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덤프버전 :




파일: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Minnesota United FC
별칭The Loons
약칭MIN
창단2015년 3월 25일(9주년)
리그 참가2017년 (7주년)
소속 리그메이저 리그 사커 (Major League Soccer)
소속 컨퍼런스서부 컨퍼런스 (Western Conference)
연고지미네소타미니애폴리스-세인트 폴
홈구장NSC 스타디움 (NSC Stadium, 2010~2016)
TCF 뱅크 스타디움 (TCF Bank Stadium, 2016~2018)
알리안츠 필드 (Allianz Field, 2019~ )[1]
소유주빌 맥과이어 (Bill McGuire)
임시 감독션 매컬리 (Sean McAuley)
주장오지 알론소 (Ozzie Alonso)
역대 한국인 선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상빈 (2023~)
공식 웹사이트 및 SNS
[미국]
파일: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우승 / 플레이오프 기록
MLS컵
(0회)
-
컨퍼런스
(0회)
-
서포터즈 실드
(0회)
-
US 오픈컵
(0회)
-
MLS컵 플레이오프
(진출 / 2회)
2019, 2020
{{{#231f20 클럽 기록 }}}
최다 출장미겔 이바라 (Miguel Ibarra), 88경기 (2017~2019)
최다 득점다윈 퀸테로 (Darwin Quintero), 27골 (2018~2019)

2022 시즌 유니폼
HOMEAWAY메인 스폰서유니폼 메이커
파일:MIN UTD 2022 Home.jpg파일:MIN UTD 2021 Away.webp파일:타깃(할인점) 로고.svg파일:아디다스 로고.svg

1. 개요
2. 선수 명단
3. 역사
3.1. 2017년
3.2. 2021년
3.3. 2023년
4. 경기장
5. 여담



1. 개요[편집]


2017년에 MLS에 합류한 MLS 확장 프렌차이즈. 팬들은 팀을 "The Loons"라고 부른다[2].

2010년 창단되어 2016년까지 2부 리그격인 NASL에 참가한 경력이 있다. 2015년 3월 경 2016시즌부터 MLS로 진입할 것을 발표했다. 그러나 본 계획과는 달리 참가 일정이 늦춰져서 1년 뒤인 2017시즌부터 참가하게 되었다. 그래서 2016 시즌에는 기존 NASL에 그대로 참가.


2. 선수 명단[편집]


파일: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1군 스쿼드
[ 펼치기 · 접기 ]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2022-23 시즌[1]
등 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1파일:미국 국기.svgGK클린트 어윈Clint Irwin
2파일:미국 국기.svgDF데빈 페이델포드Devin Padelford홈그로운
3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DF자렉 발렌틴Zarek Valentin
4파일:멕시코 국기.svgDF미겔 타피아스Miguel Tapias
6파일:스웨덴 국기.svgDF미카엘 마르케스Mikael Marqués
7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MF프랑코 프라가파네Franco Fragapane
8파일:온두라스 국기.svgMF조셉 로살레스Joseph Rosales
10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MF에마누엘 레이노소Emanuel Reynoso지정선수
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정상빈Sang-bin Jeong
12파일:말리 국기.svgDF바카예 디바시Bakaye Dibassy
13파일:미국 국기.svgGK에릭 딕Eric Dick
14파일:미국 국기.svgDF브렌트 칼먼Brent Kallman
15파일:뉴질랜드 국기.svgDF마이클 복솔Michael Boxall
17파일:핀란드 국기.svgMF로빈 로드Robin Lod
20파일:미국 국기.svgMF윌 트랩Wil Trapp
21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FW봉고쿨레 롱웨인Bongokuhle Hlongwane
22파일:핀란드 국기.svgFW테무 푸키Teemu Puuki
23파일:미국 국기.svgFW캐머런 던바Cameron Dunbar홈그로운
26파일:남수단 국기.svgDF라이언 지바Ryen Jiba
27파일:미국 국기.svgDFDJ 테일러DJ Taylor
28파일:콜롬비아 국기.svgFW멘데르 가르시아Ménder García지정선수
31파일:미국 국기.svgMF하사니 닷슨Hassani Dotson
33파일:온두라스 국기.svgMF커빈 아리아가Kervin Arriaga
92파일:자메이카 국기.svgDF케마르 로렌스Kemar Lawrence
97파일:캐나다 국기.svgGK데인 세인트 클레어Dayne St. Clair
99파일:미국 국기.svgGK프레드 에밍스Fred Emmings
구단 정보
구단주: 빌 맥과이어 / 임시 감독: 션 매컬리 / 홈 구장: 알리안츠 필드
출처: 공식 홈페이지
[1]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간략화된 틀도 수정해주세요.




