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촌동

덤프버전 :




1. 개요
2. 주요 시설
2.1. 기관
2.2. 공원
2.3. 교육
2.3.1. 초등학교
2.3.2. 중학교
2.3.3. 고등학교
2.3.4. 대학교
2.4. 주거
3. 교통
3.1. 도시철도
3.2. 버스
3.2.1. 급행
3.2.2. 간선
3.2.3. 지선
3.2.4. 마을


1. 개요[편집]


雙村洞
광주광역시 서구에 속하는 .

지명은 과거 큰 버드나무 두 그루가 있었던 것에서 유래한다. 행정동은 상무1동, 상무2동, 유덕동이다.

동이 상당히 넓다. 행정동이 4개나 되는 화정동보다 더 넓은데, 동이 남북으로 길다보니 “여기도 쌍촌동이였어?”라고 할만큼 넓게 퍼져있다. 쌍촌동과 맞닿은 주변 동은 상무지구로 개발된 치평동유촌동, 광주천 건너편 동천동, 기아 광주공장[1]이 위치한 내방동, 아파트 단지들이 밀집한 화정동금호동, 백석산 너머 마륵동까지 상당히 많다. 게다가 경계도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쌍촌동 중앙에 위치한 운천역쌍촌역 사이 주택단지가 아니면 여기가 쌍촌동이라고 느껴질 만한 단서가 전혀없고 굳이 주소까지 찾아보지 않는다면 주변 동과 같은 구역으로 알고있는 사람들이 매우 많다.[2]

유덕동에 속한 북쪽 끝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은 행정동 상무1동과 상무2동이 관할한다. 둘의 경계는 상무대로이다. 이 행정동 상무1동, 상무2동은 동 이름과 다르게 흔히 상무지구 하면 떠올리는 곳에 있지는 않은데, 이는 상무대가 있던 시절의 흔적으로 보면 된다. 일단 '상무'라는 동명은 '상무동'이라는 행정동이 1957년에 처음 생긴 것에서 시작하는데, 쌍촌동을 비롯해 치평동, 화정동, 내방동까지 4개 법정동을 관할했다. 1979년에 행정동 쌍촌동(쌍촌, 치평)과 화내동(화정, 내방)으로 분동되면서 사라졌다가, 1993년에 행정동 쌍촌동을 분동할 때 이름을 상무1동, 상무2동으로 하면서 '상무' 동명이 부활했다. '쌍촌'이라는 지명이 그야말로 촌스러워서(...) 주민들이 '상무'를 선택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물론 이때 상무1동, 상무2동의 중심지는 쌍촌동이었다. 이후 상무대 자리에 상무지구가 개발되면서 당시 상무1동 관할이던 상무지구를 2003년에 분동했는데, 이때 새 행정동의 이름이 법정동을 따라 치평동으로 정해지면서, 쌍촌동에는 상무1동과 상무2동이 남게 된 것이다. 다만 상무지구로 개발된 곳 중 운천로 동쪽에 해당하는 곳들은 상무1동이 관할하고 있으며, 이외에 법정동 치평동 중 운천로 동쪽으로 튀어나온 극일부 지역은 상무1동이, 법정동 쌍촌동 중 상무대로 이북·운천로 서쪽인 극일부 지역은 행정동 치평동이 관할한다. 참고로 '상무동'으로 검색해도 이 문서로 올 수 있다.

2. 주요 시설[편집]



2.1. 기관[편집]


  • 광주출입국외국인사무소
  • 서광주세무서
  • 한국농어촌공사 광주지역본부
  • 광주학생문화회관
  • 상무금호보건지소


2.2. 공원[편집]


  • 5.18 기념공원
  • 운천저수지
  • 마륵근린공원 (2026년 예정)
  • 5.18 역사공원[3]


2.3. 교육[편집]



2.3.1. 초등학교[편집]




2.3.2. 중학교[편집]




2.3.3. 고등학교[편집]




2.3.4. 대학교[편집]


  • 호남대학교 쌍촌캠퍼스 - 2015년, 광산캠퍼스와 통합되었다. 현재는 다 철거되었고, 그 자리에는 아파트 건설 예정.
  • 광주가톨릭대학교 - 현재는 나주시로 이전.


