글랸섬 · 치오보섬 · 무르테르섬 · 비스섬 · 츠레스섬 · 비르섬 · 파슈만섬 · 솔타섬 · 두기오토크섬 · 믈레트섬 · 라스토보섬 · 이주섬 · 시판섬 · 프리비크섬 · 실바섬 · 즐라린섬
몰타섬1 · 고조섬 · 코미노섬 · 필플라섬 · 마노엘섬 · 세인트 폴섬
동유럽
사할린섬1 · 쿠릴 열도 · 노바야제믈랴 · 브란겔랴섬 · 유즈니섬 · 모네론섬 · 코틀린섬 · 고글란트섬 · 다이오메드 제도* · 루스키섬 · 벨콥스키섬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즈미이니섬
우제돔섬* · 볼린섬1
키아울레스 누가나섬1 · 루스네섬
사레마섬1 · 무후섬 · 보름시섬 · 히우마섬 · 루흐누섬
쿤진살라섬1 · 킵살라섬
북유럽
그린란드섬1 · 셸란섬 · 벤쉬셀티섬 · 퓐섬 · 롤란섬 · 보른홀름섬 · 팔스테르섬 · 모르스섬 · 알스섬 · 랑엘란섬 · 묀섬
스발바르 제도1 · 트롬쇠위아섬 · 우튀위아섬 · 얀마옌섬
고틀란드섬1 · 오루스트섬 · 히싱엔섬 · 베름되섬 · 쇠른섬 · 욀란드섬
파스타 올란드*1
아이슬란드섬1
북아메리카
하와이 제도1 · 푸에르토 리코 · 맨해튼 · · 알류샨 열도 · 마리아나 제도 · 다이오메드 제도* · 아메리칸 사모아 · 라인 제도 · 미국령 버질아일랜드
멜빌섬 · 빅토리아섬 · 데번섬 · 엘즈미어섬 · 배서스트섬 · 콘월리스섬 · 배핀섬1 · 뉴펀들랜드섬 · 뱅크스섬 · 밴쿠버섬 · 액슬하이버그 섬
티뷰론섬1
쿠바섬1 · 카요라르고델수르섬 · 후벤투드섬
히스파니올라섬*1
히스파니올라섬*1
남아메리카
베네수엘라 연방 속지1
마라조섬1 · 케이마다 그란지섬
로스에스타도스섬 · 티에라델푸에고*1
갈라파고스 제도1
티에라델푸에고*1 · 이스터섬 · 디에고 라미레스 제도 · 후안페르난데스 제도 · 칠로에섬
아프리카
제르바섬
로벤섬 · 프린스 에드워드 제도1
잔지바르1 · 펨바섬 · 우케레웨섬
비오코섬1 · 코리스코섬 · 엘로베이그란데섬 · 엘로베이치코섬 · 안노본섬
쿤타 킨테섬
상티아구섬
마다가스카르섬1 · 노지베섬 · 생트마리섬 · 주앙데노바섬
모리셔스섬1 · 로드리게스섬
마에섬
상투메섬 · 프린시페섬
오세아니아
캥거루섬 · 태즈메이니아섬1 · 멜빌섬 · 배서스트섬 · 코코스 제도 · 크리스마스섬 · 허드 맥도널드 제도
뉴질랜드(남섬·북섬)1 · 쿡 제도 · 니우에 · 토켈라우 · 채텀 제도
뉴기니섬*1 · 뉴브리튼섬 · 뉴아일랜드섬 · 부건빌섬 · 비스마르크 제도 · 애드미럴티 제도 · 당트르카스토 제도
비티 레부섬1 · 바누아 레부섬 · 로투마섬
통가타푸섬1 · 에우아섬 · 하파이 제도 · 바바우 제도 · 니우아섬
푸나푸티섬 · 나누메아섬 · 누이섬 · 누쿠페타우섬 · 누쿨라엘라에섬 · 바이투푸섬1 · 나누망가섬 · 니울라키타섬 · 니우타오섬
남극
킹 조지섬 · 페테르 1세섬 · 조인빌섬 · 사우스셰틀랜드 제도1 · 부베섬







