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민주당(2008년)

덤프버전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제1야당



한나라당
(1997.11.21.~2008.2.24.)

통합민주당
(2008.2.25.~2008.7.6.)


민주당
(2008.7.6.~2011.12.16.)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로고.svg
통합민주당
한문명
統合民主黨
영문명
United Democratic Party
등록 약칭
민주당
고유번호
107-82-12235
창당일
2008년 2월 17일[1]
당명 변경
2008년 7월 6일 (민주당)
해산일
2011년 12월 23일 (민주통합당으로 신설합당)
통합한 정당

[[대통합민주신당|
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
[[민주당(2007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년 2월 17일 신설합당)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버드나루로14길 25 (당산동)
공동대표
손학규 / 4선 (14-16·18대)
박상천 / 5선 (13-16·18대)
원내대표
김효석 / 3선 (16-18대)
사무총장
김영주 / 초선 (17대)
정책위의장
최인기 / 재선 (17·18대)
의석 수
81석 / 299석
당 색
초록색 (#419639)
이념

내부계파:
사회자유주의
참여민주주의
사회보수주의
중도개혁주의
진보주의
홈페이지
www.minjoo.kr/
2008년 7월 6일 기준

1. 개요
2. 성향
3. 당가
4. 역사
4.1. 합당 이전
4.2. 18대 총선
5. 역대 지도부
5.1. 대표
5.2. 원내대표
6. 역대 선거 결과
6.1. 국회의원 선거
6.2. 재보궐선거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통합민주당_출범.jpg


2008년 2월 17일, 대통합민주신당민주당(구 새천년민주당)이 18대 총선을 앞두고 합당해 창당된 정당. 2008년 7월 6일 전당대회에서 민주당으로의 당명변경을 결정하였다.


2. 성향[편집]


"통합민주당은 강령과 정책비전을 통해 서민, 중산층,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책정당 실현과 민주 번영 통합 평화 환경을 5대 기본가치로 하는 정당을 자임". ‘더 많은 기회, 더 높은 책임, 더 넓은 배려’와 ‘소외계층의 보호' 주장.



3. 당가[편집]



나가자 통합민주당!
나가자 통합민주당!
언제나 국민들과 함께
어디서나 국민들과 함께
희망의 깃발을 들어라
우리는 통합민주당이다
국민의 소중한 뜻으로
국민의 뜨거운 힘으로
승리의 깃발을 들어라
우리는 통합민주당이다
나가자 통합민주당
국민들의 믿음직한 사랑이 되어라
나가자 통합민주당
자랑스런 민주주의 당당하게 지켜라
나가자 통합민주당
살맛나는 대한민국 우리가 만들자
언제나 국민과 함께 가자 통합민주당

  • 총선을 앞두고 율동곡 형식의 당가를 만들었는데, 민주당(2008년) 때도 약간의 수정만 거쳐 그대로 사용되었고, 민주통합당 창당 이후에도 개사 후 그대로 사용하였다.


4. 역사[편집]



4.1. 합당 이전[편집]


새천년민주당노무현 대통령을 배출한 이후 참여정부 결성 즈음에 당 내의 갈등으로 인해 새천년민주당에서 나온 의원들이 노무현 대통령의 당이라는 열린우리당을 창당해 분열되었고 대통령 탄핵 시도의 파국을 거쳐 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이 압승한다. 그러나 원내 다수당으로 거듭난 열린우리당은 그 이후 온갖 이합집산과 일부 의원들의 탈당 러쉬, 내부-외부 분열을 거듭한 끝에 와해되면서 대통합민주신당으로 다시 창당했고, 최고 파벌을 형성한 정동영17대 대선에 출마해 참패를 당한다.

또한 당시 새천년민주당이 당명을 바꾼[2] 민주당에서는 이인제가 대선 후보로 나섰다가 더욱 처참한 지지를 기록했다.

17대 대선 때 무산되었던 합당 협상이 오간 끝에 결국 2008년 민주당대통합민주신당18대 총선을 앞두고 극적으로 합당에 성공, '통합민주당'으로 거듭났다. 2003년 새천년민주당-열린우리당 분당 이후 약 4년 3개월 만에 복구된 셈. 하지만 7년 뒤에 또 분열된다.


