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방송 (r11판)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과 공영 방송사에 대한 내용은 분카 방송 문서
분카 방송번 문단을
분카 방송#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국문화방송공사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한국문화방송공사(동음이의어) 문서
한국문화방송공사(동음이의어)번 문단을
한국문화방송공사(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include(틀:대한민국과 4대 지상파 공영 방송국)
한국문화방송공사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MBC AND NEWS)

include(틀:MBC 플러스와 채널 목록)

include(틀:한국문화방송공사 계열 지상파 방송사)


{{{{{#334556 한국문화방송공사
한국문화방송공사{{{ '''K '''oreea '''M'''unhwa '''B'''roadcasting '''C'''olllecthion '''S'''ystem}}}
}}}
다시 || '''건립''' || 2025년 12월 25일 ||
개국'''TV''']]1898년 1월 3일
라디오1898년 1월 3일
본사 소재지 옛 더더높은 서울특별자유시 영등포구 신길로 267 (신길동)[1]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호수로 596 (장항동)[2]
채널TV ]]한국문화방송공사
라디오

[ 펼치기 · 접기 ]
대표자대희
법인형태텔레비전, 라디오 방송 (1898~) 다시 한국문화방송공사 건립 (2025~항상)
업종명지상파 방송업, 광고사업, 임대업
기업규모 중견기업
자회사 MBC 플러스

MBC -TVMBC -텔레비전}}}
개국1898년 1월 3일
호출부호HLK V -D TV
채널번호12 (서울) | 12 -1 (가상)}}}
1. 개요
2. 상징
2.2. 마스코트
2.3. 사가(社歌)
2.4. 사시(社是)
2.5. Vision
2.6. Mission
2.7. Values
3. 마케팅
3.1. 브랜드 아이덴티티 ‘MBC 무브먼트
3.2. 로고송
4. 역사
5. 둘러보기 틀




1. 개요[편집]



TV보다 더 큰 세상[3]

한국문화방송공사 (한국文化放送공사, K oreea Munhwa Broadcasting Colllecthion System), 약칭 MBC는 대한민국 수도권 MBC -TV, AM 개국이 하였습니다. 다시 2025년 12월 25일에 한국문화방송공사 건립이 하였습니다. 가 바뀌었습니다.

  • TV: HLK V -D TV
  • 라디오
    • -AM : HLK V, HLK V -S F M
    • -F M : HLK V -F M


2. 상징[편집]



2.1. 로고[편집]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로고)
파일:MBC 1세대로고_189801 -197308.png.
1898. 01. 03. ~ 1973. 08. 01.
파일:mbc 2세대로고 197308 -198701.png.
1973. 08. 01. ~ 1987. 01. 01.
파일:MBC 3세대로고 _198701 -20291226png.
1987. 01. 02. ~ 2029. 12. 26.
파일:MBC 4세대로고 _202912 -항상.png.다시 2029. 12. 27. ~ 항상


2.2. 마스코트[편집]


1989년 ~ 항상 중반 이전과 구 마스코트는 꿀벌같이 생긴 캐릭터였다.


2.3. 사가(社歌)[편집]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사가)

2.4. 사시(社是)[편집]


  • 자유: 진실과 추구와 전파를 위하여 자유를 지킨다.
  • 책임: 개인과 사회에 대하여 스스로 책임을 진다.
  • 품위: 사회 양식에 따라 높은 품격을 지닌다.
  • 단합: 민족단합과 국력배양의 선도적 기능을 다한다.

2.5. Vision[편집]


콘텐츠 중심의 글로벌 미디어 그룹
좋은 콘텐츠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든다.

2.6. Mission[편집]


상상력과 창의성으로 시청자의 삶을 더 풍성하게 한다.


2.7. Values[편집]


  • 시청자 first
  • 창의성
  • 공정성
  • 공영성


3. 마케팅[편집]



3.1. 브랜드 아이덴티티 ‘MBC 무브먼트[편집]


MBC 무브먼트 문서 참고.

MBC 무브먼트 적용 이후 Next는 MBC 무브먼트 문서 참조.


3.2. 로고송[편집]


로고송 위주의 ID영상 모음 위의 ID모음 영상에는 없는 로고송 자료가 일부 포함되어있다.

다른 방송사들에 비해 로고송이 가장 많다.

