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군

덤프버전 :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 아시아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 유럽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 아메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 아프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 오세아니아 ]⠀


파일:핀란드 국기.svg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
핀란드
관련 문서

<^|1><height=34><color=#003580><bgcolor=#fff,#1f2023>
[ 펼치기 · 접기 ]

}}}


핀란드 방위군
Puolustusvoimat[1]| Försvarsmakten[2]
Finnish Defense Forces, FDF
파일:핀란드군 엠블럼.svg
국가
[[핀란드|

핀란드
display: none; display: 핀란드"
행정구
]]

상비군
24,000명
예비군
900,000명[3]
병역제도
징병제[4]
방위총장
티모 키비넨 대장
육군력
[ 펼치기 · 접기 ]
전차
200대
장갑차
(APCs/IFVs)
1,246대
자주포
154문
다연장로켓
113문
수송 차량
2,058대

해군력
[ 펼치기 · 접기 ]
해군 전투함 총합
178척
주력 수상함
초계함
(+4척)

공군력
[ 펼치기 · 접기 ]
5세대 전투기
(+64기)
4세대 전투기
62기
항공기 총합
159기


1. 개요
2. 상세
3. 수뇌부
4. 계급
5. 구성
5.1. 육군
5.2. 해군
5.3. 공군
6. 관련 문서
7.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핀란드의 군대.


2. 상세[편집]


냉전 당시에는 핀란드의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소련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하여 소련제 무기를 사용했지만, 현재는 서방의 다양한 무기들을 도입하여 사용한다. 다만 2023년 4월 4일 핀란드가 정식으로 나토 회원국이 되었으므로 군사편제 또한 서방식으로 완전히 개편될 가능성이 높다.

핀란드군의 담당지역은 동부-남부-서부-북부 등 4곳으로 나뉜다. 각 지역의 군대는 그 지역을 방위할 계획을 세우고 실행한다. 4군데는 다시 지역방위사령부 22곳으로 갈라진다.

춥지만 평화로운 나라라는 인식과 달리 의외로 징병제를 시행하는 나라이며 통합적 방어 독트린을 설정해두는 등 군의 업무권한과 관할이 큰 나라이다.

이 독트린 안에는 일반적인 군사적 방어만이 아니라 더 넓은 의미로 방어라 할 수 있는 재난관리 등도 포함된다. 따라서 군이 타 국가의 재난관리청 임무를 맡아서 한다. 물론 외적이 침략하여 국가위기상황이 되었다면 모든 역량을 다하는 총력전 상태로 전환된다. 덤으로 국민 80%가 국토방위에 뛰고 싶어 하는데 이는 유럽 최고 상위귄이다.

이는 과거 핀인들의 역사적 사례에서 기인한다. 지금의 핀란드인들은 오랜 기간 동안 스웨덴 왕국의 영토로 지배받다가 19세기에는 러시아 제국에 의해 다시 식민지가 되었다. 러시아 제국이 러시아 혁명으로 사라지는 중 독립국가로서 발돋움하였지만, 얼마 되지 않아 소련에 의해 겨울전쟁, 계속전쟁이 벌어지며 침공을 받았다.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는 한동안 핀란드를 신경 쓸 여지가 없었으나 블라디미르 푸틴이 러시아를 안정시키면서 팽창주의적 행보를 보이자 핀란드는 여전히 러시아를 잠재적 적성국가 취급하며 경계하는 중이다.

이렇다보니 영토 대비 적은 인구 수 때문에라도 추가적인 병력확충이 필요했고, 마찬가지로 러시아를 잠재적 적국으로 둔 옆나라 노르웨이, 스웨덴과 비슷한 이유로 징병제를 실시하여 지금까지 이어지게 된 것이다. 그렇게 핀란드는 전쟁을 대비하는 한편 동시에 냉전 시기 핀란드는 스웨덴과 함께 중립국을 표방하며 NATO에 가입하지 않음으로 러시아를 자극하려하지 않으려 노력해왔다. 하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벌어지면서 기존의 중립노선을 포기하고 NATO에 공식 합류하였다.

18세부터 병역 대상자가 되지만 학업이나 일, 질병 또는 기타 개인적인 사유로 28세가 될 때까지 군복무를 연기할 수 있다. 그러나 기간 연기로 인한 장기간 대기 사유로는 면제 받을 수는 없다.

