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길데이

덤프버전 :

}}} ||
[ 펼치기 · 접기 ]
제1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윌리엄 벤슨로버트 쿤츠에드워드 에벌찰스 휴즈윌리엄 프랫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윌리엄 스탠들리윌리엄 리히해럴드 스타크어니스트 킹체스터 니미츠
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제15대
루이스 덴펠드포레스트 셔먼윌리엄 페치텔러로버트 카니알레이 버크
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그레고리 앤더슨데이비드 맥도널드토머스 무어러엘모 줌왈트제임스 할로웨이 3세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제25대
토머스 헤이워드제임스 왓킨스칼라일 트로스트프랭크 켈소제러미 마이클 보더
제26대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제이 존슨버논 클라크마이크 멀린개리 러프헤드조너선 그리너트
제31대제32대제33대
존 리처드슨마이클 길데이리사 프란체티



제32대 미합중국 해군참모총장
마이클 마틴 길데이
Michael Martin Gilday
파일:Gilday.jpg
출생1962년 10월 10일 (61세)
미국 메사추세츠 주 로웰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학력미국해군사관학교 (학사)
복무미합중국 해군
복무 기간1985 ~ 2023
최종 계급미국 해군 대장 (Admiral of The U.S. Navy)
최종 보직해군참모총장
지휘합동참모본부장
함대사이버사령관
8항모전단장
7구축함전대장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미합중국 해군의 제독. 1962년 10월 10일 메사추세츠 주 로웰 출생. 1985년 미국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8항모전단장, 10함대사령관, 합동참모본부장[1]을 거친 후 대장으로 진급해 해군참모총장이 되었다.


2. 생애[편집]


미국해군사관학교를 졸업 후 임관하여 챈들러함(DDG-996), 프린스턴함(CG-59) 등 수상함에서 근무했고 히긴스함(DDG-76)벤폴드함(DDG-65)의 함장으로 근무했으며 7구축함전대를 지휘했다.

제독으로 진급 후에는 8항모전단과 10함대[2]를 지휘했다.

주요 참모 경력으로는 해군본부 인사참모부와 해군참모총장, 해군참모차장 참모진에서 근무했고 합동참모의장 수석부관과 대통령 해군 부관을 지냈다.

제독으로 진급 후에는 리스본 연합합동군 사령부 작전참모부장과 나토 해상타격지원군 참모장, 사이버사령부 작전참모부장,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을 지냈다.

2019년 합동참모본부장을 역임하던 중 해군참모총장 인선에서 직업 윤리 문제[3]로 인해 기존에 지명되었고 상원에서 승인된 해군참모차장 윌리엄 머랜 제독이 갑작스럽게 퇴역을 선택하게 되면서 해군참모총장으로 지명되었다. 취임하게 되면 포레스트 셔먼[4]엘모 줌왈트에 이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역대 세 번째로 중장에서 진급 후 곧바로 해군참모총장에 취임하는 사례가 된다.[5] 2019년 8월 존 리처드슨의 뒤를 이어 32대 해군참모총장에 취임하였으며 2023년 8월 38년의 군생활을 마치고 전역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0:34:50에 나무위키 마이클 길데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합참 내에서는 합참의장, 합참차장 다음의 No.3 포지션으로 각 본부장들을 조율하는 참모장 역할을 한다. 미군 중장 보직 중 최고의 요직으로 대장(진)이라고 생각하면 되며, 1947년 이후 재임한 47명의 본부장 중 37명이 대장 진급에 성공했다. 심지어 2000년대 이후 재임한 16명의 본부장 중 대장 진급에 실패한 본부장은 단 두 명 뿐이다.[2] 사이버사령부의 해군 구성군 사령부로서 함대사이버사령부를 겸한다.[3] 해군참모총장에 지명되었던 당시 해군참모차장 윌리엄 머랜이 군 내 성추행 사건으로 전역한 전 해군참모총장 공보관 크리스 세르벨로와 지속적인 업무적 교류를 해왔음이 알려지면서 윤리적 논란이 됨.[4] 제독들의 반란으로 제임스 포레스탈 전 국방장관이 자살하고 존 설리번 해군청장, 루이스 덴펠드 해군참모총장이 해임되면서 중장에서 대장으로 진급 후 해군참모총장으로 부임해 어지러웠던 미 해군을 수습한 제독으로 1951년 임기 도중 사망했다.[5] 소장에서 중장을 건너 뛰고 곧바로 해군참모총장에 취임한 알레이 버크까지 포함하면 역대 네 번째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