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터 빌헬름 율리우스 바르체하

덤프버전 :


파일:나치 독일 국장(화이트).svg 독일 국방군의 장성급 장교
[ 펼치기 · 접기 ]
{#fff 상급대장 ^^OF-9^^[br]{{{-1 ''Generaloberst / General admiral''[br][[파일:Si_4a.png / [[파일:130px-WMacht_Lw_OF9_GenOberst_1945.png
육군
상급대장
한스 폰 젝트 | 쿠르트 폰하머슈타인에크보르트 | 게오르크 린데만 | 베르너 폰 프리치 | 루트비히 베크 |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 | 프리드리히 프롬 | 하인츠 구데리안 | 오이겐 리터 폰 쇼베르트 | 쿠르트 하제 | 에리히 회프너 | 프란츠 할더 | 헤르만 호트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 고트하르트 하인리치 | 알프레트 요들 | 로타르 렌둘릭 | 에르하르트 라우스 | 에버하르트 폰 마켄젠 | 요하네스 프리스너 | 한스 위르겐 폰 아르님 | 에두아르트 디틀 | 카를 힐페르트 | 니콜라우스 폰 팔켄호르스트
공군
상급대장
쿠르트 슈투덴트 | 에른스트 우데트
해군
상급대장
알프레트 잘베히터 | 오스카 쿠메츠 | 한스 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 | 빌헬름 마르샬 | 발터 빌헬름 율리우스 바르체하
병과대장 OF-8
General der Waffengattung / Admiral
파일:Si_4b.png / 파일:200px-WMacht_Lw_OF8_GenWaGtg_h_1945.svg.png / 파일:AA-3A.png
육군
병과대장

명예 파울 폰 레토포어베크
공병대장}}} 발터 쿤체
공군
병과대장
브루노 브로이어공수 | 오이겐 마인들공수 | 울리히 케슬러조종
해군
대장
빌헬름 카나리스 | 오토 칠리악스 | 귄터 뤼첸스
중장 OF-7
Generalleutnant / Vizeadmiral
파일:Si_5a.png / 파일:1256px-WMacht_Lw_OF7_GenLt_h_1945.svg.png / 파일:AA-4A.png
육군
중장
히아친트 그라프 슈트라흐비츠 | 헬무트 폰 판비츠 | 한스 슈파이델 | 오스카 폰 힌덴부르크 | 아돌프 호이징거
공군
중장
발터 베버 | 아돌프 갈란트 | 테오도어 오스터캄프
해군
중장
-
소장 OF-6
Generalmajor / Konteradmiral
파일:Si_6a.png / 파일:200px-WMacht_Lw_OF6_GenMaj01_h_1945.svg.png / 파일:AA-5A.png
육군
소장
발터 도른베르거 | 카를 게프하르트 | 카를 브란트 | 헤닝 폰 트레슈코프 | 하인리히 크라이페 | 한스 오스터 | 오토 에른스트 레머
공군
소장
디트리히 펠츠
해군
소장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독일 국방군의 상급대장과 대장, 중장, 소장은 각각 미군의 대장, 중장, 소장, 준장에 상응.
※ 독일 국방군 해군, 즉 크릭스마리네에만 있는 준장 계급은 미군의 대령에 상응
※ 윗 첨자 : 전사
※ 둘러보기
파일:슈츠슈타펠 문장.svg 슈츠슈타펠의 장성급 지휘관}}}}}}


제4대 나치 독일 전쟁해군 최고사령관
발터 빌헬름 율리우스 바르체하
Walter Wilhelm Julius Warzecha
파일:Walter_Warzecha-205x300.jpg
출생1891년 5월 23일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svg

브란덴부르크 주 슈비부스
(現
파일:폴란드 국기.svg

루부스키에 주 시피에보진)
사망1956년 8월 30일 (향년 65세)
파일:독일 국기.svg 서독 함부르크
복무독일 제국 해군
나치 독일 전쟁해군
최종 계급상급대장
주요 참전1차 세계 대전
2차 세계 대전
주요 서훈전공십자장

1. 개요
2. 생애
2.1. 1차 세계 대전
2.2. 1차 세계 대전 이후
3. 2차 세계 대전
4. 그후



1. 개요[편집]


1차 세계 대전 및 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군인이자, 크릭스마리네의 마지막 사령관이였다.

2. 생애[편집]


1891년 5월 23일 독일 제국 브란덴부르크 주 슈비부스(Schwiebus, 현 폴란드 시피에보진(Świebodzin))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막스 바르체하는 노이루핀의 시장이였고, 가계는 슐레지엔 출신이였다. [1]

2.1. 1차 세계 대전[편집]


1909년 4월 1일, 바르체하는 독일 제국 해군에 사관 생도로 입대했다.

그후 1910년 4월, 빅토리아 루이제급 방호순양함에서 소위로 진급했고. 그후 바르체하는 승진의 길을 달리게 되고, 1911년 부터 1916년까지 나사우급 전함 나사우에서 복무했다. 이후, 1915년 5월 2일, 중위로 진급했다.

1916년, 그는 갑자기 잠수함 함장으로 재배치 되는데, UC-1, UC-71 그리고 UC-148에서 9척(22974.86톤)을 격침 및 10척(56703.50톤)을 손상시켰다.

2.2. 1차 세계 대전 이후[편집]


1차 세계 대전빌헬름스하펜에 정착했고 또 얼마 지나지 않아 로 이사갔다. 킬에 정착한 바르체하는 결혼하여, 4명의 자녀의 아버지가 되었다. 1920년, 북해 기지로 발령받은 바르체하는 동시에 대위로 진급했다. 그후 1928년에 소령으로 진급했고, 1933년엔 중령으로 진급했다. 1934년, 바르체하는 독일 발트 기지 참모 장교가 되었다.

또 이렇게 승진 가도를 달리는 바르체하는 더욱 그의 경력을 눈부시게하는 일이 있었는데 바로 도이칠란트급 장갑함 아드미랄 그라프 슈페의 함장이 되었다.

3. 2차 세계 대전[편집]


1938년 11월 1일, 바르체하는 해군 소장으로 진급하고, 베를린 해군최고사령부로 발령받았다. 그는 1942년 8월까지 베를린에서 해군 참모로 복무했다. 이후,1941년 1월 1일, 바르체하는 해군 중장으로 진급했다.

1944년 3월 1일, 바르체하는 상급 대장으로 진급하였고, 1945년 독일의 항복후, 바르체하는 연합군에게 포로가 되었지만, 한스 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의 자살 이후 제4대 독일 전쟁해군 최고사령관으로 5월 23일부터 연합군의 의해 임명됭후, 전쟁해군 해산의 주축이 되어 연합군을 도왔고, 1945년 7월 22일, 전쟁해군이 완전히 해산되고, 자기도 완전히 직책을 내려놓았다.

4. 그후[편집]


포로 생활후, 1947년, 함부르크에서 알리안츠에 취업후, 1956년 8월 30일 심장마비로 향년 65살로 사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3:16:40에 나무위키 발터 빌헬름 율리우스 바르체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가문이 폴란드인 배경이지만 당대 슐레지엔, 동프로이센에는 슬라브풍 성씨를 가지고 있어도 오랫동안 독일에 동화되어 이름이나 모국어는 독일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굉장히 많았다. 바르체하도 그런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