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와 레이솔

덤프버전 :

파일:J1리그 로고(가로형).svg
2024 시즌 참가 클럽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80><width=25%> [[가시마 앤틀러스|[[파일:가시마 앤틀러스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b7183f; font-size: 0.8em;" [[가시마 앤틀러스|{{{#ffffff '''가시마'''}}}]]}}} ||<width=25%> [[가시와 레이솔|[[파일:가시와 레이솔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8em" [[가시와 레이솔|{{{#fff100 '''가시와'''}}}]]}}} ||<width=25%> [[가와사키 프론탈레|[[파일:가와사키 프론탈레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3ea3dc; font-size: 0.8em" [[가와사키 프론탈레|{{{#000000 '''가와사키'''}}}]]}}} ||<width=25%> [[비셀 고베|[[파일:비셀 고베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9B0020; font-size: 0.8em;" [[비셀 고베|{{{#ffffff '''고베'''}}}]]}}} || ||<height=80> [[교토 상가 FC|[[파일:교토 상가 FC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f0f6c; font-size: 0.8em;" [[교토 상가 FC|{{{#ffffff '''교토'''}}}]]}}} ||<width=25%> [[나고야 그램퍼스|[[파일:나고야 그램퍼스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d51317; font-size: 0.8em" [[나고야 그램퍼스|{{{#f39200 '''나고야'''}}}]]}}} ||<width=25%> [[알비렉스 니가타|[[파일:알비렉스 니가타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13F98; font-size: 0.8em;" [[알비렉스 니가타|{{{#ea5404,#fb6514 '''니가타'''}}}]]}}} ||<height=80> [[사간 도스|[[파일:사간 도스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a5599; font-size: 0.8em" [[사간 도스|{{{#ffffff '''도스'''}}}]]}}} || ||<width=25%> [[FC 도쿄|[[파일:FC 도쿄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b308e; font-size: 0.8em" [[FC 도쿄|{{{#e5002d '''FC 도쿄'''}}}]]}}} ||<width=25%> [[도쿄 베르디|[[파일:도쿄 베르디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6683a; font-size: 0.8em;" [[도쿄 베르디|{{{#ffffff '''도쿄V'''}}}]]}}} ||<height=80> [[FC 마치다 젤비아|[[파일:FC 마치다 젤비아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F3685; font-size: 0.8em;" [[FC 마치다 젤비아|{{{#cdbf5d,#a29431 '''마치다'''}}}]]}}} ||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파일: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d20a11; font-size: 0.8em;"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ffffff '''삿포로'''}}}]]}}} || || [[쇼난 벨마레|[[파일:쇼난 벨마레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76b82a; font-size: 0.8em" [[쇼난 벨마레|{{{#005d9f '''쇼난'''}}}]]}}} || [[감바 오사카|[[파일:감바 오사카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3287; font-size: 0.8em" [[감바 오사카|{{{#ffffff '''G 오사카'''}}}]]}}} || [[세레소 오사카|[[파일:세레소 오사카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dc0960; font-size: 0.8em" [[세레소 오사카|{{{#2f3289 '''C 오사카'''}}}]]}}} ||<height=80> [[요코하마 F. 마리노스|[[파일:요코하마 F. 마리노스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64194; font-size: 0.8em" [[요코하마 F. 마리노스|{{{#ffffff '''요코하마 FM'''}}}]]}}} ||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파일: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4032e; font-size: 0.8em"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ffffff '''우라와'''}}}]]}}} || [[주빌로 이와타|[[파일:주빌로 이와타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f9ed4; font-size: 0.8em" [[주빌로 이와타|{{{#ffffff '''이와타'''}}}]]}}} ||<width=25%> [[아비스파 후쿠오카|[[파일:아비스파 후쿠오카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b2355; font-size: 0.8em;" [[아비스파 후쿠오카|{{{#ffffff '''후쿠오카'''}}}]]}}} ||<height=80> [[산프레체 히로시마|[[파일:산프레체 히로시마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59358c; font-size: 0.8em" [[산프레체 히로시마|{{{#ffffff '''히로시마'''}}}]]}}} || ||<-4><bgcolor=#007f41> [[틀:J2리그|{{{#ffffff [[파일:J2리그 로고(가로형).svg|height=30]] ▶}}}]] ||