4.2. 18대 총선[편집]


18대 총선 공천을 위해 대한변협 회장 출신인 박재승 공천관리위원장을 외부에서 데려왔는데, 전과 기록이 한 차례라도 있는 후보에게는 공천을 안 준다는 원칙을 세움에 따라 역대급 물갈이가 벌어져서 공천관리위원회가 아니라 '공천 특검'이라는 말까지 나왔다. 이 원칙 덕분에 도봉구 을설훈성북구 을신계륜, 중랑구 을이상수, 논산시·계룡시·금산군안희정, 이인제, 무안군·신안군김홍업[3] 등이 출마하지 못 하는 일이 생기고 만다. 이 중에서 설훈, 안희정은 공천 결과에 승복했지만 이상수와 신계륜이 의도치 않게 팀킬을 해서 각각 한나라당 유정현, 김효재[4]에게 당선을 안기는 결과를 맞았다. 게다가 이인제는 한나라당 - 통합민주당 - 친박연대 - 무소속 전직 의원이라는 제법 강한 경쟁구도에서 살아남았다.[5]

또한 당내 중진 험지차출론이 고개를 들어서 손학규 대표가 서울 종로에 출마해서 현직 의원인 한나라당 박진과 맞붙었고, 또한 정동영 전 대선후보는 과거 자신의 지역구였던 전주시 덕진구 대신 서울 동작구 을에 출마했다.[6] 본래 동작 을은 교총 회장 출신의 비례대표 이군현 의원이 공천을 받은 상황이었으나 정동영의 등판소식을 들은 한나라당에서는 울산 동구[7]의 거물인 정몽준을 이곳에 전략 공천시켜 맞불을 놓았다.[8][9][10]

한편 이인제는 논산-계룡-금산에 공천을 신청하였으나 공천에서 탈락했고, 이에 반발하며 결국 통합민주당을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27.67%(...)를 득표하며 당선되었다. 그러나 민주당에 복당하지 않았고 한동안 무소속으로 남아 있다가 2011년 자유선진당에 입당하였다. 이후 이인제는 선진통일당 대표가 되어 새누리당과 선진통일당의 통합을 주도했고, 이후 계속해서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에 잔류한다.

청주시 전 지역구를 얻는 등[11] 충청북도에서 예상밖으로 선전했으나 수도권에서 뉴타운 바람 때문에 한나라당이 압승을 거두는 바람에 81석으로 참패했다.[12]

하지만 촛불집회 정국의 영향으로 두 달 뒤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 선전한다.

2008년 7월 6일 전당대회를 통해 당명을 민주당으로 변경하게 된다.어쩌다 보니 전신도 민주당 후신도 민주당


5. 역대 지도부[편집]



5.1. 대표[편집]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svg 대표

[ 펼치기 · 접기 ]
초대
손학규
박상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 text-align: right;"
민주당(2008년) 대표
국민참여당 대표






5.2. 원내대표[편집]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svg 원내대표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33%> 초대
김효석 ||<width=33%> 제2대
원혜영 ||
||<-2><bgcolor=#fff,#1F2023> ||





6. 역대 선거 결과[편집]



6.1. 국회의원 선거[편집]


연도
선거명
지역구 (비율)
비례대표 (득표율)
총 의석 (비율)
결과
2008년
18대
66 / 245 (26.9%)
15 / 54 (27.7%)
81 / 300 (27.1%)
원내 2당


6.2. 재보궐선거[편집]


연도
국회의원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2008년 6월

3 / 9
14 / 29
6 / 14

7. 관련 문서[편집]


  • 민주통합당 (이름이 비슷하나 민주통합당이 나중에 나온 정당이다.)


8. 둘러보기[편집]







''' 2004.5.30. ~ 2008.5.29.'''

[ 임기 개시 ]
여당

파일:열린우리당 1차 로고.svg

152석

야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신 로고_가로.svg

121석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svg

10석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svg

9석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_축약.svg

4석


파일:국민통합21 로고3.svg

1석

무소속

2석

재적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80009; font-size: .8em"
299석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 후반기 개시 ]
여당

파일:열린우리당 흰색 2차 로고.svg

143석

야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신 로고_가로.svg

126석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svg

11석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svg

9석


파일:국민중심당 흰색 로고.svg

5석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_축약.svg

1석

무소속

2석

재적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80009; font-size: .8em"
297석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 임기 종료 ]
여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신 로고_가로.svg

117석

야당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svg

141석

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svg

10석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svg

7석


파일:친박연대 가로 로고.svg

3석


파일:창조한국당 흰색 로고.svg

1석

무소속

17석

재적

295석

{{{#!wiki style="font-size: .8em"
제국 중추원 · 임시의정원
제헌 · 2 · 3 · 4 · 5민 · 5참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008.5.30. ~ 2012.5.29.'''

