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목록

덤프버전 :

분류

1. 목록
1.1. A
1.2. B
1.3. C
1.4. D
1.5. E
1.6. F
1.7. G
1.8. H
1.9. I
1.10. J
1.11. K
1.12. L
1.13. M
1.14. N
1.15. O
1.16. P
1.17. Q
1.18. R
1.19. S
1.20. T
1.21. U
1.22. V
1.23. W
1.24. X
1.25. Y
1.26. Z
2. 관련 문서


1. 목록[편집]


기호 표기는 ISO 639-3을 따른다.
#f5f5f5일반 언어
#E0FFFF국제연합 지정 공식언어
#FFDEAD소멸위기언어
#FFFFFF사어


1.1. A[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aaaGhotuo
고투오어
니제르콩고어족
볼타니제르어파
나이지리아[1]9000명로마자
aabAlumu
알루무어
니제르콩고어족
베누에콩고어파
나이지리아[2]7000명로마자
aacAri
아리어
파푸아만어족
고고달라-수키어파
파푸아뉴기니[3]50명로마자
aadAmal
아말어
세피크어족
상세피크어군
파푸아뉴기니[4]830명로마자
aaeArbëresh
아르버레시어
인도유럽어족
알바니아어파
이탈리아10만 명굴절어SVO로마자
aafഏറനാടൻ
에라나단어
드라비다어족
타밀-칸나다어파
인도[5]200명말라얄람 문자
aagAmbrak
암브라크어
토리첼리어족
팔레이어파
파푸아뉴기니[6]290명로마자
aahAbuʼ
아부어
토리첼리어족
아라페시어파
파푸아뉴기니[7]2600명로마자
aaiMiniafia
미니아피아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파푸아뉴기니[8]3500명로마자
aakAnkave
안카베어
트랜스뉴기니어족파푸아뉴기니[9]1600명로마자
aalAfaɗə
아파더어
아프리카아시아어족카메룬[10]
나이지리아[11]
5000명로마자
aanAnambé
아낭베어
투피어족브라질[12]6명로마자
aamصحراوية عربية
사하라 아랍어
아프리카아시아어족알제리 외 6개국[13]11만 명아랍 문자
aaoArára
아라라어
카리반어족브라질[14]340명로마자
aapArára
아라라어
카리반어족브라질[15]340명로마자
aaqWôbanakiôdwawôgan
동아베나키어
알그어족캐나다[16]
미국[17]
1800명로마자
aarQafaraf
아파르어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티오피아 외 2개국[18]197만 4000명로마자
aasAasá
아사어
아프리카아시아어족탄자니아없음[19]로마자
aatαρbε̰ρίσ̈τ
아르버리시트어
인도유럽어족그리스5만 명굴절어SVO그리스 문자
aauAbau
아바우어
세피크어족파푸아뉴기니7300명로마자
aawSolong
솔롱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파푸아뉴기니[20]2200명로마자
aaxMandobo
만도보어
트랜스뉴기니어족인도네시아[21]3만 명로마자
aazAmarasi
아마라시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인도네시아[22]7만 명로마자
abaAbé
아베어
니제르콩고어족코트디부아르17만 명로마자


1.2. B[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3. C[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4. D[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5. E[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6. F[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7. G[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8. H[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9. I[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10. J[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11. K[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12. L[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13. M[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14. N[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15. O[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16. P[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17. Q[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18. R[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19. S[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20. T[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21. U[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22. V[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23. W[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24. X[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25. Y[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1.26. Z[편집]


기호명칭계통사용지역원어민 인구유형어순문자


2.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8:12:31에 나무위키 언어/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에도주(Edo State)의 공용어.[2] 나사라와주(Nassarawa State)의 공용어.[3] 서부주(Western State)의 아라미아강 인근 지역에서 사용.[4] 산다운주(Sandaun Province)와 동세피크주(East Sepik Province)에서 사용.[5] 케랄라주(കേരളം)에서 사용.[6] 산다운주(Sandaun Province)의 누쿠현(Nuku District)에서 사용.[7] 동세피크주(East Sepik Province)에서 사용.[8] 오로주(Oro Province)에서 사용.[9] 굴프주(Gulf Province)의 케레마현(Kerema Districk)에서 사용.[10] 최북부주(Région de l'Extrême-Nord)에서 사용.[11] 보르노주(Borno State)에서 사용.[12] 파라주(Estado do Pará)에서 사용.[13] 니제르, 모로코, 서사하라, 모리타니, 말리, 리비아 사용.[14] 파라주(Estado do Pará)에서 사용.[15] 파라주(Estado do Pará)에서 사용.[16] 퀘벡주(Quebec), 뉴브런즈윅주(New Brunswick)에서 사용.[17] 메인주(State of Maine), 버몬트주(State of Vermont), 뉴햄프셔주(State of New Hampshire)에서 사용.[18] 지부티, 에리트레아 [19] 1952년~1956년 경 사멸.[20] 서뉴브리튼주(West New Britain Province)에서 사용.[21] 파푸아주(Provinsi Papua)에서 사용.[22] 동누사틍가라주(Provinsi Nusa Tenggara Timur)에서 사용.