파일:가시와 레이솔 로고.svg
가시와 레이솔
Kashiwa Reysol
정식 명칭柏 レイソル
라이센스J1
창단1940년[1]
1992년 4월 1일 (32주년)[2][3]
구단 형태기업구단
소속 리그파일:J1리그 로고(가로형).svg
연고지치바현 카시와시
홈구장히타치 가시와 경기장 (15,960명 수용)
모기업히타치
구단주타츠카와 류이치로 (瀧川龍一郎)
감독이하라 마사미(井原 正巳)
키트 스폰서요넥스
공식 웹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라인 아이콘.svg
역대 한국인 선수홍명보 (1999~2001)
황선홍 (2000~2002)
박건하 (2000)[4]
유상철 (2001~2002)
박동혁 (2009~2011)[5]
권한진 (2013~2015)
김창수 (2013~2015)
한국영 (2014)
김보경 (2017~2019)[6]
윤석영 (2017~2020)[7][8][9]
박정수 (2018~2020)[10][11]
김승규 (2020~2022)
우승 기록
JSL
(1회)
1972
J1리그
(1회)
2011
J2리그
(2회)
2010, 2019
천황배
(3회)
1972, 1975, 2012
J리그컵
(2회)
1999, 2013
슈퍼컵
(1회)
2012

파일:external/u.goal.com/156802hp2.jpg
2011년 J리그 디비전 1 우승

1. 소개
2. 경기장
3. 초창기
4.1. 시즌별 리그 순위
4.2. 1990~2000년대
4.3. 2010년대
4.4. 2020년대
5.1. 2012년
5.2. 2013년
5.3. 2015년
6. 김진현 인종차별 논란
7. 선수단
8. 주요 선수
9. 역대 감독
10. 기타
11. 둘러보기



1. 소개[편집]


파일:attachment/가시와 레이솔/b.jpg

가시와 레이솔 응원 모습

가시와 레이솔은 1940년에 창단한 J리그 축구팀이다. 팀 이름인 '레이솔'은 스페인어로 '왕'을 뜻하는 'Rey'와 해를 뜻하는 'Sol'에서 따왔다. 이는 모기업인 히타치 제작소를 뜻하는 말이다. 연고지는 치바현 카시와시도쿄도의 북동 지역이다.


2. 경기장[편집]


파일:external/www.reysol.co.jp/12.jpg
파일:external/www.reysol.co.jp/03.jpg
히타치 가시와 경기장. (출처: 가시와 홈페이지)

파일:external/www.reysol.co.jp/access_kashiwa.gif
가시와 스타디움을 찾아가는 교통편. (출처: 가시와 홈페이지)


3. 초창기[편집]


1940년 도쿄도 고가네이 시에서 히타치제작소 본사 축구부로 창단했다. 천황배와 J리그 전신인 JSL에서 우승한 1972년이 최전성기였고, 1986년에 치바현 카시와시에 자체 전용구장을 지어 옮겼다.

1992년에 JFL에 참가하면서 우승과 J리그 진출을 목표로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 출신의 카레카 선수를 데리고 왔지만 1993년에는 간신히 5위에 머물렀고, 1994년 우승으로 다음 해 J리그로 승격되었다.


4. J리그[편집]



4.1. 시즌별 리그 순위[편집]


파일:가시와 레이솔 로고.svg
시즌별 리그 순위
[ 펼치기 · 접기 ]
시즌 리그 순위
19951J리그12
19961J리그5
19971J리그7
19981J리그8
19991J리그3
20001J리그3
20011J리그6
20021J리그12
20031J리그12
20041J리그16
20051J리그16
20062J리그 디비전 22
20071J리그 디비전 18
20081J리그 디비전 111
20091J리그 디비전 116
20102J리그 디비전 21
20111J리그 디비전 11
20121J리그 디비전 16
20131J리그 디비전 110
20141J리그 디비전 14
20151J1리그10
20161J1리그8
20171J1리그4
20181J1리그17
20192J2리그1
20201J1리그7
20211J1리그15