2.4. 주거[편집]


건설사아파트명입주날짜규모
현대건설쌍촌현대아파트1980년 10월3개동 총 56세대(5층)
대건건설대건맨션1984년 11월1개동 총 54세대(9층)
명지건설명지맨션1985년 11월1개동 총 110세대(11층)
신천건설신천맨션1988년 6월1개동 총 60세대(15층)
대한주택공사쌍촌주공아파트1991년 4월6개동 총 1416세대(15층)
금호건설/삼능건설빛고을파크1991년 9월7개동 총 1,100세대(15층)
금호건설쌍촌시영아파트1991년 9월3개동 총 500세대(15층)
대주건설백일대주아파트1992년 9월2개동 총 253세대(19층)
광명주택/중흥건설광명중흥아파트1992년 10월4개동 총 352세대(18층)
광명주택광명하이츠타운1992년 12월4개동 총 942세대(18층)
신천건설신천힐탑맨션1994년 2월[4]1개동 총 319세대(24층)
동남건설동남아파트1995년 8월1개동 총 196세대(18층)
용산건설용산그린아파트1996년 8월1개동 총 134세대(17층)
명지주택건설쌍촌동명지아파트1997년 3월2개동 총 372세대(20층)
현대건설현대아파트1997년 6월9개동 총 820세대(20층)
일신건설일신아파트1998년 1월5개동 총 601세대(18층)
모아건설/제일건설모아제일아파트1998년 3월3개동 총 480세대(20층)
호반건설호반리젠시빌2002년 5월5개동 총 471세대(17층)
우미건설우미 아트빌2002년 11월6개동 총 653세대(17층)
명지주택건설쌍촌2차 명지아파트2002년 12월1개동 총 47세대(12층)
성화종합건설성우아파트2003년 10월1개동 총 143세대(18층)
부건종합건설부건빛고을아파트2005년 1월1개동 총 90세대(19층)
중흥건설중흥S-클래스2006년 1월7개동 총 669세대(20층)
성화종합건설성우행복한집2006년 5월2개동 총 136세대(15층)
현대건설상무 힐스테이트2010년 2월7개동 총 336세대(15층)
대우건설상무 푸르지오2011년 6월9개동 총 470세대(22층)
지인종합건설상무 지오스테이션2016년 12월1개동 총 80세대(19층)
다인종합건설쌍촌 아너팰리스2017년 11월1개동 총 52세대(19층)
서진건설상무엘리체2018년 9월7개동 총 602세대(24층)
한국건설상무 한국아델리움2019년 5월4개동 총 267세대(26층)
혜림건설광천모아엘가2021년 6월3개동 총 244세대(34층)
모아건설상무 모아미래도 레이크[오피스텔]2023년 10월696실
GS건설상무센트럴자이2024년 8월(예정)14개동 총 903세대(30층)


3. 교통[편집]



3.1. 도시철도[편집]


  • 광주 1호선 쌍촌역
  • 광주 1호선 운천역(광주)
  • -광주 2호선 남상무역-[5]

3.2. 버스[편집]



3.2.1. 급행[편집]



3.2.2. 간선[편집]




3.2.3. 지선[편집]




3.2.4. 마을[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9:04:54에 나무위키 쌍촌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부분이 내방동이긴 한데 광주2-1공장의 일부가 쌍촌동으로 들어간다.[2] 대표적으로 금호초등학교 주변 주택단지와 광주천변에 칠성마을이 있는데, 전자는 금호동으로, 후자는 유촌동이나 광천동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다.[3]505보안부대가 주둔하던 곳으로, 2005년 제31보병사단으로 이전하면서 건물이 비었고 2014년 광주광역시청이 국방부로부터 이 곳을 넘겨 받아 2022년 공원화되었다.[4] 건설사 부도로 인해 공사가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입주, 2001년이 돼서야 공사를 완전히 끝냈고 10년 후인 2011년에 사용승인을 받았다.[오피스텔] [5] 2023년 개통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