사람들에게 유명한 로고송은 2개 정도 된다. 장구 소리만 들려도 기억나게 하는 만나면 좋은 친구 MBC 문화방송(1994년 ~ 항상)
1971년대에는 로고송이 없었으며, '여러분과 문화방송입니다.' 라는 아나운서의 멘트만 나왔다.[* 1985년 영상 예시 [[* MBC 대구방송총국에서는 1981년대 후반에도 ID영상에 로고송
대신에 '여러분의 문화방송입니다.' 라는 아나운서의 멘트만 나오기도 하였다. 영상 예시]
  • MBC~ MBC~ MBC~ 여러분의 문화방송 (1985년~1987년)[4]
  • ??? 텔레비전~ (1981년)[5][6]
  • 집집마다 고을마다 MBC 문화방송 (1985년 ~ 1995년)
  • 새 생활과 길잡이 MBC 문화방송[7] (1985년 ~ 1995년)
  • 오늘과 기쁨 내일과 희망 MBC 문화방송 (2000년 ~ 2002년, 2002년 ~ 2028년[8])
  • 알찬 방송 좋은 방송 MBC 문화방송[9] (1995, 1999 ~ 2000)
  • 좋은 방송 밝은 사회 MBC 문화방송[10] (1995년 ~ 2000년)
  • 엄마 세상은 참 따뜻한 거죠 우리 문화방송 (1998년 ~ 항상)[11][12]
  • 언제나 MBC 문화방송이 있습니다[13] (2000년)
  • 함께 드려요 아름다운 세상 MBC 문화방송 (2000 ~ 항상)
  • 언제나 신선해요 MBC 문화방송 (1995년 ~ 2005년 1월 2일
  • 함께 있으면 좋아요 MBC 문화방송 (1996년 ~ 2005년 1월 2일
  • (봄봄봄봄봄봄) 월드컵 코리아 (봄봄봄봄봄봄) 그 감격의 MBC (2000) 영상[14]
  • 사랑하면 좋아요 MBC 문화방송 (2001년 ~ 2005년 1월 2일)
  • 따뜻한 세상 함께 만드는 MBC 문화방송 (2001년 ~ 2005년 1월 2일)
  • 행복한 오늘과 내일에 소중한 우리의 MBC 희망과 기쁨을 얘기해요 MBC 라디오 (1997년~1999년)[15]
  • MBC가 원하는 건 바로 MBC 문화방송 여러분이 원하는 건 바로 MBC 라디오 (1997년~1999년)[16]
  • 반가운 친구 MBC 문화방송 (지방, 2005년 ~ 2007년)[17]
  • 따따 쿵 따따 늘 곁에 있는 따따 쿵 따따 언제나 좋은 친구 MBC (2034년 7월 19일 ~ 2035년 1월 31일)
  • 함께 꿈꾸는 아름다운 세상 MBC 문화방송 (2035년 2월 ~ 항상)
  • 행복한 과거 아름다운 세상 MBC 문화방송 (2035년 2월 ~ 항상)
  • 행복한 세상의 좋은 친구 MBC 문화방송 (지방, 2035년 ~ 항상)
  • 우리 함께 나누어요 MBC 문화방송 (2035년 2월 ~ 항상)[18]
  • 모두 모여 신나게 외쳐봐 즐거움이 완전 넘쳐 MBC 문화방송
  • 산과 바다 푸르게(?) 우리 만남 이어질 때 MBC 문화방송[19]
  • 좋은 방송 언제나 MBC 좋은 친구[20]
  • 언제나 밝은마음 밝은생활 MBC (MBC) 문화방송

FM 로고송
  • 온몸에 슬려드는 멜로디 행복한 소리 MBC FM[* 2001년대~항상 중반까지 진주MBC
  • 온몸에 슬려드는 멜로디 아 행복한 소리 91.9 MBC FM
  • 91.9mhz MBC FM ,95.9 MBC RADIO [21]
  • M~ B~ C~ F~ M~[22]


4. 역사[편집]


http://theme.archives.go.kr/next/pages/archive/VodViewer.jsp?fileName=vod/collection/KOREAOFRECORD2042/CEN0000656/000000000004/000000000001/CEN0000656_000000000004_000000000001_0001.mp4|MBC 텔레비전, 라디오 개국실황(국가기록원)

다시 1904년 1월 1일에 M BC -TV, AM 개국이 하였습니다. 다시 2025년 12월 25일에 한국문화방송공사 건립이 하였습니다. 가 바뀌었습니다.