4.2. 1990~2000년대[편집]


파일:external/www.geocities.co.jp/20.jpg
2001년의 홍명보
파일:external/www.geocities.co.jp/8.jpg
2001년의 유상철
파일:external/www.geocities.co.jp/18.jpg
2001년의 황선홍

1995년 12위 1996년 깜짝 5위를 제외하고 1997 7위, 1998년 8위 기록하면서 중위권을 맴 도는 팀이 되었다. 그러다가 니시노 아키라 감독이 취임하고 홍명보가 영입되면서 팀이 바뀌게 된다.

1999년 팀 창단 처음으로 J리그컵을 우승하고 팀 최고 성적인 종합 3위를 차지했다.
홍명보는 2000년 외국인으로서 팀의 주장을 맡았다. 이 시기에 황선홍이 임대 영입되었고 후기리그 준우승을 기록 2년 연속 리그 3위를 차지했다.

2001년 유상철이 영입되면서 외국인 3명 제한을 모두 대한민국 대표팀 주전으로 채운다. 이른바 '코리안 삼총사' 탄생이다. 홍명보가 일본 축구팬에게도 커다란 존경과 애정을 사는 이유도 이 당시 활약상 때문이다.

그러나 기대와 달리 2001년에는 리그 6위에 머물렀으며 니시노 아키라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사임하게 된다. 2002년 12위로 떨어지게 된다. 2002년 시즌이 끝나기 무섭게 코리안 삼총사도 팀을 떠났으며 2003년 시즌도 작년과 똑같이 12위에 머물게 된다. 2004년 시즌은 16개 팀중 꼴찌인 16위를 기록하고도 2004시즌 한정으로 '15위까지 잔류, 16위는 교체전 진출' 룰 덕분에 운좋게 강등을 피했으나, 2005년 시즌은 18개팀중 16위를 기록한 뒤 J리그 교체전에서 방포레 고후한테 합계스코어 3:8로 패하며 결국 J2로 강등당하고 만다.

2005년에는 최성국이 잠시 임대를 와서 뛰기도 했다.

2006년 J2에서 준우승을 기록해 승격이 확정되었다. 2007년 리그 8위를 기록했지만 2008년 11위 2009년 16위를 기록하면서 다시 강등당하게 된다.


4.3. 2010년대[편집]


2010년 J2에서 우승을 차지하게 되면서 다시 1부리그로 승격하게 된다.

2011년 J리그는 감바 오사카-나고야 그램퍼스-가시와 레이솔 3파전 싸움으로 전개 되었다.
가시와 레이솔은 막 승격한 팀 치고는 무서운 행보를 이어나가고 있어 리그 진행되는 내내 감바 오사카-나고야 그램퍼스-가시와 레이솔 3팀중 1팀이 앞선다 싶으면 금방 따라잡거나 역전해 피말리고 피말리는 싸움을 하게되어 우승 경쟁은 안개속으로 가게 된다.

결국 최종 우승은 승점 72점을 기록한 가시와 레이솔에게 우승이 돌아갔고 팀 창단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J리그 최초로 승격한 팀이 바로 우승을 차지한 팀이되는 영광을 누렸다.

준우승은 승점 71점 나고야 그램퍼스 3위는 승점 70점을 기록한 감바 오사카에게 돌아갔다. 이때 3위와 4위 승점이 얼마나 차이가 났냐면 4위 베갈타 센다이는 56점을 기록해 3위와 4위에 승점차가 14점(!)이나 차이났다.

2012년 작년과 같은 무서운 기세는 없어지고 초반 리그 하위권을 헤매다가 중반부터 뒷심을 발휘해 6위를 차지했다.

2013시즌은 10위를 차지해 중위권으로 시즌을 마쳤다.