[ 펼치기 · 접기 ]
문화유산

1981년

킬와키시와니 유적송고음나라 유적
Magofu ya Kilwa Kisiwani na
Magofu ya Songo Mnara


2000년

잔지바르 스톤타운
Mji mkongwe wa Zanzibar

2006년

콘도아 암석화 유적
Michoro ya Kondoa
자연유산

1981년

세렝게티 국립공원
Hifadhi ya Taifa ya Serengeti

1982년

셀루스 동물보호구역
Pori la Akiba la Selous

1987년

킬리만자로 국립공원
Hifadhi ya Taifa ya Kilimanjaro
복합유산

1979년

응고롱고로 자연보존지역
Eneo la uhifadhi la Ngorongoro





잔지바르
Zanzibar
파일:잔지바르 기.svg
파일:smz_logo.png
깃발[1]
문장
명칭
스와힐리어: Zanzibar
아랍어: زنجبار
면적
2,462km²
인구
1,889,773명(2022년)
수도
잔지바르시티
통화
탄자니아 실링
언어
스와힐리어, 아랍어, 영어




1. 개요
2. 역사
3. 정치
4. 경제
5. 기타
6. 매체에서 등장
6.1. 영화
6.2. 게임
6.3. 기타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maxresdefaultjanj.jpg
파일:Cannons-Old-Fort-Zanzibar.jpg

동아프리카 탄자니아에 위치한 자치지역.

웅구자(Unguja)섬과 펨바(Pemba)섬, 2개의 큰 섬과 기타 부속도서로 이루어져 있으며[2] 총 면적은 2,461㎢. 서울특별시 면적(605.25 ㎢)의 약 4배 크기이다.

인구는 약 130만 명 수준(2022년 기준)으로 수원시보다 조금 많고 광주광역시보다는 조금 적다. 인구와 면적은 탄자니아 전체에 비해 미미하지만 역사적인 이유로 하나의 국가에 비견될 정도로 강한 자치권을 가지고 있다. 일부 경제 통계에서는 잔지바르까지 별개의 국가로 간주하며 통계에 넣을 정도, 잔지바르에서 가장 큰 섬이자 중심지라고 할 수 있는 웅구자는 다르에스살람과 20KM 정도로 비교적 가까이 위치해있어서 비행기로 15분 걸린다. 다만 비행기표값이 일반 탄자니아인들에게 매우 부담되는 가격이기 때문에, 배편으로 가는 경우가 대다수다.


2. 역사[편집]


유네스코 세계유산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이름
한국어
잔지바르 스톤타운
영어
Stone Town of Zanzibar
프랑스어
La ville de pierre de Zanzibar
국가·위치
탄자니아 잔지바르 도시·서부 주
잔지바르시티



등재유형
문화유산
등재연도
2000년
등재기준
(ii)[3], (iii)[4], (vi)[5]
지정번호
173

파일:잔지바르.jpg
잔지바르의 구시가지인 '스톤 타운'

2만년 전 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으며 고대로부터 교역지로 알려져 왔다. 중세시절에는 인도인페르시아인, 아랍인들이 오고가면서 이슬람교가 전파되었다. 그러다가 1503년에 포르투갈에 점령되어서 오랜기간 포르투갈에 의해 식민통치를 받았다가 1698년부터 오만 제국의 통치를 받았고, 이 시기의 잔지바르는 노예무역의 중개지로 번영을 누렸다. 당시 잔지바르는 이슬람 국가 중에서는 오스만 제국과 함께 단 둘뿐인 식민 제국인 오만 제국식민지였고, 오만 본토보다 잔지바르에 부와 영화가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1739년에 나디르 샤에 의해 오만이 정복되자 잔지바르가 임시 수도가 되기도 하였다.

