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링 스카이 (r2판)

편집일시 :



파일:Rolling Sky_Logo.png
관련 문서



파일:롤링 스카이 메인.png
파일:롤링 스카이 고블린 마을.png
초창기 메인 배경[1]현재 메인 배경
제작사: Cheetah Mobile
연령 등급: 만 3세이용가
운영 체계: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svg[재출시예정], 파일:iOS 로고.svg, 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 파일:스팀 로고.svg[2]
사용 엔진: 파일:유니티 로고.svg

1. 개요
2. 게임 요소
2.1. 아이템
2.1.1. 미션형 아이템
2.1.2. 소모형 아이템
2.1.3. 기능형 아이템
2.2. 바닥 및 점프대
2.3. 장애물
2.4. 캐릭터
2.4.1. 특수 능력이 없는 캐릭터
2.4.2. 특수 능력을 가진 캐릭터
2.6. 기술
2.7. 설정
2.8. 기타
2.9. 주간 매치
3. 최소 사양
4.1. 스테이지별 난이도[3]
4.2. 컬렉션 스테이지
4.3. 버그
4.4. 리스킨
4.4.1. 파일명 목록 (리스킨)
4.5. 리모델
4.5.1. 파일명 목록 (리모델)
5. 비판과 논란
5.1. BGM 표절 관련
5.2. 도를 넘어서는 양의 콜라보 스테이지
5.3. 랭킹 시스템 문제
5.4. 업데이트 속도 차이 문제
5.5. 랜덤 시스템 문제
5.6. 가속되는 부분 유료화
5.7. 무의미하게 존재하는 베타 테스터
5.8. 매너리즘
5.9. 오역
5.10. 기타
6. 여담
6.1. 2022년 10월 28일 업데이트 재개 소식


1. 개요[편집]


중국에 위치한 Cheetah Mobile에서 제작한 모바일 게임. 좌우로 스와이프하며 움직여 장애물을 피해 목적지에 도착하는 게임이다. 최신 버전 기준으로 보너스 레벨, 미니레벨 포함해 총 86개의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다.[4]

롤링 스카이의 주요 특징은 리듬감이다. 주로 무게추나 레이저 빔, 망치가 바닥을 때리는 타이밍에 맞춰 변화하기 때문에 리듬감이 느껴진다. 박자에 맞춰서 점프하는 공은 덤. 이와 함께 배경음악의 흐름에 따라 테마가 몇 차례 바뀌어 시각적인 분위기도 변화한다. 간접 리듬 게임이라 해도 될 정도. 등각투사 시점과 한 길을 계속 점프 등을 응용하여 전진한다는 진행 방식은 스카이로드와 비슷하지만 게임성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2020년 3월 구글의 광고정책 위반으로 치타의 모든 게임이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사라지며 서비스를 종료하였다. 따라서 롤링 스카이를 하려면 구글링해서 apk파일로 설치해야 한다.[5]


2. 게임 요소[편집]


만약 당신이 정보를 얻기 위해 찾아 들어온 유저라면 이 문단의 내용들을 전부 읽는 것은 비추천한다. '미션형 아이템', '소모형 아이템' 정도만 읽고 자세한 내용은 개별 스테이지 문서들을 참조하는 것이 좋다. 개별 스테이지 문서에도 신규 아이템과 필요한 기술 등에 대한 언급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장애물'과 '스킨' 문단의 설명은 사실상 단순 나열에 불과하여 읽는다고 해서 게임에 도움이 되는 별다른 정보를 얻기는 어려울 것이다.


2.1. 아이템[편집]



2.1.1. 미션형 아이템[편집]


  • 보석
파일:RollingCrystal.png
모노디 이전 스테이지에는 20개가, 모노디 스테이지부터는 10개가 존재한다.[6] 게임 초기에 보석 모두 먹고 클리어하기 구글 업적이 있었으나 도시 스테이지까지만 있다가 존재를 감추었다. 보석 획득 난이도는 스테이지마다 그리고 개개의 보석마다 천차만별. 퍼펙트 클리어를 노리지 않는 이상 안먹어도 진행에 별 문제는 없다. 대부분 단색이고, 공의 색깔[7]과 같거나 보색인 경우가 많다. 화질(퀄리티)을 낮게 설정하면 보석에 탁한 색의 테두리가 생긴다.
여담으로 유튜버들은 올보석 영상 뿐 아니라 0보석에도 도전하여 영상을 찍곤 한다. 보석을 피하려 하는데 너비 1칸으로 길이 났을 때, 일반적인 바닥 위에 놓여 있으면 난간 타기로 피할 수 있다.[8] 하지만 강제로 먹어야 하는 보석도 때때로 있다. 특히 20보석이 있는 스테이지에서 더욱 그렇다.

  • 셔플 보석
34 스테이지 골드 크리스마스에서 새로 등장했다. 보석 3개가 나란히 보였다가 가까이 가면 이리저리 뒤섞이는 액션이 나타나다가 하나의 보석만 남고 남은 두 보석이 빠지게 된다. 그런데 남는 보석의 위치가 완전히 랜덤은 아니다. 첫 시작 보석의 위치는 일단 가운데에서 시작했다가 다른 맵에 갔다올 때마다 가운데→오른쪽→왼쪽→가운데→오른쪽 →왼쪽 순으로 변경된다. 첫번째 이후의 보석들도 동일한 규칙으로 계속해서 위치가 바뀐다. 모노디 이후에 생긴 맵은 보석이 10개이므로 첫 시작 보석 위치만 4회 등장하고 나머지 두 위치는 3회 등장하는 셈이다.[9]
다수의 유저들에게 평은 좋지 못한 편. 이것 때문에 롤링 스카이를 접는 유저들이 많이 생겼다.

  • 왕관
파일:RollingCrown.png
두 번째 보너스 스테이지인 모노디에서 처음 새로 추가되었다. 다시 말하면 그 시점 이후에 나온 1성 맵과 하늘, 사막, 소수의 4, 5성 맵을 제외한 모든 스테이지에 왕관이 등장한다.[10] 삼림 스테이지도 맵의 일부가 수정되어 왕관이 나왔다. 얻는 방법은 보석과 같이 맵 중간에 끼어 있지만, 한 스테이지에 3개밖에 없다. 코너링, 스위치 서핑 등 어려운 패턴을 소화해야 하는 루트가 많다. 따라서 왕관이 있는 레벨은 보석 수가 적은 대신 왕관 난이도는 보석보다 훨씬 어렵다.[11]

  • 랜덤박스
파일:Mystery_Box.png
왕관이 있는 스테이지 중 일부는 랜덤박스 형으로 왕관 미션을 만들어 놓았다. 랜덤박스가 등장하는 후보 루트가 10개 내외로 존재하고 이 중 다섯 곳에 랜덤박스가 나오는데, 이를 먹으면 왕관, 볼[12], 방패[13]가 랜덤으로 나오며, 왕관이 어떤 박스에서 나올지는 모르지만 반드시 3개가 등장하도록 되어있다. 남은 2개의 상자에서는 전술한 볼, 방패가 등장한다. 랜덤박스 후보 루트는 항상 일반 루트와는 다른 길을 타도록 되어 있는데, 이 때문에 갈림길이 많아져 랜덤박스가 등장하는 맵은 길찾기가 난해해지는 경향이 있다. 아예 랜덤박스가 등장하는 루트를 모두 외워두고 랜덤박스 루트로만 다니는 것도 방법이다. 랜덤박스별의 왕관이 나올 확률이 모두 동일하지는 않다.[14] 참고로 끝에서 2개의 랜덤박스 중 적어도 하나는 왕관이 있다.[15]
일반 스테이지에서는 16, 17, 31, 32, 34, 44단계(1UP, 큐브, 생일축하, 할로원 나이트, 골드 크리스마스, 4주년)에 등장하고 보너스 스테이지에서는 3, 4, 5, 19, 34단계(캔디, 8비트, 행렬, 주년 기념일, 기묘한 디저트샵)에 등장한다.


2.1.2. 소모형 아이템[편집]


파일:Normal.png
게임을 1회 플레이하는 데 필요한 아이템으로, 언뜻 보면 타 게임에서도 흔히 보이는 피로도 시스템과 비슷해 보이지만 차이점이 있다면 오직 장애물에 피격되거나 추락사해서 게임오버 되었을 때에만 1개가 소모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는 데 성공하면 소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1개도 소모하지 않고 모든 스테이지를 클리어할 수 있다.
최초 설치 시에는 15개[16]를 받으며, 이후 소진될 때마다 5분을 기다리거나 동영상 광고를 보고 10개씩 더 받을 수 있으며, 이와 별개로 10회 죽을 때마다 한 번씩 전면광고가 나온다. 광고 보기를 통해 볼의 수를 계속하여 늘릴 수 있으나 일정량 이상 시청하면 잠시 '준비중'이 뜨다가, 더 시청하면 장시간 동안 '준비중'이 뜨면서 몇 시간 동안 광고로 볼을 얻을 수 없다. 인앱 결제를 하는 방법이 있다. 볼 500개의 가격은 1000원이며, 2551원이면 볼 무한정에 10회 죽을 때마다 나오는 광고도 없앨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캐릭터의 등장으로 광고보고 볼을 얻는 의미가 퇴색되었는데. 캐릭터를 유료 구입, 룰렛 미션, 이벤트 등의 방법으로 얻으면 사실상 무제한이기 때문이다. 더 빨리 랭킹전에서 10000위 이상의 순위를 기록한 유저들에게 무한 볼을 무료로 주기도 했는데, 당시에 더 빨리라는 맵 자체를 아예 안 했던 게 아닌 이상 10000위 안에는 충분히 들 수 있었던 지라 이로 인해 볼의 가치는 더욱 떨어져버렸다.

  • 방패
파일:RollingShield.png
전자 미궁 업데이트로 나온 신규 아이템으로 장애물에 한 번 부딪혀도 죽지 않는다. 한 번 부딪히면 당연히 소모된다. 다만, 아래로 추락하면 보호해 주지 않는다.[17] 광고 보기를 통해 방패를 얻을 수 있는데, 과거에 하루에 두 개로 제한되었다가 클라우드 업데이트 시점에 5개로 제한 개수를 대폭 늘려주었다. 과거에는 상점에 들어가서 광고 보기 버튼을 눌러야 했으나 지금은 한 판 죽을 때마다 추천 스테이지 등과 함께 광고 보기 버튼이 뜬다. 와이파이가 불안정한 환경에서는 광고 보기 버튼이 아예 뜨지 않으므로 참고하자.
한편, 방패를 돈 주고 사게 되면 6개에 1000원, 27개에 4300원, 99개에 14000원이다.[18] 천공의 성 업데이트 이후 각 레벨을 최초 클리어 시 레벨 난이도에 따라 기본 1개 또는 2개씩 지급하게 되었다. 광고 보고 더블 포[19]상을 받으면 2개나 4개씩 들어온다.

  • 열쇠
파일:B395B8E0-CEBA-4730-B0B1-E19AB14F56F7_1-1.png
천공의 성 업데이트로 등장한 아이템이자 최근엔 현질 유도용으로 전락했다며 빈축을 사고 있는 아이템.[20] 천공의 성 및 캔디 이후에 나온 스테이지들은 모두 열쇠를 사용해야 해금할 수 있으며, 2~3성 맵은 2개, 4~5성 맵은 3개, 이집트 이후 일부 맵은 6개[21]의 열쇠를 요구한다. 예외적으로 1성 맵은 열쇠로 해금을 요구하지 않는다. 열쇠의 유료 구매 가격은 3개 1200원, 10개 3500원으로 꽤 비싸다. 고난도 레벨 하나 해금하는 가격이 1200원인 셈.
다행인 것은 레벨 클리어를 통해 열쇠를 지급받을 수 있다. 아무 레벨이나 최초 클리어 시 1개씩 지급되는데, 더블 포상 버튼을 누르면 광고를 보고 열쇠 2개 얻을 수 있다.[22] 전술했듯이 방패도 같이 2배로 얻을 수 있다. 열쇠를 유료 구입하는 것은 아깝게 느껴지기 마련이므로 더블 포상 기능은 꼭 이용하기를 추천한다.

  • 하트
파일:RollingRevival.png
죽었을때 쓰면 게임 중 지나온 체크포인트 중 가장 가까운 곳에서 부활할 수 있다.하트를 많이 쓰면 공이 소모되는것같은 기분을 느끼게 될수도 있다. 한 판 죽고 나면 무료 하트 획득 기회가 자주[23] 뜨는데 이 때 광고를 보면 하트 2개를 얻을 수 있다. 남은 하트가 0개일 때 죽은 경우도 즉석에서 광고를 보고 하트 3개를 얻어 부활할 수 있다. 유료로도 구입 가능하다.
퍼펙클을 노리는 사람은 쓰지 않는게 좋은데, 왜냐하면 하트를 써서 부활해도 획득한 보석이나 왕관은 유지가 안 되기 때문. 즉 보석 왕관 미션에 도움을 주는 아이템이 아니라 스테이지 100%를 빨리 달성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아이템이다. 물론 퍼펙클을 노리는 사람이 맵 후반부를 연습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퍼펙클에 간접적인 도움은 되는 편.
나오는 스테이지마다 미니 레벨의 방식이 채용되었던 시기에는 계륵 아이템으로 전락하고 있었는데, 당시 나온 스테이지들은 죄다 미니 레벨의 시스템이 적용되어서 하트를 쓰고 싶어도 쓸 수가 없고, 무조건 광고를 보고 부활하도록 되어있는 데다 이게 후술할 하트의 상위 호환 아이템인 슈퍼 하트와 동일한 효과이기까지 하다. 더군다나 다이내믹 블록 업데이트 후로는 광고를 보고 5분 동안 하트를 무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어서 하트의 가치는 더더욱 떨어져버렸다. 이에 대해서 이럴 거면 왜 만들었냐는 반응이 많다. 하지만 미니 레벨 대거 출시도 한때였는지, 최근 들어서는 다시 하트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스테이지들이 많이 등장하면서 예전처럼 유용하게 쓸 수 있게 되었다--

  • 슈퍼 하트
파일:Superrevival.png
월드컵 업데이트로 새로 등장한 아이템으로, 빨간 하트에 노란색 테두리가 있는 형태를 하고 있으며, 게임오버 시 사용하면 게임오버 됐던 자리에서 즉시 부활하며[24] 일시적으로 충돌이나 낙사로부터 보호받는다. 단, 10% 이상이어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하트의 상위 호환 격인 아이템. 광고로는 얻을 수 없고, 이벤트로 가끔씩 소량을 주는 게 끝이라 웬만해선 현질해야 얻을 수 있다.[25] 이 때문인지 갈 수록 남아도는 파란 보석 이외의 아이템들에 비해 쪼달리게 되는 아이템.
전술한 하트와 동일한 이유로 미니 레벨 방식의 스테이지들이 한창 나오고 있던 시기에는 쓸모가 없어 욕을 먹었지만 최근 들어서는 다시 제대로 쓸 수 있게 되었다.

  • 청록색 퍼즐 조각
이집트 업데이트와 함께 등장한 아이템으로, 많이 모아서 캐릭터를 구매할 수 있다. 이 게임에서 드물게 현질로 부담을 크게 줄여준 좋은 아이템. 한 스테이지에서 40%를 달성하면 4개, 70%를 달성하면 6개, 100%를 달성하면 10개를 줘서 스테이지 하나당 총 20개 획득할 수 있고, 그 외에도 매일 기본 1개 + 광고를 시청으로 10개(회당 5개, 2회 시청 가능) = 11개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현질을 해서도 획득 가능하다. 등장 초기에는 조각으로 풍뎅이만 구매할 수 있었지만 서커스 업데이트 후 모든 캐릭터를 조각으로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 분홍색 퍼즐 조각
Alone 업데이트에서 처음 등장한 아이템으로, 많이 모아서 특정 스테이지를 해금할 수 있다. 스테이지에서 퍼즐 모양이 그려진 경계선을 지나가게 되면 1개를 얻게 되는데, 1성 스테이지는 1개, 2성이나 3성 스테이지는 2개, 4성이나 5성 스테이지에는 3개씩 존재한다. 청록색 퍼즐 조각과는 달리 같은 스테이지에서도 몇 번이고 모을 수 있고, 현질해서 얻을 수도 있다. 이걸로 해금할 수 있는 스테이지는 Alone, Alone Remix, Faded가 있다.
이 아이템의 등장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많이 갈린다. 맵의 특정 구간에 도달할 때마다 1개를 받을 수 있는 방식이다 보니 당연히 처음 도전하는 스테이지에서 파밍하는 유저는 없을 것이므로 필연적으로 이미 클리어한 스테이지에서 파밍하게 되는데, 그 특성상 쓸데없는 노가다를 심하게 요구한다며 불만스러워하는 유저도 있는 반면, 스테이지 별로 첫 클리어 보상으로 주는 걸 제외하면 현질 외엔 모을 방법이 없는 열쇠보다는 노가다만 하면 얼마든지 모을 수 있는 이 쪽이 더 낫다는 유저들도 보이는 편. 그런데 Alone II 업데이트 이후 삭제되었다.

  • 파란 보석
파일:Shopgem.png
할로윈 나이트 업데이트로 등장한 아이템. 현질로만 획득 가능하며, 할로윈 나이트 영구 해금, 무한 부활 등의 컨텐츠를 구입할 수 있다. 롤링 스카이의 캐시 같은 개념의 아이템인 듯 하다. 한 스테이지 오픈하는 데 60개 필요하고, 가격은 60개에 1200원이다. 열쇠 3개 가격이 1200원이었는데 그와 동일한 셈. 하지만 열쇠처럼 광고 보기로는 전혀 얻을 수 없다. 결론은 무조건 현질해야 한다.

  • 플로팅
파일:Captura_de_pantalla_2019-08-30_a_las_16.29.06.png
마이크로칩 업데이트로 등장한 아이템. 장착 시 풍뎅이의 능력과 유사하게 낙사 구간으로 떨어졌을 때 1회에 한하여 일정 시간동안 낙사에 면역 상태가 된다. 방패와 중첩해서 쓸 수 있기 때문에 낙사와 충돌을 모두 1회 막아주는 방패+풍뎅이 콤보를 다른 캐릭터로도 구현할 수 있게 되었고, 풍뎅이의 능력과도 연계[26]가 가능하기 때문에 풍뎅이는 방패 능력 캐릭터들의 이중방패와 유사하게 낙사를 2회 막을 수 있게 되었다.
다 썼을 때에 한해서 광고를 보고 1개를 받을 수 있고, 현질로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풍뎅이의 가치가 조금 떨어졌다.[27]


2.1.3. 기능형 아이템[편집]


  • 플라잉부스터(파란색)
파일:플라잉 부스터.png
1UP 업데이트부터 새로 등장하기 시작한 아이템이다. 먹으면 8칸의 거리를 날아갈 수 있다. 최근에도 자주 나오는 아이템이다. 거리 감을 잘 기억하자. 그리고 원 점프대 발사기에서 나올 시에는 칩의 모양을 띄고 서커스 스테이지에서는 마술사 머리가 위에서 내려온다. 몇몇 캐릭터는 플라잉부스터 발동 시 독특한 액션을 펼치기도 한다. 한편, 생일 축하 스테이지부터 등장한 2층으로 올라가는 부스터 역할을 하기도 한다. 첫 번째 부스터를 타고 있는 중에 공중에 떠 있는 두 번째 부스터를 먹으면 2층으로 올라가게 된다.

  • 돌진부스터(분홍색)
파일:돌진부스터.png
1UP 업데이트부터 새로 등장하기 시작한 아이템이다.
10칸 전진하는 동안 블록을 모두 부수고 지나갈 수 있다.

  • 점핑부스터(노란색)
파일:점프부스터.png
트럼프 업데이트부터 새로 추가되었다.
먹으면 4번 연속으로 점프할 수 있고[28], 그 동안 밟은 반투명 블록은 떨어지지 않는다. 점핑 부스터를 먹지 않으면 반투명 바닥이 떨어져 죽는 식의 트랩이 대부분이다.

  • 투명 포탈
파일:relicsportal.jpg
유적 업데이트에서 새로 나온 것으로, 가운데 큰 구멍이 뚫린 이중의 정팔각형(무심코 보면 원형 같지만) 모양이다. 들어가면 공이 갑자기 사라졌다가 다음 포탈이 있는 곳[29]에서 나온다.[30] 들어가는 포탈과 나오는 포탈은 똑같이 생겼으며 일반적으로 둘 사이의 거리는 매우 짧기 때문에 이 포탈을 통해서 게임을 어렵게 만든 케이스는 아직 없는 편.

  • 좌우반전 포탈
파일:igniteportal.jpg
Ignite 스테이지에서 처음 등장했고 레이저,4주년 스테이지에도 나온다. 좌우반전이 시작됨을 알리는 포탈은 반시계방향의 녹색 화살표가, 끝을 알리는 포탈은 시계방향의 녹색 화살표가 돌고 있는 포탈이다. 지나가면 좌우 조작이 반전이되면서 공 위에 천사링 같은 것이 생긴다.

  • 피젯스피너
파일:reggaejump.jpg
레게와 핫파티 스테이지에서 등장한다. 느리게 회전하고 있다가 알맞은 위치에 닿으면 가속 회전하는 동시에 플레이어는 플라잉부스터 효과를 낸다. 알맞은 위치란 화살표 바닥(원격 이동 블록)이 보이는 위치이다. 다른 위치로 가면 피격 판정을 받는다. 어떻게 보면 장애물로 분류될 수도 있는 아이템.

  • 농구골대
파일:basketballgoal.jpg
길거리 농구와 드림팀 스테이지에서 등장하는데, 하늘색 농구골대에 들어가면 농구골대가 푸른 빛을 내며 잠시 정지한다. 못들어가면 골대입구 위에 miss라 뜨면서 떨어져 죽는다. 농구골대 바로 앞에는 항상 그물 모양의 노란색 발판이 있으며 이는 플라잉부스터 효과를 낸다.

  • 듀얼 포탈
파일:aloneportal.jpg
Alone과 Alone Remix, Faded Remix, 미니 레벨2 스테이지에서 등장한다. 포탈 중간에 원에 들어가면 카메라의 시야가 넓어지며(줌 아웃) 똑같은 캐릭터가 2개가 된다. 이걸로 혼자가 아니라는 걸 표현하는 듯 하다. 듀얼 포탈에 들어간 후에는 한 쪽을 움직이면 복제 캐릭터도 같이 대칭으로 움직여서 한 쪽만 집중적으로 보면 된다.

  • 종이비행기 부스터
Faded와 Faded Remix, 케플러의 꿈, 생일 파티에서 등장한다. 초록색이고 종이비행기 모양이 그려져 있다. 획득하면 약 4초간 플레이어가 공중비행 상태가 된다. 공중비행 상태에서는 화면 가장자리에 이펙트가 나타나며, 지면에 있는 장애물의 영향을 받지 않고 대신 공중에 떠 있는 장애물 또는 높은 기둥이 장애물로 대체된다. 비행 시간이 끝나면 천천히 착륙하는데 이 때 착지 위치를 정확히 알아두어야 한다.

  • 순간이동 장치
파일:anniversaryteleport.jpg
할로윈 나이트와 더 빨리, 골드 크리스마스, 성탄의 복음, alonell 스테이지에 등장하며 조작법이 꽤 까다롭기 때문에 유저들 사이에서 악명높다. 순간이동 장치에 공이 들어가면 손을 떼고 있다가, 공이 나오면 알맞은 위치로 조작해야 하는데 이게 의외로 까다롭다.

  • 기울임 장치
악령 군무와 할로윈 데이에 등장하며, 먹으면 화면이 90도로 기울어진다.[31]

  • 투명화 부스터
저녁 노을과 아침 햇살에 등장하며, 이를 먹으면 공이 일정 시간동안 보이지 않게 되었다가 일정한 시간이 되면 정상적으로 돌아온다.

  • 좌우반전 부스터
증기시대와 기계동력에 등장하며, 맵의 좌우가 바뀐다. 근데 안먹고 피해도 바뀐다.


2.2. 바닥 및 점프대[편집]


아래 등장하는 이름은 정식 명칭이 아닌, 편의상 붙인 이름이다.
바닥의 최대 좌우 칸수는 5칸인데[32], 5칸 모두 펼쳐져 있는 바닥의 경우도 맨 왼쪽과 맨 오른쪽에는 항상 낭떠러지가 존재한다. 물론 조작하는 입장에서는 5칸 중에 한 칸을 선택하여 움직이는 식이 아니므로 좌우로 거의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닥에서 벗어나면 떨어져 게임오버가 된다.

  • 일반 바닥
말 그대로 아무런 특징이 없는 발판. 마음대로 굴러다닐 수 있다.

  • 반투명 바닥
반투명하며, 빗금 테두리가 그어져 있다.[33] 밟으면 1칸 전진 뒤에 떨어진다. 빗금 테두리가 여러 바닥에 걸쳐 그여진 경우 테두리 안에 모든 바닥들이 한번에 같이 떨어진다. 즉 이 영역 안에서 1칸 이상 가만히 있으면 게임오버. 이 영역 위에 다른 장애물이 있을 경우 같이 떨어진다.[34]

  • 가짜 바닥
밟으면 즉시 바닥과 공이 떨어져서 게임 오버가 된다.