2017시즌은 4위로 마감했지만 천황배 4강에 진출해서 ACL 진출의 가능성은 남아있었다. 그러나 요코하마 F. 마리노스에 패배하게 된다. 천황배 우승팀이 챔스진출을 확정했을 경우 리그 4위에게 ACL 진출 기회가 생기므로 3위로 챔스 티켓을 이미 확보한 세레소 오사카의 승리를 바랄 수밖에 없었다. 결국 세레소의 우승으로 2018 ACL 예선 진출. 예선에서 무앙통 유나이티드에 3-0으로 완승하며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2018시즌은 최악의 한해를 보내고 있다. ACL에서는 조별리그에서 일찌감치 광탈했고 리그에서 강등의 가능성이 큰 상태다. 감독도 두번이나 해임되는 등 팀 분위기도 뒤숭숭한 상태. 33라운드 세레소 오사카 원정에서 0:3으로 대승을 거두었지만 강등 라이벌이었던 나고야, 토스, 쇼난이 모두 승리하면서 시즌 1경기를 남기고 강등이 확정되었다.

2019시즌 넬싱요 감독을 복귀시키고 선수단도 어느정도 잘 보존하면서 한 시즌만에 승격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줬다. 그러나 리그 초반엔 어려움을 겪었고 승격팀 가고시마 유나이티드에게도 패하는 등 생각보다 부진한 성적을 보여줬다. 그러나 다시 각성을 시작했고 골폭격을 펼치면서 1위를 기록하고있다. 압도적인 스쿼드로 2위권과의 승점차를 벌렸고 11월 16일 J2리그 우승을 확정지었다. 특히 우승을 확정 지은 후 가진 경기인 교토 상가 FC전에서 13:1로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12]


4.4. 2020년대[편집]


2020시즌 첫 경기인 감바 오사카와의 리그컵 경기에서 승리를 거뒀고 이어서 리그 개막전 콘사도레 삿포로와의 홈경기에서 4-2로 승리하며 기분좋게 시작했다. 최종 성적은 15승 7무 12패 승점 52점으로 7위를 기록했다.


5. AFC 챔피언스 리그[편집]


전체적으로 팀의 성적 자체는 4강에서 광저우 헝다를 상대로 맞대결을 할 정도(2013 시즌)의 제법 괜찮은 실력을 보여주는 편이다. 홈에서도 일방적으로 발리는건 넘어거자
그리고 특이하게도 전북 상대로 역대전적이 5승 1무 2패로 앞서는 편인데다 그 2패도 2018시즌 최근에 얻은 패배다. 이는 전북이 피지컬 중심의 축구를 하는 데 반해 가시와는 일본 특유의 정교한 패스 축구를 하여 전북의 피지컬이 가시와의 패스 축구를 쉽게 압도하지 못해서 생겨나는 일인 것으로 보인다. 단 최근 시즌에는 가시와 상대로 2연승을 하며 어느 정도 설욕에 성공했다.


5.1. 2012년[편집]


2011년 J리그 우승팀 자격으로 AFC 챔피언스 리그에 참가해 H조에 배정받아 전북 현대 모터스, 광저우 헝다, 부리람 유나이티드와 속하게 되었다.

1차전 부리람 원정에서는 쉽게 승리할꺼라는 예상과 달리 3:2일격을 당해 가시와 팬들에게 당혹감을 안겨주었다. 2차전 홈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전북 현대를 5:1로 뭉개버리면서 전북 이흥실 감독대행에게 "흥겹게 실점하는 축구", "흥겨운 실점" 축구를 정착시켜주는데 큰 도움을 준다.

3차전 광저우와 홈경기에서 득점없이 0:0으로 비겼다. 4차전 부리람 유나이티드를 홈으로 불러들여 1:0으로 이겼다. 그러나 5차전 광저우 원정에서 3:1로 패하게 된다.

6차전 마지막 경기는 전북 원정 4팀 다 16강 진출이 불투명할 뿐더러 가시와는 비기면 탈락이라는 부담을 안고 원정을 떠나게 된다. 하지만 경기는 가시와가 전북을 밀어 붙여 싱겁게 2:0으로 끝났다. 최종 성적은 3승 1무 2패를 기록하면서 16강 진출을 확정지었고 최종 순위는 광저우와 부리람 경기 결과를 기다려야 했다.[13]

태국 원정을 떠난 광저우는 부리람을 상대로 막판 PK골로 부리람을 2:1로 꺾으면서 가시와와 똑같은 3승1무2패를 기록하게 되었고 승자승에 앞서 조1위를 차지했고 조2위는 가시와 레이솔로 확정되었다.

