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블 스튜디오 스파이더맨 시리즈/사운드트랙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마블 스튜디오 스파이더맨 시리즈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사운드트랙





1. 개요[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마블 스튜디오 스파이더맨 시리즈의 사운드트랙을 정리한 문서.
스파이더맨: 홈커밍 전체 듣기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전체 듣기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전체 듣기


2. 스파이더맨: 홈커밍[편집]


Spider-Man: Homecoming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파일:Spiderman OST 1.jpg
트랙 제목아티스트 재생시간 듣기 비고
1Theme (from "Spider-Man")
[Original Television Series]
마이클 지아키노0:41파일:유튜브 아이콘.svg[1]
2The World is Changing4:11파일:유튜브 아이콘.svg[2]
3Academic Decommitment1:58파일:유튜브 아이콘.svg[3]
4High Tech Heist1:27파일:유튜브 아이콘.svg[4]
5On a Ned-To-Know Basis1:46파일:유튜브 아이콘.svg[5]
6Drag Racing / An Old Van Rundown4:07파일:유튜브 아이콘.svg[6]
7Webbed Surveillance4:41파일:유튜브 아이콘.svg[7]
8No Vault of His Own2:28파일:유튜브 아이콘.svg[8]
9Monumental Meltdown5:24파일:유튜브 아이콘.svg[9]
10The Baby Monitor Protocol1:39파일:유튜브 아이콘.svg[10]
11A Boatload of Trouble Part 13:10파일:유튜브 아이콘.svg[11]
12A Boatload of Trouble Part 22:17파일:유튜브 아이콘.svg[12]
13Ferry Dust Up2:52파일:유튜브 아이콘.svg[13]
14Stark Raving Mad1:55파일:유튜브 아이콘.svg[14]
15Pop Vulture3:06파일:유튜브 아이콘.svg[15]
16Bussed a Move1:44파일:유튜브 아이콘.svg[16]
17Lift Off5:26파일:유튜브 아이콘.svg[17][18]
18Fly-By-Night Operation2:24파일:유튜브 아이콘.svg[19]
19Vulture Clash4:08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
20A Stark Contrast4:42파일:유튜브 아이콘.svg[21]
21No Frills Proto COOL!0:35파일:유튜브 아이콘.svg[22]
22Spider-Man: Homecoming Suite6:14파일:유튜브 아이콘.svgTITLE

엔딩 크레딧에서 사용된 음악은 라몬즈의 첫번째 앨범에 수록된 곡 Blitzkrieg Bop이다. 듣기


3.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편집]


Spider-Man:: Far From Home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파일:Spiderman OST 2.jpg
트랙 제목아티스트 재생시간 듣기 비고
1Far From Home Suite Home마이클 지아키노8:28파일:유튜브 아이콘.svgCREDIT
2It's Perfect0:31파일:유튜브 아이콘.svg[23]
3World's Worst Water Feature7:32파일:유튜브 아이콘.svg[24]
4Multiple Realities3:33파일:유튜브 아이콘.svg[25]
5Brad to the Drone3:33파일:유튜브 아이콘.svg[26]
6Change of Plans2:29파일:유튜브 아이콘.svg[27]
7Night Monkey Knows How to Do It0:20파일:유튜브 아이콘.svg[28]
8Mr. One Hundred and One3:21파일:유튜브 아이콘.svg[29]
9Prague Rocked3:44파일:유튜브 아이콘.svg[30]
10Who's Behind Those Foster Grants2:58파일:유튜브 아이콘.svg[31]
11Power to the People3:34파일:유튜브 아이콘.svg[32]
12Personal Hijinks3;54파일:유튜브 아이콘.svg[33]
13Praguenosis: BAD1:09파일:유튜브 아이콘.svg[34]
14A Lot of 'Splaining to Do2:15파일:유튜브 아이콘.svg[35]
15The Magical Mysterio Tour3:22파일:유튜브 아이콘.svg[36]
16Taking the Gullible Express / Spidey Sensitive5:08파일:유튜브 아이콘.svg[37]
17Gloom and Doom4:17파일:유튜브 아이콘.svg[38]
18High and Flighty2:22파일:유튜브 아이콘.svg[39]
19An Internal Battle1:51파일:유튜브 아이콘.svg[40]
20Happy Landings2:59파일:유튜브 아이콘.svg[41]
21Tower of Cower5:13파일:유튜브 아이콘.svg[42]
22Bridging the Trap1:59파일:유튜브 아이콘.svg[43]
23Bridge and Love's Burning2:51파일:유튜브 아이콘.svg[44]
24Swinging Set1:48파일:유튜브 아이콘.svg[45]
25And Now This...0:59파일:유튜브 아이콘.svg[46]