  • 점프대
공이 밟으면 앞으로 3칸 점프한다. 레이저를 점프로 피할수는 있으나 앞으로 발사하는 레이저라면 점프하다가 다른 발판으로 이동을 해야한다.
대부분의 스테이지의 10~20%를 차지한다.

  • 움직이는 바닥
좌우로 움직이는 바닥이다.[35] 공도 함께 이동하는 건 아니므로 주의하는 것이 좋다. 몇몇 스테이지에서는 현란하게 움직이긴 하는데 그냥 가만히 있으면 통과되는 부분이 나오기도 한다. ‘네온’ 스테이지에 많이 나온다.

  • 발판식 이동 바닥
삼각형 모양의 화살표 모양 스위치를 밟으면 화살표 방향으로 한 칸 이동한다.다른 바닥들과 붙어 있다면 같이 움직인다.

  • 원격식 이동 바닥
발판식 이동 바닥과 모습은 비슷하나 색깔에 차이가 있으며[36] 다른 이동 바닥이 이동하다가 접촉하게 되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른 원격식 이동 바닥에도 반응해서 바닥의 이동을 예측하기 위해선 상당한 반응속도가 필요하다. 발판식이랑은 다르게 스위치를 밟아도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 사라지는 바닥
전자미궁 스테이지부터 나오는 바닥이다. 모습은 일반 바닥과 같으나, 공이 접근하면 아래로 추락하며 사라진다.
트럼프에서는 반대로 떨어지면서 생성되는 바닥이 있다.

  • 기울어지는 바닥
천공의 성과 모노디에 나오는 기울어지는 바닥이다.[37] 멀리서 보면 기울어져 있으나, 공이 접근하면 움직여서 원래 지 형으로 변한다. 이 경우 원래 지형과 상승하는 바닥이 있다.

  • 2진법 바닥
1UP에서 처음 등장하며 처음엔 바닥이 세로로 한칸이였다가 공이 바닥에 닿는 순간 앞으로 5칸 더 촥 펼쳐진다. 바닥이 펼쳐 지는 타이밍이 매우 애매한 데다 펼쳐지는 모양이 구간마다 제 각각이라 반사 신경이 어지간히 좋은 게 아닌 이상 암기해서 넘는게 편하다. 1UP의 난이도를 높인 주범으로 악명이 높다. 몬스터 시티와 레이저에도 나오는데 레이저에는 2진법이 아닌 0,1,2가 나온다.

  • 회전 바닥
큐브 스테이지에서 새롭게 추가된 바닥으로 회전하면서 두 갈 래로 갈라지거나 자리를 옮기거나 하나로 합쳐지는 등 패턴이 다양해서 유저들의 멘붕을 유발한다.

  • 착륙 바닥
트럼프에서 처음 등장한 바닥. 떨어지는 바닥과 비슷하게 위에 서 바닥 지점으로 착륙한다.착륙 후에는 일반 바닥 역할을 한다.

  • 회전 기둥 바닥
레게 스테이지에 잠깐 나오는 기둥형태의 바닥. 멀쩡하다가 30도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기울어진 상태에서 원상복구 되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기울어져 있다고 미끄러져 떨어지지는 않지만 낙사는 한다.

  • 상승하는 바닥
사막에서 첫 등장하며,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참고로 문양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 일반적 상승하는 바닥
바닥처럼 있다가, 갑자기 올라와서 장에물 역할을 한다. 1~3칸이 있다. 만약 1/2칸만 올라올 경우, 밑에 2/1칸이 바닥 밑에 있다.
  • 사라지는 상승하는 바닥[38]
장애물처럼 나와 있다가 아래로 다시 들어간다.
  • 바닥형 상승하는 바닥
맵 엄청 아래에 있다가, 공이 다가오면 올라와 바닥 형태를 한다. 역시 밑에 3조각이 있다.
  • 움직이는 상승하는 바닥
이 역시 일반적 상승하는 바닥과 비슷하며, 올라왔다가 후술할 유령처럼 움직인다.
  • 레이저형 상승하는 바닥
일반 레이저처럼 레이저를 발사하지만, 덤으로 기둥 역할도 한다. 움직이는 것도 있다.

  • 빨라지는 바닥, 느려지는 바닥
레게,핫파티,해양 등에 가끔 나오는 바닥으로, 밟으면 일정 시간 빨라지거나 느려진다.(화살표 모양에 차이가 있다.) 처음 하는 사람은 속도에 애를 먹기도 한다.

  • 큐브 점프대
레게 스테이지와 핫파티 스테이지에서만 나오며, 공이 접근하면 큐브처럼 공중에서 뭉쳐 있다가, 흔들어져서 땅에 떨어져 점프대와 바닥 역할을 한다.

  • 뒤로 가는 바닥
한밤의 카니발에서 등장한 바닥이다. 밟으면 공이 7칸 뒤로 간다.

  • 낮은 점프대
환상의 크리스마스와 겨울,마이크로칩 스테이지에 등장한다. 점프대의 변종으로 점프대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색이 다르며, 밟으면 점프는 하는데 1칸만 뛴다. 일반 점프대와 낮은 점프대를 섞어 놓아 점프 타이밍을 헷갈리게 만드는 식으로 주로 등장한다.

  • 도는 바닥
네온, 대즐에서 등장하는 바닥으로 공이 근처에 접근하면 다른 곳으로 이동한다.

  • 텔레포트 바닥
이집트부터 나오는 바닥으로, 맵 가장자리에 있다가 공이 접근하면 특정 위치로 텔레포트한다.

  • 루트 생성 점프대
이집트, 호루스의 눈, 신비한 성점프대로 점프대와 비슷하지만 초록색이고 일정한 무늬가 있으며 밟으면 특정 오는 바닥의 텔레포트 여부, 일부 장애물, 아이템 생성 여부 등이 활성화된다. 쉽게 말해서 보석이나 왕관 먹는 루트 만들어 주는 점프대다. 그러나 이 점프대는 밟기 어려운 위치에 있고[39] 밟아도 헷갈리는 루트가 있다.

  • 플라잉 점프대
겨울, 드림팀, 길거리 농구, 할로윈 탈출, 한밤의 카니발, 환상의 크리스마스에 등장하는 점프대로 밟으면 플라잉 부스터 효과가 나는데 일반 플라잉 부스터는 먹을 수 있는 아이템이지만 이건 점프대라 밟아도 무한 유지 된다. 길거리 농구, 드림팀, 월드컵, 잔디 구장에선 생김새도 다르고 더 멀리 날아간다.

  • 랜덤 점프대
설날에서 처음 나온 점프대로, 처음 위치는 항상 3번 라인에 고정되어 있지만, 공이 접근하면 갑자기 자리를 옮긴다.[40] 반응 속도가 어지간히 빠른 게 아니고서야 보고 건너는 건 무리고, 규칙을 외워서 건너야 한다. 규칙은 첫 랜덤 점프대는 1번 라인에서 시작해서 1→3→5→2→4→1→3→5→2→4→1→3... 규칙으로 움직이는 걸 반복한다. 죽거나 재시작했다면 첫 랜덤 점프대의 위치를 한 칸 앞당겨서 동일한 규칙대로 반복한다. 예를 들어 한 번 재시작하면 3→5→2→4→1→3→5→2→4→1→3→5...가 되고, 여기서 다시 재시작을 하면 5→2→4→1→3→5→2→4→1→3→5→2...가 되는 식. 3번 라인에 점프대 하나가 덩그러니 있고 근처에 발판이 X자 배치로 놓여있다면 그게 바로 이 랜덤 점프대이니 빠르게 보고 대처해야 한다. 설날의 난이도를 높인 일등공신이기도 하다. The Spectre Remix에도 몇 번 등장한다. The spectre 에서는 가짜 랜덤 점프대, 미식축구 스테이지에는 X자발판 배치가 없이 등장하기도 하고, 신비한 성에서도 왕관 루트에 등장한다.]

  • 가로 부스터
미식축구, 챔피언십에 등장하며, 바닥에 >> 혹은 << 표시가 있어 옆으로 이동하면 낙사를 무시해 버리고 비로 옆 바닥으로 이동한다. 이것도 조작법이 의외로 까다롭다. 한편 환상의 음파[41] 에도 가로 부스터가 등장하는데 미식축구에 나왔던 것과는 다르게 이것을 타면 손을 가만히 놓아도 공이 벽에 부딪혀 저절로 움직이는 현상이 일어난다.

  • 시소 발판
alonell에 나오며, 한쪽은 아래로 떨어지게 되있고, 한쪽은 점프대와 같은 효과를 낸다. 즉 암기발판 이다. 다이나믹 블록에도 등장하는데 화살표 쪽으로 가면 돼서 쉽다.

  • 랜덤성 바닥
마이크로칩에 등장하며, 공이 접근하면, 규칙대로 펼쳐져 1up의 2전법 다리와도 유사하다. 대각선 줄타기+와리가리를 요구하는 바닥도 있으니 주의하자. 생김새는 마이크로칩 문서를 참고.

  • 계단형 점프대
다이내믹 큐브에 나오며 위로 올라간 후 3개의 기둥을 통통퉌다. 이집트의 '루트 생성대'와 비슷하게 생겼다.

  • 착륙하는 바닥
VR 유토피아에 첫 등장하며 바닥이 위에서 아래로 생기면서 모양을 유지한다. 가끔씩 바닥에 블록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 벽에서 불는 바닥
4주년에 등장하며, 비스듬하게 놓여있던 벽이 공이 접근하면 아래로 길을 만든다.

  • 직각 바닥
악령 군무와 할로윈 데이에 등장하며, 화면이 90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바닥 역할을 한다.


2.3. 장애물[편집]


  • 여기서 말하는 장애물이란 닿으면 피격 판정이 되는 구조물들의 집합이다.
  • 아래에 등장하는 이름은 정식 명칭이 아닌, 편의상 붙인 이름이다. 판정은 까다로운 편은 아니다. 아주 살짝 닿아도 죽는 건 아니니 조금은 안심해도 된다.[42][43]
  • 이중 상징 장애물은 각 스테이지 맵 사진중 가장 가운데에 있는 장애물을 말한다.그래서 사진 가운데에 장애물이 없을 경우 작성하지 않는다.

  • 범퍼
첫등장: 1-산언덕[44]
바닥에 박혀 있다가 공이 접근하면 위로 상승한다. 묘비나 낮은 나무 등의 형태로도 존재한다.

  • 세로 구조물
첫등장: 1-산언덕
기본적으로 범퍼와 같지만, 점프대로 넘어갈 수 없다. 테마별로 높은 나무, 야자수, 등대, 나무 괴물 등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범퍼 + 가시 무게추라 보면 된다.[45]

  • 무게추
첫등장: 1-산언덕
일정 주기로 제자리에서 날아올랐다가 그대로 떨어진다. 피할수는 있으나 여러개가 있으면 빠른 판단력과 예지력으로 사이사이를 빠져나가야 한다.[46] 참고로 떨어진 뒤 프로펠러가 굉장히 빠른 속도로 돌아간다. 이 놈 앞에서 죽으면 확인 가능.

  • 세로 망치
첫등장: 1-산언덕
바닥에 붙어 있으며, 일정 주기로 양옆의 바닥을 때린다. 피격 범위는 양옆 두 칸이다. 산언덕의 상징 장애물.


  • 가로 망치[47]
첫등장: 1-산언덕
역시 바닥에 붙어 있으며, 세로 망치보단 작다. 일정 주기로 회전하면서 길을 막는다. 피격 범위는 양옆 한 칸이다.

  • 레이저 대포
첫등장: 1-산언덕
일정 시간 이후 전방에 레이저 빔을 쏜다.[48] 흰색 알갱이가 나오는 것을 보고 피할 수 있다. 피격 범위는 가로 한 칸. 이것에 의해 죽을 시 평소와는 다른 이펙트가 생긴다.[49][50] 발사되면 화면이 흔들린다.[51] 이외에도, 사막 스테이지부터 등장하는 세로 구조물 역할도 하는 발사대도 있다.도시 한정으로 스포트라이트 외형으로 나온다 (이 레이저는 꺼지지가 않는다.).
거의 모든 스테이지는 대포가 발사됨과 동시에 스킨이 바뀐다. 레이저바주카 여담으로 아카플래닛 ACAPLANET에 검정색이 들고 있는거다.

  • 신호기
첫등장: 1-산언덕
하늘을 향해 빔을 쏘고 있는 장애물로 위에 레이저 대포와는 달리 빔을 맞아도 피격판정은 받지 않는다.[52] 도시, 천공의 성, 모노디 한정으로 조명 외형으로 나오기도 하다. (이 신호기에서 쏘는 빔은 반투명이다.)

  • 삼각 가시
첫등장: 1-산언덕
정사면체 모양이며, 땅에 있다가 날아올라서 각 면에서 가시를 세운다. 특성상 점프대를 타고 점프 중일 때만 피격 판정이 된다. 테마마다 올빼미,전광판 등의 형태로도 존재한다.
유니티아이콘 닮았다

  • 바퀴
첫등장: 1-산언덕
맵 양옆을 왕복하면서 굴러다닌다. 스킨마다 모양과 색이 다 다르다. 가로 너비가 4칸일 경우 하늘을 날아다니기도 한다.

  • 나무
첫등장: 1-산언덕
산언덕, 삼림과 사막에서 나오며 말 그대로 나무같이 생긴 장애물이다.[53] 테트리스 혹은 캔디에서는 알록달록한 색으로 나오기도 한다.

  • 드래곤
첫등장: 2-하늘
지옥스킨만 등장하며 공이 접근하면 위로 만들어진다.[54]화산의 상징 장애물.

  • 블록
첫등장: 4-사막
바닥밑에 숨어 있다가 공이 접근하면 위로 상승한다.

  • 송전탑
첫등장: 6-도시
가로세로 세 칸짜리 십자 모양이며, 송전탑 외부로 타원 모양의 이펙트가 생긴다. 스킨마다 모양이 다르다.[55][56]

  • 회전 막대
첫등장: 3-삼림
작은 망치와 같이 일정 주기로 회전한다. 피격 범위는 양옆 두 칸이다. 유튜버들이 '사랑의 매' 또는 '츄러스' 라고 칭하기도 한다.도시의 상징 장애물.

  • 가로 레이저 빔
첫등장: 7-과학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작은 레이저 빔을 쏜다. 레이저의 진로에 다른 레이저 발사기가 있다면 끊긴다. 과학 스테이지에서 주로 점프대 위에 레이저를 놓아서 공이 점프대로 가면 죽게 하는 함정이 있다.

  • 끄는 레이저 빔
첫등장: 9-전자 미궁
전자 미궁 스테이지에서 가로나 세로로 레이저를 놓으면 그 앞의 스위치를 밟아서 레이저를 끄고 지나가는 장애물이다.
  • 게이트
첫등장: 7-과학
공이 접근하면 아래로 꺼지거나 위로 올라간다. 아래로 꺼졌을 경우 점프대를 사용하여야만 넘어갈 수 있고, 위로 올라갔을 경우 점프대를 타고 닿으면 피격 판정이 된다.[57]대부분의 상징 장애물이 이 형태다.

  • 은형 블록
첫등장: 8-테트리스
멀리서는 안 보이다가 번쩍 하고 나타났다가 반투명화 되는 것 (피격 판정이 있음)이 있고, 투명화 되는 것 (피격 판정이 없음)이 있다. 물론 반투명화 되지 않고 끝까지 불투명한 블록도 있는데, 이 경우도 피격 판정이 있다.

  • 테트리스 블록
첫등장:8-테트리스
공이 접근하면 막혀 있는 블럭 한 줄이 사라진다. 사라진 후에는 상승하는 바닥과 똑같다.

  • 테트리스 나무
첫등장:8-테트리스
테트리스 에서 첫등장 말 그대로 나무같이 생긴 장애물이다.

  • 트라이앵글 블럭
첫등장:9-전자 미궁
공중 가시처럼 점프하나 싶더니 다시 바닥으로 떨어진다. 무게추와는 다른 게 고정되고 나서는 움직이지 않는다. 할로윈 스테이지의 경우 잭 오 랜턴의 형태로 존재한다.

  • 뱀 블록
첫등장:9-전자 미궁
상승하는 바닥과는 달리 계속 움직이는 비고정 장애물이다. 물론 닿으면 피격 판정. 전자 미궁의 상징 장애물.

  • 블레이드
첫등장:9-전자 미궁
바닥에 박혀 있는 원 모양 장애물로 공이 접근하면 4조각으로 나눠진다. 그 조각에 닿으면 피격 판정이 되며 공에게서 멀어지면 다시 합쳐진다. 원이 합쳐질때 바로 옆으로 가면 원에 있는 가시에 죽을수 있으니 주의. 15단계 쿵푸에도 있다. 표창을 표현한 듯.

  • 큐브포대
첫등장:9-전자 미궁
정육면체 모양 이펙트를 위로 발사하는 발사대. 물론 시야만 가릴 뿐 상승하는 바닥과 다른 게 없다. 할로윈, 고스트 댄스 스테이지에서는 항아리 같은 곳에서 초록색 눈알 이펙트가 튀어나온다.

  • 천공 십자가
첫등장:10-천공의 성
먼 곳에서 볼 때는 감압판처럼 생겼지만 공이 접근하면 바닥에서 세로 구조물이 생성된다. 천공의 성의 상징 장애물.

  • 천공 무게추
첫등장:10-천공의 성
가운데 세로 구조물 하나, 양 옆에 무게추 두개의 모양으로, 공이 접근하면 무게추처럼 떨어지거나 공중 가시처럼 상승하는데, 한 번 떨어지거나 상승하면 움직이지 않는다.[58]

  • 해골
첫등장:11-할로윈
할로윈 스테이지에 등장한 장애물로, 서서 춤을 추고 있는 해골들은 세로 구조물 역할을 하며, 바닥에서 튀어나오는 해골 손은 블록 역할을 한다. 캐릭터 앞에서 슉 하고 날아가는 해골들도 있다. 시야만 가린다.할로윈의 상징 장애물.

  • 고스트
첫등장;11-할로윈
할로윈 스테이지에 나온 신규 장애물로, 공이 접근하면 어딘가에서 튀어나온 뒤 한 칸 이동한다. 그래서 유령이 많이 나오는 암기 구간에서는 특히 많은 볼을 소모하게 만든다. 할로윈 스테이지에서 많이 죽는 이유중 하나.고스트 댄스의 상징 장애물.

  • 해골 문
첫등장:11-할로윈
해골 형상이 그려진 문이다. 공이 접근하면 열리거나 닫히며, 열릴 경우 가운데에 있지 않을 경우 열리는 문에 부딪혀서 피격 판정이 된다. 그래서 할로윈 스테이지에서 방패 들고 갈 때 시작시에 주의하는 게 좋다.

  • 호박

  • UFO
첫등장:13-심우주
심우주 스테이지에서 나온 신규 장애물로, 우주선 모양으로 생긴 장애물이다. 위에서 레이저를 쏘면서 조금 화면이 흔들리는 이펙트를 준다. 사실 무게추와 용도는 비슷하지만 시야를 더 많이 가린다.레이저의 상징 장애물.

  • 입체 카드
첫등장:14-크리스마스
크리스마스 스테이지에서 새로 등장한 신규 장애물로, 공이 접근 하면 카드가 펼쳐지면서 장애물이 등장한다. 주로 트리나 산타클로스가 나온다.이중 산타클로스가 크리스마스의 상징 장애물이다.

  • 풍선
첫등장:14-크리스마스
크리스마스 스테이지에서 나온 장애물. 선물상자에서 갑자기 풍선이 튀어나와 시야를 많이 가린다.

  • 눈사람
첫등장:14-크리스마스
크리스마스 스테이지에 나온 신규 장애물. 공이 접근하면 제자리에서 한바퀴를 돈다.

  • 진저브레드[59]
첫등장:14-크리스마스
크리스마스 스테이지에 나온 신규 장애물. 나무를 한바퀴 돌기도 하고 춤을 춘다. 크리스마스 스테이지에서 가장 위험한 장애물 중 하나.

  • 쿠키
첫등장: 14-크리스마스
쿠키 모양으로 다리가 있다. 이상한 소리를 내기 때문에 쿠키가 많은 27%, 또는 33~34%나 68~70%에서 죽으면 대참사를 경험할 수 있다.

  • 산타
첫등장: 14-크리스마스
산타 모양으로 선물을 들고 있고 '호호호' 거린다.

  • 쿵푸 훈련 막대
첫등장:15-쿵푸
쿵푸 스테이지에서 나오는 장애물. 회전 막대랑은 다르게 1칸의 여유가 있고 더 천천히 돈다.

  • 폭죽
첫등장:14-크리스마스
배경에 폭죽을 떠뜨린다. 장애물은 아니지만 펑펑 하는 폭발음이 거슬릴 수가 있으니 효과음을 끄는 것을 추천한다.

  • 쿵푸팬더
첫등장:15-쿵푸
팬더 모양 장애물. 쿵푸의 상징 장애물.

  • 철퇴
첫등장:15-쿵푸
하늘 위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 전투기
첫등장:16-1up
1up와 8비트에 나오는 전투기이다. 송전탑하고 비슷한 형태이지만 뒤에 한칸이 뚫려있어 '' 모양이다. 아쉽게도 전투기라고 하늘에 있지는 않고 땅에 박혀있다.

  • 매미
첫등장:16-1up
눈은 화가 난 표정이며, 공중 장애물이다.

  • 팩맨
첫등장:16-1up
옆으로 걸어다닌다. 팩맨과 거의 비숫하게 생겼다.

  • 지킴이 팩맨
첫등장:16-1up
옆으로 걸어다니고, 돌진부스터 뒤에 있는 블록 안에 있다. 돌진부스터로 뚫으면 없어진다.

  • 돌아가는 큐브
첫등장:17-큐브
바닥에 고정 되어있고, 처음부터 마름모 모양으로 빙글빙글 도는 것과, 갑자기 3단계로 상승해서 빙글빙글 도는 것이 있다. 큐브의 상징 장애물.

  • 삼각성 큐브
첫등장: 17-큐브
돌아가는 큐브와 마찬가지로 빙글빙글 돌지만 모양이 다르고 삼각형이 반으로 붙어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뜨는 것도 있고, 바닥에 고정 되어있는것도 있다. 또 삼각성 큐브마다 크기가 다르다.
  • 무지개
첫등장:17-큐브
처음에는 조그만해 보이지만 공이 접근하면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펼쳐진다. 행렬의 상징 장애뭉.

  • 변형 벽
첫등장:17-큐브
네모난 블록이 아무렇게 펼쳐진다. 다행하게 랜덤은 아니고 항상 일정하게 펼쳐진다.

  • 카드 병사
첫등장:18-트럼프
트럼프, 조커 스테이지를 대표하는 마스코드이기도 하면서 트럼프의 상징 장애물인 카드 병사. 멀리서 공에 가까워지는 사이에 한칸 이동을 한다. 자세히 보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병사와 왼쪽으로 이동하는 병사의 얼굴 차이가 있다.(무표정/화난얼굴).

  • 도마와 칼
첫등장:18-트럼프
트럼프, 조커 스테이지에서 나오는 장애물. 칼이 있었던 곳은 도마가 뒤집히면서 칼이 없어지고 칼이 없었던 곳은 도마가 뒤집히면서 갑자기 칼이 꽂히므로 칼이 꽂혀있는 쪽으로 가면 된다.

  • 카드
첫등장:18-트럼프
스킨에 따라 포커나 조커 모양이 새겨진 카드가 나온다.

  • 포커, 조커대
첫등장:18-트럼프
카드에 나오는 2가지 모양을 띄고 있으며, 빙글빙글 돈다. 바닥에 고정 되어있는것도 있고, 움직이는 것도 있다.

  • 뚫려있는 카드
첫등장:18-트럼프
카드와 비숫하지만 가운데가 뚫려있고, 빙글빙글 돈다.

  • 포커, 조커맨
첫등장:18-트럼프
스킨에 따라 생긴 것이 다르다. 사람과도 비숫하게 생겼으며, 처음에는 카드였다가 포커, 조커맨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고 이 반대인 경우도 있다. 조커맨이 조커의 상징 장애물.

  • 열리는 벽
첫등장:21-길거리 농구
벽이 앞을 가로막고 있을 때 벽 앞의 스위치를 밟으면 벽이 갈라지면서 지나갈 수 있는 틈이 생긴다.

첫등장:19-레게
레게와 핫파티 스테이지에서만 나오며, 공이 접근하면 입체적으로 갈라진다.

  • 거미
첫등장:22-한밤의 카니발
내려왔다가 올라가는 거미, 내려와서 올라가지 않고 짱박혀있는 거미, 내려왔다 올라가면서 거미줄을 뿌려 공을 느리게 만드는 거미 총 세 종류가 있다.

  • 입 벌리는 호박
첫등장:22-한밤의 카니발
호박과 똑같지만 입을 벌리면서 형광등이 나온다.

  • 프랑켄슈타인
첫등장:22-한밤의 카니발
이 스테이지에서 가장 무섭고 잔인하게 생긴 장애물.

  • 드라큘라
첫등장:22-한밤의 카니발
생긴 것은 드라큘라고, 좌우로 조금씩 움직인다. 한밤의 카니발의 상징 장애물.

  • 뱀파이어
첫등장:22-한밤의 카니발
인간과도 비슷하며 퀄리티가 심히 낮은 장애물이다.

