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끼

덤프버전 :



1. 개요
2. 룰
3. 특징
4. 북한 현지에서의 용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트럼프 카드를 사용하는 북한의 카드 게임. 북한에서는 모르는 사람이 없다고 할 정도로 가장 대중적인 카드놀이라고 한다. 클라이밍의 일종이다.


2. 룰[편집]


통일부 공식 블로그의 룰 설명

참가 인원 : 4인(3인이나 5인 전용 룰도 존재)
사용 카드 : 트럼프 카드 48장(2를 제외한 3~10, J, Q, K, A를 사용. 3이 가장 낮고 A가 가장 높음. [1]
1. 48장의 트럼프 카드를 4명에게 각기 12장씩 배분
2. 낮에는 하트 3을 가진 사람, 저녁에는 스페이드 3을 가진 사람이 선을 잡음[2]
3. 선부터 시작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규칙에 따라 카드를 바닥에 버릴 수 있음
4. 손에 든 카드를 가장 먼저 비운 사람이 승리. 남은 사람들도 게임을 진행하여 순위를 정하고 점수를 배분.

이때 카드를 바닥에 버릴 때 선이 선언한 공격방식에 따라 버려야 하며, 버릴 수 있는 카드가 없으면 통과를 해야한다.[3] 만약 4명 모두가 통과할 경우 마지막으로 카드를 냈던 사람이 선을 잡고 카드를 내면서 공격방식을 선언한다.

공격방식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카드 게임이 그렇듯 사람이나 지역별로 세부적인 내용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기본적인 규칙은 앞 사람이 낸 것 보다 높은 족보의 카드를 내야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선이 원카드로 7을 내려놓고 시작하면 그 다음 차례의 사람은 7 이하의 카드를 내려놓을 수 없다.

  • 원카드 - 선이 한 장의 카드를 내려놓고 선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3이 가장 약하고 A가 가장 강하다. 싱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투카드 - 이번에는 선이 같은 숫자의 두 장을 내면서 선언을 해야한다. 3/3이 가장 약하고 A/A가 가장 강하다. 페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스트레이트 - 3개 이상의 연속된 숫자의 조합. 3/4/5부터 시작 가능하다. 길이에 제한이 없어서 '이론상으로는' 12장 전부가 연속된 숫자(3,4,5,6,7,8,9,10,J,Q,K,A)라 한번에 내는 것도 가능하다. 스트레이트를 냈을 경우 뒷 사람들은 선이 낸 것과 같은 길이의 스트레이트를 내야 한다.

여기서부터는 강한 족보로 위의 원카드, 투카드, 스트레이트 제한을 무시하고 낼 수 있다. 예를들어 선이 한 사이클을 날로 먹으려고 AA를 내면 스트레이트나 원카드를 내는 것은 안 되지만 트리플인 3/3/3은 낼 수 있다. 물론 여기에도 상하관계가 적용돼서 앞 사람이 낸 것보다 약한 것은 낼 수 없다.

  • 트리플 - 같은 숫자 3개의 조합. 3/3/3이 가장 약하다.

  • 사사끼 - 4/4/A. 게임의 이름인 사사끼가 '4 4 ACE'에서 따왔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일단은 트리플로 취급하고 트리플 중에서도 A/A/A보다 강한 족보로 친다.

  • 쌍카(더블 스트레이트) - 3/3/4/4/5/5처럼 페어가 스트레이트로 이어진 경우. 자체로는 사사끼보다 강한 족보지만 본인이 '선'일 때 첫 패로만 내려놓을 수 있다. 즉, 앞 사람이 놓은 4/4/A에 대응하여 낼 수 없다. 쌍카의 경우 인정하지 않는 룰도 있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 포카드 - 4개의 같은 숫자 조합. 포커에서도 매우 강한 족보였던만큼 여기서도 매우 강한데, 선이 쌍카를 내더라도 낼 수 있다.

  • 돼지 - 빨간 카드(다이아몬드, 하트)의 10 두 개. 포카드보다 강한 족보이다. 그런데 이 다음 검은 카드(클로버, 스페이드)의 10 두 개의 조합인 흑돼지를 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흑돼지는 돼지 다음에 내는 것만 유효하며 그냥 낼 경우 10 투카드로 취급된다.[4] 돼지는 맨 마지막에 손패를 비우는 용도로 낼 수 없다. 게임 초반에 패의 상태에 따라 돼지는 패를 놓을수도 있는데, 놓게 된다면

  • 부르기 - 카드와 상관 없는 룰. 경기 초반에 판돈을 2배 로 늘릴 수 있는 룰이다. 모든 참가인원이 카드를 나눠 받고 나서, 선이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진행할수 있다. 본인의 손에 들려있는 가장 높은 족보의 패 [5] 를 모든 참가 인원에게 공개한 뒤, 빨간 10 카드를 가진 사람들끼리 카드를 공개적으로 모두의 앞에서 교환한다. 만약 그 판에 돼지가 있을 경우 돼지 족보를 가지고 있는 인원은 게임을 진행할지 아니면 패를 놓을지 선택을 해야한다. 놓지 않고 진행하게 된다면 판에 돼지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기에 집중 견제가 들어올 수 있다.[6] [7]

그 외에 선을 뺏을 수 있는 '차다'와 '꽂다'가 있다.(먹다와 싸다로 부르기도 한다) 선 여부와 관계 없이 원카드를 낸 사람이 있으면 다른 사람이 해당 인물이 낸 카드와 같은 숫자 카드 2개를 가지고 있으면 순서를 무시하고 이를 낸 다음 선을 뺏어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이 원카드를 선언하면서 3을 내려놓을 때 나머지 사람들 중 3을 2개 이상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있으면 순서를 무시하고 이것을 내고 선을 뺏을 수 있다.

