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방송/대표이사 사장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문화방송

1. 개요
2. 목록
2.1. 회장
2.2. 사장


1. 개요[편집]


문화방송대표이사 사장은 2005년부터 실시된 MBC 사장 공모제를 통해 MBC의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가 정기이사회에서 후보들에 대한 1차 면접을 치른다. 비공개로 치러지는 1차 면접 이후 각 이사들이 3표씩을 행사해 정책발표회에 참석할 3명의 후보를 가린다. 이후 사장 후보 3명은 정책발표회에 참석해 지역·연령·성별 등을 고려해 구성된 시민평가단 100명 앞에서 자신의 경영 구상을 발표한 뒤 방송문화진흥회가 시민들이 선정한 최종 후보 2인에 대한 최종 면접과 결선 투표를 거쳐 MBC 사장 내정자를 결정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MBC 사장은 방송문화진흥회가 사장 내정자를 결정한 뒤 방송문화진흥회와 정수장학회[1]가 참석한 주주총회에서 결정된다. 2023년에는 '시민평가단' 제도를 처음 시도했다.

2. 목록[편집]



2.1. 회장[편집]


대수이름임기비고
초대고희동1961년 2월 21일~1962년 7월 22일
2대김우용1964년 11월 28일~1965년 10월 13일
3대최석채1973년 2월 16일~1980년 6월 20일
(대행)조태호1980년 6월 20일~7월 5일
4대최석채1988년 11월 2일~1989년 2월 10일


2.2. 사장[편집]



{#262a59 '''[[파일:MBC 로고.svg 대표이사 사장'''}}}
[ 펼치기 · 접기 ]
제1-3대제4대제5대제6-8대
김지태고원증황용주조증출
제9-12대제13대제14-15대제16대
이환의이진희이웅희황선필
제17대제18-19대제20-21대제22대
김영수최창봉강성구이득렬
제23대제24-25대제26대제27대
노성대김중배이긍희최문순
제28대제29-30대제31대제32대
엄기영김재철김종국안광한
제33대제34대제35대
김장겸최승호박성제

대수이름임기비고
초대~3대김지태1961년 2월 21일~1962년 7월 22일
4대고원증1962년 7월 22일~1964년 8월 26일
5대황용주1964년 8월 26일~12월 15일
6~8대조증출1964년 12월 15일~1971년 6월 30일
9~12대이환의1971년 6월 30일~1980년 6월 20일
(대행)임택근1980년 6월 20일~7월 5일
13대이진희1980년 7월 5일~1982년 6월 7일
14~15대이웅희1982년 6월 7일~1986년 2월 17일
16대황선필1986년 2월 17일~1988년 8월 29일
(대행)신정휴1988년 8월 29일~11월 2일
17대김영수1988년 11월 2일~1989년 2월 10일[2]
18~19대최창봉1989년 2월 10일~1993년 3월 12일[3]
20~21대강성구1993년 3월 17일~1996년 6월 14일[4]
(대행)편일평1996년 6월 14일~1996년 7월 22일
22대이득렬1996년 7월 22일~1999년 3월 8일
23대노성대1999년 3월 9일~2001년 2월 17일
(대행)김성희2001년 2월 17일~3월 8일
24~25대김중배2001년 3월 9일~2003년 3월
26대이긍희2003년 3월~2005년 2월 25일
27대최문순2005년 2월 25일~2008년 2월 28일
28대엄기영2008년 2월 29일~2010년 2월 8일[5]
(대행)김종국2010년 2월 9일~25일
29~30대김재철2010년 2월 26일~2013년 3월 26일[6]
(대행)안광한2013년 3월 26일~5월 3일
31대김종국2013년 5월 3일~2014년 2월 24일
32대안광한2014년 2월 25일~2017년 2월 27일
33대김장겸2017년 2월 28일~11월 13일[7]
(대행)최기화2017년 11월 14일~12월 7일[8]
34대최승호2017년 12월 7일~2020년 2월 24일
35대박성제2020년 2월 24일~2023년 2월 23일[9]
36대안형준2023년 2월 23일[10]~[1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7:26:08에 나무위키 문화방송/대표이사 사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수장학회도 MBC 주식 30%를 보유하고 있는 주주다. 방송문화진흥회는 MBC 주식 70%를 보유하고 있다[2]MBC 기자, 가로세로연구소 설립자인 김세의의 아버지다. 역대 최단명[3] 최초의 방송인 출신 및 방문진 선임 사장. HLKZ-TV동아방송 PD 출신으로 훗날 KBS 부사장과 공연윤리위원회 위원장을 맡는다.[4] 최초의 본사 출신 사장[5] 대한민국 최장수 앵커(뉴스데스크)[6] 방송문화진흥회 이사회 결정에 의해 해임안이 가결되었으 해임여부가 최종 결정되는 주주총회 개최 직전에 자진 사퇴(...)하여 3억원 가량의 퇴직금을 가져갔다(!!!)# #[7] 주주총회서 해임되었다.[8] 2017년 11월 14일에 백종문 부사장이 하루동안 직무대행을 맡았다. 기획본부장.[9] 최승호 사장 재임기간 동안 MBC 보도국장직 역임.(사장 공모 기간에 보도국장직에서 사퇴)[10] 정식 취임은 3월 17일.[11] 박성제 사장 재임기간 동안 메가MBC추진단장직 역임.(사장 공모 기간에 단장직에서 사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