이 외에도 토니가 아이언맨에서 첫 등장할때 나온 AC/DCBack in Black이 중간에 피터가 수트를 만들면서 나온다.
엔딩 크레딧 삽입곡: The Go-Go's의 Vacation 듣기


4.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편집]


Spider-Man: No Way Home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파일:michael giacchino spider man no way home album.jpg
트랙 제목아티스트 재생시간 듣기 비고
1Intro to Fake News마이클 지아키노1:12파일:유튜브 아이콘.svg[47]
2World’s Worst Friendly Neighbor0:53파일:유튜브 아이콘.svg[48]
3Damage Control2:18파일:유튜브 아이콘.svg[49]
4Being a Spider Bites1:06파일:유튜브 아이콘.svg[50]
5Gone in a Flash1:53파일:유튜브 아이콘.svg[51]
6All Spell Breaks Loose3:26파일:유튜브 아이콘.svg[52]
7Otto Trouble4:20파일:유튜브 아이콘.svg[53]
8Ghost Fighter in the Sky / Beach Blanket Bro Down2:48파일:유튜브 아이콘.svg[54]
9Strange Bedfellows1:46파일:유튜브 아이콘.svg[55]
10Sling vs Bling5:01파일:유튜브 아이콘.svg[56]
11Octo Gone3:35파일:유튜브 아이콘.svg[57]
12No Good Deed5:01파일:유튜브 아이콘.svg[58]
13Exit Through the Lobby4:16파일:유튜브 아이콘.svg[59]
14A Doom with a View2:01파일:유튜브 아이콘.svg[60]
15Spider Baiting1:3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Liberty Parlance1:29파일:유튜브 아이콘.svg[61]
17Monster Smash1:22파일:유튜브 아이콘.svg[62]
18Arc Reactor2:58파일:유튜브 아이콘.svg[63]
19Shield of Pain4:52파일:유튜브 아이콘.svg[64]
20Goblin His Inner Demons3:55파일:유튜브 아이콘.svg[65]
21Forget Me Knots6:50파일:유튜브 아이콘.svg[66]
22Peter Parker Picked a Perilously Precarious Profession1:32파일:유튜브 아이콘.svg[67]
23Arachnoverture10:07파일:유튜브 아이콘.svgCREDIT

오프닝에 쓰인 음악은 미국의 포스트 펑크 밴드 토킹 헤즈의 3집 수록곡 I Zimbra이며, 엔딩 크레딧에 사용된 음악은 힙합 그룹 데 라 소울The Magic Number이다.


5. 스파이더맨 4[편집]