  • 농구 선수
첫등장:21-길거리 농구
길거리 농구 스테이지 부터 등장하며, 점프하며
리얼하게 드리블을 막거나 옆으로 360° 돌면서 이동하거나 춤을 추는 등의 여러 유형이 있다.

  • 셔틀 바퀴
첫등장:17-큐브
일정 지점 사이를 오가며 공을 방해한다.큐브/행렬 스테이지에서 나오며. 일반 바퀴보다 더 천천히 돈다. 한국 유튜버들이 ‘김밥’ 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 눈송이
첫등장;24-환상의 크리스마스
웃는 얼굴을 하고 있으며 귀마개를 착용하고 있다.

  • 루돌프
첫등장:24-환상의 크리스마스
혀를 내민 루돌프 모양이며, 루돌프 팔에 피격이 많이 된다.

  • 집앞
첫등장:24-환상의 크리스마스
환상의 크리스마스 12%에 나오며 플라잉 부스터를 먹고 올라가면 그냥 통과된다.

  • 집 모양의 장애물
첫등장:24-환상의 크리스마스
말 그대로 집 모양이며 바각을 따라 움직이는 것도 있다.

  • 모빌
첫등장:24-환상의 크리스마스
줄이 돌아가며 별, 눈송이, 종 같은 모형이 있다.

  • 선물더미
첫등장:24-환상의 크리스마스
선물이 여러개가 쌓여있다.

  • 난로
첫등장:24-환상의 크리스마스
안에 불이 붙어있다.

  • 원 점프대 발사기
첫등장:25-네온
네온 스테이지와 대즐 스테이지에서만 나오며, 원 점프대 발사기 자체에는 피격 판정이 있지만 앞으로 메카드를 발사하기 때문에 별 문제는 없다.네온의 상징 장애물.

  • 생성되는 게이트
첫등장:25-네온
네온 스테이지에서 나오며 일단 코 앞에서 생성되는 벽처럼 생겼지만 공이 오는 순간 벽이 생성 되고 그 순간 2개로 분리돼서 헷갈림을 유발한다.

  • 화살표 칩
첫등장:25-네온
네온 스테이지에서 나오며 그냥 마름모 모양 벽처럼 생겼지만 공이 접근하면 양 옆으로 화살표를 발사한다.

  • 전기파 발사기
첫등장:25-네온
네온 스테이지에서 나오며 평소엔 벽이지만 공이 접근하면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피격 판정이 있는 전기파를 쏜다.[60]

첫등장:25-네온
네온 스테이지에서 많이 나오며 평소엔 한쪽 방향으로 키보드를 내밀고 있다가 공이 접근하면 반대 방향으로 키보드를 내민다.

  • 부서지는 세로 구조물
첫등장:10-천공의 성
10단계 이후로부터 나오며 테마마다 부서지는 십자가 등의 형태로 존재한다. 유적, 동화 스테이지에서는 부서질 때 나는 조각이 바로 블록으로 변하는 것도 있다.

  • 스켈레톤
첫등장:20-유적
유적, 동화 스테이지에서 나오는 세로 구조물로 세로 구조물과 달리 공이 접근하면 양 옆으로 피격 판정이 애매한 창을 찌른다. 여담으로 The Legend of Gockgang-E의 다람지랑 92%일치한다. 유적의 상징 장애물.

  • 기계 레이저
첫등장:23-ignite
Ignite 스테이지와 그의 보너스 스테이지 레이저에서 나오는 레이저 대포. 일반 레이저 대포와 달리 발사되기 전 이펙트가 없고 어떤 건 쏘는 레이저가 이펙트인 경우도 있다.

  • 호루스의 눈
첫등장:26-이집트
이집트 스테이지부터 등장하는 장애물로, 블록보다 크고 외형이 다르단 점 빼곤 다를 게 없다.

  • 피라미드
첫등장:26-이집트
호루스의 눈에서 등장하는 장애물로, 상승하는 바닥과 비슷하지만 올라온 뒤에 회전 바닥처럼 합쳐지거나 분해된다. 아니면 움직인다.

  • 피라미드 일루미나티
첫등장:26-이집트
이집트에서 등장하고 일루미나티와 달리 피라미드 모양이고 좀 다른 모양으로 갈라진다.

  • 변신하는 게이트
첫등장:20-유적
동화와 유적 스테이지에서 등장하며 블럭과 비슷하지만 공이 접근하면 게이트로 변신한다.

  • 레게 휴먼
첫등장:19-레게
레게에 많이 등장하며, 북을 치고 있는 흑인이다. 그리고 마인크래프트엔더맨을 연상시키는 듯 공이 접근하면 특정 위치로 텔레포트한다. 레게의 상징 장애물.

  • 핫파티 점퍼
첫등장:19-레게
레게보단 핫파티에 더욱 많이 등장하며 공이 접근하면 점프한다. 그러나 점프를 빨리 뛰기에 블록과 다른 게 없다.

  • 스피커
첫등장:19-레게
레게와 핫파티에 등장하며 공이 접근하면 양 옆으로 블럭이 나왔다가 다시 들어간다. 사실 블록과 다른 건 거의 없다.

  • 접이식 스피커
첫등장:19-레게
레게에 더 많이 등장하는 스피커인데 소형 스피커와 모습이 비슷하지만 공이 접근하면 5칸 정도 앞으로 스피커가 튀어나온다. 본체는 제자리에 가만히 있는다.

  • 갈라지는 가시
첫등장:19-레게
가시처럼 생겼지만 공이 접근시 앞쪽 가시는 왼쪽으로 갔다가 다시 오고, 뒷쪽은 오른쪽 갔다 돌아온다.

  • 야자수
첫등장: 19-레게
이 야자수는 두가지 형태가 있는데 어쨌든 둘다 세로 구조물이고 1번째는 작은 야자수다. 선인장에서 야자수가 되며, 사막과 도시 스테이지의 일렉트로닉 구간에 등장하는 그 시야 안가리는 야자수 맞다. 2번째는 큰 야자수로, 거의 씨도 잘 안보이는 형태로 있다가 공이 접근하면 갑자기 엄청난 크기의 야자수로 자란다. 물론 이건 레게랑 핫파티에서만 나오고, 큰 야자수는 잎이 시야도 가린다.

  • 타이어
첫등장:21-길거리 농구
길거리 농구에서 등장하고 4칸 타이어인데 접근 시 맨 위의 타이어가 떨어진다. 떨어진 타이어는 나머지 타이어들과 1칸의 간격을 둔다. 길거리 농구에는 이 간격을 지나가는 패턴이 있다.'

첫등장:27-서커스
서커스 스테이지에서 등장하고 바퀴보다는 훨씬 느리게 움직인다.

  • 훌라후프 게이트
첫등장:27-서커스
서커스에 처음 등장하며 일반적으로 3x3 형태의 블럭에 가운데가 뚫려있다.

  • 관람차
첫등장:27-서커스
세로 구조물이며 쿵푸 막대 정도의 속도로 움직이고 관람차가 위로 올라갔다 옆으로 갔다가 아래로 내려오는 모션은 딱딱 끊기는 형태다.

  • 삼각 북
첫등장:27-서커스
그냥 북 몇개가 나열 되어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공이 접근하면 삼각형 모양으로 입체적으로 갈라진다.

첫등장:27-서커스
서커스 스테이지에 등장하고 위에서 내려오는 공중 가시 같지만 소리가 웃음소리다.(후후하하하)

  • 서커스 랜턴
첫등장:27-서커스
평소엔 꺼져있지만 공이 접근시 켜진다.

첫등장:27-서커스
북같이 생긴 블럭이다.

  • 목마
첫등장:27-서커스
갑자기 하늘에서 떨어지는 목마다.

  • 축구 인형
첫등장:28-월드컵
월드컵 스테이지에서 등장하는 장애물로, 머리가 축구공인 사람 모양의 인형이다. 공이 접근하면 회전하면서 차내려고 한다. 머리 부분에도 판정이 있어서 점프대 타는 도중에도 피격될 수 있으니 주의.

첫등장:28-월드컵
월드컵 스테이지에 등장하는 장애물로, 공이 접근하면 대각선 뒤쪽으로 자리를 이동한다. 움직이지 않거나 하늘에서 내려와 꽂히는 개체도 존재.

  • 축구 골대
첫등장:28-월드컵
월드컵 스테이지에 등장하며, 2,3,4번 라인으로 들어가면 반짝거리는 이펙트가 나오며 점수판에 1점이 추가되지만 1,5번 라인으로 가면 피격 판정이 있다.

  • 골키퍼 글러브
첫등장:28-월드컵
월드컵 스테이지에 등장하며, 골대 앞을 가로막고 공이 접근하면 뒤로 밀쳐내 버린다. 길거리 농구의 푸른 철창과 유사한 장애물이면서 월드컵의 상징 장애물이다.

  • 점수판
첫등장:28-월드컵
월드컵 스테이지에서 골대에 들어갈 때마다 위에서 튀어나오며 1점을 추가하는데, 사실 어지간해서는 부딪힐 일이 없어서 그렇지 공중 가시와 동일한 판정이 있는 엄연한 장애물이다.

  • 레드카드
첫등장:28-월드컵
월드컵 스테이지에 등장하며, 멀리에선 옐로카드로 보이지만 공이 접근하면 점점 붉은색으로 물들면서 레드카드로 변한다. 옐로카드와 달리 피격될 시 게임오버 된다.

  • 옐로카드
첫등장:28-월드컵
월드컵 스테이지에 등장하며, 멀리에선 레드카드로 보이지만 공이 접근하면 점점 노랗게 물들면서 옐로카드로 변하고, 공과 접촉하면 도미노처럼 쓰러진다. 사실 아무 판정이 없지만 전술한 레드카드와 섞여서 나오며 헷갈림을 유발하는 용도.잔디 구장의 상징 장애물.

  • 형광등 기둥
첫등장:29-Alone
Alone 스테이지에서 나오며, 세로 구조물과 같은 역할을 하지만 ㄷ 자로 파져 있고 파진 공간에서 형광등이 반짝인다.

  • 튀어오르는 블럭
첫등장:29-Alone
Alone 스테이지에서 나오며, 공이 접근하면 상승하고 위의 블럭 한 칸을 공중으로 튕긴다. 가운데에 작은 정사각형 무늬가 있다.

  • 반짝이는 블럭
첫등장:29-Alone
Alone 스테이지에서 나오며, 격자 무늬가 있고 녹백으로 반짝인다. 개체별로 움직이기도 하고 무리지어 움직이기도 한다.

  • 고리
첫등장:29-Alone
Alone 스테이지에서 나오며, 2가지 형태가 있다. 하나는 위에서 내려와 쌓이는 구조물로 원형에 가깝고, 다른 하나는 2개의 타원형 고리가 제자리에서 겹쳐 빙빙 도는 모습이다. 두번째 고리는 등장할 때 특별한 모션이 없다.

  • 톱니 바퀴형 기계
첫등장:30-Faded
네온의 전자파 발사기와 비숫하게 생겼으며, 안에 톱니바퀴퀴가 돌아간다. 움직이지는 않는 고정 장애물이다.

  • 스는 장애물
첫등장:30-Faded
처음에는 없는것 처럼 보이지만 공이 접근하면 장애물이 위로 솟는다. 안에는 마름모가 돌아간다.

  • 반 갈라진 시계
첫등장:30-Faded
말그대로 시계가 반 갈라져 있는 모양이다.

  • 생성되는 벽
첫등장:30-Faded
벽이 위나 아래로 생성되는데 높은 것이 대부분이다. 이 스테이지에서 가장 위험한 장애물.

  • 해시계
첫등장:30-Faded
공중에 떠있으며, 이 이유로 종이비행기 부스터를 타다가 여기에서 죽는 경우도 많다.

첫등장:30-Faded
안에 o표시가 되어있으며, 공이 접근하면 옆으로 늘어난다.

  • 케이크
첫등장:31-생일축하
케이이크 모양이며 위에는 별이 달려있고 아래에 3YEARS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 축하 현수막
첫등장:31-생일축하
게이트 모양이며 위에 왕관 그림과 함께 ROLLING SKY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 HAPPY BIRTHDAY 문구
첫등장:31-생일축하
위 글자가 하나씩 나오며 위치는 아무 곳에나 나온다. 랜덤은 아니다.

  • 뛰어오르는 팩멘
첫등장:31-생일축하
1up의 지킴이 팩맨과 똑같이 생겼으며 위로 한번 뛰어오른후 다시 아래로 착지한다.

  • 소형 무지개
첫등장:31-생일축하
큐브의 변형 벽과 똑같지만 크기가 조금 작다.

  • 뛰어오르는 사탕
첫등장:31-생일축하
뛰어오르는 팩맨과 똑같은 역할을 한다.

  • 삼각 마름모
첫등장:31-생일축하
평소에는 네모난 통에 담겨있다가 공이 접근하면 위로 튀어나와 빙글빙글 돈다.

첫등장:32-할로윈 나이트
처녀귀신답게 생겼으며 호박 안에 있다. 할로윈 나이트의 상징 장애물.

  • 열리는 해골 손 게이트
첫등장:32-할로윈 나이트
해골 손 2개가 있다가 공이 접근하면 사라진다. 또 위에 ROLLING SKY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 상승하는 눈
첫등장:32-할로윈 나이트
빨간 줄기가 있는 장애물. 공이 접근하면 서서히 상승한다.

첫등장:32-할로윈 나이트
눈이 공을 쳐다보고 있으며 위에 박쥐가 달렸다.

  • 호박을 쓴 해골
첫등장:32-할로윈 나이트
해골이 호박 탈을 쓰고 있으며 이리저리 움직인다.

  • 물병
첫등장:32-할로윈 나이트
물병위로 눈이 나온다.

  • 전동 기계
첫등장:32-할로윈 나이트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톱니가 있다. 소리가 시끄러우니 효과음을 끄는 것을 추천한다.

  • 공중부양 해골
첫등장:32-할로윈 나이트
위에 떠있어 공중 장애물 역할을 하며 입과 눈의 모양을 계속 바꾼다.어지럽다 스켈레톤 파티의 상징 장애물.

  • 상승하는 해골
첫등장:32-할로윈 나이트
떠있는 해골과 똑같이 생겼지만 입과 눈의 모양을 바꾸지 않고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 해골 철창벽
첫등장:32-할로윈 나이트
철창벽에 유령 2마리가 마주보고 나온다.

  • 걸이형 종
첫등장:34-골드 크리스마스
실에 종이 달려있다.

  • 열리는 크리스마스 문
첫등장:34-골드 크리스마스
공이 접근하면 자동문처럼 열린다.

  • 회전하는 종
첫등장:34-골드 크리스마스
위에 프로펠라가 달려있어 한바퀴 회전한다.

  • 상자 속 쿠키
첫등장:34-골드 크리스마스
열쇠가 있는 상자에 쿠키가 있다. 다행하게 14단계의 쿠키처럼 웃지는 않는다.

  • 양말걸이
첫등장:34-골드 크리스마스
양말 2개가 걸려져 있고, 옆에 MERRY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 할아버지 눈사람
첫등장:34-골드 크리스마스
공이 접근하면 반으로 갈라지는 것도 있고, 눈덩이를 뿜는 것도 있다.

  • 눈덩이
첫등장:34-골드 크리스마스
눈이 달려있는 모양이다.

  • x자 마크 장애물[61]
첫등장:35-alone II
위로 튀는 것도 있고, 2개가 같이 있는 것도 있다. 또 랜덤 장애물에도 사용된다.

  • 피아노 기둥
첫등장:35-alone II
위에 피아노가 있으며 위로 오르는 것도 있고, 아래로 굽혀지는 것도 있다.

  • CD
첫등장:35-alone II
위로 세모난 것이 솟는다.

  • 멜론 스피커
첫등장:35-alone II
옆으로 고리를 펼치는 것도 있고, 음에 따라 높낮이를 표시하는 것도 있다.[62]

  • 3단 큐브
첫등장:35-alone II
검정, 파랑, 주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63]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검정색이 2개의 큐브를 내논다.[64] 또는 이 반대로 움직이는 현상도 있다.

  • 음 조절기
첫등장:35-alone II
네모난 모양이며 안에 흰색 버튼이 들어있다. 흰색 버튼이 위 아래로 움직인다.[65]
  • 랜덤 장애물
첫등장:35-alone II
이 스테이지에서 가장 위험한 장애물이며 3곳중 2곳은 장애물이 생기고 1곳은 비어져 있는 형태다. 이건 규칙도 없고 그냥 찍어라 수준이다.[66] 랜덤 장애물 때문에 롤링 스카이를 접는 유저도 많아졌다.

  • 반짝이는 고정형 고리
첫등장:35-alone II
여러 색깔이 깜빡인다.

첫등장:36-설날
위로 튀는 것도 있고, 옆에 $를 달고 있는 것도 있다.[67]

  • 연등(?)[68]
첫등장:36-설날
위에 떠있으며 갑자기 나오기 때문에 죽기 좋은 장애물.

  • 복주머니
첫등장:36-설날
네모난 모양이며 위로 한번 퉌다.

첫등장:36-설날
입이 벌려져 있으며 신기한 것을 내뿜는다.[69]

  • 설날 모빌
첫등장:36-설날
옆에 신기한 것이 달려있다.

  • 2019 마크
첫등장:36-설날
앞에 점프대가 있어 여기에 박는 일은 거의 없을 것이다.

첫등장:36-설날
팔이 2개 있고, 원이 3개 있다.

  • 전자 게이트
첫등장:37-Spectre
게이트지만. 위에가 조금 신기하다.

  • 작은 송전탑
첫등장:37-Spectre
말 그대로 6단계의 송전탑에서 조금 작은 모양이라고 생각하면 된다.[70]

  • 눈 달린 장애물
첫등장:37-Spectre
눈이 양 방향으로 움직이며 바닥에 있는 것도 있고[71], 위에 있는 것도 있다.

첫등장:37-Spectre
모양으은 손전등 모양이며 위로 흰 것이 퉌다.

첫등장장:37-Spctre
중앙에 SPCTRE문구가 깜빡이며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피격 판정이 있는 칼을 내민다.

  • 열리는 원판
첫등장:37-Spectre
처음에는 닫혀있다가 공이 접근하면 4개로 갈라져서 문이 열린다.

  • 키 표준대
첫등장:38-미식축구
녹색이며 오른쪽에는 0, 왼쪽에는 1~5까지의 숫자가 적혀있다.

  • 럭비공 상자
첫등장:38-미식축구
상자에서 럭비공이 나온다.

  • 럭비공
첫등장:38-미식축구
말 그대로 럭비공 모양이며 랜덤 럭비선수와 함께 있는 것도 있다.

  • 랜덤 럭비 선수[72]
첫등장:38-미식축구
랜덤 장애물과 비숫하며 이리저리 위치를 바꾼다. 입에는 보호대를 착용하고 있다. 미식축구의 상징 장애물.자세한 내용은 롤링 스카이/스테이지의 '미식축구' 부분 참조.

  • 치어리더[73]
첫등장:38-미식축구
옷에 RS[74]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챔피언십의 상징 장애물.
  • 솟는 가로등
첫등장:38-미식축구
공이 접근하면 계속 솟으며 위에 1이라고 적혀있다.

  • ox판
첫등장:38-미식축구
네모난 공간 안에 o나x가 여러개 적혀있다.

첫등장:38-미식축구
별 안에 럭비공이 빙글빙글 돌아간다.

  • 열리는 문
첫등장:38-미식축구
처음에는 닫혀있다가 공이 접근하면 양쪽으로 열린다.

  • 럭비철장
첫등장:38-미식축구
가운데에 그물이 없어 그냥 가면 통과된다.

첫등장:40-마이크로칩
위에 떠 다니며 빙글빙글 돌아간다. 안에는 오각형 무늬가 있다.

  • 전자 탑
첫등장:40-마이크로칩
3층으로 되어있으며 맨 꼭대기 층에는 동그란 것이 달려있다.

  • 사이버 게이트
첫등장:40-마이크로칩
공이 접근하면 열리거나 닫힌다.

  • 마이크로칩 블록
첫등장:40-마이크로칩
처음에는 여러개가 있다가 공이 접근하면 이리저리 움직여서 하나의 모양을 만든다. 마이크로칩의 상징 장애물.

첫등장:미니 레벨4-해적
말 그대로 나침판 장애물이다.

  • 해적 깃발
첫등장:미니 레벨4-해적
일정하게 돌아가며 안에 해골 머리가 그려져 있다.

  • 운전대
첫등장:미니 레벨4-해적
빙글빙글 돌아가다가 공이 접근하면 멈춘다.

첫등장:미니 레벨4-해적
하늘에 있는 장애물로 갑자기 생성되기 때문에 당황하기 좋다.

  • 대포
첫등장:미니 레벨4-해적
효과음은 '레이저'와 같지만 시야가 흐려지는게 특징이다.

  • 갈고리
첫등장:미니 레벨4-해적
공이 접근하면 한번 위로 점프한다.

  • 작은 보물상자
첫등장:미니 레벨4-해적
3층으로 있다가 공이 접근하면 옆으로 펼쳐진다.[75]

  • 큰 보물상자
첫등장:미니 레벨4-해적
문이 열리면서 보석이나 동전을 뿌린다. 보석을 먹는 것[76]도 있다.

  • 동전
첫등장: 미니 레벨4-해적
큰 보물상자에서 3개가 나온다.

첫등장:미니 레벨4-해적
해골이 모자를 쓰고 한쪽 눈에 망원경을 차고 있다.

  • 다이내믹 성
첫등장:41-다이내믹 블록
일자 성이다.
  • 블록을 뿜는 상자
첫등장:41-다이내믹 블록
네온의 컴퓨터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상자에서 블록을 뿜는다. 그 블록에도 피격 판정이 있다.

첫등장:41-다이내믹 블록
삼각형이 돌다가 일정한 모양을 유지한다.

  • 다이내믹 큐브
첫등장:41-다이내믹 블록



ㅁㅁ 과 같은 모양을 유지한다.[77] 조금 애매하지만 다이내믹 블록의 상징 장애물.

  • 눕는 장애물
첫등장:41-다이내믹 블록
처음에 서 있다가 공이 접근하면 누우면서 동그란 것을 내뿜는다, 길거리 농구의 타이어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 벌려지는 다이내믹 큐브
첫등장:41-다이내믹 블록
마름모 형태였다가 공이 접근하면 양쪽으로 벌려져 눈이 튀어나온다.

  • 변형 스피커
첫등장:42-VR 유토피아
처음에는 스피커 모양이다가 공이 접근하면 세모난 모양으로 변한다.

  • 리듬박스
첫등장:42-VR 유토피아
네모난 박스위에 막대기 4개가 길이 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 VR 게이트
첫등장:42-VR 유토피아
게이트랑 비슷하지만 위가 크다. VR 유토피아의 상징 장애물.

  • 도형 블록 박스
첫등장:42-VR 유토피아
처음에는 총 4개의 블록이 있다. 모양은 ⚫, 🔺, ⬛, ❌가 있다. 이 중 하나만 통과되고 나머지 3개는 가짜다.[78]

  • VR봉
첫등장:42-VR 유토피아
공이 접근하면 봉처럼 솟아오른다.

  • 무지개 음표
첫등장:43-환상의 음파
네모난 것이 세가지 색깔로 된 것들을 뿜어낸다.

  • 전기게이트
첫등장:43-환상의 음파
평범한 게이트지만 위에 전기가 흐른다.

  • 환상의 음표 박스
첫등장:43-환상의 음파
통통 튀면서 신기한 것을 내뿜는 박스이다.
  • 떠있는 삼각음표
첫등장:43-환상의 음파
공중 장애물 역할을 한다.

  • 분리되는 삼각음표
첫등장:43-환상의 음파
떠있는 삼각음표와 마찬가지로 공중 장애물이며, 공이 접근하면 분리된다.

  • 고정형 바퀴
첫등장:43-환상의 음파
아주 살짝만 움직이다가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된다.

  • 생일 축하 인형
첫등장:44-4주년
얼굴만 있고, 꼬깔모자를 쓰고 있는 동그란 인형이다.

  • 4주년 케이크
첫등장:44-4주년
케이크 형태이며 '4'라는 문구가 있는 촛불을 달고 있다.

  • 뜨는 선물상자
첫등장:44-4주년
일반 선물상자처럼 보이지만, 공이 접근하면 갑자기 위로 튀어오른다.

  • 4주년 라디오
첫등장:44-4주년
굉장히 크기가 크며, '4YEAPS'라는 문구를 위에 달고 있다.

  • 생일 축하 기둥
첫등장:44-4주년
네모난 기둥이다가, 공이 접근하면 위로 솟아오른다.

  • 하트 스피커
첫등장:44-4주년
네온의 스피커랑 비슷하지만, 앞에 하트 모양의 장애물을 달고 있다.[79]

  • 생일 축하 기계
첫등장:44-4주년
가운데 문구가 세겨저 있는 장애물이다.

  • 모빌 해골대
첫등장:45-악령군무
유령 기둥이 모빌을 들고 있다.

첫등장:45-악령군무
말 그대로 박쥐 모양이고, 공중 장애물이다,피격 판정이 괴랄하다.

  • 사각 유령
첫등장:45-악령군무
네모난 모양의 유령이다.

  • 사각 호박
첫등장:45-악령군무
네모난 모양의 호박이다.

