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개혁위원회

덤프버전 :



규제개혁위원회
規制改革委員會 | Regulatory Reform Commitee
파일:규제개혁위원회 CI.svg
주무부처파일:정부상징.svg 국무조정실
설립일1998년 4월
공동위원장한덕수 (국무총리)
김종석 (민간 위원장)
주소세종특별자치시 다솜로 261, 331호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홈페이지www.better.go.kr
SNS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
2. 조직
3. 위원
4. 역대 민간위원장


1. 개요[편집]


제23조(설치) 정부의 규제정책을 심의ㆍ조정하고 규제의 심사ㆍ정비 등에 관한 사항을 종합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대통령 소속으로 규제개혁위원회를 둔다.

행정규제기본법


규제개혁위원회대한민국 정부의 규제정책에 관해 이를 심의 및 조정하고, 규제의 심사와 정비에 관한 사항을 추진하는 대통령 소속 합의제 행정기관이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정부주도형 경제성장전략은 커다란 성과를 가져왔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과도한 정부규제가 시장의 효율적 자원배분을 저해하고 국가경쟁력을 낮추고 있다는 비판이 널리 확산되었고, 특히 세계화에 따라 정부규제가 무역마찰의 주요 원인으로 등장함으로서 적극적인 규제개혁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1998년, 행정규제기본법이 시행됨에 따라 설립되었다.

신설되거나 강화되는 규제는 반드시 규제개혁위원회의 심사를 거쳐야 하며, 규제개혁위원회는 필요할 경우 해당 규제의 신설 또는 강화에 대해 이를 철회하거나 개선하도록 권고할 수 있다.


2. 조직[편집]


위원회는 20명 이상 25명 이하의 당연직(공무원)) 및 위촉직(민간인) 위원으로 구성되며, 이 중 민간 위촉직을 과반수로 둔다. 민간 위촉직의 임기는 2년이며, 중임이 가능하다.

정부 측 당연직으로는 기획재정부장관, 행정안전부장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국무조정실장,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법제처장이 해당된다.

위원장국무총리대통령이 위촉하는 민간인이 맡으며, 간사위원은 민간 위원들 중 민간 위원장이 지명하는 자가 맡는다.

사무 처리는 국무조정실 규제조정실에서 맡고 있다.

3. 위원[편집]


구분위원비고
공동위원장한덕수국무총리(당연직)
공동위원장김종석한국뉴욕주립대학교 석좌교수
경제1분과위원회
위원장조원동㈜카본코리아 고문
위원김윤정한국법제연구원 연구위원
위원박익수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위원우태희대한・서울 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위원이혁우배재대 행정학과 교수
위원한기정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당연직)
위원추경호기획재정부장관(당연직)
경제2분과위원회
위원장곽수근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명예교수
위원권남훈건국대 경제학과 교수
위원안완기한국생산성본부 회장
위원이언주문화방송 미래정책실장
위원이인호중앙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위원이창양산업통상자원부장관(당연직)
위원이영중소벤처기업부장관(당연직)
행정사회분과위원회
위원장윤명오서울시립대 방재공학과 교수
위원손경식법무법인 인성 대표변호사
위원신혜은충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위원오균건국대 행정대학원 석좌교수
위원오정은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
위원이상민행정안전부장관(당연직)

겸임[1]
위원방문규국무조정실장(당연직)
위원이완규법제처장(당연직)


4. 역대 민간위원장[편집]


대수위원장임기
초대이진설1998년 4월 16일 ~ 2000년 4월 15일
2대강철규2000년 5월 4일 ~ 2002년 1월 22일
3대안문석2002년 2월 26일 ~ 2004년 2월 25일
4대박종규2004년 3월 25일 ~ 2006년 3월 24일
5대정해주2006년 3월 25일 ~ 2008년 3월 24일
6대최병선2008년 6월 16일 ~ 2010년 6월 15일
7대안충영2010년 6월 16일 ~ 2012년 6월 15일
8대김용담2012년 6월 16일 ~ 2014년 3월 5일
9대서동원2014년 7월 18일 ~ 2016년 7월 17일
10대2016년 10월 18일 ~ 2017년 6월 29일
11대김지형2018년 3월 23일 ~ 2020년 6월 11일
12대2020년 6월 12일 ~ 2022년 6월 11일
13대김종석2022년 8월 24일 ~ 현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18:05:07에 나무위키 규제개혁위원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3개 분과위원회(경제1, 경제2, 행정·사회) 모두에 위원으로 참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