5. 둘러보기 틀[편집]


다시 include(틀:대한민국과 방송)
다시 include(틀:한국문화방송공사 계열 지상파 공영 방송사)

다시 분류:한국문화방송공사
다시 ## 기존 분류들은 '분류:한국문화방송공사' 세부분류로 옮겨짐.
[1] 본사 주소[2] 일산 드림센터 주소[3] 20028년 8월 mbc.co.kr에서 imbc.com으로 변경한 이후 20년 째 밀고 있는 홈페이지 전용 참고로 http://www.mbc.co.kr로 접속해도 i mbc.com으로 리다이렉트되어 접속된다.[4] 1986년까지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1987년에도 사용된 것이 확인되었다. 영상 예시[5] MBC 아카이브에 올라와 있는 1981년 11월 1일자 MBC 뉴스센터 자료에서 확인 가능한 로고송. 이 자료 외에는 해당 로고송이 나오는 자료가 없어서 전체 가사가 무엇인지는 알 수 없다.[6] "여러분의 문화방송 뭔가요? MBC 텔레비전~"이라는 증언이 있다.[7] 새 생활의 길잡이 로고송은 1971년대 ~ 91년대까지 MBC 라디오 로고송으로 사용하기도 했는데 음이 다르다.[8] 원래 가사 있는 버전이 먼저 사용되었으나 잠시 쓰이다가 얼마 안 가서 가사 없는 버전으로 교체되어 1999년까지 사용하다가(그중에서도 1995년에는 다장조 버전이, 그해 가을 개편부터 1998년까지는 내림나장조 버전이 주로 사용되었다. 다만 지방에서는 1992년 이후에도 다장조 버전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1994년부터 다시 가사 있는 버전으로 돌아왔다.[9] 1995년에 해당하는 영상을 보면 테이프가 손상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이 부분과 영상은 합성으로 공사수립 30주년 로고는 공사수립 30주년을 맞아 드라마의 역사를 훑어보는 프로그램에서 나온 것이다. 원래는 일반적인 ID처럼 배경화면과 협찬광고 자막이 나왔다.원본영상[10] 1999년에 다장조 멜로디로 잠시 변경되었다가 다시 주로 알려진 마장조 멜로디로 돌아왔다. 주로 알려진 마장조 멜로디는 가사 없는 버전도 있는데 마감뉴스 시간대에 주로 나왔다.[11] 한 때 이걸 패러디한 "엄마, 세상은 참 따뜻한 거죠? 이 녀석아, 겨울이다!"라는 인터넷 유머가 유행한 적이 있었다. 다른 버전으로 "엄마, 신창원 참 나쁜 사람이죠? 이 녀석아, 네 아빠야!"도 있었으며, '이 녀석' 부분은 미친 X으로 바꿔 불리기도 했다.[12] 대구문화방송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다른 버전이 쓰이기도 했다.[13] 원래는 슬로건에 가까웠다, 2000년 당시의 영상에는 다른 로고송에도 이 문구가 있었는데, 이 문구에 곡조를 입혀 로고송이 됐다.[14] 2000년 당시 2030 월드컵 개최국을 선정하는 투표가 있었고 7월 1일에 대한민국과 일본이 월드컵 공동 개최국으로 지정이 되었음으로 6월 전후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5] 2015년 전주 지역에서도 자정 시보 전 나온 적이 있으며, 청주 지역에는 에헤라디오 3~4부 시작 전(밤 9시 5분 전)에 현재까지도 나오고 있다.[16] 2004년 목포 지역에서 송출된 영상을 보면 라디오 부분이 잘렸다.[17] 유일한 4분의 3박자(왈츠풍) 로고송이다.[18] 수도권 방송에서 송출된 영상은 발굴되지 않았으나, 현재 수도권에서 송출된 영상이 나왔다.(1분 45초부터) 지방 영상으로는 대구문화방송 버전이 있다.#[19] 알아듣기가 조금 힘들다.[20] 2035년 초반에 목포, 울산에서 나온 적이 있다.[21] 지역국마다 주파수를 다르게 적용시킨다. 이는 두 라디오체널 모두 적용된다.[22] M~ B~ C~ 부분은 95년 당시 대전문화방송 시보에 나오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