의무복무 기간은 일반적인 보병은 6개월, 기술특기병은 9개월~1년, 장교는 병과 불문 1년이다. 다른 유럽 징병제 국가들과 동일하게 현역이 부담스러운 인원들은 대체복무를 통해 사회복무요원으로 병역을 마무리 지을 수 있게 해두고 있다.[5] 또한 복무 후의 예비군 훈련도 대체복무 교육으로 대신할 수 있다.# 대체복무를 택할 시 의무복무 기간은 1년이며 실제로도 적지 않은 수의 핀란드 청년들이 대체복무를 선택하지만, 군대 다녀와야 남자라는 인식이 강하게 남아있는 편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 징병이 3~6개월 더 짧아서 그냥 현역 복무를 선택하는 편이 많다. 그외에도 병역특례는 존재하지 않지만 '군사스포츠학교'를 두었고, 운동선수뿐 아니라 e스포츠 선수도 심사를 거쳐서 복무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징병제도 자체는 엄격히 유지 중이라 만약 대체복무까지 거부하면 복무 일을 제외, 가석방 없이 173일 동안 교도소에 수감된다.징병법 이 때문에 핀란드 내에서도 징역형을 두고 비판이 상당하다.

현역 군인 총 34,700명 중에서 징집병을 제외한 직업군인은 8,900명이고 이들은 UN 평화유지군으로도 많이 나가 있다.

복무기간도 짧고 징병률도 낮은 편이지만 병사 개개인의 훈련량은 상당한 편이다. 의무복무기간 동안 거의 내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훈련을 한다고. 아예 병사 한 명이 직무를 두 가지 이상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데[6] 이는 인구가 적어서 병력 동원에 한계가 있다는 점과 유사시 동원된 인력을 더욱 유연하게 활용하기 위함 그리고 언급한 통합방어 독트린의 영향인 듯하다. 군사 훈련부분에 있어서는 독일의 전군 간부화와 스위스, 오스트리아의 민병제 기초군사교육훈련(의무 예비군제도, 6개월간 의무복무를 겸한 군사교육)과 비슷한 부분이 있다. 실제로도 핀란드군의 역량에 대해서는 다른 유럽군대는 물론 미군도 높게 평가 하고있다.

주말외출이 허가되고 평일에도 일과가 끝난 저녁 이후로는 외출 및 출퇴근이 허가되는 등 내무생활 자체는 꽤 자유로운 분위기이다. 군 부대 음식은 초콜렛으로 유명한 핀란드의 외식업체 파제르(Fazer)社에서 공급하는데, 목요일마다 콩스프를 먹는 핀란드 문화 때문에 목요일에 하는 행군/훈련에는 콩 수프를 실은 트럭이 함께 이동한다고 한다. 핀란드 요리 문서 참조.

다만 이러한 자유도 보장과는 별개로 월급은 적다. 2020년 기준 복무기간 165일까지는 5.15유로, 166~255일까지는 8.6유로, 256~347일까지는 12유로[7]의 일급을 지급하는데 이를 30일로 환산 시 각각 154.5유로, 258유로, 360유로이다. 다시 원화로 환산하면 약 21만 원, 35만 원, 49만 원으로 한국군 병사 월급보다 적다.

2013년에는 징병제 폐지 발의안이 올라가기도 했으나 러시아 팽창주의와 노골적인 위협에 따른 노르웨이, 스웨덴의 징병제 부활을 이유로 기각되었고 오히려 2018년에는 여성징병제를 실시 여부가 논의되었다.[8]

다른 유럽 국가와 마찬가지로 군인노조가 존재하며 2005년 4월에는 임금과 노동조건에 대한 단체 협약권을 얻기 위해 군사작전을 거부하는 일도 있었다.

징병제인 탓에 핀란드에서도 군생활은 한국과 비슷한 이미지다. 이런 게임도 나왔을 정도. 한국 군필자들도 PTSD가 올 만한 디테일한 고증이 일품이다.

