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기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62861> 의장1 ||
||<width=20%>
초대

야마가타
이사부로 ||<width=20%>
제2대

미즈노
렌타로 ||<width=20%>
제3대

아리요시
주이치 ||<width=20%>
제4대

시모오카
주지 ||<width=20%>
제5대

유아사
구라헤이 ||
||
제6대

이케가미
시로 ||
제7대

고다마
히데오 ||
제8대

이마이다
기요노리 ||
제9대

오노
로쿠이치로 ||
제10대

다나카
다케오 ||
||
제11대

엔도
류사쿠 ||
||<-5><bgcolor=#062861> 부의장 ||
||
초대

김윤식 ||
제2대

이완용 ||
제3대

박영효 ||
제4대

민병석 ||
제5대

윤덕영 ||
||
제6대

이진호 ||
제7대

박중양 ||
||<-5>
[ 1910 ]
고문
고영희권중현민상호박제순송병준
이근상이근택이완용이재곤이지용
이하영임선준장석주조중응조희연
조민희한창수
찬의
강경희권봉수김만수김사묵김영한
남규희민상호박경양박승봉박제빈
박중양염중모유맹유정수윤치오
이건춘이겸제이재정이준상정인흥
조영희조희문한창수홍승목홍종억
부찬의
고원식구희서권태환김교성김낙헌
김명규김명수김준용김필희김한규
김한목나수연민건식민원식박제환
박희양서상훈서회보성하국송지헌
송헌빈신우선신태유어윤적엄태영
오재풍오제영윤치오이도익이만규
이봉로이원용이항직정동식정병조
정진홍조병건조재영조제환조원성
최상돈한동이허진홍우철홍운표
홍재하

[ 1920 ]
고문
고희경권중현민병석민영기박영효
송병준이하영윤덕영이윤용
부찬의
김현수
칙임 참의
김영진김영한김한목남규희민상호
민영찬민형식박승봉박이양박기양
박상준박승봉박의병박제빈박중양
백인기상호서상훈신석린신응희
어윤적엄준원염중모유맹유성준
유정수유혁로이건춘이겸제정진홍
조민희조진태조영희조희문한상룡
한진창
주임 참의
강병옥고원훈권태환김갑순김교성
김기태김명규김명준김상설김상섭
김연상김영무김정태김준용김창한
김필희김현수나수연노창안박경석
민건식민영은박기동박기순박봉주
박이양박제환박종렬박흥규박희양
방인혁서병조선우순송종헌송지헌
신석우신태유신창휴심준택심환진
안병길양재홍오재풍오태환원덕상
유기호유빈겸유익환유흥세윤치소
이강원이근우이기승이도익이동우
이만규이병렬이병학이택규이택현
이항직이흥재이희덕장대익장도
장상철장응상장직상장인원전석영
정동식정란교정병조정순현정재학
정태균정호봉조병건천장욱최석하
피성호한영원한상봉한창동허명훈
홍성연현은
참의
구연수김윤정김춘희김한목김희작
남규희민병석박기순원응상윤갑병
윤정현장헌식정건유현기봉

[ 1930 ]
고문
민병석윤덕영이윤용
칙임 참의
고원훈김관현김명준김서규김영진
김윤정남궁영민상호박두영박상준
박영철박용구박중양서상훈신석린
어담엄준원염중모유정수유진순
유혁로윤갑병이겸제이범익이진호
장헌식정교원조경하조성근조희문
주영환최린한규복한상룡한진창
홍종국
주임 참의
강동희강번고일청김경진김기수
김기홍김도현김두찬김병규김사연
김상설김상형김상회김신석김영택
김정석김정호김종흡김진수김창수
김한규김한목김한승남백우노영환
문종구민병덕박기석박종렬박보양
박봉진박철희박희옥방의석방태영
서병조서병주석명선선우순성원경
손재하손조봉송지헌신희련안종철
오세호오태환원덕상유승흠유태설
이경식이교식이근수이근우이기찬
이기승이동우이명구이방협이승우
이병렬이선호이은우이종섭이충건
이진호이택규이희덕이희적인창환
장대익장석원장직상장헌근정관조
정란교정대현정석모정석용정해붕
조병상주영환지희열최남선최양호
최연국최윤최윤주최준집최지환
최창조하준석한영원현준호현헌
홍치업황종국
참의
강필성김병원김성규김제하박상준
어윤적유만겸유성준진희규홍정철