  • 마른 해골
첫등장:45-악령군무
해골이지만 굉장히 말라서 삐에로처럼 움직인다,한 손에는 해골을 들고 있다,이 장애물의 퀄리티가 낮아서 이 장애물에 대해 혹평이 많다.

  • 할로윈 사탕
첫등장:45-악령군무
사탕 모양이며, 포장지 색깔이 어둡다.

  • 떠있는 유령 호박
첫등장:45-악령군무
가스트처럼 위에 떠있다. 호박과 유령이 합성된 장애물이다.

  • 천사 기둥
첫등장:46-저녁노을
네모난 기둥과 천사 고리를 연상시키는 것이 합성된 장애물이다.

  • 문양 블록
첫등장:46-저녁노을
말 그대로 블록 형태의 장애물이며, 문양 무늬가 있다.

  • 원형 고리
첫등장:46-저녁노을
뒤집어지거나, 옆에 있다가 공이 접근하면 원래 자리로 오는 장애물이다.

  • 눈사람
첫등장:47-순록의 예
눈사람이며 네모난 모양을 하고 있다가 공이 접근 시 작은 눈사람이 양쪽으로 나온다.

  • 선물을 든 산타
첫등장:47-순록의 예
양손에 선물을 들고 있는 산타로 한 쪽에 선물을 떨어트린다.

첫등장:47-순록의 예
말그대로 종,갑자기 튀어나와서 죽기 쉽다.

  • 호두까기 인형
첫등장:47-순록의 예
한 손에는 창을 들고 있으며, 접근 시 창을 치운다.

  • 히터
첫등장:47-순록의 예
말그대로 난로 모양의 장애물이다.

  • 풍선 달린 상자
첫등장:47-순록의 예
풍선이 달린 선물상자로 공중 장애물이다.

  • 운석
첫등장:48-케플러의 꿈
모양이 운석과 비슷하며 땅에 박혀있다.

  • 큰 송전탑
첫등장:48-케플러의 꿈
크기가 큰 송전탑이고,중간에 CD같은 것이 돌아간다. 케플러의 꿈의 상징 장애물.

  • 행성
첫등장:48-케플러의 꿈
공중에 뜨는 행성이다.

  • 톱니바퀴
첫등장:48-케플러의 꿈
말그대로 톱니 모양으로,접근 시 돌아가며 접혀진다.

  • CD 투하기
첫등장:48-케플러의 꿈
CD를 들고 있다 접근 시 CD를 떨어트린다.

  • 도형 게이트
첫등장:48-케플러의 꿈
도형으로 변한 뒤 랜덤으로 게이트가 섞이며,자신이 변신한 도형과 비슷한 게이트로 가면 통과하지만 다른 게이트로 가면 피격 된다.

  • 치즈
첫등장:49-음식의 유혹
얼굴이 달린 치즈다. 음식의 유혹의 상징 장애물.

  • 당근
첫등장:49-음식의 유혹
얼굴이 달린 당근이며 서서히 솟는다.

  • 햄버거
첫등장:49-음식의 유혹
접근 시 통통 튀는 햄버거다.

  • 달걀을 던지는 로봇
첫등장:49-음식의 유혹
푸딩이 로봇에 타고 있으며 접근 시 달걀 2개를 던진다. 미묘한 드저트샵의 상징 장애물.

  • 토스트기
첫등장:49-음식의 유혹
평상시엔 가만히 있다 접근 시 식빵 2개가 튀어오른다.

  • 레몬
첫등장:49-음식의 유혹
접근 시 아래로 떨어지는 장애물이다.

  • 두부
첫등장:49-음식의 유혹
가만히 있다가 1칸 앞으로 전진한다.

  • 무지개 UFO
첫등장:49-음식의 유혹
위로 솟아서 무지개를 뿜는다.

  • 물고기
첫등장:50-해양
움직이는 장애물이다.

  • 복어
첫등장:50-해양
복어모양의 장애물로 공중 장애물이다.

  • 돌고래
첫등장:50-해양
한쪽 통에서 돌고래 무리가 다른 통으로 이동하는 장애물이다.

  • 오징어
첫등장:50-해양
하늘에 올라오는 장애물이다.

  • 상어
첫등장:50-해양
접근 시 꼬리를 반대쪽으로 돌리며 꼬리에 피격 판정이 있다. 해양의 상징 장애물.

  • 해마
첫등장:50-해양
복어와 비슷하게 하늘에 있는 장애물이다.

  • 잠수함
첫등장:50-해양
말그대로 잠수함 모양의 장애물이다.

  • 기어 드로퍼
첫등장:51-증기시대
초반에 나오는 장애물로 '직 지직'이라는 소리를 내며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톱니바퀴를 드랍한다. 물론 둘다 피격판정.

  • 로봇 팔
첫등장:51-증기시대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꺾어지며 팔이 펼쳐진다. 전기톱과 달리 좌우반전 부스터에도 방향이 바뀌지 않는다.

  • 전기톱
첫등장:51-증기시대
천공 무게추처럼 생겼지만 로봇 팔과 기능이 거의 같다. 반전 부스터가 발동하면 톱니바퀴를 반대쪽으로 내민다.

  • 기어 팽이
첫등장:51-증기시대
위쪽에 톱니바퀴가 씌어진 팽이로 왼쪽 또는 오른쪽 바닥 끝까지 이동한다. 기계 동력의 상징 장애물.

  • 레버
첫등장:51-증기시대
증기시대에만 나오는 장애물로 로봇 팔이나 전기톱과 비슷하지만 항상 가운데에 위치한다.

  • 일본식 가면
첫등장:52-귀무사
하늘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장애물로 가면이 떨어졌을때 칼이 꽂히는 가면도 있다, 그림자 무사의 상징 장애물.

  • 다루마
첫등장:52-귀무사
말그대로 다루마 모양의 장애물로 양옆으로 미세하게 흔들린다.

  • 무당
첫등장:52-귀무사
부채를 양손에 들고 있는 장애물로 루돌프 마냥 혀를 내미고 있다,부채에 맞으면 피격판정이 된다.
  • 사무라이
첫등장:52-귀무사
귀무사 그림자 무사에서만 나오는 장애물로 접근 시 사무라이 1명이 3명이 되면서 랜덤으로 일직선, 대각선, V자 대형 중 하나를 만든다. 귀무사의 상징 장애물.
  • 블럭 몬스터
첫등장:53-몬스터 시티
한 돌에 눈깔을 새겨넣은 것 같은 몬스터다.

  • 피자 몬스터
첫등장:53-몬스터 시티
음식의 유혹에 나오는 피자같이 생긴 몬스터다.몬스터라 그런지 그 피자와 다르게 색이 초록&파랑 계열이 됐고 눈이 달렸다.음식의 유혹의 피자랑 비슷하게 역할과 같이 공중 장애물 역할을 한다.

  • 게이트형 몬스터
첫등장:53-몬스터 시티
보통 2개가 연달아 나오는 몬스터다.[80] 서로 입을 열었다 닫았다 하다가 최종적으로 한 곳만 열리는 장애물이다.

  • 건물 몬스터
첫등장:53-몬스터 시티
긴 높이를 가진 장애물이다.자주 출현히지는 않는다.
  • 바퀴손 몬스터
첫등장:53-몬스터 시티
원래는 가만히 있다가 공이 접근하면 바퀴가 가시를 드러내며 왼손을 오른쪽으로,오른손은 왼쪽으로 이동하게 한다.이 때 틈이 생겨 그 쪽에 보석을 넣어두는 경우가 많다.

  • 뼈 분리 몬스터
첫등장:53-몬스터 시티
공이 접근하면 4개의 정사각형으로 나눠진 몸이 일제히 움직여 뼈를 분리한다.

  • '뇌 분리 몬스터
첫등장:53-몬스터 시티
공이 접근하면 머리가 박스처럼 열려서 뇌가 분리된다. 몬스터 시티의 상징 장애물.

  • 깡통 몬스터
첫등장:53-몬스터 시티
갑자기 튀어 나와서 탄산을 내뿜는다.

  • 가로막는 몬스터
첫등장:53-몬스터 시티
공이 오면 기다렸다는듯이 방향을 바꾼다.


2.4. 캐릭터[편집]


초창기엔 노멀만 사용 가능했다. 획득하지 못한 캐릭터는 3회에 한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81] 농구공, 눈알, 보이저호는 룰렛[82]을 돌려서 주황색 퍼즐 조각 아이템을 20개(보이저호)나 15개(농구공, 마법 눈알) 모으면 무료 교환이 가능했었다. 나머지 캐릭터들은 현금 결제로만 구매 가능했었다.

그러나 현재는 룰렛과 주황색 퍼즐 조각이 삭제되고 대신 청록색 퍼즐 조각을 모아 구매하는 방식이 되었다.

유저들 사이에서 종종 스킨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2.4.1. 특수 능력이 없는 캐릭터[편집]


  • 노멀(Normal)
파일:Normal.png
롤링 스카이의 마스코트이자 처음부터 주어지는 기본 캐릭터. 그냥 빨간 공이다. 하지만 배경에 따라 색이 변하는 특징이 있고 이거 외엔 아예 캐릭터라는 시스템이 없었던 시절도 있었던지라 정이 들어서 그런지 의외로 선호하는 유저들도 많은 편. 피격 시 산산조각나며 게임오버 된다.

  • 농구(Basketball)
파일:RollingBasketball.png
기본 스킨을 제외하면 처음으로 등장한 캐릭터로 데굴데굴 굴러다니는 농구공이다. 움직이는 방향에 맞게 구르는 방향이 바뀌며 피격 시 튕겨나가며 게임오버 된다. 청록색 퍼즐 조각 40개로 구매 가능하다.

  • 마법 눈알(Magic Pupil)
파일:Magic_Pupil.png
데굴데굴 굴러다니는 녹색 안구. 지나다니는 곳마다 녹색으로 잔상이 남는다. 여담으로 업데이트 때 그냥 출시하면 사람들이 혐오스러워할까봐 그런지 페이스북에서 눈알 캐릭터 출시를 찬성하는지 나름 설문조사를 했었다.이후 두번째 할로윈 특집 단계이자 22단계인 ‘한밤의 카니발’ 단계에서 새로 나왔다. 피격 시 터지며 게임오버 된다. 청록색 퍼즐 조각 80개로 구매 가능하다.

  • 보이저호(Voyager)
파일:Voyager.png
우주선 모양의 캐릭터로, 움직이는 방향에 맞게 기울어지는 모션이 있는데 이게 생동감 있어서 좋다는 유저들도 있지만 이 캐릭터의 조작에 숙련되지 않은 유저들에겐 오히려 헷갈림을 유발하는 경우도 많아서 고수용 캐릭터가 되어버렸다. 피격 시 산산조각나며 게임오버 된다. 23단계인 'Ignite' 단계에서 새로 나왔다. 주황색 퍼즐 조각이 20개나 필요했었다. 현재는 청록색 퍼즐 조각 40개로만 구매할 수 있다.

  • 눈덩이(Snowball)
파일:RollingSnowball.png
눈사람 얼굴 모양의 스킨이다. 24단계인 '환상의 크리스마스' 단계에서 새로 나왔다. 방패 촉발이 되지 않는 캐릭터 중 유일하게 구매해야 했었다. 크리스마스 이브 때 겨울 스테이지의 스노우 박스를 모두 얻어서 얻을 수 있었었지만 이벤트가 끝나서 구매 해야 했었다. 그러나 현재는 청록색 퍼즐 조각 60개로 구매 가능하다. 데굴데굴 굴러다니지만 농구공이나 개구쟁이처럼 움직이는 방향에 맞게 구르는 방향이 바뀌지는 않는다. 피격 시 하얀 연기를 뿜으며 게임오버 된다.

  • 축구(Football)
파일:Football.png
데굴데굴 굴러다니는 축구공이다. 조각 160개로 구매할 수 있으며 능력은 없지만 그 동안 많은 유저들이 기대해 왔던 축구공이니 만큼 높은 인기를 보이고 있다. 특히 아크로바틱한 움직임이 매우 많이 필요한 롤링스카이에서 축구공을 직접 조종하면 그야말로 네이마르같은 기분을 느끼게 해준다. 피격 시 튕겨나가며 게임오버 된다.[83]


2.4.2. 특수 능력을 가진 캐릭터[편집]


이 캐릭터들은 시작할 때 김이 빠지는 효과음이 나오면 능력 발동에 실패한 것이고, 왕관을 획득할 때 나오는 효과음이 나오면서 특유의 시각 효과가 생기면 능력이 발동했음을 알 수 있다. 호박을 제외한 모든 캐릭터의 능력은 확률적으로 발동 되며, 밸런스 조정을 위해 그런 듯 하지만, 어차피 능력을 기대하고 사용하는 거라면 시작할 때 능력이 발동할 때까지 계속 죽으면서 반복을 하면 된다.

유튜버들 사이에서 롤링 스카이 공략 영상을 촬영할 때 이 캐릭터들을 쓰는 것은 가능한 삼가야 하고, 설령 사용하더라도 능력을 발동하면 안 된다는 암묵의 룰이 있다.

  • RS-001
파일:rollingskyrs001.png
자동차 모양의 캐릭터로, 시작할 때 30% 확률로 방패가 발동된다. 방패 발동 성공 시 동그란 하늘색 보호막이 생긴다. 보이저호처럼 움직이는 방향에 맞게 기울어진다. 피격 시 산산조각나며 게임오버 된다. 원래 현질 외의 방법으로 구매가 불가능했지만, 현재는 청록색 퍼즐 조각 160개로 구매 가능. 퍼즐조각 업데이트 전까지는 현질로만 구매할 수 있었던 데다 유일한 방패 촉발 능력을 가진 캐릭터였기에 당시엔 현질유도냐며 있는 욕이란 욕은 다 들어먹었던 캐릭터였으나 모든 캐릭터를 퍼즐 조각으로 구매할 수 있게 되고, 방패 촉발 50%의 보이저호 II, 아예 방패 확정 촉발을 달고 나온 호박이 출시되기까지 한 지금은 논란이 완전히 사그라들었고, 그냥 평범한 방패 캐릭터가 되었다. 비교적 싼 가격과 미니카처럼 생긴 비주얼 덕분인지 초보자들이 애용하는 캐릭터.

  • 개구쟁이(Trick Ball)[84]
파일:Trick_Ball.png
RS-001 처럼 시작할 때 30%의 확률로 방패가 발동되며, 방패가 발동할 경우 몸에 붕대가 생기며 지나다니는 곳마다 녹색 이펙트가 생긴다. 방패 발동에 실패했을 경우 또는 발동 성공 후 소모되었을 경우는 속에 있는 알맹이만 남은 채 굴러다니는데, 검은 공에 녹색 눈 2개가 달려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피격 시 검은 연기를 뿜으며 사라지면서 게임오버 된다.
보너스 9단계인 '할로윈 탈출' 단계에서 새로 나왔으며 움직이는 방향에 알맞은 방향으로 구르는 방향이 바뀌는 모션이 있다. 가격은 RS-001처럼 청록색 퍼즐 조각 160개.

  • 초음속(Supersonic)
파일:Supersonic.png
25단계인 '네온' 업데이트에서 새로 나왔고, 보이저호처럼 움직이는 방향에 맞게 기울어지며 개구쟁이나 RS-001 처럼 30% 확률로 부딫혀도 죽지않는 방패를 촉발한다. 방패의 모습은 입자 보호막 같은 형태. 피격 시 튕겨나가면서 게임오버 된다. 현재는 청록색 퍼즐 조각 180개로 구매 가능. 멋드러진 외형 때문인지 꽤 인기있는 캐릭터. 네온, 대즐, 더 빨리 한정으로 각 스테이지마다 색이 변한다.

  • 풍뎅이(Scarab)
파일:RollingScarab.png
낙사맵의 사기 캐릭터이자 퍼펙트 클리어 최고의 해결사.
26단계 '이집트'에서 새로 나왔다. 모티브는 다름 아닌 스캐럽. 시작할 때 30% 확률로 플로팅 모드가 되는데[85], 이 능력이 발동될 시 짧은 시간동안 날개가 펼쳐지면서 1회에 한해 낙사 구간을 무시하고 지나간다! 만약 이 능력이 발동되었을 때 방패까지 끼워준다면 충돌 1회 면제 + 낙사 1회 면제라는 스펙이 되어 어떤 실수든 1번은 면할 수 있게 된다. 이걸 이용해 획득 난이도가 높은 보석이나 랜덤박스를 쉅게 획득하거나, 레게의 가속 발판, Iginite의 좌우반전 같은 장치를 옆으로 피해서 무시하고 지나가는 등 온갖 기행이 속출할 수 있게 되었다[86] 피격 시 터지며 게임오버 된다.
낙사를 인정해주는 최초이자 유일의 캐릭터란 점에서 다른 특수 능력 보유 캐릭터들보다도 가치가 부각된다. 비록 현재는 다른 현질 캐릭터들도 퍼즐 조각으로 구매가 가능해지고 낙사를 방지하는 아이템 날개가 등장하면서 다른 캐릭터로도 방패+풍뎅이를 구현할 수 있게 되면서 다른 캐릭터들과 차별성이 조금 떨어졌지만, 여전히 롤링 스카이의 유일무이한 낙사 무시 능력을 가진 캐릭터이고, 날개가 풍뎅이의 능력과 연계가 가능해서 풍뎅이+날개를 활용해 낙사를 2번이나 막을 수 있기에 그 특유의 성능은 여전하므로 퍼즐 조각이 충분히 모였다면 풍뎅이부터 지를 것을 권장한다.
랭킹전에서 안 그래도 높은 주가가 더욱 올라가 상위 랭커들 사이에서 호박과 함께 최고의 캐릭터로 평가받고 있는데, 한 순간의 실수로 기껏 쌓아온 기록이 날아가버릴 수 있는 랭킹전에서 호박은 방패 발동 확률은 100%일지언정 낙사를 막아주지는 못한다는 한계를 안고 있으나 풍뎅이는 이중 방패는 불가능하더라도 죽지만 않으면 연속 클리어가 깨지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해 방패를 씌우고 방패가 깨지는 순간 게임을 꺼버리는 것으로 커버하고, 능력이 발동할 때까지 일시정지 후 나갔다 오는 식으로 노가다를 해서 능력이 발동하면 방패를 씌워 무슨 실수든 한 번 막아주는 방패+날개 콤보로 극한의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기 때문. 가격은 퍼즐 조각 200개.

  • 삐에로(Clown)
파일:RollingClown.png
서커스 업데이트와 함께 등장한 캐릭터로 다른 캐릭터와 비슷하게 방패를 30% 확률로 시작 전에 촉발한다. 방패 발동에 실패할 경우 빨간 코가 달려있는 해골이 데굴데굴 굴러다니며 방패 발동 시 빨간색과 흰색 무늬의 공에 들어가게 된다. 플라잉 부스터나 비슷한 효과를 내는 장치에 닿을 경우 공을 쪼개고 나오며 안에 있는 해골이 플레이어 쪽을 바라보는 모션이 있다. 그 외에도 점프대를 탈 경우 몸이 늘어나는 모션이 있다. 방패가 없는 상태에서 피격 시 하얀 연기를 뿜으며 게임오버 된다. 가격은 퍼즐 조각 300개로 모든 캐릭터 중 가장 비쌌지만 보이저호 2, 호박 출시 후로 최고가 캐릭터라는 타이틀은 넘겨줬다. 여전히 비싼 축에 드는 가격에 비해 성능도 저 둘보다 밀리기 때문에 유저들 사이에선 서커스 플레이영상 찍을 때 컨셉용으로 한 번 쓰고 마는 캐릭터 내지는 사치 캐릭터 취급을 받는 등 취급이 나쁘다.[87]

  • 보이저호 2(Voyager II)
파일:Voyager_II.png
Alone 스테이지와 함께 추가될 예정이었지만 Alone Remix가 먼저 출시된 뒤 조금 지나서 이벤트 보상 캐릭터로 출시 되었다. 보이저호를 강화시킨 듯한 외형을 하고 있으며, 50%라는 무지막지한 확률로 방패를 촉발하는 능력을 가지고 나왔다. 획득 방법은 드림팀, 산언덕, 8비트, 겨울, Alone Remix, Alone 순서로 5개의 컬러볼[88]을 모두 소모하지 않고 연속으로 클리어하는 이벤트를 클리어 하면 된다. 마지막 스테이지가 Alone이다 보니 Alone에 익숙해지지 않으면 컬러볼 5개 잘 유지하다가 Alone에서 싸그리 털려버리는 일이 일어날 수 있으니(...) 주의. 컬러볼을 모두 잃고 이벤트 클리어에 실패할 경우 조각 300개를 모아 구매가 가능하다.
방패 촉발 확률이 모든 방패 촉발 캐릭터 중 2번째[89]로 높기 때문에, 출시 초기에는 꽤나 요긴하게 쓰였지만, 현재는 방패 촉발 100%의 호박에게 밀려 사실상 고인이 된 안습한 캐릭터. 하지만 조각은 잘 모으지만 호박까지는 못가는 사람들이 사는 것이다. [90]

  • 호박(Pumpkin)
파일:RollingPumpkin.png
모든 방패촉발 캐릭터들의 상위호환이자, 최고의 사기 캐릭터
스켈레톤 파티와 함께 등장한 캐릭터로, 잭오랜턴에 붕대를 감은 외형을 하고 있고, 방패를 잃으면 붕대가 풀린 채 굴러다닌다. 방패 촉발 100%[91]라는 밸런스 붕괴 수준의 파격적인 능력을 가지고 나와 유저들에게 충공깽을 선사하는 중. 이 캐릭터의 등장으로 다른 방패 촉발 캐릭터들은 외형을 제외하곤 호박과의 차별점이 사라져 사실상 고인으로 전락했다. 그 대가로 가격은 무려 퍼즐 500개이다. 방패 발동 100%의 위엄 때문인지 랭킹전에서 풍뎅이와 함께 최고의 캐릭터로 평가된다. 낙사 구간이 많은 맵에서는 풍뎅이가[92], 장애물이 덕지덕지 깔려있는 맵에서는 호박이[93] 더 좋다. 허나 낙사를 막을 수 있는 능력은 없기 때문에 상위 랭커들은 낙사와 장애물에 박아서 죽는 것 모두를 막아주는 풍뎅이+방패 콤보를 더 많이 쓰는 편이었으나 날개가 출시되면서 호박에게 방패+날개를 모두 끼우면 호박은 장애물 2회 방어 + 낙사 1회 방어, 풍뎅이에게 방패+날개를 모두 끼우면 장애물 1회 방어 + 낙사 2회 방어가 되므로 서로 자기만의 비교 우위가 생겼으니 취향따라 쓰면 그만이게 되었다.


2.5. 스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롤링 스카이/스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6. 기술[편집]


아이템, 장애물 설명과 마찬가지로 편의상 붙인 명칭이다.
  • 슬라이드
첫 등장 : 클라우드
환상 초반에 나온 와리가리와 엮인 패턴중 하나가 이것. 1번 라인에서 5번 라인 또는 5번 라인에서 1번 라인으로 이어진 넓직한 대각선 통로를 스크롤하며 지나간다. 초급 스테이지에는 가로 라인이 2~3칸 정도로 널널하게 나오지만 상급 스테이지에서는 1칸 정도로 나오는 것도 일상이다. 제일 기본적인 패턴이라 익숙해지지 않으면 상급 스테이지에서 처음부터 막히기 쉬우니 반드시 익숙해지자.[94] 이것을 어렵게 만들면 후술할 대각선 줄타기가 된다.

  • 고속 꺾기
첫 등장 : 사막
장애물이나 절벽 바로 앞에서 확 꺾듯이 옆으로 움직여주는 패턴으로, 전술한 슬라이드를 빠르게 하는 버전이라고 봐도 좋을 듯 하지만 슬라이드와는 여러모로 핀트가 다르다. 손가락을 거의 찍 긋는 수준으로 움직여야 하기에 초보자는 많은 연습이 필요한 편. 사막[95]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이것을 점프대와 함께 응용한 패턴이 나오기도 한다. 1번 라인에 있는 점프대에서 5번 라인에 있는 점프대로 확 꺾는 패턴이 바로 그것이다. 상급 스테이지에서는 이렇게 꺾는 도중 공중 가시의 방해까지 겹쳐져 더욱 신중한 컨트롤이 필요해지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1UP 62% 부근의 랜덤박스 루트와 할로원 나이트 46% 부근의 랜덤박스 루트.[96]

  • 코너링
첫 등장: 과학
과학 스테이지 90%에 게이트를 점프로 넘어가는 패턴이 이것. 세로 구조물이나 공중 가시 등을 점프로 피해서 나가는 패턴이다. 공중에서 옆으로 나왔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패턴이라 익숙하지 않으면 매우 어렵고 익숙하면 쉬운 패턴이다. 그러나 상급 스테이지에 많이 나오기에 익숙해져야 하는 패턴.

  • 와리가리
첫 등장: 삼림[97]
말 그대로 블럭 사이로 왔다갔다 하며 지나가는 패턴. 고난이도 스테이지에 매우 많이 나오므로 조금이라도 익숙해져야 하는 패턴 중 하나. 등장은 삼림부터라곤 하지만 등장하는 스테이지에 따라 이 패턴의 난이도는 천차만별이다. 블록과 블록 사이의 여유가 적은 1칸짜리 와리가리는 조금만 늦거나 많이 돌리면 박아버린다. 와리가리의 진수를 보여주는 스테이지는 바로 심우주.

