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고속도로(멕시코)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 도쿄의 도시고속도로에 대한 내용은 수도고속도로 문서
수도고속도로번 문단을
수도고속도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ircuito Exterior Mexiquense



멕시코시티 외곽순환도로 홍보영상. 위에서 말하는 내용은 사실이며, 버스를 이용한 여행객 입장에서는 이로 인한 이점도 같이 있다. 왜 그런지는 주의사항 참고.

1. 개요
2. 역사
3. 구간 및 노선정보
3.1. 멕시코 시티 ~ 레체리아 구간
3.2. 레체리아 ~ 툴테펙 구간
3.3. 찰코 ~ 에에토카 구간
4. 여담
5. 주의사항


1. 개요[편집]


멕시코 시티를 중심으로 주변 도시들을 반구형으로 도는 고속도로.[1] 동부지역은 멕시코주 5D번 고속도로로 지정되어 있으며, 서부지역은 공식적으로 지정된 노선번호가 없다.

Mexiquense가 멕시코주의 형용사인 만큼, 수도고속도로 혹은 수도권(외곽)순환고속도로라고 부르는 것이 적절한 번역이다.

관리 주체는 동부구간과 레체리아 ~ 툴테펙 구간은 중남미 - 스페인 다국적 기업인 알레아티카 (Aleatica)가[2], 서부 구간 중 라 벤타 ~ 차마파 구간은 이데알 그룹이, 차마파 ~ 페리노르테 구간은 멕시코도로공사 (CAPUFE)이다. 민자 구간이 많다보니 통행료가 상당히 비싸다.

2. 역사[편집]


푸에블라 데 사라고사, 아카풀코 데 후아레스, 톨루카 데 레르도 등 주변 도시에서 멕시코 시티를 거치지 않고 다른 도시로의 연계를 원활히 하기 위해 이 프로젝트가 추진되었다.

2008년에 1단계 구간인 툴테펙 (Tultepec) ~ 우익스킬루칸 (Huixquilucan) 구간이 먼저 개통되었으며, 2009년에 2단계 구간인 에카테펙 데 모렐로스 ~ 찰코 구간이 개통되었다. 3단계 구간인 툴테펙 ~ 에에토카 (Huehuetoca) 구간이 소리소문 없이 개통되어 멕시코 57D번 고속도로 본선과 연결되었다.

1단계 구간으로 되어있었던 라 마르케사 ~ 멕시코 육군사관학교 구간은 취소되었으며, 멕시코 시티에서 멕시코시티 서부도시고속도로멕시코시티 외부순환도로의 고가구간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이들 구간이 승용차들만을 위한 구간인데다 시외버스의 통행이 금지되어있어서 시외버스들은 복잡한 멕시코시티 도심을 어쩔 수 없이 지나야한다.[3]

또한 4단계 구간으로 되어있던 찰코 ~ 오숨바 ~ 모렐로스주 콰우틀라 구간 또한 취소되었으며, 아메카메카 구간에 멕시코도로공사 관할 재정구간 형태로 멕시코 115D번 고속도로가 건설되는 것으로 대체되었다.


3. 구간 및 노선정보[편집]



3.1. 멕시코 시티 ~ 레체리아 구간[편집]


소재지번호이름구간 거리
(km)
누적 거리
(km)
접속 노선비고나들목 개통일
멕시코 시티쿠아히말파1라 벤타
La Venta
0.0015번 국도
멕시코우익스킬루칸2인테르로마스
Interlomas
8.68.6인테르로마스대로
3보스케
Bosque
2.611.2보스케 레알 골프장 직결
나우칼판 데 후아레스4참파
Champa
2.713.9134번 국도
5시프레세스
Cipreses
3.817.7시프레세스로레체리아방면 진출입 불가
6노팔라
Nopala
2.019.7멕시코주 3번 지방도
7로마스 베르데스
Lomas Verdes
4.524.2로마스 베르데스로
아티사판 데 사라고사8마딘
Madin
3.227.5호르헤 히메네스 칸투 박사 대로
9아티사판
Atizapán
4.2236.3멕시코주 5번 지방도
10보스케스 데 익스타칼라
Bosques de Ixtacala
4.732.2라고 델 과달루페로
콰우티틀란 이스칼리11보스케 분기점
Bosque
0.833.0멕시코시티 외곽순환고속도로
(레체리아 ~ 툴테펙 구간)
12차마파 레체리아
Chamapa Lecharia
2.935.9테호코테스로
13레체리아 분기점
Lecharia
0.636.5멕시코 57D번 고속도로
푼타 노르테 쇼핑몰 직결


3.2. 레체리아 ~ 툴테펙 구간[편집]




3.3. 찰코 ~ 에에토카 구간[편집]


소재지번호이름구간 거리
(km)
누적 거리
(km)
접속 노선비고나들목 개통일
멕시코주찰코1찰코
Chalco
0.00150D번 고속도로
TG찰코 톨게이트
Caseta de Cobro Chalco
1.11.1
익스타팔루카2라 벤타
La Venta
1.12.2산 부에나벤투라로케레타로방면 진입만 가능
텍스코코 데 모라3멕시코주 문화회관
Centro Cultural Mexiquense Bicentenario
18.220.4136번 국도
시우다드 네사왈코요틀4시우다드 네사왈코요틀
Ciudad Nezahualcóyotl
12.532.9136번 국도
5페뇬
Peñón
4.036.9136D번 고속도로멕시코 시티 방면 진출입 불가
에카테펙 데 모렐로스6리오 데 로스 레메디오스
Río de los Remedios
2.637.5멕시코시티 외부순환도로
센트랄 대로
TG에카테펙 톨게이트
Caseta de Cobro Ecatepec
10.347.8
7라스 아메리카스
Las Américas
0.448.2인수르헨테스로
센트랄 대로
라스 아메리카스 백화점 직결
8에카테펙 분기점
Ecatepec
3.351.5멕시코 85D번 고속도로케레타로 방면 진입만 가능
찰코 방면 진출만 가능
9카르멘
Carmen
0.952.4142번 국도
툴테펙10툴테펙
Tultepec
9.662.0FFCC 센트랄로
TG툴테펙 톨게이트
Caseta de Cobro Tultepec
0.062.0
11툴테펙 분기점
Tultepec
1.263.2멕시코시티 외곽순환고속도로
(레체리아 ~ 툴테펙 구간)
숨팡고12숨팡고
Zumpango
8.271.4멕시코주 35번 지방도
에에토카13에에토카
Huehuetoca
14.085.4호로바스로
TG에에토카 톨게이트
Huehuetoca
0.686.0
14에에토카 분기점
Huehuetoca
0.186.1멕시코 57D번 고속도로 본선 직결