19세기 중반들어 사이드 왕조의 오만 내에서 술탄 직위 계승 분쟁이 일어나 잔지바르는 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하였다. 그러나 잔지바르 지역은 수에즈 운하의 등장으로 인해 쇠퇴가 가속화 되어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고, 19세기 후반에 술탄이 영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고 하면서 역사상 가장 짧은 전쟁을 치렀지만 결국 막강한 영국의 군사력에 잔지바르군이 참패하고 이후에도 영국의 간접지배를 받게 되었다.

1950년대 영국이 아프리카 각지에서 손을 떼기 시작하면서 잔지바르도 독립 작업에 들어갔고 1957년에 첫 제헌의회 총선이 치러지면서 잔지바르 의회가 구성된다. 그러나 게리맨더링으로 인해 흑인 계열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인 아프로-시라지당(ASP)이 득표율에서 앞섰음에도 의석수에서 아랍계 정당과 보수정당에 밀리는 사태가 연달아서 벌어지고, 술탄이 사회 불안을 이유로 흑인정당을 탄압하여 흑인들의 불만이 고조되었다. 과거 아랍인들이 흑인들을 노예로 삼았던데에다가 노예해방 이후에도 다수의 흑인들이 하위층을 형성하고 아랍인이 상류층으로 군림하면서 권력과 부를 독점하는 사회구조가 변하지 않고 이어져왔기 때문에 흑인과 아랍인 간의 갈등이 심화되어 갔다.

그러던 차에 1963년 잔지바르는 ‘잔지바르 술탄국’으로 독립했다. 완전 독립을 앞두고 치러진 1963년 선거에서 ASP가 54%의 득표를 확보했음에도 게리맨더링으로 인해 의석수에서 아랍계 정당과 보수정당 연합이 선거에서 압승하자(24석 VS 13석) 소외된 흑인들의 불만감이 더욱 고조되었다. 1963년 12월에 완전히 독립했지만 독립 1달후인 1964년 1월 12일에 우간다 출신의 군소 게릴라 지도자 정도였던 오켈로가 군사 쿠데타를 일으켰다. 300명에서 600명 가량의 소인원 만으로 혁명에 나섰고 실제 혁명에 나섰을때는 인원이 40명에 불과했다. 그러나 잔지바르가 작은 나라였던데다가 새벽시간대라 근무하는 경찰이 소수였기 때문에 경찰력을 간단하게 제압하는데 성공했다. 이후 라디오 방송국을 점거하고 흑인들의 봉기를 부추기고 술탄에게 가족을 살해하고 자살을 권고하는 등 라디오 방송을 통해 지속적으로 선동했다. 결국 아침에 대세가 뒤집힌 것을 알아챈 술탄은 혁명 시작 7시간만인 정오에 각료들과 국외망명을 택하면서 혁명은 성공했고, 이후 잔지바르 인민공화국이 성립되었다.

혁명 직후 대대적인 보복이 시작되어 수천 명의 아랍인과 인도인들이 학살당했고[6] 살아남은 아랍인들도 대거 재산을 몰수당한 채 오만이나 인도, 탕가니카, 케냐, 영국 등 해외로 추방되었다. 참고로 학살이 집중되었던 것은 운구자 섬이었고 상대적으로 페르시아계 후손이라는 정체성이 강한 펨바 섬에서는 보복이 없었다고 한다. 그리고 2월 들어서야 학살극이 마무리되고, 탕가니카로 출국했다가 황급히 돌아온 아베이드 카루메가 잔지바르의 새 대통령이 되었다. 그러나 급진적인 사회주의 정책을 밀어붙이는 가운데 오켈로와 카루메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고[7] 결국에는 카루메가 치안유지를 명목으로 혁명주동자인 오켈로를 쫓아냈고, 혁명의 주동자 단체인 자유의 전사에 대해 제제를 가했다. 그 후 카루메는 줄리어스 니에레레와 협상을 가지고 탕가니카 공화국과의 통합을 추진하게 된다. 7월 탕가니카와 연방정부를 구성하면서 현재의 탄자니아가 구성되었다.

