룩셈부르크/경제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룩셈부르크

서유럽의 경제
[[영국/경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프랑스/경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모나코/경제|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아일랜드/경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벨기에/경제|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네덜란드/경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룩셈부르크/경제|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관련 문서

<^|1><height=34><color=#fff><bgcolor=#00a1de,#1f2023>
[ 펼치기 · 접기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Kirchberg_Luxembourg.jpg

룩셈부르크의 경제 정보[1]
인구
626,108 명
2019년, 세계163위
경제 규모(명목 GDP)
694억 달러
2019년
경제 규모(PPP)
658억 달러
2020년
1인당 명목 GDP
115,045 달러
2022년, 세계 1위[2]
1인당 PPP
140,694 달러
2022년, 세계 1위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
22.1%
2019년
고용률
64.6%
2011년, OECD 18위[3]

1. 개요
2. 상세
3. 산업구조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독립 후에도 지리적 이점을 기막히게 활용, 금융업으로 대박을 쳐서 현재는 세계에서 가장 소득이 높은 나라가 되었다. 실제로 룩셈부르크의 1인당 GDP는 2023년 IMF 통계 기준으로 무려 132,372달러나 되는, 명실상부 세계 1위 수준이며,[4][5] 경제 규모도 나라 규모에 비해 굉장히 크다.


2. 상세[편집]


룩셈부르크는 유럽에서 알아주는 철강 산업국으로, 예로부터 순도 25%의 고품질 철광석을 이용한 조강 생산량에서 1위였다. 1938년 한 해에만 143만 톤을 생산했는데, 같은 시기 폴란드의 연간생산량과 맞먹는 수준이었다. 또다른 국가들과 비교하자면 체코슬로바키아가 180만톤을, 벨기에가 200만톤을, 프랑스가 600만톤을 생산했다. 룩셈부르크는 이들과 체급 차이가 수~수십 배는 남에도 불구하고 대등하거나 밀리지 않았다.#

오늘날에도 여러 차례 합병을 거치며 지금도 세계 철강업계의 1위를 유지하고 있는 아르셀로미탈(Arcelor Mittal)의 본사가 바로 룩셈부르크에 있다. 철광석 고갈과 아시아 국가들과의 경쟁으로 룩셈부르크 내 생산력은 줄어들었지만, 아르셀로미탈은 국제화와 세계 각국으로의 진출을 통해 그 위상을 지키고 있다. 다만 2020년대 들어 공격적으로 팽창하는 중국바오우강철집단에 1위 자리를 내주었다.

서방 세계를 석권한 수동식 계산기인 커타(Curta)를 생산하던 곳이기도 하다. 금융강국답게 우표동전[6]을 예쁘게 만드는 것으로도 정평이 나 있다.

유럽연합 창설 이후로는 다국적기업들에게 유리한 세법으로 인해 조세피난처로 주목을 받고 있다. 예를 들자면 룩셈부르크는 지적재산권에서 발생하는 모든 소득에 대해 소득세를 80% 면제하는데, 이 때문에 많은 다국적기업들이 지적재산권을 룩셈부르크 소재 자회사로 옮기는 방식을 택하고는 한다. 금융위기 이후 이와 같은 조세문제가 불거지면서 OECD 등에서 눈총을 받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상당한 변화의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2010년대에는 지구 바깥의 소행성에서 광물자원을 채굴하는 '우주광산(space mining)' 프로젝트를 정부차원에서 추진 중이다. 2016년 기준으로 미국의 민간기업인 '딥 스페이스 인더스트리스(DSI=Deep Space Industries)'에 투자와 융자를 합쳐 2,800만 달러를 쏟아부으며 손잡고 개발 중이다. 지구와 화성 사이에 있는 12,000개의 소행성군이 채굴 후보군이다. 의외로 룩셈부르크는 글로벌 1위 인공위성 운영 회사인 ‘SES’를 포함, 수십개의 우주산업과 관련있는 분야 기업들이 꾸준히 수익을 내고 있다. 금융업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우주산업을 통해 분산시켜 미래를 준비하려는 정부차원에서의 체계적인 산업 육성이라고 할 수 있다.


3. 산업구조[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13px-Luxembourg_treemap.png
2012년 룩셈부르크의 경제구조, 파란색은 제조업, 보라색은 화학-플라스틱 관련 산업, 붉은색은 건설재료-장비 관련 산업, 녹색은 의류, 노랑색은 농업, 회색은 기타 미분류, 살구색은 알루미늄, 갈색은 식품 관련 산업이다.[7]


4.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4:19:43에 나무위키 룩셈부르크/경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https://en.wikipedia.org/wiki/Economy_of_Luxembourg[2] 모나코, 리히텐슈타인, 마카오 등을 제외한 기준. 이 국가들을 포함한 UN 기준으론 3위이다.[3] http://stats.oecd.org/Index.aspx?QueryId=38900#[4] 1인당 GDP가 10만 달러 이상인 나라는 룩셈부르크를 제외하면 아일랜드, 노르웨이 2개국밖에 없으며, 9만 달러를 넘는 나라의 총합도 스위스, 싱가포르까지 합해 겨우 5개국에 불과하다.[5] 참고로 룩셈부르크와 완벽하 정반대 포지션의 국가는 부룬디인데, 이쪽은 동일 통계 기준으로 1인당 GDP가 겨우 249달러에 불과한 극빈국 중의 극빈국이다.[6] 일부 2유로 주화의 경우 다른 국가 발행분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홀로그램을 만나볼 수 있다.[7] http://en.wikipedia.org/wiki/Luxembourg#Ec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