조2위로 16강에 진출한 다음 상대는 F조 1위인 울산 현대로 확정되었고 울산 원정 경기를 갖게 되었다.

16강 울산과 경기에서 치열한 공방을 펼쳤지만 서로 득점을 내지 못한 상태에서 전반을 마치게 된다. 그러다가 전반 9분 김신욱에게 헤딩골을 얻어 맞게 된다. 하지만 재정비를 하고 계속 울산을 밀어 붙여 울산 수비진이 우왕좌왕하기 시작했고, 상대 롱 드로인 상황에서 어이없게 실점해 1-1 동점을 만들었다.

그러나 다시 이어진 울산 공세에서 이호의 패스가 가시와 수비수의 자책골이 되어버려 다시 2-1로 역전당하게 된다. 그리고 이근호김신욱의 절묘한 힐 패스를 받아 골을 성공시키며 3:1로 패배하나 싶었지만... 인저리 타임에 극적인 골로 3:2로 따라 붙었지만 이후 추가득점을 올리지 못했고 경기는 이대로 종료되고 가시와는 16강에서 탈락하게 된다.


5.2. 2013년[편집]


AFC 챔피언스 리그에선 H조에 속해 수원 삼성 블루윙즈,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구이저우 런허와 속해 4승 2무로 16강에 진출했으며 16강에서 전북 현대 모터스를 만나 원정에서 2:0, 홈에서 3:2승리를 거두어서 일본 팀으로서 유일하게 8강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알 샤바브에게 안방에서 1:1로 비기면서 불리해졌으나 원정에서 2:2로 비기면서 원정 다득점으로 겨우 4강에 진출했다.(알 샤바브는 리그 우승을 거둔 미셸 프뢰돔 감독을 이 탈락을 빌미로 해고) 하지만 광저우 헝다와의 4강전에선 안방에서 다리오 콘카에게 2골을 허용한 것을 비롯하여 1:4로 대패하면서 사실상 결승진출은 물건너갔다. 2차전에서도 엘케슨에게 1골, 다리오 콘카에게 1골, 무리퀴에게 2골 총 4골을 얻어맞으면서 0:4로 대패하고 1, 2차전 1:8대패를 당하면서 4강 탈락하게 된다.


5.3. 2015년[편집]


전년도 4위의 성적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태국 촌부리를 이기고 조별예선에 진출하였고, E조에 속해 전북 현대 모터스, 산둥 루넝, 빈즈엉과 같은 조가 되었다. 예상을 깨고 E조에서 가장 먼저 16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8강전에서 광저우 에버그란데와 격돌하게 되었는데 홈경기에서 1-3으로 패하며 원정경기는 어렵게 되었다.


6. 김진현 인종차별 논란[편집]


2018년 3월 10일, 세레소 오사카 전에서 김진현에게 가시와 서포터즈가 무례한 행동을 하는 바람에, 김진현이 심판한테 가시와 서포터들이 일종의 동양인 비하인 눈찢는 행위를 하는 바람에 불쾌함을 표시했다고 한다. 이때문에 세레소 팬들도 가시와에 대해 반감이 커졌다고 한다. 세레소 팬들은 김진현이 한국 선수라는 이유만으로 가시와가 비하하고 있는게 아니냐면서 J리그의 10년차인 선수한테 너무하다면서 가시와 서포의 행동을 비난했다. 김진현 가시와 서포터즈가 너무 불쾌해요....인종차별 아닌가요? 눈찢는 행동합니다 J리그팀 팬들은 가시와 레이솔의 인종차별에 응원가를 개사해서 가시와는~ 세계에~ 인종차별을~ 보내~ 일본인외에는 사람이 아니아~ 우리들의 가시와~라며 조롱하기 시작했다. 팬들은 없다고 발뺌하려 했으나 이미 구단에서 추가 조사중인 상태여서 단체로 침묵에 빠졌다. 세레소 팬들은 단체로 얼굴을 기억한다는 김진현을 위해 문제의 장면을 수없이 돌려보면서 이들의 인종차별 모습을 찾았다고 한다. 이에 비해 J리그팀 팬들은 가시와도 우라와랑 비슷해 마찬가지로 팀 팬들이 쓰레기 진현 불쌍하다며 비난이 이어졌다. 김진현에 대한 인종차별 사건의 파장으로 인해, 가시와 팬들도 세레소 팬들이랑 싸우고 있다.