  • 대각선 줄타기
첫 등장: 1UP
롤링 스카이에서 2번째로 어려운 패턴으로 1UP부터 등장하기에 중수들은 안심해도 되지만 고수들은 1UP에 다가오르므로 두려워하는 패턴. 줄타기는 슬라이드의 좁은 버전이지만 대각선 줄타기는 대각선 줄 모양의 길을 공이 지나가는 패턴이다! 상당히 어려워서 길을 다 외우는 고수들도 이 패턴에서 떨어져 죽는 경우도 심심치 않다. 1UP 스테이지에서 처음 선보여 많은 이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선사한 후로 이후에 나온 스테이지의 보석, 왕관 난이도 담당 패턴 No.1이며 보석, 랜덤박스가 어렵기로 유명한 맵들은 하나같이 보석 루트가 이러한 패턴들로 떡칠되어있기 일쑤이다. [98]

  • 대각선 와리가리
첫 등장: 큐브
와리가리의 변종으로 체크무늬를 연상시키는 곳
□:허공, ■:일반 바닥
□■
■□
□■
■□
□■
을 와리가리 방식으로 가는 것이다. 다만 파훼법이 있는데, 바로 대각선 와리가리가 있는 줄과 줄 사이에서 난간타기를 시전하는 것.[99]

  • 응용 대각선 줄타기
첫 등장: The Spectre Remix[100][101]
대각선 줄타기의 어려운 버전으로, 대각선 줄타기보다 어렵다.[102]
□: 일반 바닥, ■: 블록
■□
■□
■□
■□

이런 패턴으로 가는 것 이다.

여담으로, 응용 대각선 줄타기의 판정이 유리 바닥 대각선 줄타기와 거의 같다.

  • 스위치 서핑 (일명 DDR 패턴)
첫 등장: 1UP[103]
보석과 왕관에 아무 신경 안 쓰는 플레이어라면 보기만 하겠지만 퍼펙트 클리어를 노리는 유저들한텐 롤링 스카이에서 제일 어려운 패턴. 작은 스위치 발판 여러 개를 서핑하듯 밟으면서 지나가는 패턴을 말한다. 일반 루트 등장은 1UP, 순록의 예가 대표적인 예시이고, 퍼펙트 클리어는 큐브, 트럼프, 할로원 탈출 등에서 나온다.

[▷] [△]

[△] [◁]

[▷] [△]

[△] [◁]
여길 지나가는 패턴으로 요약 가능하다. 대각선 줄타기와 판정이 유사해서 스위치 대각선 줄타기로도 불린다.
과거에는 상기된 패턴만을 스위치 서핑이라 칭했으나 최근 들어서는 설령 저런 패턴이 아니더라도 작은 스위치 발판 여러 개를 밟으면서 건너는 패턴 자체를 뜻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네온의 76%~78%도 스위치 서핑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매트릭스에서 새로나온 거꾸로 스위치 서핑은 말 그대로 스위치를 밟으면, 보통의 스위치 서핑이 되고, 안 밟으면, 보통의 스위치 서핑이 밟혀진 것 처럼 보인다.[104]

  • 점프대 트랩
첫 등장: 사막
점프대를 이용한 트랩으로, 실제로 밟아야 하는 점프대들 사이에 훼이크 점프대를 끼워놓아 헷갈림을 유발하는 패턴이다. 거리 계산을 순간적으로 하게 만드는 어려운 패턴. 그러나 익숙해지면 이게 3칸이구나라는 '감'을 느낄 수 있어 의외로 상승하는 바닥이 점프대를 밟지 않는 이상은 쉬워진다. 그래도 초보자들한텐 상당히 어려운 패턴. 대표적인 예가 생일축하 73% 부근의 랜덤박스 루트.

  • 회전물 미로
첫 등장: 짧은 것은 하늘, 긴 것은 도시
망치, 회전 막대, 쿵푸 막대는 일정 방향으로 돌아가며 한쪽 방향으로 가면 부딪혀서 죽는데 똑같은 타이밍으로 돌기에 이를 이용하여 회전물들을 점프대와 함께 여러개 놓고 한쪽 방향의 점프대를 밟아서 회전물을 피해가는 패턴. 외우지 않으면 불가능한 패턴이다.

  • 난간타기
사실 기술이라기보단 거의 버그에 가까운 것으로, 발판 끝부분에 아슬아슬하게 걸쳐서 장애물이나 절벽을 씹고 지나가는 고급 기술이다. 발판 2개가 대각선 방향으로 맞닿아 있을 때, 2개의 발판이 있는 각각의 라인 사이에 정확히 걸쳐서 그냥 직진하는 것이나 강제로 먹게 되는 보석까지 무시해가면서 0보석을 하는 플레이를 할 때 발판 끝부분에 걸쳐 보석을 피해버리는 것도 이 기술의 일종. 정상적인 기술은 아니지만 상당히 신중한 컨트롤을 요구하는 편. 사실 이걸로 레게의 복불복 다리의 내리막길도 무시해서 공이 공중에 뜬 것 처럼 보이는 버그도 만들 수 있으며, 레게의 속도 포탈 등도 간단히 무시하고 넘어가버린다!! 난간타기를 적절히 이용하면 평소라면 못 넘어갈 1칸 구멍을 무시하고 지나갈 수도 있다. 난간타기가 빛을 발하는 곳은 다이내믹 큐브[105]


2.7. 설정[편집]


게임 메인화면 '설정' 탭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이다.
  • 배경음악
배경음악을 끄거나 켤 수 있다.

  • 효과음
효과음을 끄거나 켤 수 있다.[106]

  • 언어
언어를 바꿀 수 있다. 지원되는 언어는 한국어, 영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중국어 등의 12개 국어다.

  • 구매 복구
구매한 상품들을 복구할 수 있다.[107] 대신 캐릭터는 복구되지 않는다.

  • 진척 복구
최근에 백업된 스테이지 진도로 복구할 수 있다. 데이터나 와이파이가 연결된 이상 별도의 수동 백업은 필요하지 않다. 치타 모바일 답게 변역 상태가 티난다. 원래 진도복구가 진척복구보다 자연스러운 표현이다.[108]

  • 퀄리티
캔디 스테이지 업데이트에서 나왔다. 낮음, 보통, 높음이 있으니 플레이할 때 렉이 많이 걸린다면 낮음으로, 미려한 그래픽과 아름다운 보석을 감상하고 싶다면[109] 높음으로 퀄리티를 조절하면 된다. 몇몇 저사양 폰에서는 낮음도 렉이 심하게 걸린다.[110]


2.8. 기타[편집]


  • 세계랭킹
1UP 스테이지 업데이트에서 나왔다. 왕관-보석-클리어 개수 순으로 평가를 해 순위를 매긴다. 왕관 수가 같으면 보석 수를, 보석 수가 같으면 클리어 수를 비교한다. 따라서 높은 랭킹을 원한다면 무조건 왕관을 공략해야 한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랭킹 탭을 누르면 "랭킹 최적화 중입니다. 기다려주세요!"라고 뜨며 종합 랭킹이 나타나지 않고 후술할 단계 랭킹만 제공되고 있는 상태이었다가 결국은 2018년 10월 말 컬렉션 시스템이 그 자리에 대신 쓰이자 삭제된 시스템.[111]

  • 단계 목록
8비트 스테이지 업데이트에 새로 추가되었다. 일일이 드래그해서 원하는 단계를 찾을 필요 없이 이 버튼을 클릭하면 여러 단계가 쫙 나온다. 레게 업데이트 이후로는 위에 '다가오는' 상단이 생겼다.[112] 신비한 성 업데이트 이후로는 '다가오는' 상단이 사라지고 별 개수(난이도)가 표시되고 몇 %만 클리어할 수 있는지가 떳었다.[113]

  • 단계 랭킹
신규로 나온 몇몇 단계(보너스 포함)에만 우측 상단 부분에 존재하며, 그 단계 한정 왕관, 보석, 퍼센트, 연속 클리어 횟수(별)로 랭킹을 매긴다. 그래서 퍼펙트로 클리어를 하고 무한한 인내심으로 계속 클리어 하면 손쉽게(?) 단계 랭킹 1위가 될 수 있다.[114]


2.9. 주간 매치[편집]


오로라 투어 업데이트 이후 새로 추가된 모드.스테이지가 7일마다랜덤으로 바뀌며 스테이지에서 특수 룰이 적용된다.

특수룰은 2개의 망치를 든 캐릭터가 나타나는데, 이 캐릭터가 장애물에 닿으면 죽는 게 아니고 부숴버린다. 떨어지는 건 떨어진 횟수만큼 포인트를 최대 10까지 깎다가 0이 되면 바로 떨어져 죽는다.[115] 또한 장애물을 부수면 오른쪽 위에 포인트가 누적되는데, 장애물을 부수면 1포인트, 보석을 먹으면 5포인트,왕관을 먹으면 10포인트가 누적된다.

  • 1.산언덕[Massif,☆](2020 1/1~1/8)
  • 2.조커[Joker,☆☆](2020 1/18 ~ 1/25)
  • 3.캔디[Candy,☆☆☆](2020 1/25 ~ 2/1)
  • 4.도시[City,☆☆☆☆](2020 2/1 ~ 2/8)
  • 5.쿵푸[Kung Fu,☆☆☆](2020 2/8 ~ 2/15 )
  • 6.길거리 농구[Street Basketball,☆☆☆☆☆](2020 2/15 ~ 2/23.)
  • 7.8비트[8Bits,☆](2020 2/23 ~ 3/1.)
  • 8.테트리스[Tetris,☆☆☆☆](2020 3/1 ~ 3/8.)
  • 9.화산[Volcano,☆☆☆☆](2020 3/9 ~ 3/14.)
  • 10.과학[Sci-Tech,☆☆☆☆](2020 3/16 ~ 3/23.)
  • 11.음식의 유혹[Deilcacy Tempatation,☆☆☆☆](2020 3/23 ~ 3/30.)
  • 12.환상의 음파[Psychedelic Music,☆☆☆☆☆](2020 3/30 ~ 4/6)
  • 13.바다밑 세계[Seaworld,☆☆☆](2020 4/6 ~ 4/13)
  • 14.심우주[Deep Space,☆☆☆☆☆](2020 4/13 ~ 4/20)
  • 15.주년 기념일[Anniversary,☆☆☆](2020 4/20 ~ 4/27
  • 16.신비한 성[Lost City,☆☆☆☆](2020 4/27 ~ 5/4)
  • 17.미래 잠금해제[Unlock The Future,☆☆☆](2020 5/4 ~ 5/11)
  • 18.호루스의 눈[The Eye Of Horus,☆](2020 5/11 ~ 5/18)
  • 19.1UP[1UP,☆☆☆☆☆](2020 5/18 ~ 5/25)
  • 20.디지털 매트릭스[Digital Matrix,☆☆☆](2020 5/25 ~ 6/2)
  • 21.사막[Desert,☆☆☆](2020 6/2 ~ 6/8)
  • 22.레이저[Laser,☆☆](2020 6/8 ~ 6/15)
  • 23.전자 미궁[E-Labyrinth,☆☆☆☆☆](2020 6/15 ~ 6/22)
  • 24.행렬[Matrix,☆☆☆](2020 6/22 ~6/29)
  • 25.그림자 무사[The Shadow Warrior,☆☆☆](2020 6/29 ~ 7/6)
  • 26.동화[Fairy Tale,☆☆](2020 7/6 ~ 7/13)
  • 27.성신[Stars,☆☆](2020 7/13 ~ 7/20)
  • 28.서커스[Circus,☆☆☆☆](2020 7/20 ~ 7/27)
  • 29.다이내믹 블록[Dynamic Cube,☆☆☆](2020 7/27 ~ 8/3)
  • 30.스켈레톤 파티[Skeleton Party,☆](2020 8/3 ~ 8/10)
  • 31.유적[Relics,☆☆☆☆☆](2020 8/10 ~ 8/17)
  • 32.대즐[Dazzle,☆☆](2020 8/17 ~ 8/24)
  • 33.모노디[Monody,☆☆☆](2020 8/24 ~ 8/31)
  • 34.저녁노을[Sunset Glow,☆☆☆☆☆](2020 8/31 ~ 9/7)


현재는 업데이트가 진행된 ios 한정으로 삭제된 상태이다.


3. 최소 사양[편집]


안드로이드 4.0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이상이 요구되었으나, 현재는 4.1 젤리빈 이상의 사양을 요구한다. 4.0이면 갤 S2~3정도인데 그 사양으로는 원활한 플레이가 힘들다.


4. 스테이지[편집]



보너스 레벨, 미니 레벨 포함. 91개 레벨의 플레이를 모은 외국 유튜버[116]의 영상이다. 2020년 5월 24일 기준으로 모든 레벨을 플레이 한 영상은 아니다.[117][118] 길이는 3시간 1분.

귀무사부터 시작해 6성부터 2성, 크리스마스, 할로윈, 삭제된 전자음악[119], 마지막으로 1성까지 거꾸로 플레이한 영상이다.[120]

자세한 내용은 각 문서를 참고.


4.1. 스테이지별 난이도[121][편집]


스테이지와 보너스 스테이지를 다 포함하여 롤링 스카이에서 공식 배정한 난이도는 다음과 같다.
[미배정] / [컬렉션] / [컬렉션_미배정]중 하나의 각주가 있는 스테이지는 현재 기본 단계 목록에서 볼 수 없는 스테이지이며, 취소선이 그어진 것은 삭제된 스테이지다. 롤링 스카이 디스코드에 스테이지 별 완주, 퍼펙트 난이도를 사진으로 올렸다. 궁금한 사람들은 한번 보자. 참고로 완주, 퍼펙트 클리어 난이도는 저 사진을 따른다.

클라우드 < 맑은 하늘 < 드림팀 < 산언덕 < 겨울[컬렉션]

< 환상 < 삐에로의 낙원 < 스켈레톤 파티[컬렉션] < 호루스의 눈 < 8비트 // 열대의 물결[미배정] (이상 별 1개)

< 하늘 < 핫파티 < 조커 < 동화 < 할로윈 탈출[컬렉션] < 레이저 < 대즐 < 챔피언십 < 성신 < 잔디 구장 < 더 빨리[122]// 골드 크리스마스[컬렉션_미배정] // 미니 테크[미배정] (이상 별 2개)

< Alone Remix[컬렉션][삭제됨2] < 행렬 < 바다밑 세계 < 모노디 < 주년 기념일 < 삼림[삭제됨1] < 캔디 < 그림자 무사 < 기묘한 디저트샵 < 사막 < 다이내믹 블록 < 쿵푸 < Alone[컬렉션][삭제됨2] < Faded[컬렉션][삭제됨3] < Faded Remix[컬렉션][삭제됨3] < 디지털 매트릭스 < 미래 잠금해제 //삼림 II[미배정] // 할로윈 데이[컬렉션_미배정] //오로라 투어[컬렉션_미배정] (이상 별 3개)

< 해전 < 신비한 성 < 음식의 유혹 < 서커스 < 화산 < 고블린 마을 < 고스트 댄스[컬렉션] < Ignite[삭제됨] < 도시 < 과학 < 생일 파티 < 테트리스 < VR 유토피아 < 아침햇살 // 성탄의 복음[컬렉션_미배정] // Alone ll[컬렉션_미배정][삭제됨4] / The Spectre[컬렉션_미배정][삭제됨4] // 해적선[미배정] // 악령 군무[컬렉션_미배정] (이상 별 4개)

< 환상의 크리스마스[컬렉션] < 유적 < 레게 < 몬스터 시티 < 길거리 농구 < 저녁 노을 < 이집트 < 음률 파티 < 할로윈 나이트[컬렉션] < 천공의 성 < 기계동력 < 케플러의 꿈 < 마이크로칩 < 해양 < 전자 미궁 < 트럼프 < 심우주 < Halloween[컬렉션] < 크리스마스[컬렉션] < 한밤의 카니발[컬렉션] < 설날 < 네온 < 귀무사 < 증기시대 < 미식축구 < 환상의 음파 < 월드컵 < 1UP < 큐브 // The Spectre Remix[컬렉션_미배정][삭제됨4] // 순록의 예[컬렉션_미배정](이상 별 5개)

< 생일 축하 < _4주년_ (이상 별 6개)


이것도 역시 개인차가 있을 수 있지만 그러나 실제 난이도는 상당히 다르다.[123] 이는 왕관이나 보석 먹는 것을 제외한 100% 완주하는 난이도를 비교한 것이다.

클라우드 < 맑은 하늘 < 드림팀 = 열대의 물결 = 산언덕 < 겨울 = 환상 < 삐에로의 낙원 < 스켈레톤 파티 < 호루스의 눈 < 8 비트 << < 하늘 = 더 빨리 (쉬움) < 핫파티 = 동화 < 할로윈 탈출 < 조커 = 더 빨리 (보통) = 골드 크리스마스 (쉬움) < 레이저 < 그림자 무사 < 대즐 = 골드 크리스마스 (보통) < Alone Remix = 성신 < 잔디 구장 < 챔피언십 = 미니 테크 <바다 밑 세계 = 모노디 = 캔디 < 삼림 II < 삼림 < 쿵푸 = 성탄의 복음 (쉬움) < Faded < 더빨리(어려움) < 행렬 < 다이내믹 블록 = 주년 기념일 = 할로윈데이 = 오로라 투어 < 음식의 유혹 = 서커스 < 화산 < 고스트 댄스 = 고블린 마을 = 성탄의복음 (보통) < 기묘한 디저트샵 = Faded Remix = 미래 잠금해제 << Alone = 디지털 매트릭스 <<< 해전 < Ignite = 골드 크리스마스 (어려움) < Alone ll < 도시 < 과학 = 테트리스 < 큐브< VR 유토피아 = 아침햇살 < 신비한 성 = The spectre <생일 파티 = 레게 = 유적 < 몬스터 시티 = 환상의 크리스마스 < 길거리 농구 < 트럼프 = 설날 = 성탄의 복음 (어려움) <저녁노을< 천공의 성 =심우주< 귀무사 < 이집트 = 케플러의 꿈 < 기계동력 = 전자미궁 = Halloween < 마이크로칩 < 해양 < The spectre remix < 할로윈 나이트 = 음률 파티 = 네온 < 크리스마스 < 한밤의 카니발 = 미식축구 < 순록의 예 = 증기시대 < 환상의 음파 < 1UP = 월드컵 < 생일 축하 < 4주년


또한 퍼펙트 클리어 난이도는 대략 이정도다. 역시 상당한 개인차가 있을 수 있다.

클라우드 < 드림팀 < 산언덕 < 열대의 물결 < 맑은 하늘 < 겨울 < 하늘 < 환상 < 스켈레톤 파티 < 호루스의 눈 < 동화 < 삐에로의 낙원 < 핫파티 < 그림자 무사 < 성신 < 레이저 << 더빨리 < 삼림 II < Alone remix < 챔피언십 < 잔디구장 < 사막 < 화산 < 고스트 댄스 << 미니 테크 < 악령 군무? < 모노디 < 성탄의 복음 < 골드 크리스마스< 테트리스 < 도시 < 조커 < 서커스 < 행렬 = 미래 잠금해제 < Faded < Faded remix < 할로윈 탈출 < 할로윈 데이 < 쿵푸 < 해적선 < 과학 < 고블린 마을 < Ignite < 대즐 < 환상의 크리스마스 < 바다밑 세계 < 유적 < 해전 < 다이내믹 블록 = 오로라 투어 < 신비한 성 < 음식의 유혹 < 천공의 성 = 레게 = 설날 < Halloween < Alone II < 캔디 = 주년 기념일 = 기묘한 디저트샵 < the Spectre < 저녁 노을 < 생일 파티 < 몬스터 시티 < 길거리 농구 < 이집트 < Spectre Remix < 아침햇살 < Alone < 디지털 매트릭스 < VR 유토피아 = 전자미궁 < 크리스마스 = 심우주 < 마이크로칩 = 해양 < 한밤의 카니발 < 기계 동력 < 미식축구 < 케플러의 꿈 = 할로윈 나이트 <귀무사< 월드컵 =8비트=음률 파티 < 1UP = 네온 = 생일축하 <증기시대< 트럼프 < 순록의 예 < 환상의 음파 < 큐브 = 4주년

볼드체로 되어있는 맵은 퍼펙트 클리어 난이도가 스테이지 클리어 난이도에 비해 어렵다는 뜻이다. 특히 빨간색으로 되어있는 것은 퍼펙트 클리어 난이도가 매우 심각하게 어렵다는 뜻이다.

퍼펙트 클리어 난이도, 즉 보석과 왕관을 모두 수집하는 난이도는 스테이지에 따라 천차만별이지만 두드러지게 어렵거나 쉬운 레벨들을 정리하자면,
  • 퍼펙클 난이도가 완주에 비해 특히 어려운 스테이지: 8비트[124], 삐에로의 낙원[125], 호루스의 눈[126], 스켈레톤 파티[127], 할로윈 탈출[128], 캔디[129], 대즐[130], 골드 크리스마스[131], 주년 기념일[132], 쿵푸[133], Alone[134], 큐브[135], 트럼프[136], 이집트[137], 네온[138], 해적선[139], 해전[140], 디지털 매트릭스[141], 다이내믹 블록[142], VR 유토피아[143], 환상의 음파[144], 음률 파티[145], 4주년[146], 순록의 예[147], 케플러의 꿈[148], 음식의 유혹[149], 기묘한 디저트샵[150], 해양[151], 1UP[152] 바다밑 세계, 증기시대[153], 기계 동력, 귀무사 [154], 레이저[155]
  • 퍼펙클 난이도가 완주 난이도와 별 차이 없는 스테이지: 클라우드, 드림팀[156], 산언덕, 맑은 하늘, 하늘, 화산, 고스트 댄스, 천공의 성, 할로윈, 더 빨리 등.


4.2. 컬렉션 스테이지[편집]


할로윈 나이트 업데이트 이후 탭이 하나 추가되었다. 단계 리스트가 길어짐에 따라 주제별로 비슷한 스테이지를 따로 묶어 분리하는 의도인 듯하다. 그리고 여기에 있는 스테이지들은 모두 열쇠로 해금이 불가하다.

할로윈과 크리스마스 컬렉션의 경우는 모두 파란 보석 60개로만 해금 가능하다. 그런데 컬렉션 분리 과정에서 과거에 열쇠로 해금되었던 일부 맵들이 파란 보석으로 바뀌는 바람에 열쇠만 모아 두고 해금을 미뤘던 플레이어들은 본의 아닌 피해를 보게 되었다.
  • 할로윈 컬렉션
    • 스켈레톤 파티
    • 할로윈 탈출
    • 할로윈 데이
    • 고스트 댄스
    • 악령 군무
    • 할로윈 나이트
    • Halloween
    • 한밤의 카니발

  • 크리스마스 레벨 컬렉션
    • 성탄의 복음
    • 골드 크리스마스
    • 겨울
    • 환상의 크리스마스
    • 오로라 투어
    • 순록의 예
    • 크리스마스

  • 전자음악 컬랙션도 있었지만 현재는 이미 없어졌다. 다만 현재 버전으로 플래이 할수 있는 방법이 있다.
기존 버전을 다운로드 하고, 전부 현질로 해금한뒤, 다시 현재 버전으로 되돌리면 된다.
다만, 현재 기준으로 IOS 판에서만 된다.[157]
그리고 이미 해금했다면 삭제 된 후에도 계속 플레이 할수 있다.


4.3. 버그[편집]


수정된 버그는 취소선이 그어져 있다.
심각한 버그는 볼드체로 표기되어 있다.

  • 유명한 버그인 난간 타기 버그. 일단 시전을 하면 장애물이고 보석이고 구멍이고 다 통과한다.
  • 배경음악을 끄고 보너스 스테이지나 10스테이지부터 있는 시디를 누르고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 배경음악을 켜면 배경음악이 그 맵의 음악으로 바뀐다. [158]
  • 바닥 사이에서 고속꺾기를 하면 가끔씩 떨어지지 않는다.
  • 과학 19%, 화산 7, 8%, 천공의 성 12%, 사막 72, 73%, 생일 축하 15%[?], 조커 76%에 레이저에 닿아도 죽지 않는다.[159][160]
  • 과학 49%쯤 보석을 먹은 뒤 가만히 있으면 벽이 통과된다.
  • 쿵푸 96% 왕관 루트에서 게이트가 가끔씩 통과되는 버그가 있다.
  • Alone, Alone Remix, Faded remix,[161][162] 미니 레벨2 스테이지에서 듀얼포탈에 방패로 지나가거나 트리거를 쓰면 그대로 된다. 그대신 포탈 안에 닿으면 바뀐다.
  • 보석이 10개인 맵을 하고 나오면 나머지맵들도 보석이 10개가 되어버리는 버그가 있었다.
  • 열쇠로 잠금해제를 해야하는 곡의 미해금 플레이, 광고 보고 방패 얻기, 광고 보고 하트 얻어 부활 등을 시도할 때, 광고를 끝까지 안 보고 중간에 x를 눌러도 본 것으로 간주되었던 버그가 한 때 있었다.
  • 충돌 판정이 없어지거나, 그래픽이 없어지는 버그가 있다.
  • 마이크로칩 93%~94%에 스위치를 밟지 않아도 통과된다.
  • 다이내믹 블록 업데이트 이후로 맵 제목이 이상하게 변경되었다.
  • 네온 맵 후반부에 배경 버그가 있다.
  • 싱크 문제. 길거리 농구에서 처음 시작된 문제인데 풍뎅이 캐릭터가 추가되면서 더 심해졌다. 플로팅으로 감속발판이고 가속발판이고 역행발판이고 뭐든지 다 스킵해버리기 때문. 응용해서 역행발판을 두 번 밟는 것도 가능하다.
  • 죽을 때 일시정지하고 다시 재생하면 노래가 처음부터 다시 재생된다.
  • 수동 이동 발판의 스위치를 밟지 않아도 알아서 이동하는 버그가 있다. 실현시키고 싶다면 하늘 스테이지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어보자. 두 번째 이동 발판의 스위치를 밟지 않았는데 움직인다.
  • 2번째와 4번째 칸에 점프대가 있을 때 사이로 들어가도 점프가 된다.
  • 이동 발판으로 인해 보석이 이동되었을 때 보석의 원래 위치로 가면 보석이 끌려온다.
  • 하트로 체크포인트에서 부활할때,체크포인트 앞에 있는 장애물이 접근 시의 동작을 하다가,일정 시간후 접근 전 동작으로 멈춘다.
  • 안개가 끼는 구간에서 일시정지를 하면 잠시 뒤 안개가 사라진다.
이 외에도 버그가 더 많다. 더 많은 내용은 각 스테이지 문서를 참고하자.