'꽂다'의 경우 '차다'가 발동되었을 때 같은 숫자의 마지막 카드를 가진 사람이 내고 선을 또 뺏어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누군가가 3을 한 장 내고 다른 사람이 3 두개로 찼을 때, 마지막 3을 가진 사람(가장 먼저 3을 낸 사람도 포함)이 3을 내고 선을 또다시 뺏어오는 것. 이 규칙 때문에 변칙적인 플레이가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팀과 관련한 상당히 특이한 규칙이 있다. 사사끼는 개인전일 것 같지만 사실은 팀전으로 진행된다. 처음에 카드를 분배했을 때 빨간 카드(다이아몬드, 하드)의 10 두 장을 가진 사람끼리 팀이 되고, 갖지 않은 사람들은 자동으로 자기들끼리 팀이 된다. 만약 한 사람이 빨간 10 두 장을 가질 경우[8] 혼자가 팀이 되며 나머지 3명이 팀이 된다. 이때 팀 여부는 처음에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서로 눈치를 보는 것이 필요하다.

게임이 종료되면 등수에 따라 팀, 점수를 배분한다. 아직 대중적으로 알려진 게임이 아니다보니 확 정해진 룰은 없는데, 2:2 팀전으로 진행되었다면 한 팀이 1등, 2등을 차지하거나 1등, 3등을 차지했을 때 점수를 얻고 1등, 4등을 하거나 2등, 3등을 했을 때는 점수 없이 나가리가 된다.

만약 한 명이 돼지를 갖고 있어서 1:3으로 진행했다면 1명인 쪽이 1등을 하면 3점을 얻고, 1등을 하지 못한다면 등수에 따라 3명인 팀이 점수를 얻는 방식으로 계산한다.

3. 특징[편집]


카드 48장을 다 털어서 12장씩 배분하는 만큼 강한 족보도 생각보다 자주 볼 수 있다. 특히 트리플 중 가장 강한 사사끼의 경우 나올 확률이 각각의 트리플보다 오히려 높다.

게임의 핵심 중 하나는 낮은 숫자의 카드를 얼마나 빠르게 처리하느냐가 된다. 대표적으로 가장 낮은 숫자인 3은 손패에 내려놓을 수단이 매우 한정적이다. 3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은 트리플이나 포카드의 3을 내거나, 선을 잡고 3을 먼저 내는 것 외에 전무하다. 3을 가진 사람이 선을 잡는 규칙도 3을 가진 쪽이 기본적으로 불리한 편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선이 공격방식을 정하는 것과 앞 사람이 낸 것보다 약한 것은 낼 수 없다는 규칙 때문에 처음에 선을 잡는 사람이 강한족보만 내서 손패를 빠르게 비우면 유리할 것 같지만, 생각해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선을 빼앗을 수 있는 규칙 때문에 원카드(싱글)를 내면 높은 확률로 선을 빼앗기게 되는데, 처음에 강한 족보들을 내면 나중에는 어쩔 수 없이 싱글을 내서 선을 뺏기는 타이밍이 생기고 그렇게 되면 이미 탄환을 다 써버렸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카드를 낼 때 통과만 하다가 말라죽을 가능성이 높다. 물론 서로 손패가 줄어들어갈수록 싱글이라도 먼저 낼 수 있는 선의 가치는 기하급수적으로 커지므로 결정적인 순간에 선을 빼앗는 것과 강한 족보를 어디까지 아끼는 것을 고민하는 것이 묘미라 할 수 있다.


4. 북한 현지에서의 용어[편집]


북한 현지에서는 영어가 거의 사용되지 않다보니 J, Q, K, A 등을 부르는 명칭이 남한과 다르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남한 용어북한 용어
트럼프 카드주패
J낚, 낚시, 난시, 낭기, 나무
Q뚱, 뚱글이, 영자, 둥지
K코, 콩대, 케이
A뽈대, 배재, 핑대, 대가리, 에이, 에이스
원카드(싱글)한 장
투카드(페어)두 장, 각기, 가다리, 가치
스트레이트닐리리
트리플방, 짜
더블 스트레이트쌍카, 쌍용, 사카린
포카드만대
차다, 꽂다(먹다, 싸다)자타, 꼬타

5. 관련 문서[편집]


  • 사사키(원피스) - 다른 백수 해적단 간부들처럼 이름의 유래가 카드 게임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5:13:31에 나무위키 사사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를 사용하는 룰도 존재. 해당 룰의 경우 2가 가장 높은 족보가 되나, 스트레이트와 쌍카(더블 스트레이트)에는 2를 포함할 수 없다. 예를 들어 J Q K A 스트레이트는 가능하나 J Q K A 2 스트레이트는 불가능하다. 쌍카도 마찬가지.[2] 두 번째 판부터는 이전 판의 1등부터 선을 잡음.[3] 버릴 수 있는 카드가 있어도 굳이 내고 싶지 않으면 통과할 수 있다.[4] 섰다의 암행어사나 땡잡이를 생각하면 된다.[5] 룰마다 다를 수 있다.[6] 누가 돼지인지는 알려지지 않는다.[7] 참고로 부르기는 본인의 패가 좋은 패일 때 하는 게 좋다. 아무렇게나 막 부르다가는 본인이 내는 판돈도 2배가 되기 때문에 낭패를 당할 수 있다. 대부분 트리플이 3개 (사사끼 포함), 포카드, 혹은 흑돼지를 지닌 인원이 돼지판을 소위 검사 하기 위해서 본인 패의 높은 족보로 부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흑돼지로도 부를 수는 있으나 이 경우에는 돼지 측에서 웬만큼 패가 좋은 편이 아니라면 놓아야 한다.)[8] 즉, 돼지를 갖는 경우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