7. 선수단[편집]


[ 펼치기 · 접기 ]
2023 시즌 선수 명단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일문/로마자 성명생년월일체격
1파일:일본 국기.svgGK키리하타 카즈시게桐畑 和繁1987.06.30187cm / 77kg
2파일:일본 국기.svgDF가마타 지로鎌田 次郎1985.07.28179cm / 76kg
3파일:일본 국기.svgDF다가미 다이치田上 大地1993.06.16180cm / 79kg
4파일:일본 국기.svgDF고가 다이요古賀 太陽1998.10.28182cm / 71kg
5파일:일본 국기.svgMF고바야시 유스케小林 祐介1994.10.23172cm / 60kg
6파일:일본 국기.svgDF다카기 도시야高木 利弥1992.11.25177cm / 72kg
7파일:일본 국기.svgMF오타니 히데카즈大谷 秀和1984.11.06174cm / 67kg
8파일:일본 국기.svgMF고이즈미 게이小泉 慶1995.04.19173cm / 70kg
9파일:브라질 국기.svgFW크리스티아누Cristiano da Silva1987.01.12183cm / 83kg
10파일:일본 국기.svgMF에사카 아타루江坂 任1992.05.31175cm / 67kg
11파일:일본 국기.svgFW야마자키 료헤이山崎 亮平1989.03.14173cm / 76kg
13파일:일본 국기.svgDF고이케 류타小池 龍太1995.08.29169cm / 64kg
15파일:일본 국기.svgDF소메야 유타染谷 悠太1986.09.30184cm / 79kg
16파일:일본 국기.svgGK다키모토 하루히코滝本 晴彦1997.05.20190cm / 83kg
18파일:일본 국기.svgFW세가와 유스케瀬川 祐輔1994.02.07170cm / 67kg
19파일:일본 국기.svgFW고야 히로토呉屋 大翔1994.01.02177cm / 68kg
20파일:일본 국기.svgDF다나카 하야토田中 隼人2003.11.01188cm / 80kg
21파일:일본 국기.svgGK사루타 하루키猿田 遥己1999.04.23190cm / 83kg
22파일:브라질 국기.svgDF마테우스 사비우Matheus Gonçalves Sávio1997.04.15175cm / 74kg
23파일:일본 국기.svgGK나카무라 고스케中村 航輔1995.02.27185cm / 82kg
24파일:일본 국기.svgDF미야모토 도시아키宮本 駿晃1999.06.04171cm / 70kg
25파일:일본 국기.svgMF다나카 리쿠田中 陸1999.05.04167cm / 62kg
29파일:일본 국기.svgDF나카가와 소中川 創1999.06.01184cm / 79kg
30파일:일본 국기.svgFW무라타 가즈야村田 和哉1988.10.07169cm / 64kg
33파일:일본 국기.svgDF다카하시 준키高橋 峻希1990.05.04169cm / 71kg
34파일:일본 국기.svgDF스기이 하야테杉井 颯2000.05.17177cm / 68kg
35파일:브라질 국기.svgMF히샤우지송Richardson Fernandes dos Santos1991.08.17174cm / 74kg
36파일:일본 국기.svgMF야마타 유토山田 雄士2000.05.17169cm / 63kg
37파일:일본 국기.svgFW우노키 후미야鵜木 郁哉2001.07.04167cm / 67kg
38파일:일본 국기.svgMF기쿠치 다이스케菊池 大介1991.04.12172cm / 68kg
39파일:일본 국기.svgFW호소야 마오細谷 真大2001.09.07177cm / 69kg
40파일:일본 국기.svgDF이데 게이타井出 敬大2001.08.18180cm / 67kg
구단정보
구단주: 오노데라 시게유키 / 감독: 넬시뉴 밥티스타 / 구장: 히타치 가시와 경기장
출처: 가시와 레이솔 / 최종 수정 : 2020년 11월 8일