4.4. 리스킨[편집]


롤링 스카이 게임 파일을 수정하여 게임 내 스테이지들의 스킨을 바꿀 수 있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내 파일 앱을 실행하여 내장 메모리 > Android > data > com.turbochilli.rollingsky > files > Repositorys > Android > Art > Texture > In-Game 순서대로 들어간다.
  • 바꾸고 싶은 스킨 코드가 있으면 그 둘의 이름을 바꾼다. 스킨의 장애물, 바닥, 이동 발판, 배경 등이 모두 분리되어 있으니 전부 바꿔야 한다. 최근 스테이지들은 모두 텍스쳐를 새로 만들어서 옛날 스킨을 적용시키면 텍스쳐가 깨질 수 있다.
  • 스킨들을 바꾼 후 원래대로 바꾸려면 게임을 재시작하면 된다. 다만 스테이지 파일을 다시 다운로드 해야 한다.


4.4.1. 파일명 목록 (리스킨)[편집]


[목록 펼치기 · 접기]
장애물
Enemy1산언덕 스킨
Enemy2보랏빛 스킨
Enemy3숲 스킨
Enemy4허공 스킨
Enemy5지옥 스킨
Enemy6일렉트로닉 스킨
Enemy7사막 스킨
Enemy8도시 스킨
Enemy9슈팅 스킨/테크널 일렉트로닉 스킨
Enemy10테트리스 스킨/전자 보랏빛 스킨
Enemy11클래식 테트리스 스킨
Enemy12전자 푸른빛 스킨
Enemy13천공의 성 스킨
Enemy14공동묘지 스킨
Enemy15흑백 공동묘지 스킨
Enemy16일렉트로닉 공동묘지 스킨/전자 우주기지 스킨
Enemy17우주기지 스킨
Enemy18크리스마스 스킨
Enemy19크리스마스 징글벨 스킨
Enemy20타락한 천공의 성 스킨
Enemy21쿵푸 스킨
Enemy22해 지는 쿵푸 스킨
Enemy23캔디 스킨
Enemy24일렉트로닉 캔디 스킨
Enemy25파랑 게임 스킨
Enemy26초록 게임 스킨
Enemy27흑백 게임 스킨
Enemy28놀이동산 스킨
Enemy29밤하늘 놀이동산 스킨
Enemy30빨간 왕국 스킨
Enemy31파란 왕국 스킨
Enemy32청록색 파티 스킨
Enemy33핫파티 스킨
Enemy34유적 스킨
Enemy35왕국 스킨
Enemy36길거리 농구 스킨
Enemy37청록색 길거리 농구 스킨
Enemy38퍼플 카니발 스킨
Enemy39청록색 카니발 스킨
Enemy40오렌지 카니발 스킨
Enemy41전자도시 스킨
Enemy42버그 전자도시 스킨
Enemy43겨울 스킨
Enemy44밤의 겨울 스킨
Enemy45레드 전자 실험실 스킨
Enemy46퍼플 전자 실험실 스킨
Enemy47그린 전자 실험실 스킨
Enemy48이집트 스킨
Enemy49호루스의 눈 스킨
Enemy50서커스 스킨
Enemy51공연장 스킨
Enemy52밤의 월드컵 스킨
Enemy53낮의 월드컵 스킨
Enemy54사이버 기지 스킨
Enemy55듀얼 스킨
Enemy56Alone 스킨
Enemy57해 지는 듀얼 스킨
Enemy58밤의 폐허 스킨
Enemy59폐허 스킨
Enemy60성운 스킨
Enemy61붉은 성운 스킨
Enemy62생일 축하 스킨
Enemy63붉은 생일 축하 스킨
Enemy64할로윈 나이트 스킨
Enemy65스켈레톤 파티 스킨
Enemy66골드 크리스마스 스킨
Enemy67퍼플 크리스마스 스킨
Enemy68Marshmello 스킨
Enemy69신비한 성 스킨
Enemy70옐로 설날 스킨
Enemy71레드 설날 스킨
Enemy72야광 빛의 신비한 성 스킨
Enemy73파란 빛 Spectre 스킨
Enemy74붉은 빛 Spectre 스킨
Enemy75낮의 럭비 스킨
Enemy76밤의 럭비 스킨
Enemy79푸른 해적 스킨
Enemy78붉은 해적 스킨
Enemy79사이버 펑크 스킨
Enemy80붉은 사이버 펑크 스킨
Enemy81다이내믹 블록 스킨
Enemy82다이내믹 파티 스킨
Enemy83Game On 스킨
Enemy84Welcome 스킨
Enemy85에메랄드 빛 음파 스킨
Enemy86자수정 빛 음파 스킨
Enemy874주년 파티 스킨
Enemy88야광 4주년 파티 스킨
Enemy89블루 악령 군무 스킨
Enemy90퍼플 악령 군무 스킨
Enemy91저녁 노을 스킨
Enemy92푸른 하늘 스킨
Enemy93겨울 설산 스킨
Enemy94순록의 선물 스킨
Enemy95네이비 스페이스 스킨
Enemy96화이트 스페이스 스킨
Enemy97치즈 축제 스킨
Enemy98레몬 축제 스킨
Enemy99파란 해양 스킨
Enemy100붉은 해양 스킨
Enemy101어두운 증기 시대 스킨
Enemy102밝은 증기 시대 스킨
Enemy103낮의 사무라이 스킨
Enemy104밤의 사무라이 스킨
Enemy105하늘색 도시 스킨
Enemy106분홍색 도시 스킨

반투명 블록
Fragile1산언덕 스킨
Fragile2보랏빛 스킨
Fragile3숲 스킨
Fragile4허공 스킨
Fragile5지옥 스킨
Fragile6일렉트로닉 스킨
Fragile7사막 스킨
Fragile8도시 스킨
Fragile9슈팅 스킨
Fragile10테트리스 스킨/전자 보랏빛 스킨
Fragile11클래식 테트리스 스킨
Fragile12전자 푸른빛 스킨
Fragile13천공의 성 스킨
Fragile14공동묘지 스킨
Fragile15흑백 공동묘지 스킨
Fragile16일렉트로닉 공동묘지 스킨/전자 우주기지 스킨
Fragile17우주기지 스킨
Fragile18크리스마스 스킨
Fragile19크리스마스 징글벨 스킨
Fragile20타락한 천공의 성 스킨
Fragile21쿵푸 스킨
Fragile22해 지는 쿵푸 스킨
Fragile23캔디 스킨
Fragile24일렉트로닉 캔디 스킨
Fragile25파랑 게임 스킨
Fragile26초록 게임 스킨
Fragile27흑백 게임 스킨
Fragile28놀이동산 스킨
Fragile29밤하늘 놀이동산 스킨
Fragile30빨간 왕국 스킨
Fragile31파란 왕국 스킨
Fragile32청록색 파티 스킨
Fragile33핫파티 스킨
Fragile34유적 스킨
Fragile35왕국 스킨
Fragile36길거리 농구 스킨
Fragile37청록색 길거리 농구 스킨
Fragile38퍼플 카니발 스킨
Fragile39청록색 카니발 스킨
Fragile40오렌지 카니발 스킨
Fragile41전자도시 스킨
Fragile42버그 전자도시 스킨
Fragile43겨울 스킨
Fragile44밤의 겨울 스킨
Fragile45클라우드 스킨
Fragile46레드 전자 실험실 스킨
Fragile47퍼플 전자 실험실 스킨
Fragile48그린 전자 실험실 스킨
Fragile49이집트 스킨
Fragile50호루스의 눈 스킨
Fragile51서커스 스킨
Fragile52공연장 스킨
Fragile53밤의 월드컵 스킨
Fragile54낮의 월드컵 스킨
Fragile55사이버 기지 스킨
Fragile56듀얼 스킨
Fragile57Alone 스킨
Fragile58해 지는 듀얼 스킨
Fragile59밤의 폐허 스킨
Fragile60폐허 스킨
Fragile61성운 스킨
Fragile62붉은 성운 스킨
Fragile63생일 축하 스킨
Fragile64붉은 생일 축하 스킨
Fragile65할로윈 나이트 스킨
Fragile66스켈레톤 파티 스킨
Fragile67골드 크리스마스 스킨
Fragile68퍼플 크리스마스 스킨
Fragile69Marshmello 스킨
Fragile70신비한 성 스킨
Fragile71옐로 설날 스킨
Fragile72레드 설날 스킨
Fragile73야광 빛의 신비한 성 스킨
Fragile74파란 빛 Spectre 스킨
Fragile75붉은 빛 Spectre 스킨
Fragile76낮의 럭비 스킨
Fragile77밤의 럭비 스킨
Fragile78푸른 해적 스킨
Fragile79붉은 해적 스킨
Fragile80사이버 펑크 스킨
Fragile81붉은 사이버 펑크 스킨
Fragile82다이내믹 블록 스킨
Fragile83다이내믹 파티 스킨
Fragile84Game On 스킨
Fragile85Welcome 스킨
Fragile86에메랄드 빛 음파 스킨
Fragile87자수정 빛 음파 스킨
Fragile884주년 파티 스킨
Fragile89야광 4주년 파티 스킨
Fragile90블루 악령 군무 스킨
Fragile91퍼플 악령 군무 스킨
Fragile92저녁 노을 스킨
Fragile93푸른 하늘 스킨
Fragile94겨울 설산 스킨
Fragile95순록의 선물 스킨
Fragile96네이비 스페이스 스킨
Fragile97화이트 스페이스 스킨
Fragile98치즈 축제 스킨
Fragile99레몬 축제 스킨
Fragile100파란 해양 스킨
Fragile101붉은 해양 스킨
Fragile102어두운 증기 시대 스킨
Fragile103밝은 증기 시대 스킨
Fragile104낮의 사무라이 스킨
Fragile105밤의 사무라이 스킨
Fragile106하늘색 도시 스킨
Fragile107분홍색 도시 스킨

반투명 블록 활성화
FragileActive1산언덕 스킨
FragileActive2보랏빛 스킨
FragileActive3숲 스킨
FragileActive4허공 스킨
FragileActive5지옥 스킨
FragileActive6일렉트로닉 스킨
FragileActive7사막 스킨
FragileActive8도시 스킨
FragileActive9슈팅 스킨/테크널 일렉트로닉 스킨
FragileActive10테트리스 스킨/전자 보랏빛 스킨
FragileActive11클래식 테트리스 스킨
FragileActive12전자 푸른빛 스킨
FragileActive13천공의 성 스킨
FragileActive14공동묘지 스킨
FragileActive15흑백 공동묘지 스킨
FragileActive16일렉트로닉 공동묘지 스킨/전자 우주기지 스킨
FragileActive17우주기지 스킨
FragileActive18크리스마스 스킨
FragileActive19크리스마스 징글벨 스킨
FragileActive20타락한 천공의 성 스킨
FragileActive21쿵푸 스킨
FragileActive22해 지는 쿵푸 스킨
FragileActive23캔디 스킨
FragileActive24일렉트로닉 캔디 스킨
FragileActive25파랑 게임 스킨
FragileActive26초록 게임 스킨
FragileActive27흑백 게임 스킨
FragileActive28놀이동산 스킨
FragileActive29밤하늘 놀이동산 스킨
FragileActive30빨간 왕국 스킨
FragileActive31파란 왕국 스킨
FragileActive32청록색 파티 스킨
FragileActive33핫파티 스킨
FragileActive34유적 스킨
FragileActive35왕국 스킨
FragileActive36길거리 농구 스킨
FragileActive37청록색 길거리 농구 스킨
FragileActive38퍼플 카니발 스킨
FragileActive39청록색 카니발 스킨
FragileActive40오렌지 카니발 스킨
FragileActive41전자도시 스킨
FragileActive42버그 전자도시 스킨
FragileActive43겨울 스킨
FragileActive44밤의 겨울 스킨
FragileActive45레드 전자 실험실 스킨
FragileActive46퍼플 전자 실험실 스킨
FragileActive47그린 전자 실험실 스킨
FragileActive48이집트 스킨
FragileActive49호루스의 눈 스킨
FragileActive50서커스 스킨
FragileActive51공연장 스킨
FragileActive52밤의 월드컵 스킨
FragileActive53낮의 월드컵 스킨
FragileActive54사이버 기지 스킨
FragileActive55듀얼 스킨
FragileActive56Alone 스킨
FragileActive57해 지는 듀얼 스킨
FragileActive58밤의 폐허 스킨
FragileActive59폐허 스킨
FragileActive60성운 스킨
FragileActive61붉은 성운 스킨
FragileActive62생일 축하 스킨
FragileActive63붉은 생일 축하 스킨
FragileActive64할로윈 나이트 스킨
FragileActive65스켈레톤 파티 스킨
FragileActive66골드 크리스마스 스킨
FragileActive67퍼플 크리스마스 스킨
FragileActive68Marshmello 스킨
FragileActive69신비한 성 스킨
FragileActive70옐로 설날 스킨
FragileActive71레드 설날 스킨
FragileActive72야광 빛의 신비한 성 스킨
FragileActive73파란 빛 Spectre 스킨
FragileActive74붉은 빛 Spectre 스킨
FragileActive75낮의 럭비 스킨
FragileActive76밤의 럭비 스킨
FragileActive79푸른 해적 스킨
FragileActive78붉은 해적 스킨
FragileActive79사이버 펑크 스킨
FragileActive80붉은 사이버 펑크 스킨
FragileActive81다이내믹 블록 스킨
FragileActive82다이내믹 파티 스킨
FragileActive83Game On 스킨
FragileActive84Welcome 스킨
FragileActive85에메랄드 빛 음파 스킨
FragileActive86자수정 빛 음파 스킨
FragileActive874주년 파티 스킨
FragileActive88야광 4주년 파티 스킨
FragileActive89블루 악령 군무 스킨
FragileActive90퍼플 악령 군무 스킨
FragileActive91저녁 노을 스킨
FragileActive92푸른 하늘 스킨
FragileActive93겨울 설산 스킨
FragileActive94순록의 선물 스킨
FragileActive95네이비 스페이스 스킨
FragileActive96화이트 스페이스 스킨
FragileActive97치즈 축제 스킨
FragileActive98레몬 축제 스킨
FragileActive99파란 해양 스킨
FragileActive100붉은 해양 스킨
FragileActive101어두운 증기 시대 스킨
FragileActive102밝은 증기 시대 스킨
FragileActive103낮의 사무라이 스킨
FragileActive104밤의 사무라이 스킨
FragileActive105하늘색 도시 스킨
FragileActive106분홍색 도시 스킨

바닥
General1산언덕 스킨
General2보랏빛 스킨
General3숲 스킨
General4허공 스킨
General5지옥 스킨
General6일렉트로닉 스킨
General7사막 스킨
General8도시 스킨
General9슈팅 스킨/테크널 일렉트로닉 스킨
General10테트리스 스킨/전자 보랏빛 스킨
General11클래식 테트리스 스킨
General12전자 푸른빛 스킨
General13천공의 성 스킨
General14공동묘지 스킨
General15흑백 공동묘지 스킨
General16일렉트로닉 공동묘지 스킨/전자 우주기지 스킨
General17우주기지 스킨
General18크리스마스 스킨
General19크리스마스 징글벨 스킨
General20타락한 천공의 성 스킨
General21쿵푸 스킨
General22해 지는 쿵푸 스킨
General23캔디 스킨
General24일렉트로닉 캔디 스킨
General25파랑 게임 스킨
General26초록 게임 스킨
General27흑백 게임 스킨
General28놀이동산 스킨
General29밤하늘 놀이동산 스킨
General30빨간 왕국 스킨
General31파란 왕국 스킨
General32청록색 파티 스킨
General33핫파티 스킨
General34유적 스킨
General35왕국 스킨
General36길거리 농구 스킨
General37청록색 길거리 농구 스킨
General38퍼플 카니발 스킨
General39청록색 카니발 스킨
General40오렌지 카니발 스킨
General41전자도시 스킨
General42버그 전자도시 스킨
General43겨울 스킨
General44밤의 겨울 스킨
General45레드 전자 실험실 스킨
General46퍼플 전자 실험실 스킨
General47그린 전자 실험실 스킨
General48이집트 스킨
General49호루스의 눈 스킨
General50서커스 스킨
General51공연장 스킨
General52밤의 월드컵 스킨
General53낮의 월드컵 스킨
General54사이버 기지 스킨
General55듀얼 스킨
General56Alone 스킨
General57해 지는 듀얼 스킨
General58밤의 폐허 스킨
General59폐허 스킨
General60성운 스킨
General61붉은 성운 스킨
General62생일 축하 스킨
General63붉은 생일 축하 스킨
General64할로윈 나이트 스킨
General65스켈레톤 파티 스킨
General66골드 크리스마스 스킨
General67퍼플 크리스마스 스킨
General68Marshmello 스킨
General69신비한 성 스킨
General70옐로 설날 스킨
General71레드 설날 스킨
General72야광 빛의 신비한 성 스킨
General73파란 빛 Spectre 스킨
General74붉은 빛 Spectre 스킨
General75낮의 럭비 스킨
General76밤의 럭비 스킨
General79푸른 해적 스킨
General78붉은 해적 스킨
General79사이버 펑크 스킨
General80붉은 사이버 펑크 스킨
General81다이내믹 블록 스킨
General82다이내믹 파티 스킨
General83Game On 스킨
General84Welcome 스킨
General85에메랄드 빛 음파 스킨
General86자수정 빛 음파 스킨
General874주년 파티 스킨
General88야광 4주년 파티 스킨
General89블루 악령 군무 스킨
General90퍼플 악령 군무 스킨
General91저녁 노을 스킨
General92푸른 하늘 스킨
General93겨울 설산 스킨
General94순록의 선물 스킨
General95네이비 스페이스 스킨
General96화이트 스페이스 스킨
General97치즈 축제 스킨
General98레몬 축제 스킨
General99파란 해양 스킨
General100붉은 해양 스킨
General101어두운 증기 시대 스킨
General102밝은 증기 시대 스킨
General103낮의 사무라이 스킨
General104밤의 사무라이 스킨
General105하늘색 도시 스킨
General106분홍색 도시 스킨

발판식 이동 바닥
Mover1산언덕 스킨
Mover2보랏빛 스킨
Mover3숲 스킨
Mover4허공 스킨
Mover5지옥 스킨
Mover6일렉트로닉 스킨
Mover7사막 스킨
Mover8도시 스킨
Mover9슈팅 스킨/테크널 일렉트로닉 스킨
Mover10테트리스 스킨/전자 보랏빛 스킨
Mover11클래식 테트리스 스킨
Mover12전자 푸른빛 스킨
Mover13천공의 성 스킨
Mover14공동묘지 스킨
Mover15흑백 공동묘지 스킨
Mover16일렉트로닉 공동묘지 스킨/전자 우주기지 스킨
Mover17우주기지 스킨
Mover18크리스마스 스킨
Mover19크리스마스 징글벨 스킨
Mover20타락한 천공의 성 스킨
Mover21쿵푸 스킨
Mover22해 지는 쿵푸 스킨
Mover23캔디 스킨
Mover24일렉트로닉 캔디 스킨
Mover25파랑 게임 스킨
Mover26초록 게임 스킨
Mover27흑백 게임 스킨
Mover28놀이동산 스킨
Mover29밤하늘 놀이동산 스킨
Mover30빨간 왕국 스킨
Mover31파란 왕국 스킨
Mover32청록색 파티 스킨
Mover33핫파티 스킨
Mover34유적 스킨
Mover35왕국 스킨
Mover36길거리 농구 스킨
Mover37청록색 길거리 농구 스킨
Mover38퍼플 카니발 스킨
Mover39청록색 카니발 스킨
Mover40오렌지 카니발 스킨
Mover41전자도시 스킨
Mover42버그 전자도시 스킨
Mover43겨울 스킨
Mover44밤의 겨울 스킨
Mover45레드 전자 실험실 스킨
Mover46퍼플 전자 실험실 스킨
Mover47그린 전자 실험실 스킨
Mover48이집트 스킨
Mover49호루스의 눈 스킨
Mover50서커스 스킨
Mover51공연장 스킨
Mover52밤의 월드컵 스킨
Mover53낮의 월드컵 스킨
Mover54사이버 기지 스킨
Mover55듀얼 스킨
Mover56Alone 스킨
Mover57해 지는 듀얼 스킨
Mover58밤의 폐허 스킨
Mover59폐허 스킨
Mover60성운 스킨
Mover61붉은 성운 스킨
Mover62생일 축하 스킨
Mover63붉은 생일 축하 스킨
Mover64할로윈 나이트 스킨
Mover65스켈레톤 파티 스킨
Mover66골드 크리스마스 스킨
Mover67퍼플 크리스마스 스킨
Mover68Marshmello 스킨
Mover69신비한 성 스킨
Mover70옐로 설날 스킨
Mover71레드 설날 스킨
Mover72야광 빛의 신비한 성 스킨
Mover73파란 빛 Spectre 스킨
Mover74붉은 빛 Spectre 스킨
Mover75낮의 럭비 스킨
Mover76밤의 럭비 스킨
Mover77푸른 해적 스킨
Mover78붉은 해적 스킨
Mover79사이버 펑크 스킨
Mover80붉은 사이버 펑크 스킨
Mover81다이내믹 블록 스킨
Mover82다이내믹 파티 스킨
Mover83Game On 스킨
Mover84Welcome 스킨
Mover85에메랄드 빛 음파 스킨
Mover86자수정 빛 음파 스킨
Mover874주년 파티 스킨
Mover88야광 4주년 파티 스킨
Mover89블루 악령 군무 스킨
Mover90퍼플 악령 군무 스킨
Mover91저녁 노을 스킨
Mover92푸른 하늘 스킨
Mover93겨울 설산 스킨
Mover94순록의 선물 스킨
Mover95네이비 스페이스 스킨
Mover96화이트 스페이스 스킨
Mover97치즈 축제 스킨
Mover98레몬 축제 스킨
Mover99파란 해양 스킨
Mover100붉은 해양 스킨
Mover101어두운 증기 시대 스킨
Mover102밝은 증기 시대 스킨
Mover103낮의 사무라이 스킨
Mover104밤의 사무라이 스킨
Mover105하늘색 도시 스킨
Mover106분홍색 도시 스킨