[ 임기 개시 ]
여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신 로고_가로.svg

153석

야당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svg

81석

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svg

18석


파일:친박연대 가로 로고.svg

14석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svg

5석


파일:창조한국당 흰색 로고.svg

3석

무소속

25석

재적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80009; font-size: .8em"
299석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 후반기 개시 ]
여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신 로고_가로.svg

168석

야당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svg

84석

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svg

16석

파일:미래희망연대 로고.svg

8석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svg

5석


파일:창조한국당 흰색 로고.svg

2석


파일:국민중심연합 흰색 로고.svg

1석


파일:진보신당 흰색 로고.svg

1석

무소속

6석

재적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80009; font-size: .8em"
291석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 임기 종료 ]
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svg

163석

야당
파일:민주통합당 흰색 로고.svg

79석

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svg

13석


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svg

7석

무소속

29석

재적

291석

제국 중추원 · 임시의정원
제헌 · 2 · 3 · 4 · 5민 · 5참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민주당(2008년) 문서의 r6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민주당(2008년) 문서의 r6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23:53:43에 나무위키 통합민주당(2008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는 2월 18일에 등록하였다.[2] 엄밀히 말하자면 구 새천년민주당-민주당 법인은 당시 열린우리당을 탈당해 나온 김한길계와 합당, 2007년 6월 중도통합민주당으로 신설 합당하면서 사라졌다. 하지만 2달도 안 되어 김한길계가 도로 탈당해 대통합민주신당 창당에 합류하는 바람에 다시 당명과 로고를 과거 민주당 시절과 똑같게 되돌리면서 사실상 구 새천년민주당을 계승했다고 취급받는다.[3] 무려 이 쪽인 민주당계의 대부인 김대중 전 대통령의 아들이었음에도 이용호 게이트에 연루되는 바람에 출마가 막혔다.[4] 이쪽은 단일화가 되어도 당선이 안됐다는 의견이 많다. 왜냐하면 통합민주당 + 신계륜의 득표 수를 합쳐도 김효재의 득표 수에 못미치기 때문.[5] 통합민주당은 열린우리당 당협위원장 출신인 양승숙 예비역 준장을 공천, 한나라당은 김영갑 당협위원장, 자유선진당은 신삼철 당협위원장, 친박연대는 심정수 전 충남도의원을 공천했고 여기에 자유선진당 공천을 받지 못해 탈당한 김범명 전 의원이 가세해서 6명 + 최약체였던 통일교 후보 1명의 경쟁구도가 되었다. 결국 27.67%를 받은 이인제 의원이 5선을 확정지었고, 그 뒤로 한나라당 - 민주당 - 친박연대 - 자유선진당 - 김범명 - 통일교 후보 순으로 결과가 나왔다. 이때 한나라당, 민주당 후보는 선거비용 보전을 받았고 친박연대와 자유선진당 후보도 선거비용 반액 보전을 받는 수준의 득표를 거뒀다.[6] 애초에는 동작구 을에는 통합민주당 현직 의원인 이계안이 있었으나 불출마를 선언한 상황이었다.[7] 현대중공업이 울산 동구에 있다. 정몽준은 현대중공업의 최대주주이자 1980년대에는 현대중공업 회장을 지낸 이력이 있었다.[8] 정몽준이 16대 대선 전날인 2002년 12월 18일 밤에 갑자기 노무현의 통수를 친 이유는 정동영 때문이었다는 설이 있다. 노무현이 합동연설하는 자리에서 다른 정치인은 안 올린다고 사전에 약속을 했건만 정동영과 추미애를 올렸고 결국 심기가 불편했던 정몽준이 갑자기 통수를 친 것이다. 물론 정동영 본인의 잘못이라고 보기에는 무리지만 여튼 껄끄러울 수밖에 없는 관계이다. 추미애와는 나쁘지 않았다고 하는데, 일단 같은 영남계(추미애는 대구 달성군, 정몽준은 부산 동구)에다, 추미애는 여야 상관 안 하고 친화력이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나쁜 관계는 아니였는데, 하필 정동영이 노무현의 남자로 불렸기 때문에 배신당했다는 느낌이 들었던 모양.[9] 참고로 정몽준의 원래 지역구인 울산 동구는 정몽준의 심복인 안효대가 차지했고 18~19대 재선을 했다. 허나 20대 총선에서는 떨어졌다.[10] 이군현은 고향인 통영시-고성군으로 내려가서 현역의원인 김명주의 지역구를 뺏어서(...) 출마했고 18~20대에 내리 3선을 했다. 특히 20대 총선에서는 워낙 이군현이 강했던지라 야당과 무소속에서 후보가 없었고 무투표 당선 되었으나, 선거비리로 2018년에 의원직을 잃으며 정치생명이 끝났다.[11] 남부3군은 자유선진당 이용희 의원이 5선에 성공했는데 이용희 의원이 자유선진당 소속이긴 해도 애초에 출신이 열린우리당이었다. 18대 국회의원 중에서 최고령 의원이었고 19대 총선을 앞두고서 원대복귀했다.[12] 지역구 전국+비례대표 포함해서 81석이다. 참고로 제20대 총선에서 당시 야권인 민주당계 정당이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으로 분당이 됐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더불어민주당이 수도권 지역구만 82석을 차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