[3]


3. 역사[편집]


년도리그 순위플레이오프 성적대륙컵 성적컵대회 성적
20179위 (컨퍼런스), 19위 (리그)--4라운드
201810위 (컨퍼런스), 18위 (리그)--4라운드
20194위 (컨퍼런스), 7위 (리그)1라운드-준우승
20204위 (컨퍼런스), 9위 (리그)4강-(취소)


3.1. 2017년[편집]


첫 시즌이지만 그야말로 호된 신고식을 치뤘다.

같은 MLS 신생팀인 애틀랜타 유나이티드 FC와는 달리 NASL에서 뛰었던 2부 리그 선수들 중심으로 로스터가 구성되었는데, 시즌 첫 세경기에서 평균 4.5골을 허용하는 등 갈길이 먼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안그래도 동부보다 더 치열한 서부 컨퍼런스 소속인지라 창단 첫해는 승점자판기가 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그래도 두 번째 홈 경기에서 레알 솔트레이크를 4대2로 이기면서 조금씩 나아지고 있는 중. 그리고, 감독을 올랜도 시티 SC 감독을 역임한 바 있는 애드리언 히스로 교체하면서 조금씩 반등했고 한때 플레이오프 진출권까지 갔지만 후반부에 뒷심 부족을 보여주면서 서부 컨퍼런스 9위 (10승 18패 6무)로 마감했다.


3.2. 2021년[편집]


지난 시즌 최고 득점자인 Kevin Molino가 자유계약으로 콜럼버스 크루로 이적하며 부진이 예상되었긴 했으나, 시즌 시작이 지나치게 좋지 않았다. 4월 16일 개막전에 시애틀 사운더스 FC에 4:0패, 4월 24일 레알 솔트레이크에 2:1 패 (홈 개막전), 이어 5월 1일 오스틴 FC과의 홈경기에서 1:0, 5월 8일 콜로라도 래피즈과의 경기에서도 3:2로 패하며 시즌 첫 4경기 연패를 기록하며 최하위로 떨어졌다. 당연히 팀의 분위기는 최악이었으며, 시즌 전체의 전망도 매우 어두웠다관련기사.

시즌 초 4경기 연패의 원흉인 키퍼 Dayne St. Clair를 Tyler Miller로 교체 후, 놀랍게도 분위기 전환에 성공, 5월 12일 밴쿠버 화이트캡스 FC와의 경기에서 1:0 승을 시작으로 7경기에서 무패 (4승 3무)를 기록하며 부활하였다.

7월 7일 콜로라도 래피즈와의 원정 경기에서 2:0으로 패하며 상승세가 꺾이나 싶었으나, 7월 18일, 서부 컨퍼런스의 최강자이며 개막전 때 4:0의 수모를 안겨준 시애틀 사운더스 FC와의 홈경기에서 1:0으로 승리하였다.[4] 이 경기를 포함, 5경기에서 무패 (3승 2무)를 기록, 정규시즌의 절반 (17경기)을 치룬 8월 7일 기준으로 7승 5무 5패를 기록하고 있으며, 시즌 첫 4경기 연패 이후에는 13경기에서 단 1패만을 기록한 셈이다. 11-17라운드의 7경기에서는 홈/원정 여부를 떠나 13득점을 했는데, 전통적인 스트라이커가 없는 미네소타에서, 꾸역꾸역 경기 당 두 골 정도는, 누가 넣든 집어넣고 있다. 특히 핀란드 국가대표팀이기도 한 공격형 미드필더 로빈 로드가 각성하여, 17라운드 기준으로 6골을 기록하는 활약을 보이고 있으며 후반기 17라운드애서는 6승 6무 5패를 기록하며 상승세가 한풀 꺾였지만 웨스트 컨퍼런스 5위 (승정 49점)으로 플레이 오프에 진출하였다. 특히 시즌 마지막 경기였던 LA Galaxy전에서 3:3을 기록하였다.

3.3. 2023년[편집]


겨울 이적시장 내내 조규성, 양현준, 엄지성 등과 링크가 나면서 한국 축구팬들에게 이름이 알려졌으며, 최종적으로는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에서 정상빈을 영입했다.

