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형 급행철도 (r2판)

편집일시 :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부산형 급행철도
Busan Train eXpress: BuTX
釜山形 急行鐵道
}}}
파일:BuTX.jpg
노선 정보
분류광역급행철도
기점가덕도신공항역
종점오시리아역
역 수6개
구성노선부산형 급행철도
개업일2030년 (예정)
소유자미정
운영자미정
사용차량수소전동차
차량사업소미정
지상구간없음
착공예정미정
노선 제원
노선연장47.9㎞
궤간미정
선로구성미정
사용전류미정
신호방식미정
최고속도미정
표정속도미정
지상구간없음
통행방향미정
개통예정2030년. 가덕도신공항오시리아

1. 개요
2. 상세
3. 역 목록



1. 개요[편집]


가덕도신공항오시리아역을 잇는 광역급행철도이며 약자로 BuTX[1]를 사용한다. 부산광역시에서 2026년 착공, 2030년 완공과 개통을 목표로 추진중인 노선이다.


2. 상세[편집]


BuTX 노선은 총길이 47.9㎞에 6개 정거장[2]을 설치한다. 지하 40m 이상 아래 대심도로 건설되고 차량은 수소전동차가 사용될 예정이다. 일평균 이용객은 약 11만4천 명으로 추정되며, 사업비는 약 2조5천860억 원이 들 것으로 추산된다.

이 노선이 개통되면 가덕도신공항에서 부산역까지 15분, 오시리아관광단지까지 25분만에 주파가 가능해져 가덕도신공항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된다.

2023년 3월 23일 부산시의 발표에 따르면 자체 사전타당성 용역 결과 B/C값이 0.88, AHP 값이 0.722로, 도시철도 치고는 높은 수치가 도출되었다며 사업을 본격화한다고 한다. 아울러 장기적으로 국토교통부의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동남권 GTX로 확대 반영한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 목적은 가덕도 신공항북항 재개발 지역을 잇는 것이지만 노선이 서면을 지나지 않는 것에 대한 아쉬움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2023년 8월 24일, 하나은행이 현대로템 등과 컨소시엄을 이루어 입찰한다는 소식이 나왔다.#



3. 역 목록[편집]


  • 환승역을 제외한 모든 역명은 모두 가칭이다.
  • 역 번호는 정해지지 않았다. 아래 번호는 임의로 표기된 번호이다.
역번역명승강장환승노선소재지
형태횡단
BX010.0가덕공항加德空港강서구
BX02-명지鳴 旨5호선
BX03-하단下 端1호선
5호선
사하구
BX04-북 항北 港1호선[3]동구
BX05- 센텀시티
(벡스코)
Centum City
(BEXCO)
2호선해운대구
BX06-오시리아OSIRIA동해선[4]기장군
[1] 부티엑스라고 읽는다.[2] 가덕도신공항명지하단북항센텀시티오시리아[3] 부산역 환승[4] 동부산관광단지역에서 환승할 시 2호선 환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