[ 1940 ]
고문
김윤정박중양윤치호이범익이진호
한상룡
칙임 참의
고원훈김관현김명준김사연김연수
김영배김영진김우영김윤정김태석
김화준박두영박상준서상훈신석린
안종철원덕상유만겸유진순이겸제
이경식이계한이병길이원보장직상
장헌식정교원정란교정연기진학문
최린한규복
주임 참의
강이황권중식김경진김동준김병욱
김부원김사연김신석김원근김재환
김태집노준영민재기박지근박창하
박필병방의석서병조손창식송문화
신현구양재창원병희위정학이경식
이기찬이승우이신용이영찬이익화
이종덕임창수장용관장윤식장준영
장직상전덕룡조병상조상옥차남진
최윤최승렬최정묵최준집한익교
한정석현준호황종국
참의
김하섭문명기이승구

||
||<-5> 1. 중추원 의장은 조선 총독부 정무총감이 맡았다.
†. 재직 중 사망.
||



문명기
文明琦
파일:애국옹.png
창씨명후미아키 기이치로
文明琦一郞
운암(雲巖)
본관남평 문씨[1]
출생1878년 6월 18일
평안도 안주목
(현 평안남도 안주군)
사망1968년 10월 6일[2] (향년 90세)
묘소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오포리
별명애국옹(愛國翁), 야만기(野蠻琦), 헌납병 환자
직업기업인, 상인, 중추원 참의, 관료
경력경상북도 도평의회 의원
민선 도평의회 의원
관선 도평의회 의원
경북도회의원 광제회 대표
조선국방비행헌납회 회장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황도선양회 회장
가족관계배우자 밀양 박씨[3] 외 1명
슬하 5남 7녀
딸 문신자
손자 문태준, 손녀 문정인[4]

1. 개요
2. 생애
2.1. 친일 행적
2.2. 애국옹과 야만기
2.3. 해방 이후
3. 여담



1. 개요[편집]


일제강점기기업인, 친일반민족행위자. 문태준 전 보건사회부장관이 그의 손자이다.


2. 생애[편집]


1878년 6월 18일 평안도 안주목(현 평안남도 안주시)에서 아버지 문승환(文承喚, ? ~ ?. 2. 4)과 어머니 곡산 강씨(谷山 康氏) 사이의 두 아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1892년 경상도 영덕현(현 경상북도 영덕군)으로 이주하여 성장하였다. 대한제국 말기에는 생선장수로 살았으며, 1907년 제지 공장을 운영하며 제지업, 수산업에 뛰어들었다. 1910년대부터는 일제 관헌과 결탁해 일제지업을 위주로 한 사업가로 활동했고, 이 과정에서 1912년 만주와 화북을 다녀온 뒤 한문양행을 설립하였다. 1920년대부터는 광산업에 종사하며 브로커가 되었고, 1932년에는 영덕 금은광산을 인수하는 등 경북 일대에서 큰 부를 축적한 자본가로 살았다.


2.1. 친일 행적[편집]


파일:문명기(애국옹).jpg

파일:문명기 비행기2.jpg
파일:문명기호.jpg
문명기가 헌납한 문명기호의 모습.[5]
그가 일제로부터 괜히 '애국옹'이라는 별칭으로 불렸던 것이 아니었다. 1935년 문명기는 해군과 육군에 비행기를 각각 1대씩 헌납하는 비용으로 10만원의 국방헌금을 조선총독부에 기부하였다. 그 이후에도 비행기 헌납 운동을 주도하는데, 이 과정에서 2만원, 4만원을 기부하기도 했다고 알려진다.

