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롱역 (페페) (r2판)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름이 비슷한 호남선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계룡역 문서
계룡역번 문단을
계룡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開籠 / Gaerong
개 롱
파일:Seoulmetro5_icon.svg


다국어 표기
영어Gaerong
한자開籠
중국어开笼
일본어ケロン
주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로 지하 402 (오금동 165-2번지)
운영 기관
5호선파일:서울교통공사_Logo.png
개업일
5호선1996년 3월 30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기타



1. 개요[편집]


수도권 전철 5호선 P553번.[1]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로 지하 402 (오금동 165-2번지)에 위치해 있다. 하지만 지금은 개통 초기의 역번호랑 비슷하다.


2. 역 정보[편집]


파일:54 개롱.png
역 안내도.

파일:20190422_183353.jpg
코요, 캐농, 오굼

개통 당시에 개농역으로 불렸으나 한글 표기법에 맞게('籠'의 원래 독음이 '롱'이므로 開籠은 개농이 아니라 개롱으로 읽는 것이 옳다)[2] 2000년에 역명이 바뀌었다. 방송 상태가 불량한 차에서는 음질이 뭉개져서 일종의 몬더그린으로 인해 개놈역으로 들리기도 한다.[3]역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도 있는 듯.

5호선 마천지선 계획당시 임시역명은 오금역(?!)이었다.[4]


3. 역 주변 정보[편집]


역 주변 역시 아파트와 주거지역이 혼합된 지역이며, 인근 학교로는 보인중, 고등학교와 개롱초등학교, 가동초등학교, 오주중학교, 가주초등학교, 송파중학교가 있다. 송파도서관, 성내천과도 가깝다. 지하철 출구가 사거리와 가까이 위치하고 있지만 정작 사거리의 모든 사분면에는 걸쳐있지 않아서(사거리 사분면 중 오금역 방향 두 쪽은 출입구가 없다) 지역주민 입장에서는 은근히 불편한 역이다. 그래서 가끔 해당 지역구인 송파구 병 국회의원 선거에는 출구를 사거리 전체로 확장하는 것을 공약으로 꺼내기도 하지만 구조 상 막혀 있는 터라 별로 기대할 만한 것은 아닌 듯.

그 외에는 별 특징 없는 베드타운에 위치한 역이다. 동시에 아침 러시아워에 앉아서 갈 수 있는 마지막 5호선 지선 역이기도 하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개롱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수도권 전철 5호선 (마천지선)
[ 2000년~2009년 ]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14,354명14,466명14,498명14,627명14,340명14,044명13,593명13,168명13,472명13,452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14,183명14,208명14,175명14,060명14,184명14,048명13,956명13,630명13,609명14,258명
2020년
10,512명

연립주택과 아파트가 섞여있는 주택가에 위치한 역으로 이용객이 많지는 않다. 정말 신기하게도 2000년부터 지금까지 하루 평균 이용객이 13,000~14,000명을 벗어난 적이 없다(...). 그만큼 외부적인 불안요소에 영향을 받을 일이 없다는 것인데, 쉽게 말하자면 상권/업무/교통/유흥 등등 어떤 분야에서도 거점 역할을 하지 않는다는 이야기이다. 송파구에서 비교적 교통이 불편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 지역 자체가 존재감이 없는 편이다.

역세권이 그리 크진 않지만 주변 인구가 많아서 이용객이 제법 나올법도 한데, 만 명대 초중반 선에서 왔다갔다 하는 것은 개통 이전의 예상치에 비하면 기대 이하의 결과물이었다. 방이역 항목에 잘 나와있는데, 이유는 역시 강동역에서 노선이 갈라지면서 벌어지는 배차 간격, 그리고 강남으로 이어지지 않는 노선이 문제일 것이다. 이 둘 때문에 잠실로 가는 지선버스가 발달하였고, 역세권 주민들의 상당수가 개롱역이 아닌 잠실역의 이용객 수를 늘려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오금역-개롱역-거여역 구간은 오금로만 따라가면 불과 3~5km 거리에 잠실역이 나오기 때문에, 잠실 자체의 수요를 포함해 강남권의 거의 대부분 거점 지역으로 가는 수요를 놓치고 있다.


5. 승강장[편집]


파일:개롱역1.jpg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오금
거여


6. 기타[편집]


이 링크로 들어가보면 역명판에 거여역과 오금역의 역번호가 뒤바뀌어 있다.(...) 2020년 기준으로는 수정되어 있다.


[1] 개정 전 558번. 지금은하남검단산역이 쓰고 있다.[2] 그런데 가능역의 경우, 한자가 佳陵이기 때문에 원래 독음은 '가릉'이다. '가능동'이라는 기존 동명이 있어서 그대로 둔 것으로 보인다.[3] 링크 깨짐, 스포츠서울[4] 이는 오금역이 가락동에 소재되있어서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