원격식 이동 바닥
MoverAuto1산언덕 스킨
MoverAuto2보랏빛 스킨
MoverAuto3숲 스킨
MoverAuto4허공 스킨/천공의 성 스킨/타락한 천공의 성 스킨
MoverAuto5지옥 스킨
MoverAuto6일렉트로닉 스킨
MoverAuto7사막 스킨
MoverAuto8도시 스킨
MoverAuto9슈팅 스킨/테크널 일렉트로닉 스킨
MoverAuto10테트리스 스킨/전자 보랏빛 스킨
MoverAuto11클래식 테트리스 스킨
MoverAuto12전자 푸른빛 스킨
MoverAuto14공동묘지 스킨
MoverAuto15흑백 공동묘지 스킨
MoverAuto16일렉트로닉 공동묘지 스킨/전자 우주기지 스킨
MoverAuto17우주기지 스킨
MoverAuto29청록색 파티 스킨
MoverAuto30핫파티 스킨
MoverAuto31유적 스킨
MoverAuto32왕국 스킨
MoverAuto33길거리 농구 스킨
MoverAuto34청록색 길거리 농구 스킨
MoverAuto35퍼플 카니발 스킨
MoverAuto36청록색 카니발 스킨
MoverAuto37오렌지 카니발 스킨
MoverAuto38전자도시 스킨
MoverAuto39버그 전자도시 스킨
MoverAuto40겨울 스킨
MoverAuto41밤의 겨울 스킨
MoverAuto42레드 전자 실험실 스킨
MoverAuto43퍼플 전자 실험실 스킨
MoverAuto44그린 전자 실험실 스킨
MoverAuto45이집트 스킨
MoverAuto46호루스의 눈 스킨
MoverAuto47서커스 스킨
MoverAuto48공연장 스킨
MoverAuto49밤의 월드컵 스킨
MoverAuto50낮의 월드컵 스킨
MoverAuto51사이버 기지 스킨
MoverAuto52듀얼 스킨
MoverAuto53Alone 스킨
MoverAuto54해 지는 듀얼 스킨
MoverAuto55밤의 폐허 스킨
MoverAuto56폐허 스킨
MoverAuto57성운 스킨
MoverAuto58붉은 성운 스킨
MoverAuto59생일 축하 스킨
MoverAuto60붉은 생일 축하 스킨
MoverAuto61할로윈 나이트 스킨
MoverAuto62스켈레톤 파티 스킨
MoverAuto63골드 크리스마스 스킨
MoverAuto64퍼플 크리스마스 스킨
MoverAuto65Marshmello 스킨
MoverAuto66신비한 성 스킨
MoverAuto67옐로 설날 스킨
MoverAuto68레드 설날 스킨
MoverAuto69야광 빛의 신비한 성 스킨
MoverAuto70파란 빛 Spectre 스킨
MoverAuto71붉은 빛 Spectre 스킨
MoverAuto72낮의 럭비 스킨
MoverAuto73밤의 럭비 스킨
MoverAuto74푸른 해적 스킨
MoverAuto75붉은 해적 스킨
MoverAuto76사이버 펑크 스킨
MoverAuto77붉은 사이버 펑크 스킨
MoverAuto78다이내믹 블록 스킨
MoverAuto79다이내믹 파티 스킨
MoverAuto80Game On 스킨
MoverAuto81Welcome 스킨
MoverAuto82에메랄드 빛 음파 스킨
MoverAuto83자수정 빛 음파 스킨
MoverAuto844주년 파티 스킨
MoverAuto85야광 4주년 파티 스킨
MoverAuto86블루 악령 군무 스킨
MoverAuto87퍼플 악령 군무 스킨
MoverAuto88저녁 노을 스킨
MoverAuto89푸른 하늘 스킨
MoverAuto90겨울 설산 스킨
MoverAuto91순록의 선물 스킨
MoverAuto92네이비 스페이스 스킨
MoverAuto93화이트 스페이스 스킨
MoverAuto94치즈 축제 스킨
MoverAuto95레몬 축제 스킨
MoverAuto96파란 해양 스킨
MoverAuto97붉은 해양 스킨
MoverAuto98어두운 증기 시대 스킨
MoverAuto99밝은 증기 시대 스킨
MoverAuto100낮의 사무라이 스킨
MoverAuto101밤의 사무라이 스킨
MoverAuto102하늘색 도시 스킨
MoverAuto103분홍색 도시 스킨

배경
Background1산언덕 스킨
Background2보랏빛 스킨
Background2z분홍색 도시 스킨
Background3숲 스킨
Background4허공 스킨
Background5지옥 스킨
Background6일렉트로닉 스킨
Background7사막 스킨
Background8클라우드 스킨
Background8a흑백 도시 스킨
Background8b도시 스킨
Background10슈팅 스킨
Background11테트리스 스킨
Background12클래식 테트리스 스킨
Background13전자 푸른빛 스킨
Background14전자 보랏빛 스킨
Background15천공의 성 스킨
Background16공동묘지 스킨
Background17흑백 공동묘지 스킨
Background18일렉트로닉 공동묘지 스킨
Background19우주기지 스킨
Background20전자 우주기지 스킨
Background21크리스마스 스킨
Background22크리스마스 징글벨 스킨
Background23타락한 천공의 성 스킨
Background24쿵푸 스킨
Background25해 지는 쿵푸 스킨
Background26캔디 스킨
Background27일렉트로닉 캔디 스킨
Background28파랑 게임 스킨
Background29초록 게임 스킨
Background30흑백 게임 스킨
Background31놀이동산 스킨
Background32밤하늘 놀이동산 스킨
Background33빨간 왕국 스킨
Background34파란 왕국 스킨
Background35청록색 파티 스킨
Background36핫파티 스킨
Background37유적 스킨
Background38왕국 스킨
Background39길거리 농구 스킨
Background40청록색 길거리 농구 스킨
Background41퍼플 카니발 스킨
Background42청록색 카니발 스킨
Background43오렌지 카니발 스킨
Background44전자도시 스킨
Background45버그 전자도시 스킨
Background46밤의 겨울 스킨
Background47겨울 스킨
Background48퍼플 전자 실험실 스킨
Background49레드 전자 실험실 스킨
Background50그린 전자 실험실 스킨
Background51이집트 스킨
Background52호루스의 눈 스킨
Background53서커스 스킨
Background54공연장 스킨
Background55밤의 월드컵 스킨
Background56낮의 월드컵 스킨
Background57사이버 기지 스킨
Background58듀얼 스킨
Background59Alone 스킨
Background60해 지는 듀얼 스킨
Background61밤의 폐허 스킨
Background62폐허 스킨
Background63성운 스킨
Background64붉은 성운 스킨
Background65생일 축하 스킨
Background66붉은 생일 축하 스킨
Background67할로윈 나이트 스킨
Background68스켈레톤 파티 스킨
Background69골드 크리스마스 스킨
Background70퍼플 크리스마스 스킨
Background71Marshmello 스킨
Background72신비한 성 스킨
Background73야광 빛의 신비한 성 스킨
Background74옐로 설날 스킨
Background75레드 설날 스킨
Background76파란 빛 Spectre 스킨
Background77붉은 빛 Spectre 스킨
Background78낮의 럭비 스킨
Background79밤의 럭비 스킨
Background80푸른 해적 스킨
Background81붉은 해적 스킨
Background82사이버 펑크 스킨
Background83붉은 사이버 펑크 스킨
Background84다이내믹 블록 스킨
Background85다이내믹 파티 스킨
Background86Game On 스킨
Background87Welcome 스킨
Background88에메랄드 빛 음파 스킨
Background89자수정 빛 음파 스킨
Background904주년 파티 스킨
Background91야광 4주년 파티 스킨
Background92블루 악령 군무 스킨
Background93퍼플 악령 군무 스킨
Background94저녁 노을 스킨
Background95푸른 하늘 스킨
Background96겨울 설산 스킨
Background97순록의 선물 스킨
Background98네이비 스페이스 스킨
Background99화이트 스페이스 스킨
Background100치즈 축제 스킨
Background101레몬 축제 스킨
Background102파란 해양 스킨
Background103붉은 해양 스킨
Background104어두운 증기 시대 스킨
Background105밝은 증기 시대 스킨
Background106낮의 사무라이 스킨
Background107밤의 사무라이 스킨
Background108하늘색 도시 스킨
Background109분홍색 도시 스킨



4.5. 리모델[편집]


리스킨을 한후 맵을 더욱 더 꾸미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이다. 장애물들을 바꿔서 플래이하는 방식이며, 역시 파일로 들어가 리스킨과 똑같은 방법으로 ANDROID에 들어간 후, Resources 에 들어가 Pack>World 로 들어가면 된다. 그러면 Level 23 부터 쭉 있는데, Level 23에 트럼프와 조커의 장애물이 있다. 즉 18단계부터 53단계까지 쭉 있는 것.

4.5.1. 파일명 목록 (리모델)[편집]


Level23트럼프 장애물
166_Level23TileDown.ab트럼프 에서 떨어졌다가 고정 되는 바닥
173_Level23Poker1.ab큐브의 정팔면체 처럼 계속 돌아가는 투명 카드
174_Level23Poker2Left.ab왼쪽으로 조금 펼쳐진 카드
175_Level23Poker2Right.ab오른쪽으로 조금 펼쳐진 카드
176_Level23Poker3Left.ab왼쪽으로 쫙 펼쳐진 카드
177_Level23Poker2Right.ab오른쪽으로 쫙 펼쳐진 카드
178_Level23SuccessiveJump.ab점핑부스터
180_Level23Poker1Lean.ab조커가 그려진 카드
181_Level23PokerTree.ab♡♧◇♤로 이루어진 기둥


5. 비판과 논란[편집]


롤링스카이 게임에 관한 비판 및 논란 거리를 모아놓은 내용들이다.


5.1. BGM 표절 관련[편집]


모 카페와 디시인사이드 등지에 2단계(하늘)스테이지의 배경음악이 자신이 2014년에 작곡한 곡을 표절했다고 주장하는 글#이 올라왔다. 확실히 곡조가 비슷한 부분이 있긴 하지만, 그 부분이 짧고 흔한 멜로디라고 볼 수도 있으니 판단은 알아서 하자.원곡(32초~)비교영상

5.2. 도를 넘어서는 양의 콜라보 스테이지[편집]


예전에도 F-777의 음악들과 TheFatRat의 Monody, Tobu의 Candyland, Axero의 Trip 등을 써오긴 했지만, 2018년 이후 계속 Alan Walker의 음악을 썼다. Alone - Alone Remix - Faded - Faded Remix 4연속이다. 다행히도 다음 레벨은 앨랜워커 노래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한다.[163] 그러나 반년도 안지난 2019년 2월 말에 The Spectre가, 3월 말에는 The Spectre의 리믹스가 출시되었다. 2019년 1월에는 아예 MarshmelloAlone 까지 썼는데 장애물, 보석이 전부다 랜덤이고 100%를 가려면 무조건 현질을 해야 해서 반응이 좋지 않고 이로 인해 일부 고인물 유튜버들 또한 롤링 스카이를 접는 사태까지 발생하고 말았다.


5.3. 랭킹 시스템 문제[편집]


유저들은 랭킹이 불공평하다는 의견이 많다. 업데이트 속도 차이때문에 늦게 업데이트가 된 사람은 더 낮은 순위를 받게 된다. 무엇보다도 RS001이 나오면서 논란이 많이 터졌는데 이 캐릭터가 30% 확률로 방패를 장착한다. 그런데 이렇게 해도 랭킹에 적용이 된다. 또 하트로 부활해도 랭킹 적용이 되는데 그때 당시에는 두개다 웬만하면 현질해야했다. '유저들은 현질이 랭킹 1등에 드는 정답이다.' 라고 말할 정도.[164] 현재는 세계 랭킹이 삭제되어 해결되었다.


5.4. 업데이트 속도 차이 문제[편집]


일부 기기에서 업데이트가 느리고, 아예 업데이트 되지 않는 경우도 간혹 있다고 한다. 업데이트가 아예 안된다면 큰 문제겠지만 기종에 따라 하루이틀 차이 나는 것은 일반 플레이어에게는 사실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기기 차별이 심각하다고 느낄 수 있는게 삼성 갤럭시 시리즈는 업데이트가 금방 되지만[165], LG폰은 업데이트가 굉장히 느리다.

한 때 유튜브에선 유튜버들이 업데이트 속도 차이 문제를 강하게 비판, 롤링스카이를 접게 만든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라고 까지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유는 세계 랭킹 때문이었다. 업데이트 날짜가 차이가 나서 늦게 클리어하게 되면 실력이 좋아도 랭킹이 뒤쳐지니 롤링스카이를 비판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요즘은 세계랭킹이 사라져서 의미 없는 이야기이며, 당시에도 이 사안으로 비판을 하는 집단은 유튜버 이외에는 사실상 없었다.


5.5. 랜덤 시스템 문제[편집]


골드 크리스마스부터 등장한 문제이다. 셔플보석은 한번에 보석 3개가 있는데 가까이 가면 회전하면서 어느 한 곳에 멈춘다. 근데 이게 제각각이다.[166] 게다가 Alone ll부터 랜덤장애물이 나와버렸다. 심지어 얘는 규칙이 없어서 더욱더 힘들다. 후에 설날에 랜덤 점프대까지 나와서 유저들이 이런 시스템 왜 만들었냐라는 평이 빗발쳤고, 결국 롤링 스카이를 접는 유저들도 많이 생기고 말았다.


5.6. 가속되는 부분 유료화[편집]


현질 유도가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초창기[167]에는 게임을 플레이하는 데에 1개 이상이 필요하며, 게임오버될 때마다 하나씩 소모되지만 모두 소모하더라도 잠깐 기다리거나 광고 한 번 보면 10개를 얻을 수 있었던 볼 이외엔 재화가 전무해서 사실상 완전 무료에 가까운 게임이었고, 16년 9월 말 전자미궁 업뎃에서[168] 피격을 1회 막아주는 방패가, 17년 4월에는 게임오버 되어도 체크포인트에서 부활할 수 있게 되는 하트를 도입하게 되지만 둘 모두 광고나 이벤트를 통해 모으다 보면 충분하다 못해 넘쳐나는지라 큰 문제는 되지 않았다. 그런데 16년 10월 천공의 성 업데이트 시점부터 열쇠를 도입하면서 부분유료화에 시동을 걸더니[169], 17년 6월 이후로 캐릭터를 도입하면서 본격화되었다. 농구공, 마법 눈알, 보이저호처럼 노멀과 외형 외에 차이점이 전무한 캐릭터는 딱히 문제되진 않았지만 30% 확률로 자체 방패를 촉발하는 RS-001이라는 캐릭터를 1만원이 넘는 가격으로 유료로 판매한 것.

욕을 많이 먹었는지 캐릭터에 대한 현질 유도는 18년 4월 말 서커스 업데이트 후 전술한 퍼즐 조각 시스템을 도입하며 완화되었지만, 18년 하반기부터는 스테이지 해금 쪽을 꾸준히 유료화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18년 7월 Alone을 시작으로 점차 Alone Remix, Faded를 조각을 모아야만 잠금 해제를 할수 있게 했으나[170] 9월부터 일시적 해금으로는 완주할 수 없고 반드시 현질해야만 할수 있는 맵들을 만들었고 19년 1월 들어서는 기존에 무료로 해금할 수 있었던 맵들을 난데없이 유료화시키고 있다.[171] 10월에 같은 테마를 다루고 있는 맵들을 모은 컬렉션 시스템이 도입되자 열쇠로도 해금이 가능했던 일부 맵들을[172]을 파란 보석 해금으로 바꾸며 현질 해금을 하도록 하는가 하면,[173][174]

이후에는 전자음악 스테이지는 전부 삭제되었고, 캐릭터도 적당히 노가다하면 어느정도 다 모을 수 있는 수준이 되어 완화되었지만, 해양 업데이트로 4주년이 유료화되었다.[175] 다만 일부 짝퉁판에서는 4주년 이벤트가 끝나지 않은 상태인지라 이 짝퉁 판과 버그판을 통해 4주년을 플레이하는 편법이 있긴 하지만 ios는 무조건 현질해야한다.


5.7. 무의미하게 존재하는 베타 테스터[편집]


플레이 스토어에 롤링 스카이 앱 화면으로 가면 베타 테스터 되기 버튼이 존재한다. 그 버튼을 누르면 테스트가 가능하다. 여기까지는 좋으나, 악령군무 업데이트 당시 유명 유튜버들이 악령군무 스테이지 영상을 올리고 플레이 스토어 베타 테스터들이 업데이트를 받은 것은 영상이 올라가고 난 무려 50시간 뒤다.

유튜버들이 포함되어 있는 일부 유저들끼리 개발자와 소통하는 채팅방을 통해 apk를 미리 공유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76][177] 또한 이런 일로 인해 커뮤니티 내의 친목질도 심해진 편. 버그 확인, 수정 문제 때문이라지만 그게 베타 테스터의 존재의의인데 일부 유저들끼리만 따로 채팅방을 파서 apk를 미리 공유하고 외부 유출을 금지시킨다면서 친목질을 한다는 게 말이 안되는 사실이다.


5.8. 매너리즘[편집]


최근 올라오는 스테이지들의 맵 구조가 다 비슷비슷하고 양산형으로 맵을 찍어낸다는 평이 많다. 그리고 요즘 나오는 스테이지들은 죄다 4~5성이다.1,2,3,4성은 스테이지 갯수가 11개 정도인데 5성만 24개이다. 대칭 패턴이 많은 롤링스카이 맵 특성상 비슷비슷한 패턴이 매우 많고, 최근 맵들 게임플레이가 다 거기서 거기같다는 평이 많다. 특히 가운데를 비워놓고 사이에 점프대 두 개를 배치하는 패턴이 많이 보이는데, 이 경우 가운데로 가도 점프대가 발동되어 떨어지지 않는 버그까지 있다. 또한 게임플레이와 싱크도 잘 맞지 않고 패턴 자체가 정형화되어 있어 최근 맵들이 재미없다는 평이 많다. 당장 롤링 스카이 커뮤니티를 보아도 천공의 성, 전자 미궁 같은 게임플레이가 독특한 옛날 스테이지가 그립다고 말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왕관과 보석루트에 대해서도 악평이 많다. 캔디와 1UP 이후로 거의 모든 고난이도 레벨의 왕관과 보석루트는 대각선 줄타기 패턴과 점프대 코너링으로 점철되어 있다. 심지어 다른 참신한 패턴을 사용하는 기미도 거의 보이지 않는다.

스테이지의 다양하고 참신한 패턴과 재미를 만드는것은 스테이지마다 추가되는 신기믹(1UP의 파괴부스터, 저녁노을의 투명화 부스터, 환상의 크리스마스의 낮은 점프대, 악령군무의 기울임 장치, 증기시대의 좌우반전 부스터)을 이용해서 할수 있지만,[178] 문제는 스테이지에서 나오는 신기믹들은 스테이지 내에서 적극적으로 쓰이지 않거나 일회성으로만 쓰인다는 데 있다. 1UP에서 새로 등장한 플라잉부스터 점프대 기믹 정도를 제외하면 신기믹들이 이후에도 자주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179] 심지어 악령군무의 기울임 장치같은 의미없는 기믹도 있다.[180] 개발진들도 이 문제를 인지하고 있었는지 아예 음식의 유혹,해양,몬스터 시티 등의 레벨에는 신규 기믹을 넣지 않았다.

배경음악들도 비슷비슷하다는 평이 있다. 악령군무, 케플러의 꿈 등 여러 레벨의 배경음악들이 다 비슷비슷한 느낌이 들고, 분명 한 음악인데도 여러 음악을 조잡하게 섞어놓은 듯한 느낌의 음악들이 최근 들어 많이 나오고 있다. 전체적으로 음악 퀄리티가 낮아지고 있다는 평.

맵 퀄리티도 낮아지고 있다. 악령군무, 케플러의 꿈 등 최근 나온 스테이지의 퀄리티가 낮으며, 초기에 있었던 공중나무, 공중 산 같은 요소도 없다.[181] 장애물들도 대부분 비슷비슷하고 디자인이 매우 낮은 장애물들도 있다.

최신 스테이지들은 대부분 스킨(배경)이 다채롭지 않고 한스테이지 당 스킨이 2개밖에 없다. 1-2-1-2순으로 스킨이 바뀐다면 보너스 스테이지는 2-1-2-1순으로 배경이 바뀌는 식

물론 현재는 신규 스테이지도 일절 추가되지 않고 있는 상황인지라 위의 비판들은 전부 의미 없는 소리가 되었다.


5.9. 오역[편집]


오역으로 악명 높은 치타 모바일답게 한국어 번역에 오역이 많다. 띄어쓰기 등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든지, 신기록을 '새로운'이라고 번역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하지만, 예전 버전엔 신기록이 잘 나왔던걸로 봐서 번역자가 바뀌었는걸로 보인다.

5.10. 기타[편집]


  • 원래 무한볼 패키지만 사도 죽으면 바로 재도전할 수 있는 게임이었으나 뜬금없이 패치로 체크포인트가 생긴 이후부터 죽으면 하트를 사용해서 체크포인트에서 부활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초보자에게는 나름 괜찮은 기능이지만 하트를 광고 또는 현질로 얻어야 하기 때문에 체크포인트를 하나 이상 찍고 죽으면 재도전 전에 광고 유도창이 뜨고 잘못 누르면 30초 동안 스킵 불가능한 광고가 뜬다. 체크포인트 기능을 옵션으로 넣어놨으면 금방 해결되었을 문제인데 그런 간단한 기능조차 넣어주지 않았다.

  • 최근 구글의 광고정책 위반으로 인해 치타 모바일의 모든 게임이 플레이 스토어에 없어졌다. 다만 다시 추가가 될 것이다.[182] 이 때문에 플레이 스토어에선 짝퉁과 말 그대로 제목만 바꾸고 나머지는 다 같은 불법판들이 활개치고 있으며[183], IOS에서는 없어지지 않았지만 잘못되면 IOS판도 무사하지 못할 수 있다. 그리고 롤링스카이가 더 이상 업데이트를 안하기 때문에 IOS에 롤스가 있어도 어차피 소용이 없다.[184]


6. 여담[편집]


* 이상하게도 알렌워커단종됐다.[185]

* 화산(5스테이지)까지는 기존 배경을 쓰다가, 도시(6스테이지)부터 새로운 것과 섞어 쓰더니, 테트리스와 천공의 성을 제외한 스테이지가 자신의 배경만을 쓴다. 6/7에서 섞여 쓰는 것은 일레트로닉, 천공의 성은 지옥 스킨이다. 모노디는 숲 스킨이랑 섞여 쓴다. 게다가 과학 이후의 새로운 스킨은 모두 반투명 바닥에 빗금이 없다.[186] 그리고 오로라 투어와 순록의 예의 설산 스킨에는 눈꽃 모양이 그려져 있다.

  • 1UP, 트럼프 등 고난도 단계 퍼펙트 플레이 영상을 촬영한 롤링 스카이 유튜버 Pure Sense가 최근 로봇으로 조작하여 플레이한다는 의혹에 휩싸여 있다. 라인을 옮기지 않을 때는 좌우로 전혀 움직임이 없는 등 전반적인 움직임이 부자연스럽다는 것이 그 이유가 되고 있다.[187]참고 영상

  • 2018년 7월 4일, 후속작인 롤링 스카이 2가 공개되었다. 문서 참고. 아직 몇몇 국가에서밖에 플레이할 수 없다고 한다.[188] 전작과의 차이점은 공 대신 인간형 캐릭터가 등장하며, 스테이지 구성이 훨씬 다채로워졌고 각각의 스테이지의 스토리를 중시했다는 것. 참고 영상

  • 몬스터 시티 스테이지 출시 이후로 한참 동안 신규 스테이지가 출시되고 있지 않고 있다. 다만 이후에 뜬금없이 업데이트가 진행되는 등 서비스만 진행 중이고 신규 스테이지 추가만 중단된 상태로 있었지만...


6.1. 2022년 10월 28일 업데이트 재개 소식[편집]


2020년 몬스터 시티 이후 추가 컨텐츠 업데이트가 무기한 중단되었던 롤링 스카이가 2022년 10월 28일, 롤링 스카이 커뮤니티인 '롤링 라운지'[189] 디스코드와 빌리빌리에 한 롤링 스카이 제작자가 복귀한다는 글을 올렸다. #
글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먼저 롤링 스카이에 곧 몬스터 시티의 보너스 레벨[190]이 등장할 예정이며[191] 이후로도 업데이트가 계속된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 새로운 롤링 스카이 팀은 기존의 개발자도 있지만 대부분 새로운 개발자이기에 제작 경험이 없는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어 스테이지의 질을 점차 향상시킬 것이라고 한다. 다만 올해의 할로윈과 크리스마스 테마는 시기가 늦어 나오지 않는다고.

다시 말해, 롤링 스카이는 구글 플레이와 iOS에서 재출시를 할 것이라고 한다.[192]

이 소식을 접한 여러 유저들과 유튜버들은 대부분 반기는 분위기이다.

약 2개월 뒤인 12월 12일 38번째의 보너스 스테이지인 '고블린 타운'의 이름으로 사운드트랙이 공개되었다.

