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 ||


}}} ||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Northern Mariana Islands national football team
정식명칭Northern Mariana Islands national football team[1]
FIFA 코드NMI
Elo 랭킹240위[2]
협회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협회 (NMIFA)
연맹아시아 축구 연맹 (AFC)
지역연맹동아시아 축구 연맹 (EAFF)
감독파일:일본 국기.svg 미타 미치테루 (Mita Michiteru)
주장루카스 네흐트 (Lucas Knecht)
최다출전자니콜라스 스와임 (Nicholas Swain) - 17경기
최다득점자조 왕 밀러 (Joe Wang Miller) - 4골
홈 구장올레아이 종합운동장 (Oleai Sports Complex, 2,000석)[3]
첫 국제경기 출전VS 파일:괌 기.svg (2:3 패)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북마리아나 제도 사이판
(2007년 3월 25일)
최다 점수차 승리VS 파일:미국령 사모아 기.svg 미국령 사모아 (4:0 승)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호니아라 (2023년 11월 27일)
최다 점수차 패배VS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0:10패)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호니아라
(2023년 11월 18일)
별칭Blue Ayuyus

유니폼어웨이
상의파랑하양
하의파랑하양
양말파랑하양




1. 개요[편집]


원래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소속이었으나 2009년 아시아 축구 연맹으로 편입하였다. FIFA 비회원국이므로 월드컵에 참여 할 수 없고, 아시아축구연맹의 준회원국으로 아시안컵에도 출전하지 않았다. 2008년부터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회원국으로 EAFF 동아시안컵 예선에 참가하고 있다.


2. 상세[편집]


2008년 동아시안컵 예선전에서 괌과 홈앤어웨이로 맞붙었는데 2:3, 0:9로 패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하였다. 2014년 AFC 챌린지컵 예선에도 출전하였으나 탈락하였다. 예선 D조에 팔레스타인, 방글라데시, 네팔과 함께 편성되었다. 경기 결과 무득점 19실점 3패를 기록하며 최하위로 탈락하였다.

한국과 경기는 2016년 AFC U-20 아시안컵 지역예선(경기는 2015년 11월 태국에서 열림)에서 만나 0:11로 졌다. 이 예선에서 대만과 싱가포르에게 0:10, 태국에게 0:7로 지면서 4전전패 0득점 38실점을 당해 참가국에서 가장 많은 실점에 유일한 무득점을 기록했다. 아시아 동네북인 부탄조차도 1무 2패 1골이라도 기록(실점은 10실점)하던 거랑 대조적.

2019 동아시안컵 예선에 참가했는데 몽골에게 0-9로 대패하여 3번째 국대 1진 경기 최다 패를 당했다. 약체인 몽골에게 최다 득점 승리를 헌납한 셈. 괌에게는 0-4로 지고 마카오와 1-1로 비겼다.

풋볼매니저에선 감독이 한국인이라 그런지 몰라도 생성선수로 한국 선수들이 생성되는 일이 잦다. 이름도 한국어고 심지어 2차 국적까지 한국이다. 현재는 감독이 일본인으로 바뀌었다.

2020년 12월 10일 열린 AFC 총회에서 북마리아나 제도의 AFC 정회원 가입이 승인되면서 AFC 47번째 회원국이 됨에 따라 다음 2027년 AFC 아시안컵 예선 플레이오프부터 정식 참가가 가능해졌다.


3. 역대전적[편집]



3.1. AFC 아시안컵[편집]




3.2. EAFF E-1 풋볼 챔피언십[편집]


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파일:일본 국기.svg 2003년비회원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년
파일:중국 국기.svg 2008년예선 탈락
파일:일본 국기.svg 2010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년
파일:중국 국기.svg 2015년
파일:일본 국기.svg 2017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년
파일:일본 국기.svg 2022년
합계본선진출 없음0/8000000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6:17:27에 나무위키 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어[2] 2023년 10월 10일 기준[3] AFC 소속 국가대표팀 홈 경기장 중 가장 적은 수용인원인 경기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