4. 여담[편집]



  • 원래 이 도로는 이름에서 볼 수 있듯 멕시코 수도권의 연계를 위한 것이지만, 상황에 따라 북아메리카중앙아메리카를 잇는 보조간선도로로도 사용된다. 아르코 노르테 고속도로의 통행료가 창렬 수준으로 매우 비싸기 때문. 물론 수도고속도로도 비싼 축에 속하는 도로라 할라파나 베라크루스, 혹은 중앙아메리카가 목적지라면 그냥 아르코 노르테 타는 게 더 나을 수도 있다. 북아메리카에서 중앙아메리카로 가기 위해 수도고속도로 전구간 이용하는 경우 87.4km동안 6개의 톨게이트에서 걷는 통행료가 총 431페소 (한화로 약 23,000원, 서울 ~ 부산보다 더 비싸다)이며, 여기에 도로공사 구간의 통행료가 136페소가 추가되어 아르코 노르테 타는 게 더 낫다.


5. 주의사항[편집]


  • 만약 멕시코 국립 자치 대학교, 코요아칸 등지에서 산티아고 데 케레타로, 과달라하라, 과나후아토 쪽으로 간다면 반드시 멕시코시티 남부종합버스터미널이나 프리메라 플루스 멕시코시티 비야 코아파 지점에서 출발하는 버스를 이용하도록 하자. 이유는 바로 이 고속도로를 이용하기 위해서. 테포솟틀란 구간은 톨비가 없기 때문에 수도권 구간의 정체가 상당하여 이를 노린 강도 사건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난다. 심지어 강도에 저항하다가 강도의 실탄에 맞아 버스에서 생을 마감한 사례까지 있으며, 특히 외국인의 경우 강도가 요구하는 대로 소지품을 건넬 경우 귀가할 방법이 아예 없기 때문에 더 위험하다. 반면 멕시코시티 외곽순환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 톨비가 엄청 비싸서[4] 교통량이 거의 없기 때문에 안전하다. 남부터미널발 직행버스가 없는 곳으로 (과나후아토, 산 미겔 데 아옌데, 피에드라스 네그라스, 미국 등) 갈 경우에도 케레타로에서 갈아타는 방법으로 여정을 짜자. 참고로 버스 강도사건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자 ETN과 프리메라 플루스의 북부터미널 출발 차량들이 인디오스 베르데스역을 경유하여 이 도로를 경유하는 것으로 운행경로를 바꾸었다. 다른 회사들은 아직 운행경로를 변경하지 않았다.[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멕시코시티 외곽순환고속도로 문서의 r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멕시코시티 외곽순환고속도로 문서의 r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9:23:10에 나무위키 수도고속도로(멕시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왜 반구형이냐면 아직 몇몇 구간이 완공되지 않았기 때문이다.[2] 스페인 기업이라는 말도 있다.[3] 케레타로에서 쿠에르나바카로 가는 버스들은 보통 멕시코시티 남부종합버스터미널을 경유하기 마련이며, 이 도로의 동부 구간을 타고 멕시코시티 내부순환로를 이용한 뒤 멕시코 95D번 고속도로에 진입한다. 또한 남부터미널을 출발한 버스들이 톨루카 데 레르도, 모렐리아 쪽으로 갈 때 콘데사 근처를 지나서 멕시코 15D번 고속도로에 진입하는데, 원래라면 이게 최단거리이지만 교통량이 많기 때문에 멕시코시티 서부도시고속도로로 가는 게 더 빠르다.[4] 테포솟틀란 쪽으로 가면 74페소만 내면 되지만, 이 도로를 이용하면 3곳의 톨게이트에서 215페소나 내야 하기 때문이다. 멕시코 임금수준이 낮은 걸 고려한다면 교통량이 적은 건 당연하다. 금수저나 운수업체에서 그쪽으로 가라고 지시했거나, 버스 승객이 아니면 거의 이 도로의 이용을 기피한다고 봐도 무방하다.[5] 가끔 이 도로를 이용하기 위해 텍스코코 데 모라로 가는 602 대로를 거치는 일이 있고, 이 도로에서도 정체되는 만큼 시외버스 멕시코시티 - 테페티틀란 등을 중심으로 가끔씩 강도사건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 도로가 정체될 경우 아예 멕시코시티 도시철도 B호선 리오 데 로스 레메디오역을 거쳐 멕시코시티 외부순환도로 쪽으로 가기 때문에 강도를 만날 확률은 멕시코시티 북부종합터미널을 출발하여 테포솟틀란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만날 확률보다 훨씬 낮다. 앞서 언급했듯 테페티틀란행 시외버스와 텍스코코 데 모라행 시외버스라는 좋은 먹잇감이 있기 때문이다. 고로 더 안전하다고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