하지만 카루메는 시간이 지날수록 괴팍한 성격을 지닌 독재자로 변모해나갔고, 니에레레는 카루메를 말려 보려 했지만 역부족이었다. 그는 결국 1972년에 암살되었다. 이후로는 탕가니카와 마찬가지로 탄자니아 혁명당 일당 독재 체제가 되었다.


3. 정치[편집]





잔지바르는 탕가니카와 별개로 자치권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법적으로 탄자니아 부통령을 잔지바르에서 뽑도록 규정되어있기 때문에 정치적인 영향력도 인구수에 비해서 센 편이다.

탄자니아 혁명당이 일당 독재하는 탕가니카 본토와는 다르게 잔지바르에서는 시민연합전선의 힘도 강한편이며, 그래서 선거에서 여러번 접전이 벌어져서 충돌이 벌어진적도 있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잔지바르 내에서도 운구지 섬과 펨바 섬이 따로 놀기 때문이며, 잔지바르에서 혁명이 일어나면서 아랍인을 축출하자 따로 독립하려고 하기도 했고, 이후로도 잔지바르 정부에서 펨바 섬에 별로 신경을 안써준다는 인식 때문에 불만이 많다. 한때 갈등이 심했을 때는 펨바 섬에서 수백 명의 난민이 발생했을 정도로 심각했다.

부통령 사미아 술루후 하산이 전임 존 마구풀리 대통령이 심장 질환으로 사망하자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4. 경제[편집]


관광산업이나 수출형 농업산업이 잘 발달되어 탄자니아 내에서도 잘사는 지역으로 손꼽힌다.[8] 특히 탄자니아가 1970년대와 80년대에 걸쳐 집단농장 도입과 계획경제가 자발성이 없는 억지추진과 미숙한 운영으로 말아먹으며 경제성장이 침체하는 동안 잔지바르는 관광산업의 육성과 수출특화형 농업으로 상대적으로 부유해질 수 있었다. 예를 들면 잔지바르에서 TV방송을 1972년에 시작했고 1973년에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최초로 컬러방송을 시작했지만 정작 탕가니카에서는 1990년대가 되어서야 TV방송국이 개국되었다거나 하는 식이다.


5. 기타[편집]


과거 잔지바르표범이 서식했었으나[9] 현재는 멸종된 것으로 추측된다. 다만 2018년에 잔지바르 섬의 밀림에서 잔지바르표범으로 추측되는 고양이과 맹수의 움직임이 카메라에 포착되면서 생존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섬 바깥과의 교통은 아베이드 아마니 카루메 국제공항(Abeid Amani Karume International Airport)과 잔지바르 항구를 이용할 수 있다.

의 리드 보컬 프레디 머큐리의 고향이다. 잔지바르 혁명정부 수립 당시 아랍인, 인도인, 페르시아인 탈출행렬에 프레디 머큐리와 그의 가족들도 있었다. 그때의 경험 때문에 프레디 머큐리는 잔지바르 시절의 이야기를 꺼내기 꺼렸다. 마찬가지로 프레디 머큐리가 양성애자였기 때문에 잔지바르 사람들도 그를 별로 탐탁치 않게 여겼다. 하지만 최근들어 프레디의 출생지라는 점 때문에 의 팬들이 이곳으로 성지순례를 하기 시작하면서, 돈냄새를 맡은 잔지바르인들 사이에서 그를 찬양해대는 분위기가 늘었다.

올드 포트에서 약 5분 정도 거리에 ‘프레디 머큐리 하우스’라는 호텔이 있고 그 건물 한쪽에 박물관이 있다. 건물 벽에는 프레디 머큐리의 사진과 포스터 등이 붙여져있는데, 현대에는 잔지바르의 상징과도 같은 곳이라 늘 관광객으로 북적인다. 내부에는 프레디 머큐리와 퀸의 여러 사진들과 가사를 적은 종이, 의상 등이 전시되어 있다.