[1] 마블 인트로에서 기본 음악 대신에 나온다. 그 유명한 '스파이더맨~ 스파이더맨~' 멜로디가 나오는 1960~70년대 스파이더맨 만화 주제곡이다.[2] 2012년 뉴욕에서 현장 철거를 맡은 에이드리언 툼즈가 데미지 컨트롤에 의해 실업할 때 나오는 음악.[3] 학교에서의 피터 파커의 모습을 보여줄 때.[4] 벌쳐 일당의 은행 강도와 스파이더맨의 싸움.[5] 피터 파커 스파이더맨에게 계속 질문하는 네드.[6] 벌쳐와 만나는 스파이더맨.[7] 벌쳐 일당을 추격하는 스파이더맨.[8] 데미지 컨트롤 창고에 갇힌 스파이더맨.[9] 치타우리 물질으로 파손된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친구들을 구하는 스파이더맨.[10] 벌쳐 일당을 다시 추적하는 스파이더맨.[11] 벌쳐 일당의 위치를 찾아낸 스파이더맨.[12] 벌쳐 일당과 스파이더맨의 싸움.[13] 파괴된 배의 침몰을 막은 아이언맨.[14] 스파이더맨을 꾸짖는 아이언맨.[15] 스파이더맨의 정체를 알아낸 에이드리언 툼스 / 벌쳐.[16] 홈커밍 파티 때 벌처를 막기 위해 뛰쳐나온 스파이더맨, 그리고 그를 공격하는 쇼커.[17] 벌쳐에 의해 돌더미에 깔린 스파이더맨.[18] 여담으로 이 장면은 원작 코믹스의 오마주이다.[19] 비행기에서의 벌쳐와 스파이더맨의 전투.[20] 벌쳐와 스파이더맨의 마지막 싸움.[21] 스타크의 어벤져스 합류 권유를 거절하는 스파이더맨.[22] 새 슈트를 받은 스파이더맨. 이후 이를 본 메이는 그를 보자마자 what the fu...(이런 시...)을 외치는 개그씬이 있다.[23] MJ에게 줄 선물을 사는 피터 파커. 블랙 달리아 목걸이이다.[24] 베니스 관광에서 하이드로맨에 의해 물난리가 일어나고, 미스테리오가 상황을 수습할 때.[25] 닉 퓨리와 미스테리오 퀜틴 벡, 스파이더맨 피터 파커의 공식적인 만남.[26] 실수로 친구 브래드를 드론으로 공격할 뻔 했을 때.[27] 피터와 쿠엔틴 벡의 대화.[28] 체코 프라하에서 나이트 몽키 슈트를 입고 대기하는 스파이더맨.[29] 체코 프라하 전투.[30] 미스테리오가 몰튼 맨에게 몸을 던져 폭발하고 살아남을 때.[31] 술집에서 대화하는 스파이더맨과 미스테리오, 그리고 밝혀지는 미스테리오의 정체.[32] 초능력이 없으면 인정받지 못하는 자신들의 삶을 한탄하면서 자신들의 성공을 축하하는 팀 미스테리오.[33] 스파이더맨의 정체를 알아내는 MJ.[34] 미스테리오의 정체를 알아낸 스파이더맨과 MJ.[35] 닉 퓨리에게 미스테리오의 정체를 알려주려는 스파이더맨, 하지만 그것도 미스테리오의 환영술임을 알았을 때.[36] 미스테리오와 스파이더맨의 전투. 마이클 지아키노는 닥터 스트레인지의 음악도 담당했는데, 닥터 스트레인지 OST의 A Long Strange Trip 이라는 곡을 오마주한 것으로 보인다.[37] 미스테리오에게 패배하고 네덜란드에 도착한 스파이더맨.[38] 영국 런던에서 사건을 일으키려는 팀 미스테리오.[39] 엘리멘탈스 융합체와 싸우는 척 하는 미스테리오.[40] CG로 조작된 엘리멘탈스 융합체 내부에 진입한 스파이더맨.[41] 런던에 도착한 해피[42] 드론들과 싸우는 스파이더맨.[43] 미스테리오와 싸워 이기는 스파이더맨.[44] 불타는 런던 다리 위에서 키스하는 스파이더맨과 MJ.[45] 뉴욕 건물들을 날아다니는 스파이더맨과 MJ[46] 쿠키 영상에서 팀 미스테리오가 스파이더맨을 살인범으로 매도하고, 이를 보도하는 데일리 뷰글의 J. 조나 제임슨과 까발려지는 스파이더맨의 정체.[47] 인트로 때 나오는 음악. 미스테리오가 파 프롬 홈의 쿠키 영상에서 외쳤던 대사가 나오며 긴장감을 더해준다.[48] 인트로 직후, 시민들을 피해 도망치는 MJ와 피터 파커.[49] 대미지 컨트롤에게 추궁받는 피터 파커. 1분 20초부터 미스테리오의 테마가 어레인지되어 나온다.[50] MJ와 전화하며 자신의 심정을 털어놓는 피터.[51] MIT 입학을 거절당한 피터와 친구들.[52] 피터에게 주문을 거는 닥터 스트레인지, 하지만 피터의 방해로 인해 폭주하는 주문.[53] 닥터 옥토퍼스와의 첫 만남과 전투. 스파이더맨 2에서의 닥터 옥토퍼스 테마가 어레인지되어 나온다.[54] 송전탑에서의 일렉트로, 샌드맨과의 만남과 전투.[55] 생텀의 지하 석실에 갇힌 채 대화하는 빌런들.[56] 주문을 들고 도망치는 피터와 그를 쫓는 닥터 스트레인지.[57] 새롭게 제작된 제어칩을 달고 정신이 돌아온 닥터 옥토퍼스.[58] 스파이더맨과 그린 고블린과의 전투.[59] 메이의 죽음과 그 이후에 비를 맞으며 전광판을 통해 데일리 뷰글의 속보를 보는 피터.[60] 3명의 스파이더맨이 처음으로 만나는 장면.[61] 세 명의 스파이더맨이 자유의 여신상에서 동시에 뛰어내리며 웹스윙 하고 빌런들과 격돌하는 이 영화 최고의 하이라이트 장면.[62] 여신상 전투 초반부.[63] 여신상 전투 중반부 일렉트로와의 전투.[64] 여신상 전투 후반부. 톰스파의 메인 테마는 물론 샘스파 테마와 어스파 테마, 그리고 닥터 스트레인지의 테마가 어레인지되어 들어있다.[65] 톰스파와 그린 고블린의 결말.[66] 자신의 존재를 세상에서 지우는 것을 선택하고 모두에게 작별인사를 한 뒤 떠나는 피터.[67] 영화의 엔딩 부분, 새로 거주하게 된 집에서 피터가 경찰의 무전을 듣고 새로 제작한 슈트를 입고 출동하는 장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사운드트랙 문서의 r41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사운드트랙 문서의 r4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21:41:20에 나무위키 마블 스튜디오 스파이더맨 시리즈/사운드트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