8. 주요 선수[편집]


  • 일본
    • 나카야마 유타: 2015-2019
    • 다마다 게이지: 1999-2005
    • 리 타다나리: 2005-2009
    • 사카이 히로키: 2003-2012
    • 에사카 아타루 : 2018-2021
    • 오카야마 카즈나리[14]: 2006-2007
    • 이토 준야: 2016-2018[15]
    • 쿠도 마사토 : 2009-2015
    • 호소가이 하지메: 2017-

  • AFC
    • 권한진: 2011-2013
    • 김보경: 2017-2019
    • 김창수: 2013-2015
    • 박건하: 2000
    • 박정수: 2018-2020[16]
    • 안영학: 2011-2012
    • 유상철: 2001-2002
    • 윤석영: 2017-2020
    • 최성국: 2005
    • 한국영: 2014
    • 홍명보: 1999-2001
    • 황선홍: 2000-2002
    • 김승규: 2020-2022




9. 역대 감독[편집]


대수이름재임기간


10. 기타[편집]


2020년 4월 12일부터 JR 동일본 조반 쾌속선 카시와역의 발차 멜로디를 이 팀의 응원가로 바뀌었다.

J1과 J2 양쪽의 합산 최다득점 경기의 주인공이다. J1은 1998년 8월 8일 세레소 오사카에게 7-5로 승리한 것이며(하이라이트), J2는 상기한 2019시즌 최종전인 11월 24일 교토 상가에게 13-1로 승리한 것이다.(하이라이트) 단 J1의 한 팀 최다득점은 1998년 4월 15일 주빌로 이와타가 세레소 오사카에게 9-1로 승리한 것.


11. 둘러보기[편집]




파일:히타치 제작소 로고.svg
산하 스포츠단
[ 펼치기 · 접기 ]
가시와 레이솔
(축구)
선로커스 시부야
(남자 농구)
히타치 하이테크 쿠거스
(여자 농구)
히타치 아스테모 리바레
(여자 배구)
히타치 야구부히타치 소프트볼부히타치 여자육상부히타치 정보통신공학
배드민턴부
히타치 솔루션즈
장애인 스키부
휠체어 육상부
히타치 ICT 비즈니스
서비스 육상부
히타치 시스템즈
여자 소총사격부
히타치 건설기계
클레이사격부
히타치 물류 육상부히타치 화학 탁구부
파일:HITACHI Inspire the Next.pn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07:18:06에 나무위키 가시와 레이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신인 히타치 축구부의 창단연도[2] #[3] 가시와 레이솔의 설립일[4] 2000시즌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부터 임대[5] 2009시즌 감바 오사카로부터 임대[6] 2019시즌 울산 현대로 임대[7] 2018시즌 FC 서울로 임대[8] 2019시즌 강원 FC로 임대[9] 2020시즌 부산 아이파크로 임대[10] 2019시즌 사간 도스로 임대[11] 2020시즌 사간 도스로 임대[12] 재미있는 것은 이 해 같은 지바현을 연고로 하는 지바 롯데의 2019 시즌 최다 득점이 12점이라는 것이다. 축구가 야구를 능가해 버렸다. 시즌 최종전이다 보니 다른 경기도 모두 동시에 치러졌는데, 경기 소식을 들은 중계진이나 관중들도 황당해 하는 반응이 인상적이다.# [13] 광저우가 질경우 조1위로 16강 진출이 확정되어 F조 2위 FC 도쿄와 붙게 된다.[14] 재일교포로, 한국 이름은 강일성(康一成)이다.[15] 2019년부터 KRC 헹크로 임대. 2020년부터 완전 이적.[16]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사간 도스로 임대. 임대 복귀 후 성남 FC로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