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르다이아

덤프버전 :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 화이트.svg 알제리의 세계유산
[ 펼치기 · 접기 ]
문화유산
1980년}}}
베니 함마드 요새 도시
قلعة بني حمّاد
1982년}}}
팀가드
تيمجاد
1982년}}}
티파사
تيبازة
1982년}}}
음자브 계곡
وادي مزاب
1982년}}}
제밀라
جميلة
1992년}}}
알제의 카스바
قصبة الجزائر
복합유산
1982년}}}
타실리 나제르
طاسيلي ناجّر



파일:가르다이아 알제 2.jpg
동쪽 크사르 성채. 첨탑이 두 개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파일:알제리 가르다이아 1.jpg
가르다이아를 대표하는 서쪽 타게다이트의 항공 사진

유네스코 세계유산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이름한국어음자브 협곡
영어M'Zab Valley
프랑스어Vallée du M'Zab
국가·위치알제리 가르다이아


등재유형문화유산
등재연도1982년
등재기준(ii)[1], (iii)[2], (v)[* ]
지정번호188

1. 개요[편집]


파일:j4n8ja.jpg
크사르 언덕 성채
파일:가르다이아 알제리.jpg파일:알제리 가르다이아 2.jpg
가르다이아 구도심의 골목

아랍어 غرداية
베르베르어 ⵜⴰⵖⵔⴷⴰⵢⵜ (타예르다이트)
영어 Ghardaïa

알제리 중부 가르다이아 주의 주도. 음자브 협곡의 대표적인 오아시스 도시로, 인구는 약 15만명이다. 지명은 11세기의 베르베르인 성녀 다이아가 동굴 (가르)에서 은둔했던 것에서 기원되었다. 가르다이아 (다이아의 동굴)는 중세 타헤르트루스탐 왕조파티마 왕조에게 멸망당한 후 이바디파 신도들이 종교의 자유를 찾아 남부 사막 지대로 이주하여 건설한 펜타폴리스 중 하나이다. 1050년경 세워진 가르다이아는 사하라 횡단 교역 외에는 외부와 단절된 채로 천년간 독특한 공동체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알제리의 20만 이바디파 무슬림 중 대부분이 이곳에 거주한다.

1853년 주민들은 프랑스와 자치 협정을 맺었다. 비록 1882년 프랑스령 알제리에 포함되었지만 큰 간섭은 없었고, 큰 변화 없이 독립을 맞아 현재에 이른다. 그러던 2008년 반세기 만에 최대의 홍수로 수십명이 사상하고 수백여 가옥이 파괴되는 피해를 겪었다. 시가지는 세 언덕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성벽을 두르고 있고 맨 위에 뾰족한 첨탑을 지닌 모스크가 있기에 구분하기기 쉽지 않다. 서쪽의 타게다이트, 중앙의 멜리카, 동쪽의 크사르 중 전자가 가장 유명하다. 가르다이아는 대추야자와 양탄자 및 의복 생산의 거점이다. 한 프랑스의 사상가 시몬 드 보부아르는 도시가 입체파 건축의 아름다운 예시라고 평하였다. 알제리의 대표적인 관광지 중 하나지만, 한국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2. 갤러리[편집]


파일:알제리 가르다이아 5.jpg파일:가르다이아 알제.jpg

파일:가르다이아 알제 1.jpg
완만한 타게다이트 언덕

파일:가르다이아 알제 3.jpg

파일:가르다이아 알제 4.jpg
경사가 있는 크사르 언덕

파일:가르다이아 모스크 알제 1.jpg
크사르의 대사원


https://www.alamy.com/stock-photo-algeria-sahara-oasis-town-of-ghardaia-overview-africa-north-africa-140609346.html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05:22:57에 나무위키 가르다이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 [2]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