4. 경기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알리안츠 필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TCFBankStadiumMLS.png

NASL에서는 10만석 규모의 미네소타 내셔널 스포츠센터(NSC)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했었으나 MLS 진입에 맞춰 신축구장 건설을 2015년 9월에 발표했다. 건설사를 선발 하고 2016년 부터 1억 2,000만 달러의 건설비용으로 총 23,500명 수용이 가능한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스타디움 건설을 시작했으며 2018년 완공 및 개장예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선 2017년 MLS 첫 시즌부터 2년 동안은 같은 연고지의 대학 미식축구팀인 미네소타 골든 고퍼스의 홈구장 TCF 뱅크 스타디움을 잠시 사용했다.

원래 미네소타 바이킹스의 신구장인 US 뱅크 스타디움에서 경기를 치룰 예정이었으나, 미니애폴리스 시와 바이킹스 구단이 미네소타 유나이티드를 찬밥 취급해버리는 바람에, 옆에 있던 세인트 폴 시가 너그럽게 경기장을 세울 수 있는 부지를[5] 제공하며 신축구장의 부지문제는 일단 해결되었다. 2016년 12월 13일 기공식을 하면서 몇 달간 지지부진했던 신구장 공사도 속도를 내기 시작하긴 했지만, 미네소타의 혹독한 겨울 날씨 때문에 사실상 공사는 2017년 중에 시작되었다. 공사장 부지에 아직도 영업하고 있는 가게들도 있고 자금 마련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다소 남아 있기 때문에 봄에 시작할려고 했던 공사가 연기되었기 때문. 2019년 개장을 목표로 잡고 2017년 7월 말 기준 현재 터다지기 작업이 진행 중이다.

파일:external/www.twincities.com/20151022__151023soccer-1.jpg 파일:external/www.monitorsaintpaul.com/160225_Midway-Presentation-overview-nite.jpg
현재 옛 시내버스 차고 부지(좌), 미래 신구장 완공시 (우)

파일:Allianz_Field_Aerial_highres.jpg
2017년 7월 25일 독일 보험회사 알리안츠가 명명권을 따내 신구장의 공식 이름은 알리안츠 필드로 확정되었다. 분데스리가바이에른 뮌헨의 홈구장인 알리안츠 아레나, 세리에 A유벤투스 FC알리안츠 스타디움과는 엄연히 다른 구장이니 구장이 지어지면 헷갈리지 말도록 하자.

5. 여담[편집]


미네소타에 본사를 둔 타깃이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구단 공식 스폰서로 선정되었다. 더불어 타깃은 미네소타 유나이티드가 MLS에 합류하는 2017년부터 MLS 공식 파트너 계약을 채결했다.

오아시스의 Wonderwall을 응원가로 쓰고 있다.

[1] 2018년 여름 개장 예정이였으나 2019년 개장으로 최종 발표되었다. [2] '아비새'라 불리는 북미산 오리종류의 새인데 사람이 웃는소리같은 울음을 낸다고 한다*(1분 6초경). 팀 로고로 그려진 바로 그 새이다.[3] MLS 타 구단의 경우, 아무래도 라틴아메리카 출신 이민자들에게 특히 축구가 인기가 많은 편이며, 선수들 역시 라틴아메리카 출신들이 많은 편이다. 미네소타는 히스페닉-라티노의 인구가 타 주에 비해 적은 편이며, 북유럽 출신 이민자가 가장 많은 곳으로, 타팀에 비해 중남미 선수보다 미국 국적 선수가 많으며, 특히 핀란드, 덴마크 출신 선수들이 있는 것이 특이하다.[4] 이번 경기 전까지 시애틀 사운더스 FC는 이번 시즌 모든 경기 (13경기)에서 무패를 기록하고 있었으나 경기 종료 9분을 남겨놓고 미네소타에서 시즌 첫 패배를 당했다.[5] 애물단지가 되어버린 옛 시내버스 차고 부지. Snellings Avenue 바로 옆에 위치해 있고, 인근 경전철 역에서 도보로 5분 정도 떨어져 있는 거리에 있다. 내친김에 공터 북쪽에 있는 가게 건물들 리모델링 할 겸 경기장+주거지역 신축을 빌미로 한 듯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21:35:43에 나무위키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