교역의 중심지였던 스톤 타운(Stone Town)은 2000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잔지바르 관광의 중심지이다.


6. 매체에서 등장[편집]



6.1. 영화[편집]


남주인공(조동혁)이 떠나는 곳이기도 하다.


6.2. 게임[편집]


부두 원정 목적지 중 하나로 등장한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잔지바르(도미네이션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거점 항구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문명 5, 문명 6도시 국가로 나왔다.

메탈기어 2 솔리드 스네이크에서 잔지바르의 이름을 따온 용병국가 잔지바 랜드가 등장한다. 다만 이름 외에 잔지바르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ZANZIBAR라는 곡이 있다. #


6.3. 기타[편집]


  • 밴드 터네이셔스 D의 앨범 수록곡 중 "Fuck Her Gently"라는 노래에 등장한다.
[ 가사 보기 ]

[Intro]

This is a song for the ladies

But fellas... listen closely

[Verse 1]

You don't always have to fuck her hard

In fact sometimes that's not right to do

Sometimes you've got to make some love

And fucking give her some smooches too

Sometimes you got to squeeze

Sometimes you got to say please

Sometime you got to say, hey

[Chorus]

I'm gonna fuck you... softly

I'm gonna screw you gently

I'm gonna hump you sweetly

I'm gonna ball you discreetly

[Bridge]

And then you say, hey I brought you flowers

And then you say, wait a minute Sally

I think I got something in my teeth

Could you get it out for me?

That's fucking teamwork

[Verse 2]

What's your favorite posish?

That's cool with me

It's not my favorite

But I'll do it for you

What's your favorite dish?

I'm not gonna cook it

But I'll order it from Zanzibar

[Chorus]

And then I'm gonna love you completely

And then I'll fucking fuck you discreetly

And then I'll fucking bone you completely

[Outro]

But then I'm gonna fuck you hard!

Hard



7.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0:57:09에 나무위키 잔지바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구 잔지바르 인민공화국 국기 상단에 탄자니아 국기를 합친 것이다.[2] 여기에 더 남쪽에 위치한 마피아(Mafia)섬까지 합쳐서 잔지바르 제도(Zanzibar Archipelago)라고 한다. 마피아섬은 지리적 명칭로서의 '잔지바르 제도'에는 포함이 되지만 '자치지역 잔지바르'에는 포함되지 않는다.[3]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할 것[4]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5] 사건이나 실존하는 전통, 사상이나 신조,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예술 및 문학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으로 연관될 것[6] 최대 2만 명이 사망했다는 설도 있다. 지옥의 묵시록 항목에서도 언급되고 이 영화에 큰 영향을 준 이탈리아 다큐멘터리 영화이자 몬도가네로 유명한 괄티에로 자코페티(Gualtiero Jacopetti, 1919~2011) 감독(프랑코 프로스페리 1926~2004. 공동 감독)의 1966년작 <Africa addio>라는 영화에서도 다루는데 헬리콥터로 학살당한 아랍인들을 찍은 장면이 나온다. 그래도 1970년대 이후에 상당수 인도인들은 되돌아오기는 했다는 후문은 있다.[7] 애초에 카루메는 흑인들 다수에게 지지를 굳건히 얻던 상황이라서 게리맨더링 문제만 해결되면 집권이 확정이었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아랍인들을 대거 죽이거나 추방할 생각 자체는 없었다고 한다. 또한 오켈로가 사회주의 성향이기는 했지만 혁명 당시 기독교적인 요소에 호소했기 때문에 이슬람 위주인 잔지바르와 정서적인 괴리감이 컸던 이유도 있었다.[8] 그럼에도 해외에서의 인지도는 본토인 탕가니카 지역이 더 높다.[9] 별개의 아종으로 알려졌으나 DNA 분석 결과 아프리카표범과 동일한 종임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