이에 감탄한 일제는 이를 언론에 대대적으로 홍보를 하고 그가 헌납한 비행기에 문명기호라는 이름을 붙여주는 명명식까지 거행하였다.[6] 그렇게 그는 애국옹이 되었다. 그 후 문명기는 재단법인 광제회를 설립하고 일본군을 위문하는 행적도 보인다. 또 그는 일제가 자신을 알아주는 걸 느끼자 좀 더 노골적으로 국방기 100대를 기증하겠다며 이에 결의를 하거나 "1군 1대의 국방기를 헌납하자"라는 소리를 떠들어대고 자살 폭격을 옹호하며 '조선국방비행헌납회'를 창설하는 등의 한층 더 강도가 쌔진 친일 활동에 앞장선다. 그리고 강연회에 참석하여 침략 전쟁을 지원할 것을 요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물론 거액의 헌금 기부도 잊지 않고 실천하였다. 이런 활동을 통해 1941년 4월 21일부터 1945년 8월까지 중추원 참의를 역임하기도 했다.


2.2. 애국옹과 야만기[편집]


파일:가미다나 문명기.png
가미다나(神棚) 앞에 무릎꿇은 문명기.
이에 질리지 않고 의용단 모집 활동을 한다거나 헌함운동을 전개하고 1943년에는 구리광산을 3개나 기부하기도 한다. 같은 해에 문명기는 친일단체 '황도선양회' 회장에 취임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부족했는지 그는 '가미다나(神棚)'라는 소형 신사를 집집마다 걸자는 '가미다나 가가비치 운동'을 주도하였다. 조선총독부는 이러한 공로로 그에게 '가미다나 독점 판매권'을 주기도 하였다. 이쯤되자 문명기는 같은 민족들에게 야만기 혹은 헌납병 환자라 불리며 까이기 시작한 것이다.

그는 이밖에도 광신도적인 악질 친일파로서의 면모를 숨기지 않았는데, 전투에서 육탄 돌격으로 사망한 일본군 3인에 대하여 "금후의 전쟁은 비행기 시대로서 육탄비행사가 필요하다.", "나는 유사시 헌납한 비행기에 탑승하여 육탄비행사가 되어 적진에 뛰어들어 황군에 순사할 용기가 있다." 등의 발언을 하였다고 알려진다. 심지어 자신의 저서인 <소지일격>을 통해 일제의 침략 전쟁에 대해 이렇게 평하였다.

"이는 동양을 동양인의 손에 의해 지키는 것이 아시아민족이 행복하기 위한 길이기 때문이며 세계평화를 이루기 위한 일본의 위대함이다."

소지일격(所志一檄)


그는 단지 먹고 살기 위한 수준이 아닌 일본 제국만을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친 자였던 것이다.수지타산 때문이 아니라 진심이라는 점이 더 무섭다


2.3. 해방 이후[편집]


8.15 광복 이후인 1949년 1월 24일 영덕군에 있는 자택에서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돼 기소되었으나 고령임을 핑계로 보석을 신청하였고, 곧 보석으로 풀려났다. 문명기는 90세까지 장수했으며 1968년 10월 6일에 사망하였다고 알려진다. 묘는 영덕군 강구면 오포리 뒷산에 있으며, 묘비문은 아이러니하게도 독립유공자노산 이은상이 썼다고 한다.

세상에 나서 자기 힘으로 성공하기란 어려운 일이요 또 장수하며 어진 행적을 끼치기는 더 어려운데 그 어려운 일을 능히 행하여 스스로 보람찬 생애를 누린 이

1969년 8월 15일 묘비문


그의 사후 세워진 1969년 8월 15일 묘비에는 이러한 문구가 쓰여있다.다른 의미로 참 보람차게 살았다...


3. 여담[편집]


그의 악행은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파 705인 명단에 선정되었으며 친일인명사전에도 수록되었다.

프로필에 나와 있듯이 문명기의 손녀는 채명신의 아내이다. 즉 채명신의 처조부. 이 때문에 채명신 부부는 친일파 연구의 거두인 임종국을 직접 찾아와서 사실 확인을 요청하였고, 임종국이 내민 증거 자료를 확인한 뒤 이를 인정하고 돌아갔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8:35:59에 나무위키 문명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순질공파-첨지공파 27세. 족보명은 문기섭(文基燮).[2] 음력 8월 15일.[3] 박학래(朴鶴來)의 딸이다.[4] 채명신 장군의 아내.[5] 오른쪽 사진은 '보국(報國)-73 문명기호(文明琦號)'의 모습이다.[6] 이 자리에는 해군 대신의 대리가 참석하고 비행기 6대가 축하비행을 하는 등의 온갖 기념을 다했다고 기록 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