3. 수뇌부[편집]


파일:핀란드군 엠블럼.svg
방위군대총장
국방장관
방위군사령관
총참모장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uli_Niinist%C3%B6_Senate_of_Poland_2015.jpg
width=100
파일:kivinen.jpg
파일:Itsenäisyyspäivän_paraati_2015_24_Kainuun_prikaatin_lippu.jpg
사울리 니니스퇴 대통령
안티 하케넨
티모 키비넨 대장육군
베사 비르타넨 중장육군
육군사령관
해군사령관
공군사령관
국경경비대사령관(전시)
파일:Pasi_Valimaki.jpg
파일:pic_6_4149909_k3637044_1200.jpg


파시 벨리메키 중장
요리 하리우 소장
유하-페카 케레넨 소장
파시 코스타모바라 중장

통수권자를 방위군대총장(Puolustusvoimien ylipäällikkö)이라고 하며, 대통령이 겸직한다. 전시에는 대통령이 방위군대총장직과 통수권을 다른 사람에게 이양할 수 있다.

겨울전쟁 때 통수권을 이양받은 만네르헤임이 겨울전쟁이 끝난 뒤에도 통수권을 반납하지 않았기 때문에, 리스토 뤼티는 역대 핀란드 대통령 중 유일하게 통수권을 가져본 적이 없다(...).

각군 수장이 '참모(총)장'이 아니라 '사령관'을 칭한다. 3군총사령관인 방위군사령관이 군부의 수장이며, 총참모장은 방위군사령관의 보좌에 머무른다. 여러 가지로 옛날 독일식 직제.


4. 계급[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핀란드군/계급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구성[편집]



5.1. 육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핀란드 육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2. 해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핀란드 해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핀란드 해군 엠블럼.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현대의 핀란드 해군 군함 파일:핀란드해군기.png

[ 펼치기 · 접기 ]
미사일 고속정
투이마급R, 헬싱키급R, 라우마급, 하미나급
고속정
R급R, 바사마 I급R
초계정
키이슬라급R
초계함
{포흐얀마급}
호위함
마티 쿠르키급R, 해민마급(1964)R
상륙정
L급, G급, 우이스코급, 주르모급, 제후급
소해함
키이스키급, 쿠하급, 카탄파급
기뢰부설함
포흐얀마급(1978)R, 판시오급, 해민마급
지원함
빌라스급
정보수집/연구함
이스쿠급
훈련함
파비안 레데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파일:하미나급.3.jpg

250톤급 하미나급 고속정이 사실상 해군주력이다.

포흐얀마급 초계함 도입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데 총 4척이 핀란드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다.


5.3. 공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핀란드 공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관련 문서[편집]




7. 외부 링크[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20:50:51에 나무위키 핀란드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핀란드어로 정식 명칭은 '핀란드 방위군' (Suomen puolustusvoimat)이다.[2] 스웨덴어 명칭이다.[3] 최대 1,100,000여명 가용 가능[4] 핀란드의 징집률은 한국, 이스라엘, 싱가포르 등과 더불어 징집률이 가장 높은 국가들중 하나로 손꼽힌다.[5] 핀란드 뿐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선진국 징병제에서는 단순히 신체등급에 따라 현역, 사회복무요원을 결정하지는 않는다. 신체적, 정신적 사유가 있다면 무조건 면제이고, 현역으로 갈 멀쩡한 인원이 다양한 이유로 군대 가기를 거부하면 그 대신 군대가 아닌 공공기관에서 노동력을 제공하여 대체복무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준다. 오히려 한국이 형평성을 핑계로 대체복무 제도를 장애인 징병으로 악용하고 있는 것이다.[6] 링크 된 영상의 인물은 한국에서 활동 중인 레오 란타. 종종 그의 방송에서 핀란드 군대 썰을 들을 수 있는데, 비슷한 처지의 한국인들은 공감 갈만한 내용이 나오고는 한다. 성인이 되면 군대로부터 초대장이 오는데 응답 안하면 경찰이 찾아온다던가, 나름 열심히 했더니 높으신 분들이 불러서 직업군인 할 생각 없느냐고 묻는다던가 등등 #[7] # [8] 노르웨이와 스웨덴은 징병제를 부활시키면서 여성도 병역이행자로 포함시켰다. 다만 노르웨이는 핀란드, 스웨덴보다는 안보에 여유가 있어 징병제가 말뿐이고 사실상 모병제로 군대가 운용되고 있으며, 스웨덴도 여성 징집 비율을 높이겠다고 선언한 것과 달리 여러 이유로 가급적 남성 위주로 징집을 하는 등 아직까진 여성 징집률이 높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