12월 12일, 마침내 고블린 타운이 출시되었다.[193] #

2023년 1월 21일 54레벨 사운드트랙이 공개되었다. #

현재 알렌워커가 단종되 돌아오고 싶은 사람들이 많은데, 그 미래에는 우리나라 팝송인 이무진윤종신이다. 신호등, 신호등 리믹스, 좋니, 좋니 리믹스, 등등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31 19:16:46에 나무위키 롤링 스카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게임 초창기(대략 행렬 출시 시절 정도까지) 메인화면이었지만 지금은 메인화면을 최신 출시한 스테이지 화면으로 계속 바꾸고 있어서 볼 수 없는 배경화면이다. 참고로 메인화면 BGM도 과거엔 1단계 산언덕 BGM이었으나 지금은 최신 스테이지 BGM으로 계속 바뀐다.[재출시예정] 2020년 3월에 서비스 중단을 하였지만 롤링스카이가 업데이트 소식을 알려서 구글플레이에 이름이 변경된 채로 재출시를 한다함[2] Steam 버전은 약간 다르다. 광고가 전혀 없고 현질 요소가 전혀 없다! 그렇기에 무한 볼이 무료다. 다만 1UP, 8비트, 캔디, 심우주 등등 콜라보 스테이지들이 없고 랜덤 박스 대신 왕관으로 표시되어 있다.[3] 팬메이드 스테이지는 미포함.[4] 95개의 스테이지가 출시되었으나 삭제된 스테이지가 1개(삼림, 현재는 미니 레벨로 옮겨짐.) + 전자음악 컬렉션(Ignite, Alone, Alone Remix, Faded, Faded Remix, Alone II, Spectre, Spectre Remix)있다.왜 하나빼고 다 Alan Walker의 곡인지는 묻지 말자.[5] 만약 앱을 지우지 않았으면 지우지 않는 이상 플레이 할 수 있다. 다만 구글 플레이에서 삭제되었기 때문에 결제를 할 수 없다.[6] 다만 순록의 예, 생일 파티같은 예외는 있다.[7] 캐릭터를 노멀로 했을 때의 공 색깔. 최근에 나온 다양한 캐릭터들은 배경에 따라 캐릭터 색이 변하지는 않는다.[8] 반투명 바닥이나 점프대 위에 놓여 있을 경우 난간 타기로도 피할 수 없다.[9] 예를 들어 첫 보석이 가운데였다면, 가운데→오른쪽→왼쪽이 3번 반복된 후 마지막 보석이 가운데.[10] 여기서 다시 예외가 있는데, 8비트(보너스 4스테이지)는 1성이지만 매우 어려운 난이도의 왕관이 있다.[11] 다만 소수의 예외, 즉 보석이 왕관보다 어려운 스테이지가 있기는 하다. Ignite동화, 미래 잠금해제, Alone II 등이 있다.[12] 무한 볼을 돈 주고 산 유저에겐 꽝이나 다름없다.[13] 획득하는 즉시 착용되며, 이미 방패를 착용한 상태에서 또 나올 경우 방패 1개를 지급한다. 볼에 비해 출현율이 낮은 편.[14] 그래서 낮은 확률로 한 랜덤박스 자리에 랜덤박스가 2개가 있을 수도 있다.[15] 9, 10번째 랜덤박스 루트[16] 예전에는 20개였다.[17] 아래로 떨어지거나 끝까지 다 깬다면 방패의 개수가 사라지진 않는다. 단, 새로 추가된 랜덤 박스로 얻은 경우의 방패는 떨어져도 추가되지 않는다. 방패를 껴놓은 뒤 방패를 먹어야 들어온다.[18] 근데 진짜로 사려고 하면 환율이 올랐는지 표기된 가격이 아니다. 모든 아이템이 다 그렇다.[19] 번역 오류로 추정된다.[20] 열쇠가 현질 목적이란 것은 엄연한 사실이라 치타모바일 측에서도 부정하기 어려울 것.[21] 최근 맵은 1성 맵을 제외하면 2~3성 맵도 열쇠 3개로 잠금해제해야 한다. 추가로 4주년 이벤트가 끝난 후 원래 열쇠 해금이 필요 없었던 전자 미궁이 열쇠 3개로 해금을 필요로 한다. 그나마 불행 중 다행으로 원래 영구 해금 조건이 열쇠 6개였던 이집트 맵이 열쇠 3개만 필요로 하게 되었다.[22] 일부 기종에 한하여 그냥 '획득' 버튼만 있을 수 있다.[23] 항상은 아니다. 즉 안 뜰 때도 있다.[24] 낙사했을 경우에는 그 가까운 자리에서 부활한다.[25] 참고로 추천 레벨을 10판 플레이하면 확률에 따라 1개가 나온다.[26] 이 경우 날개가 먼저 발동된 후 풍뎅이의 능력이 발동된다.[27] 풍뎅이는 30%확률이지만 이거는 광고만 보면 얻을 수 있기 때문.[28] 정확하게 4칸, 5칸, 4칸, 5칸 순서대로 점프를 한다.[29] 여담으로 풍뎅이나 날개로 앞 포털을 피한다음 출구 포탈에 들어가면 피격판정이 된다(!!!)[30] 엄밀히는 들어가면 공이 투명해졌다가 나올때 다시 불투명하다 지는 것이다. 다음 포탈로 순간이동하는거 절대 아니다[31] 참고로 이때는 가만히 있기 때문에 컨트롤하지 않아도 된다.[32] 그러나 산언덕과 과학을 참고하면 이론적으로 7칸까지 가능하다. 하지만 이곳엔 항상 장애물,그것도 세로 망치가 존재해서 방패랑 날개를 쓰지 않으면 접근이 불가능하다.[33] 일부 스킨(주로 최근에 나온 스킨이 많다)의 경우 빗금 테두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바닥 자체가 반투명하므로 여전히 구분 가능하다.[34] 공중으로 상승한 장애물, 아이템도 같이 떨어진다.[35] 크리스마스 스테이지 이후로는 점프대가 움직이기도 한다.[36] 몇몇 테마에선 차이가 없는 경우도 있다.[37] 즉석에서 건설되는 기분이다. 덕분에 멀미를 유발시킨다.[38] 정확히는 하강하는 바닥에 가깝다.[39] 만약 쉬운 곳에 있다면 보석이나 왕관 먹는 루트가 어렵다.[40] 이 때문인지 움직일 자리가 3번 라인일 경우에는 그냥 가만히 있는다.[41] 음률 파티에도 등장한다.[42] 이 느슨한 판정을 이용하여 고난이도의 '난간 타기'를 할 수도 있다. 안되는 곳도 있다.[43] 다만, 레이저 같은 일부 장애물은 아주 살짝만 닿아도 죽는 경우가 있다.[44] 사람에 따라 0단계(클라우드)로 부르기도 한다.[45] 천공의 성 스테이지 이후에 나온 세로 구조물의 경우 땅에 박혀서 낮아지는 것이 있다.[46] 예시로 4,6단계가 있다.[47] 묠니르 또는 몽둥이라고도 불린다.[48] 그런데 아이폰 또는 아이패드일 경우에는 과학, 네온, 대즐 스테이지에서어 레이저 빔을 쐈을 때 특별한 이펙트가 발생한다.[49] 그런데 과학 스테이지의 16%와 19%에는 닿아도 피격 판정이 되지 않는 레이저 빔 발사대가 있다! 다만 최근 어떤 유저가 이 버그의 원인을 파악했다. 발판식, 이동식 발판 위에 있는 발사대에서 레이저가 발사되려고 할 때 발사대 바로 밑의 바닥이 움직이게 되면 발사대와 이펙트는 움직이는데 피격 판정 범위는 바뀌지 않고 남게 되어 정작 발사된 곳은 닿아도 죽지 않고 오히려 엉뚱한 곳에 닿으면 사망하는 기이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천공의 성 스테이지의 11%부분이 있다. 물론 빠른 시일 내에 고쳐질 것 같다.[50] 화산 스테이지에서도 7% 빔에서 죽지 않는 버그가 발견되었다.[51] 화면 흔들림을 이용하여 플레이에 지장을 주는 화산 스테이지의 경우가 대표적.[52] 단, 신호기와 부딪히면 피격 판정을 받는다. 범퍼와 비슷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53] 1단계 40%쯤에 나온다.[54] 여담으로 옛 산림 스테이지에서 배경이 화산 스테이지로 바뀌지 직전 레이저가 발사되지 직전에 낙사하거나 공이 깨지면 드래곤이 노랗게 보이는 경우가 있었다.[55] 당연히 버그겠지만, 가끔 이펙트가 안 나올 때가 있다.[56] 근처에 가면 송전탑 특유의 전자음을 들을 수 있다.[57] 대신 통과할수 있다.[58] 팁으로, 이 막대가 점프대 바로 위에 있을 때 상승한다면 부딪히지 않고 지나가지만, 떨어진다면 죽는다.[59] 눈사람 모양[60] 기계 모양.[61] x자는 눈에 달려있다.[62] 둘이 높이 차이가 난다.[63] 검정색이 가장 밖에 있고 주황색이 가장 안에 있다.[64] 왼쪽에 하나, 오른쪽에 하나씩 배치된다.[65] 아쉅게 실제로 음을을 조절하지는 못한다.[66] 다만 처음에 비어있는 곳은 무조건 장애물이 배치된다.[67] $를 달고 있는 돼지는 고정 장애물이다.[68] 연등이라고 하기에 애매한게 빛이 나지 않는다.[69] 용이 내뿜는 것에도 피격 판정이 있다.[70] 다만 소리는 나지 않는다.[71] 공이 접근하면 조금 앞으로 온다.[72] 남자이다.[73] 여자이다.[74] Rolling Sky의 줄임말.[75] 펴지면 1층으로 된다.[76] 원래 보석이 보이다가 공이 접근하면 상자 안으로 들어간다.[77] 밑에 ㅁ가 반대쪽으로 있는 것도 있다.[78] 랜덤은 아니고 항상 일정하다.[79] 하트 모양의 장애물 역시 피격 판정이 있다.[80] 예외로 38% 구간에는 1개만 나온 다.[81] 이 3회라는 게 볼과 동일한 소모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게임오버되지만 않으면 소모되지 않는다.[82] 볼이나 방패, 주황색 퍼즐 조각 중에 하나를 랜덤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매일 5번 돌릴 수 있는데 매일 1번은 그냥 돌릴 수 있었고, 이후 4번은 광고를 봐야 했었다.[83] 심우주 맵에서 이 캐릭터를 쓴다면 빡센 와리가리 패턴 덕분에 메시 뺨치는 드리블러가 된다.[84] 형태는 미라 같이 생겼다.[85] RS-001, 개구쟁이, 초음속 등과 마찬가지로 플레이 전에 왕관 효과음과 날개가 펼쳐지는 이펙트가 나오는 것을 보고 플로팅 모드 발동 여부를 알 수 있다.[86] 때문에 게임 내에서 버그를 찾을 때 찾기 제일 쉬운 캐릭터이기도 하다..[87] 몇몇 유저들은 관상용 캐릭터 라고 부르기도 한다....[88] 소모형 아이템인 볼과 유사한 기능을 한다. 즉 죽으면 하나씩 잃는다.[89] 호박 출시 전에는 가장 높았다.[90] 가끔보면 300조각주고 더 모아서 호박도 사는 사람들이 있다.[91] 즉, 확정이라는 이야기다.[92] 월드컵 등[93] 전자미궁,천공의 성 등[94] 살짝 조심스레 좀 느리게 스크롤 하면 지나갈 수 있다.[95] 특히 보석 루트에 많이 나온다.[96] 이것과 코너링이 함께 배치되기도 하는데 그 예가 음식의 유혹 2왕관이다.[97] 30~40%대 일렉트로닉 파트에서 등장[98] 월드컵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패턴이며, 큐브, 네온 등에서도 꽤 나오는 패턴이다. 특히 큐브 같은 경우는 보석, 랜덤박스 난이도의 주범이 바로 이 패턴.[99] 예를 들어, 2번째 줄과 3번째 줄에 대각선 와리가리가 설치되어 있다면 2번째 줄과 3번째 줄 사이 중간에서 난간타기를 한다.[100] 88% 부근에 등장.[101] 미래 잠금해제 스테이지의 5번째 보석 루트에서도 등장한다.[102] 대각선 줄타기는 둔해도 통과만 하면 되는데 이녀석은 둔하게 움직이면 피격 판정되고 예리하고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103] 69%[104] 디지털 매트릭스의 2번째 왕관.[105] 다이내믹 큐브 전에는 레게였다.[106] 배경음악을 끄고 효과음만 켜면 효과음만 들을 수 있다.[107] 복구에 실패할 수도 있다...[108] 예전에는 '진도 복구'로 되어있다가 2019년 5월 중순 해전 업데이트부터 '진척 복구'로 바뀌었다.[109] 보통이나 낮음으로 하면 보석에 줄무늬가 생겨 화려하게 빛나는 느낌이 사라진다.[110] 이는 인터넷 접속 여부와 무관한 사항이기 때문에 와이파이가 없어도 렉이 걸린다.[111] 사실 랭킹 논란때문에 삭제가 되었을 수도 있다. 정확한 이유는 불명.[112] 다음 단계의 구성을 대충 보여주는 정도. 장애물 배경등이 표시되었다. 그러다가 스켈레톤 파티 업데이트부터 이 상단에 ? 표시만 떴다.[113] 1성은 '60%의 유저들만 이 레벨을 클리어할수 있습니다!'라고 한다. 2~6성까지는 위의 글자 중 퍼센티지만 다르고 나머지 글자는 다 똑같다. 2성은 30%, 3성은 20%, 4성은 5%, 5성은 1%, 6성은 0.1%.난이도가 너무 주관적이다[114] 더빨리, 골드 크리스마스 이벤트에서는 이게 가장 중요해졌다.[115] 예전에는 걍 떨어지면 바로 죽었다.[116] 닉네임은 SHAvibe. 롤링 스카이 스트리머의 투탑 중 한 명이다. 나머지 한 명은 tuan nguyen. 롤링 스카이에 신규 스테이지가 출시될 때 제일 먼저 퍼펙트 클리어 영상을 올리는 유튜버들이다.[117] 그림자 무사, 몬스터 시티, 고블린 마을이 빠져 있다.[118] Ignite, 기존의 삼림은 완전히 삭제되어 현재는 Alone 2 버전 이전으로 돌리는 것밖에는 플레이가 불가능하다.그래서 SHavibe는 이것들을 다시 플레이할 수 없기 때문에 영상에서 뺀 것으로 추정된다.[119] 이미 해금할 경우 삭제 되어도 계속 플레이 할수있다. 다만 Ignite 같은 경우만 다르다. 현질 맵이 아닌 열쇠로 잠금해제 하는 맵이기 때문에 해금해도 Alone II 버전으로 바꾸면 플레이 못한다.[120] 여기서 심우주, 고스트 댄스, 전자음악 특집(ignite 제외),미니레벨 1을 편집해 재리믹스를 하던가 피치를 올리던가 배속을 했다.[121] 팬메이드 스테이지는 미포함.[미배정] A B C D E 출시 직후 난이도 표시가 없었지만 마이크로칩 업데이트 이후 별이 생겼다. 하지만 난이도 오름차순 리스트에는 포함되지 않았다[컬렉션] A B C D E F G H I J K L M N 컬렉션이 없던 시절까진 난이도 순서 배정이 되어 있었지만 컬렉션 생성으로 스테이지가 분리되면서 현재는 난이도 오름차순 리스트에서 빠진 상태[컬렉션_미배정] A B C D E F G H I J 출시 직후 바로 컬렉션으로 들어갔다. 따라서 별 개수만 표시되어 있고 난이도 오름차순 리스트에 포함된 적이 없었다.[122] 예전에는 1성이었는데 업데이트로 2성으로 상향조정 되었다.[삭제됨2] A B 환상의 음파 업데이트 이후로 삭제되어 플레이 할 수 없는 상태. 이유는 게임사에서 밝히지 않았다.[삭제됨1] 리메이크되는 동시에 '미니 레벨 3'으로 옮겨졌다. 리메이크 전 스테이지는 더 이상 플레이할 수 없게 되었다.[삭제됨3] A B 케플러의 꿈 업데이트로 삭제되어 플레이 할 수 없는 상태. 이유는 게임사에서 밝히지 않았다.[삭제됨] Alone II 업데이트 이후로 삭제되어 플레이 할 수 없는 상태. 이유는 게임사에서 밝히지 않았다.[삭제됨4] A B C 해양 업데이트 이후로 삭제되어 플레이 할 수 없는 상태. 이유는 게임사에서 밝히지 않았다.[123] 롤링 스카이 디스코드에 난이도 사진을 올렸는데, 그것을 참고한다.[124] 마지막 랜덤박스는 스위치 서핑을 해야한다.[125] 모든 보석이 고속꺾기를 해야한다.[126] 루트 생성 점프대를 타고 스위치 서핑과 대각선 줄타기를 해야 한다. 사실 크게 어렵지 않지만 1성치고 매우 어렵다.[127] 순간이동 포탈을 타고 다른 곳에 가서 보석을 먹어야 하는데 그게 은근히 까다롭고,위로 올라가서 코너링까지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128] 다른 건 조금만 노력하면 되지만 2번째 왕관 난이도가 웬만한 5성 스테이지 왕관 난이도이다.[129] 이른바 코너링의 무한반복이다.[130] 3번째 왕관이 2성답지않게 대각선 줄타기를 해야한다.[131] 셔플 보석때문에 의외로 까다롭다.[132] 74%의 랜덤박스가 상상을 초월하는 난이도다.[133] 3개의 왕관다 빡빡한 코너링을 해야한다.[134] 3번째 왕관이 대각선 줄타기를 해야하는데 이게 거의 5성급이다.[135] 답이 없는 걸로 유명하다. 4주년과 함께 퍼펙클로 가장 어렵다.[136] 세 번째 왕관이 롤링 스카이 최악의 왕관이라는 이야기를 들을 정도로 악명높다. 환상의 음파와 함께 퍼펙클로 2번째로 어렵다[137] 보석, 왕관이 까다로운 패턴들을 포함하고 있다.[138] 3번째 왕관이 트럼프 3번째 왕관 다음으로 상상을 초월하는 난이도를 자랑한다.[139] 보석과 왕관이 타이밍이 까다롭다.[140] 해적선과 마찬가지로 타이밍이 까다롭다.[141] 3번째 왕관이 5성 상위급의 컨트롤을 요구한다.[142] 왕관이 스위치 서핑을 포함하고 있고, 보석중에 초고속 꺾기 패턴인 49%보석은 해적의 68% 보석과 비슷할정도로 어렵다.[143] 1번째 왕관이 가히 상상을 초월하는 난이도를 자랑한다.[144] 몇 개의 그냥 주는 보석을 제외하면 죄다 스위치 서핑을 해야한다. 1번째 왕관은 네온의 트럼프의 3번째 왕관과 맞먹는다.[145] 이 스테이지도 상위 스테이지인 환상의 음파처럼 보석, 왕관 난이도가 지옥에 가깝다.[146] 랜덤박스 루트가 대부분 극악이다. 특히 마지막에 좌우반전상태에서 먹어야 하는 랜덤박스는 상상을 초월하는 난이도를 자랑한다.[147] 모든 보석과 왕관이 심각하게 어렵다. 특히 2, 3번째 왕관은 빡빡한 코너링 + 대각선 줄타기를 해야한다.[148] 대다수의 보석과, 1, 2번째 왕관이 매우 어렵다. 특히 10번째 보석과 2번째 왕관이 어렵다.[149] 2, 3번째 왕관이 5성 중상위급 컨트롤을 요구한다.[150] 모든 랜덤박스가 길찾기를 해야하고, 3번째, 8번째 랜덤박스는 공중가시 + 초고속꺾기를 해야하는데, 8번째 랜덤박스는 초고속꺾기를 더 빨리 해야한다.[151] 보석이 왕관보다 어렵다. 왕관도 못지않게 어렵다.[152] 보석, 랜덤박스 난이도가 상상을 초월한다. 특히 스위치서핑을 해야 먹을 수 있는 보석은 웬만한 왕관 수준이다[153] 보석 난이도가 큐브 수준으로 어렵다.[154] 20%보석 때문에 6성으로 보는 의견도 있을 정도. 나머지 왕관과 보석도 만만찮게 어렵다.[155] 좌우반전 구간에서 먹어야하는 보석과 왕관이 있다.[156] 40%대에 어려운 보석이 딱 하나 있었는데 Alone II 업데이트 후 그마저도 사라졌다.[157] Alone, Alone Remix, Faded는 안드로이드에서도 가능하다. 기존 버전을 다운로드 하고, 분홍색 퍼즐 조각로 해금한뒤, apk 파일로 다시 현재 버전으로 되돌리면 된다.[158] 배경음악을 끄면 시디가 틀어지지 않게 버그가 수정되었음.[?] 그런데 레이저에 반 정도 넘으면 죽는다. 충돌 판정이 잘린 것으로 추정.[159] 정확히 말하자면 레이져가 이동하는 애니메이션은 작동되는데 트리거가 함께 움직이지 않아 죽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레이져가 움직이기 전 위치로 가면 죽는다... 이것 때문에 천공의 성 12%에서 어이 없게 죽을 수 있으니 주의하자.[160] 화산 7, 8%, 조커 76% 레이저는 원격식 이동 발판 위에 있는 것도 아닌데 이 버그가 있다.[161] 사라진 단계[162] Alone, Alone Remix는 환상의 음파 업뎃 이후, Faded Remix는 케플러의 꿈 업뎃 이후[163] 이 다음에 나온 레벨이 바로 최초의 6성 맵 생일 축하이다.[164] 결국 세계 랭킹이 이러한 문제 때문인지 삭제 되었다.[165] 삼성 중에서도 보급형 기종들은 업데이트가 느리다 다만 핸드폰 차이가 심할때는 최대 2주가 넘게 차이나는 경우도 있다.[166] 자세히는 왼쪽,오른쪽,가운데 순으로 바뀐다.[167] 이 게임이 출시된 16년 1월부터 16년 하반기까지를 보통 초반기라 하나, 17년 하트나 캐릭터를 도입하기 전까지를 초창기라 부르기도 하는 편.[168] 처음에는 5단계까지밖에 없었다.[169] 그래도 이 때까지만 해도 과금을 하는 플레이어는 드물었다. 스테이지 클리어 할 때마다 보상으로 주어지는 열쇠는 광고를 보고 열쇠를 2배를 받을 수 있는데, 이렇게 꼭꼭 모으면 모든 스테이지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었기 때문. 심지어 현재 나온 것까지 모두 포함하면 이렇게 모아 모든 걸 깬 후 남는 열쇠는 무려 36개다.[170] 그래도 이때까지만 해도 현질 없이 '조각'이라는 것을 75~150개 이상 모아서 사용하면 현질이 가능했기에 현질을 하는 유저는 드물었다.[171] 그래도 최소한의 양심은 있는지 기존에 분홍색 퍼즐 조각으로 해금했던 유저들에 한해서는 여전히 무료로 플레이할 수 있고, 덤으로 강제 방패 착용 및 강제 하트 무제한까지 된다. 이 내용에 관해서는 4.2문단 '컬렉션' 내용도 같이 참조하기를.[172] 대체로 2성 이상의 모든 크리스마스/할로윈 기념 스테이지들이 해당된다.[173] 열쇠는 스테이지 클리어 시 광고를 보면 2개 얻을 수 있지만, 파란 보석은 현질 아니면 전혀 구매할 수 없다.[174] 하지만 보석없이 해금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광고를 보고 들어가서 그 맵을 클리어하면 해금된다![175] 물론 4주년은 출시 당시부터 유료였긴 했지만 이벤트를 통해 플레이할수 있었는데, 이벤트로 클리어해도 일반적으로 플레이하려면 현질을 해야 하는건 똑같았다. 이걸로 롤스를 접는 유저들도 생긴 편.[176] 이로 인해 2018년부터는 일반 롤링스카이 플레이어보다 더 빨리 클리어 영상을 올릴수 있게 되었다. 게다가 흔히 롤링스카이 3형제라 불리는 Tuan Nguyen, Funny Sausage TV, SHAvibe가 각 스테이지의 클리어 영상을 올리는 날이 똑같은 현상이 발견되었는데 알고보니 치타가 해당 유튜버들에게 맵의 공략, 패턴 등을 미리 알려주고 똑같은 날짜에 올리기로 합의한 것이었다.[177] 그리고 2020년 이후로 롤링스카이가 사실상 섭종되자 이전에 롤스를 플레이하던 유튜버들은 롤스 팬메이드 스테이지를 직접 만들거나 다른 유튜버가 만든 팬메이드 스테이지를 플레이하는 영상, 배경이나 음악을 직접 리믹스하거나 다른 사람의 리믹스 버전을 플레이하는 영상, Rhythm join 같은 롤스와 비슷한 게임 영상을 올리는 경우가 늘어났다. 뭐 사실 이런 롤스 팬메이드, 리메이크, 리믹스 관련 영상은 2018년부터 해외에서 꾸준히 올라오기는 했지만.[178] 아이러니하게도 이 신기믹을 보석/왕관 루트에 기똥차게 활용한 맵이 바로 설날이다.[179] 1UP에서 같이 등장했던 파괴부스터랑 트럼프의 점프부스터는 조금 쓰이다 말았고, 그 외에는 대부분 1회용으로 사용되었다.[180] 화면이 90도 기울에질때는 조작할 필요도 없고, 난이도도 어려워지지 않으므로 분량만 잡아먹는 기믹이다(...)심지어 이 기믹은 스테이지에서 두번 쓰이고 안쓰였다맵만들기 귀찮아서 분량 잡아먹는 기믹 만든거 아닐까[181] 공중나무는 순록의 예에서 다시한번 나왔다.[182] 이 문서의 6.1 문단 참조.[183] 불법판들은 스테이지도 별로 없고 재미도 없어서 진짜 롤링스카이를 찾는 유저들에게 별 1개와 함께 욕을 먹는 평가가 있다.[184] 하지만 최근 롤링스카이가 다시 업데이트를 한다하며 구글플레이에 이름이 변경된채로 재출시를 한다고 한다[185] 단종이유 알렌워커 저작권상으로 인해 단종됨.[186] 타락한 천공의 성 스킨,길거리 농구 스킨 및 청록색 길거리 농구 스킨,다이아 빛 음파 스킨과 에메랄드 빛 음파 스킨은 아니다.그리고 캔디는 캔디부분에는 줄무늬가 있는데 일렉트로닉 캔디 부분은 없다.[187] 이러한 이유로 현재는 유튜브 활동을 하지 않는다.[188] 대한민국에서는 플레이가 불가능 하다. 계정을 다른 나라 것으로 바꿔야지만 플레이가 가능하다.[189] Rolling Lounge[190] 보너스 레벨 38[191] 원래는 파일이 있었지만 어떠한 이유로 삭제되어 처음부터 만든다고 한다.[192]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선 이름을 Rising win Tech 로 변경해서 출시한다. 만약 그대로 쓰면 다시 구글에게 제재를 당하기 때문. 게임 자체는 원본과 같다.[193] 하지만 아직은 iOS 사용자만 플레이 가능하며 안드로이드는 조만간 출시를 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